맨위로가기

스루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루드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토르의 딸이자 시프의 딸로 묘사된다. 주요 에피소드에서 스루드는 드워프 알비스가 토르의 딸과 결혼하려 했다는 이야기와 발키리 명단에 등장하며, 시어법에서 토르를 지칭하는 케닝으로 언급된다. 또한, 족장의 딸을 의미하는 케닝으로도 사용되었으며, 10세기 스웨덴의 카를레비 룬 비문에서도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퀴랴 - 발키리
    발키리는 고대 노르드 신화에 등장하여 전사자를 오딘의 발할라로 인도하는 존재이며, 다양한 문헌과 예술 작품에서 묘사된다.
  • 발퀴랴 - 스쿨드
    스쿨드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운명의 여신 노르닐 중 막내이자 발키리로서, 미래를 관장하며 전투에서 인간의 운명을 결정하고 전사자를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 아쉬냐 - 이둔
    이둔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젊음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젊음을 유지하는 사과를 관리하며, 로키에게 납치당하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아쉬냐 - 요르드
    요르드는 북유럽 신화에서 대지의 여신으로 신격화되었으며 토르의 어머니이자 오딘의 아내 중 하나로, 흐로딘, 피요르귄 등으로도 불리는 "땅, 대지"를 의미하는 단어이다.
스루드
스루드 (Þrúðr)
스루드의 삽화
스루드의 삽화
어원
성별여성
문화노르드 신화
아버지토르
어머니시프
거주지빌스키르니르 또는 스루드헤임
스루드 (일본어: スルーズ)
로마자 표기Surūzu
문화노르드 신화
성별여성
주요 등장 작품발키리 프로파일
마블 코믹스

2. 주요 에피소드

스루드는 《고 에다》와 《스노리 에다》 등 여러 문헌에서 언급된다.

발할라에서 죽은 자들에게 술을 따르는 발키리 힐드, 스루드,


고 에다》의 〈알비스의 말〉에서는 드워프 알비스토르의 딸과 약혼했다고 주장하는데, 이 딸이 스루드일 가능성이 있지만, 시에서는 이름이 명확히 언급되지 않는다. 〈그리니르의 말〉에서는 오딘에인헤랴르에게 에일을 가져다주는 11명의 발키리 중 하나로 스루드("힘")를 언급한다.

《스노리 에다》 《시어법》에서는 토르를 "스루드의 아버지"라는 케닝으로 부를 수 있다고 설명하며, 스루드의 어머니는 시프라고 덧붙인다. 브라기 보다손의 《라그나르의 송시》에서는 요툰 흐룽그니르를 "스루드의 도둑"이라고 부르지만, 이 신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른 자료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마가렛 클루니에스 로스는 흐룽그니르와 관련된 에피소드가 거인에 의한 여신 납치, 실패, 그리고 납치범의 죽음을 다룬다는 점에서 이둔의 납치와 상호 보완적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에일리프 고드루나르손의 《토르의 송시》에서는 토르를 "스루드를 간절히 갈망하는 자"라고 부른다.

10세기 스웨덴 외란드 섬의 카를레비 룬석에는 족장을 "스루드의 나무"라고 표현한 구절이 있다.

2. 1. 《고 에다》



《알비스의 말》에서 드워프인 알비스토르의 딸과 약혼했다고 주장하는 내용이 나오는데, 이 딸이 바로 스루드일 가능성이 있지만, 시에서는 딸의 이름이 언급되지 않는다.

《그리니르의 말》에서 오딘은 ('''그리니르'''로 변장한 채) 고문당하고, 굶주리고, 목마른 상태로 젊은 아그나르에게 발키리인 흐리스트("흔드는 자")와 미스트("구름")가 "그에게 [술을 마시는] 뿔잔을 가져다 주기를" 바란다고 말한 다음, "에인헤랴르에게 에일을 가져다주는" 11명의 발키리 목록을 제공한다. 그들은 스케그홀드("도끼 시대"), 스코굴, 힐드르, 스루드("힘"), 흐로크("소리" 또는 "전투"), 헤르표튀르("호스트 속박"), 괼("소란"), 게이라호드("창 싸움"), 란드그리드("방패 휴전"), 라드그리드("의회 휴전"), 레긴레이프("힘 휴전")이다.[2]

2. 2. 《스노리 에다》

산문 에다의 《시어법》에서는 토르를 "스루드의 아버지"라는 케닝으로 지칭할 수 있다고 언급한다. 에이스테인 발다손은 토르에 대한 자신의 시에서 이 케닝을 사용했다. 《시어법》에는 스루드의 어머니는 시프라고 설명되어 있다.[4]

브라기 보다손의 《라그나르의 송시》에서 요툰 흐룽그니르는 "스루드의 도둑"이라고 불린다.[4] 그러나 이 신화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다른 자료에서 찾아볼 수 없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시어법》에서 토르와 흐룽그니르의 싸움을 서술할 때는 다른 이유를 언급하고 있으며, 흐비니르의 횔드울프의 《하우스트롱》은 그 이유를 설명하지 않고 싸움만 묘사한다. 마가렛 클루니에스 로스는 흐룽그니르와 관련된 두 에피소드가 거인에 의한 여신의 납치, 실패, 그리고 납치범의 죽음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상호 보완적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4]

에일리프 고드루나르손의 《토르의 송시》에서 토르는 "스루드를 간절히 갈망하는 자"라고 불린다.[4]

2. 3. 카를레비 룬 비문

스루드는 10세기 스웨덴 외란드 섬에 있는 카를레비 룬석에서 언급되는데, 거기서 족장을 "스루드의 나무"로 지칭한다.[5] 올란드 섬에 있는 카를레비 룬석비(Karlevi Runestone)는 룬 문자 비석으로 10세기에 제작되었으며, 지도자를 "스루드의 나무"("tree of Þrúðr")라고 부르는 부분이 존재한다.[11]

3. 케닝

Þrúðr|스루드non라는 이름은 케닝에서 족장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칼레비 비문에 예시되어 있다. 이 이름은 여성에 대한 케닝에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오름르 스테인토르손은 한 여성에 대한 시에서 "맥아 상자(술통) 또는 술통의 지킴이"로 번역될 수 있는 케닝 hrosta lúðrs gæi-Þrúðr|흐로스타 루드르 가에이-스루드non를 사용한다.[6]

참조

[1] 서적 Lindow (2001:291)
[2] 서적 Simek 1987
[3] 서적 Larrington (1999:57). Valkyrie name etymologies from Orchard (1995:193–195)
[4] 서적 Clunies Ross 1994, p. 114
[5] 간행물 Entry Öl 1 in Rundata 2.0 for Windows
[6] 서적 Faulkes 1998, p. 297
[7] 서적 Lindow (2001:291)
[8] 문서 グリームニルの言葉,第36節
[9] 서적 Simek 1987
[10] 서적 Clunies Ross 1994, p. 114
[11] 간행물 Entry Öl 1 in Rundata 2.0 for Windows
[12] 서적 Faulkes 1998, p. 297
[13] 서적 Lindow (2001:291)
[14] 서적 Simek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