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둔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항상 젊은' 또는 '젊어지게 하는 존재'라는 의미를 지닌다. 주로 젊음을 유지하는 사과를 관리하는 역할로 묘사되며, 로키에게 속아 거인에게 납치당하는 이야기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둔은 브라기의 아내로 묘사되기도 하며, 《시 에다》와 《산문 에다》 등의 문헌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사과와 다산, 인도유럽 신화와의 연관성 등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현대 문화에서도 예술 작품, 잡지, 소행성 등의 이름으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춘의 신 - 헤베
    헤베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젊음의 여신으로, 제우스와 헤라의 딸이며 올림포스 신들의 술 시중을 들고 헤라클레스와 결혼하여 신들의 젊음을 유지하는 역할을 했다.
  • 아쉬냐 - 요르드
    요르드는 북유럽 신화에서 대지의 여신으로 신격화되었으며 토르의 어머니이자 오딘의 아내 중 하나로, 흐로딘, 피요르귄 등으로도 불리는 "땅, 대지"를 의미하는 단어이다.
  • 아쉬냐 - 란 (노르드 신화)
    란은 노르드 신화에 등장하는 바다의 여신으로, 남편 에기르와 함께 바다를 다스리며 그물을 사용해 배나 사람을 바다 속으로 끌어들인다고 전해지는 존재이다.
  • 여신 - 에오스트레
    에오스트레는 게르만 신화의 봄과 새벽의 여신으로, 앵글로색슨족은 4월을 에오스트레의 달이라 부르며 축제를 열었고, 이름은 '빛나다'라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현대 영어의 'Easter'와 부활절 토끼, 오스타라 축제 등과 관련된다.
  • 여신 - 에우리알레
    에우리알레는 내용이 없는 빈 페이지이다.
이둔
기본 정보
이둔 조각상
이둔 조각상
다른 이름이둔나 (Iðunna), 이발디시 (Ívaldadís)
문화노르드 신화
역할젊음, 봄, 다산의 여신
가족아버지: 이발디
남편: 브라기
소유물
보관함젊음을 유지하는 사과를 보관하는 상자

2. 이름

이둔(Iðunn)이라는 이름은 '항상 젊은', '젊어지게 하는 자', 또는 '젊어지게 하는 존재'라는 뜻으로 여겨진다.[1] 현대 영어 알파벳에는 에트(ð) 문자가 없기 때문에, 이둔(Iðunn)은 '''아이둔(Idhunn)''', '''이둔(Idunn)''', '''이둔(Idun)''', 또는 '''이썬(Ithun)'''과 같이 영어식으로 표기된다.[2] 여성형 접미사 '-a'가 붙어 '''이두나(Iduna)'''나 '''이두나(Idunna)'''와 같은 형태가 되기도 한다.[3]

Landnámabókis에는 아이슬란드에서 이 이름이 이교 시대(10세기)부터 개인 이름으로 사용되어 왔음을 기록하고 있다. Landnámabókis에는 초기 정착민의 딸인 이둔 아르나르도티르(Iðunn Arnardóttir)와 가장 초기 정착민 중 한 명의 손녀인 이둔 몰다-그누프스도티르(Iðunn Molda-Gnúpsdóttir) 등 두 여성의 기록이 있다.[4]

이둔이라는 이름은 고대 영어 이름인 아이도니아(Idonea)의 어원으로 추측되기도 한다. 19세기 작가인 C.M. 영은 이둔(Idunn)에서 아이도니아(Idonea)가 유래했다는 것을 "거의 확실하다"고 적고 있으며, 아이도니아(Idonea)가 "라틴어 (적합한)의 여성형일 수 있지만, 로마계 국가에서 사용되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볼 때, 북방의 젊음의 사과 여신의 이름을 고전화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한다.[5]

19세기 학자 야곱 그림(Jacob Grimm)은 이디시(idisi)와의 어원적 관련성을 제기했다. 그림은 "원래 형태인 이디스(idis)와 여신 이둔(Idunn)이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6] 그림은 또한 이둔(Iðunn)이 다른 이름으로도 알려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사엠(Saem.) 89a에 따르면 이둔(Iðunn)은 엘프의 단어로 보이지만, 여신의 다른 이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고 언급한다.[7]

3. 신화 속의 이둔

『스노리의 에다』 제2부 『시어법』은 다음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어느 날, 이둔은 로키에게 속아 거인 티아치(스카디의 아버지)에게 사과와 함께 아스가르드 밖, 거인들의 나라 요툰헤임으로 납치당한다.[40]

신들의 분노를 산 로키는 이둔을 거인으로부터 되찾아오라는 명령을 받고, 프레이야에게서 빌린 의 깃털옷으로 매로 변신하여 티아치의 궁전 쓰리움헤임으로 향했다. 마침 티아치는 외출 중이었고, 궁전에는 이둔만 있었다. 로키는 이둔에게 재빨리 변신 주문을 외워 이둔을 하나의 나무 열매로 변하게 한 뒤, 따서 발톱에 끼워 가지고 갔다. 티아치는 독수리로 변신하여 추격했지만, 아스신들이 준비한 대패 부스러기 불에 날개가 타서 추락하여 신들에게 쓰러졌다.[40] 로키의 주문으로 나무 열매가 된 이둔은 본래 모습으로 돌아왔고, 늙은 신들에게 사과를 나눠주었다. 신들은 다시 젊음을 되찾아 기뻐했고, 이둔은 자신이 더 이상 나무 열매가 아닌 것이 기뻤다고 한다.[41]

고 에다』의 『로키의 논쟁』 제17이 전하는 바에 따르면, 이둔은 자신의 형을 죽인 남자와 관계를 맺었다고 한다.[42] 이둔의 형에 대해서는 이 에피소드에서 존재만 암시될 뿐, 신화에 직접 등장하지 않으며 이름도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형을 죽인 남자”가 누구를 가리키는지도 불명확하다.

3. 1. 《시 에다》

브라기가 하프를 연주하고 이둔이 그 뒤에 서 있는 모습 (1846년) - 닐스 블롬메르


이둔은 《시 에다》의 시 ''로카세나''에 등장하며, 일부 현대판 시어 에다에는 후대의 시 ''오딘의 까마귀 점''에도 포함되어 있다.[8]

이둔은 시 ''로카세나''의 산문 서문에서 브라기의 아내로 소개되는데, 두 사람은 애기르가 주최한 연회에 참석한다.[8] 16절, 17절, 18절에서는 로키가 브라기에게 모욕적인 말을 한 후 로키와 이둔 사이에 대화가 오간다. 16절에서 이둔(으로 영어식으로 표기됨)은 이렇게 말한다.[8]

{{시 구절|

''이둔이 말했다:''

:나는 당신에게 부탁합니다, 브라기여, 당신의 혈족에게

:그리고 모든 입양 관계에 대해서,

:애기르의 홀에서 로키에게 비난의 말을 하지 마십시오.

''로키가 말했다:''

:조용히 해, 이둔, 나는 모든 여자 중에서

:네가 가장 남자에게 미친 여자라고 선언한다.

:네가 깨끗이 씻은 팔을

:네 오빠의 살해자에게 둘렀으니

''이둔이 말했다:''

:나는 애기르의 홀에서 로키에게 비난의 말을 하지 않습니다.

:나는 맥주에 취해 수다스러워진 브라기를 진정시켰습니다.

:그리고 모든 생명체가 그를 사랑합니다.[8]}}

이 대화에서 로키는 이둔이 자신의 오빠를 죽인 자와 잠자리를 같이 했다고 비난한다. 그러나 이 오빠와 살인자는 다른 어떤 기록에도 나타나지 않는다.[9] 그 후, 여신 게프욘이 말을 하고 시는 계속된다.

고 에다』의 『로키의 논쟁』 제17이 전하는 바에 따르면, 이둔은 자신의 형을 죽인 남자와 관계를 맺었다고 한다.[42] 이둔의 형에 대해서는 이 에피소드에서 존재만 암시될 뿐, 신화에 직접 등장하지 않으며 이름도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형을 죽인 남자”가 누구를 가리키는지도 불명확하다.

시 ''오딘의 까마귀 점''에서는 이둔에 대한 추가 정보가 제공되지만, 이 정보는 다른 곳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여기서 이둔은 요정의 후손이자, "이발디의 장남들" 중 한 명이며, 골짜기에 사는 디스로 묘사된다.[10] 6절은 다음과 같다.[10]

{{시 구절|

골짜기에 거주하는,

예지력 있는 디스,

이그드라실의

재에서 내려온,

요정 족의,

이둔이라는 이름의,

이발디의 장남들 중

막내.[10]}}

3. 2. 《산문 에다》

이둔은 《프로세 에다》의 《길파기닝》(Gylfaginning) 26장에 처음 등장한다. 여기서 이둔은 브라기의 아내이자, (재질이 회화나무인 나무 상자로, 개인 소지품을 보관하는 데 사용됨)에 사과를 보관하는 자로 묘사된다. 신들이 늙기 시작하면 이 사과를 베어 먹고 다시 젊어진다. 이러한 과정은 라그나로크까지 계속된다고 묘사되어 있다.[11] 길피 왕은 신들이 이둔의 성실함과 보살핌에 크게 의존하는 것 같다고 말하고, 이에 하이(High)는 한때 불행이 가까이 왔었다고 답한다.[11]

존 바우어(John Bauer)의 ''로키와 이둔'' (1911)


《스깔드스까팔말(Skáldskaparmál)》에서 이둔은 첫 번째 장(55번)에 에기르를 위한 아스가르드(Asgard)의 연회에 자리 잡은 여덟 명의 아신주르(여신) 중 한 명으로 언급된다.[12] 56장에서 브라기는 에기르에게 요툰 티아지(Þjazi)에 의한 이둔의 납치에 대해 이야기한다.[13]

브라기에 따르면 로키가 막대기로 독수리(변장한 티아지)를 때린 후 새에 매달리게 되었는데, 로키는 하늘로 끌려 올라가다가 팔이 빠질까 두려워 독수리에게 풀어달라고 애원한다. 독수리는 로키가 이둔을 유혹하여 젊음의 사과를 아스가르드의 안전한 곳에서 빼내온다는 맹세를 조건으로 풀어준다. 로키는 티아지의 조건을 받아들인다.[13] 로키와 티아지가 합의한 시간에, 로키는 이둔을 아스가르드 밖의 "어떤 숲"으로 유인하여 자신이 보관할 만한 사과를 발견했다며, 비교를 위해 자신의 사과도 가져오라고 말한다. 티아지가 독수리 모습으로 나타나 이둔을 납치하고, 그녀를 데리고 자신의 집인 트림하임르(Þrymheimr)로 날아간다.[13]

이둔이 사라지자 아사 신족은 늙고 회색 머리가 된다. 아사 신족은 싱에 모여 이둔을 마지막으로 본 시점을 서로에게 묻고, 로키와 함께 아스가르드를 나설 때였음을 깨닫는다. 로키는 체포되어 싱으로 끌려온 후, 사형과 고문의 위협을 받는다. 공포에 질린 로키는 여신 프레이야가 자신의 "매 모양"을 빌려준다면 요툰하임르(Jötunheimr)에서 이둔을 찾겠다고 말한다. 프레이야는 로키에게 매 모양을 빌려주고, 로키는 요툰하임르 북쪽으로 날아가 티아지의 집에 도착한다. 티아지가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가 이둔을 집에 혼자 남겨둔 것을 안 로키는 여신을 견과류로 변신시켜 발톱으로 잡고 최대한 빨리 날아간다.[13]

티아지는 집에 돌아와 이둔이 사라진 것을 발견하고, 독수리 모습으로 변신하여 로키를 추격한다. 아사 신족은 발톱에 견과류를 움켜쥔 매가 독수리에 의해 맹렬하게 추격당하는 것을 보고, 서둘러 나무 조각을 크게 쌓아 불을 지른다. 매는 아스가르드 성벽 위로 날아가 벽 뒤로 내려오지만, 독수리는 멈출 수 없어 불 속으로 뛰어들어 깃털에 불이 붙고 아스가르드 문 안으로 떨어진다. 아사 신족은 요툰을 공격하여 죽인다.[13]

시어법》에 따르면, 어느 날 이둔은 로키에게 속아 거인 티아치(스카디의 아버지)에게 사과와 함께 아스가르드 밖, 거인들의 나라 요툰헤임으로 납치당한다.[40] 신들의 분노를 산 로키는 이둔을 되찾아오라는 명령을 받고, 프레이야에게서 빌린 의 깃털옷으로 매로 변신하여 티아치의 궁전 쓰리움헤임으로 향했다. 티아치는 외출 중이었고, 궁전에는 이둔만 있었다. 로키는 이둔을 나무 열매로 변하게 한 뒤, 따서 발톱에 끼워 가지고 갔다. 티아치는 독수리로 변신하여 추격했지만, 아스신들이 준비한 대패 부스러기 불에 날개가 타서 추락하여 신들에게 쓰러졌다.[40] 로키의 주문으로 나무 열매가 된 이둔은 본래 모습으로 돌아왔고, 늙은 신들에게 사과를 나눠주었다. 신들은 다시 젊음을 되찾아 기뻐했다.[41]

10장에서 "이둔의 남편"은 브라기를 가리키는 방법으로 제시된다.[14] 86장에서는 이둔을 가리키는 방법으로 "브라기의 아내", "사과의 관리자", 그녀의 사과 "아사 신족의 오래된 치료제"가 제시된다. 또한 티아지에 의한 납치 이야기와 관련하여 그녀는 "티아지의 전리품"으로 불릴 수 있다. 10세기 시 "하우스트롱"(Haustlöng)의 일부분에서 스칼드 흐비니르의 티오돌플르(Þjóðólfr of Hvinir)는 이둔의 납치를 묘사한 장식이 풍부한 방패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인용된 "하우스트롱"의 부분에서 이둔은 "아사 신족의 늙음을 치료하는 방법을 아는 처녀", "신들의 여인", "맥주-게프느", "아사 신족의 여자 친구"로 불리며, 한 번은 이름으로 불린다.[15]

33장에서 이둔은 에기르를 방문하는 여섯 명의 아신주르 중 한 명으로 언급된다.[16] 이둔은 《프로세 에다》에 마지막으로 75장에 등장하여 아신주르 목록에 포함된다.[17]

고 에다》의 《로키의 논쟁》 제17이 전하는 바에 따르면, 이둔은 자신의 형을 죽인 남자와 관계를 맺었다고 한다.[42] 이둔의 형에 대해서는 이 에피소드에서 존재만 암시될 뿐, 신화에 직접 등장하지 않으며 이름도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형을 죽인 남자”가 누구를 가리키는지도 불명확하다.

3. 3. 다른 전승

존 린도우(John Lindow)는 이둔의 어원적 의미가 '항상 젊은'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이는 이둔이 사과 없이도 신들에게 영원한 젊음을 제공하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준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하우스트롱(Haustlöng)에 사과에 대한 언급은 없고, 이둔을 "아스가르드 신들의 영원한 생명을 이해하는 처녀"로 언급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린도우는 이둔의 납치가 신들에게 있어 "가장 위험한 순간 중 하나"라고 주장하는데, 그 이유는 여신 요툰들이 신들에게로 향하는 일반적인 움직임이 역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9]

로키가 이둔에게 던진 비난에 대해, 리 홀랜더(Lee Hollander)는 ''로카세나(Lokasenna)''가 유머를 목적으로 했으며, 시가 지어진 당시 로키가 던진 비난을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전승"으로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고 주장한다. 오히려 그 비난들은 로키가 쉽게 할 수 있고, 그의 표적이 반박하기 어렵거나, 반박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 것들이라고 말한다.[21]

리처드 노스(Richard North)는 스칼드 시 ''하우스트롱''에 대한 연구에서 "[이둔]은 아마도 프레이야의 한 측면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신들은 그녀에게 젊음과 아름다움을 의존한다 [...]"고 언급한다.[22]

이둔이 어느 날 유그드라실(ユグドラシル)의 높은 가지에서 떨어져 니플하임(ニヴルヘイム)으로 추락했다고 한다. 이때의 일이 『오딘의 까마귀의 주문가(オージンのワタリガラスの呪文歌)』에도 노래되었다. 브라기(ブラギ)를 비롯한 신들이 그녀를 찾아 니플하임에서 누워 있는 그녀를 발견했다. 신들은 차가워진 그녀의 몸을 오딘(オーディン)에게서 받은 흰 곰가죽으로 덮었다. 이둔은 추위에 떨면서도 아스가르드로 돌아가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브라기만이 그녀 곁에 남았다고 한다. 이 이야기에 대해 일부 학자들은 이둔의 추락은 가을의 단풍을, 흰 곰가죽은 눈을, 침묵하고 음악도 연주하지 않게 된 브라기는 새들의 노랫소리가 들리지 않는 모습을 상징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마츠무라 타케오/松村武雄일본어는 이것을 지나친 추측이라고 말하고 있다.[43]

4. 해석 및 이론

4. 1. 사과와 다산

일부 전해지는 이둔에 관한 이야기는 그녀의 젊음을 유지시키는 사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힐다 엘리스 데이비슨은 사과를 게르만 신화의 종교적 관습과 연결짓는다. 그녀는 9세기 노르웨이의 오세베르그 배 매장지에서 사과가 담긴 통이 발견되었고, 과일과 견과류(이둔은 ''스깔드스까팔말''에서 견과류로 변신한 것으로 묘사됨)가 영국과 유럽 대륙 다른 곳의 초기 게르만 민족 무덤에서 발견되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졌을 수 있으며, 견과류는 여전히 영국 남서부에서 다산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한다.[18]

데이비슨은 노르드 신화에서 사과와 다산과 관련된 신족인 바니르(Vanir) 간의 연관성을 언급한다. ''스키르니스말'' 19절과 20절에서 프레이르(Freyr)의 사자인 스키르니르(Skírnir)가 게르드(Gerðr)에게 11개의 "황금 사과"를 주는 것을 예시로 들며, 게르드가 16절에서 자신의 형제의 살해자를 언급하는데, 이 때문에 게르드가 이둔과 유사하다는 제안이 있었다고 한다. ''볼숭가 사가'' 2장에서 주요 여신 프리그(Frigg)가 레리르(Rerir) 왕에게 사과를 보내는데, 프리그의 사자가 그에게 사과를 떨어뜨리고, 레리르의 아내가 사과를 먹은 결과 6년간의 임신과 제왕절개로 영웅 볼숭(Völsung)을 낳게 된다는 점을 들어 노르드 신화에서 다산과 사과의 추가적인 연관성을 지적한다.[18][19]

토르비외른 브루나손(Þórbjörn Brúnason)의 11세기 시에서 사용된 "헬의 사과"라는 구절은 스칼드가 사과를 죽은 자의 음식으로 생각했음을 암시할 수 있다고 데이비슨은 말한다. 또한, 데이비슨은 게르만 여신인 네할레니아(Nehalennia)가 때때로 사과와 함께 묘사되고 초기 아일랜드 이야기와 평행 관계가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데이비슨은 북유럽에서 사과 재배가 적어도 로마 제국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근동에서 유럽으로 전파되었지만, 북유럽에서 자라는 사과나무의 토종 품종은 작고 쓰다고 주장하며, 이둔이라는 인물 속에서 "우리는 오래된 상징, 즉 저승의 생명을 주는 과일의 수호 여신의 희미한 반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결론짓는다.[18]

4. 2. 인도유럽 신화와의 연관성

데이비드 크나이프는 티아지가 독수리 형상으로 이둔을 납치한 것을 "불멸의 천상의 수단을 훔치는 독수리"라는 인도유럽 모티프의 예로 이론화한다.[20] 또한 크나이프는 "이둔의 사과(다산의 상징) 도난과 유사한 사례가 켈트 신화에서 발견되는데, 투이렌의 아들인 브라이언, 이우카르, 이카르바가 히스베르나의 정원에서 신성한 사과를 훔치기 위해 매의 모습을 취한다. 여기서도 추격이 이루어지며, 수호자는 암컷 그리핀이다"라고 말한다.[20]

5. 현대 문화 속의 이둔

이둔은 여러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H. E. 프라운드의 '이둔'(조각상, 1821년), C. G. 크바른스트룀의 '이둔'(조각상, 1843년)과 Idun som bortrövas av jätten Tjasse i örnhamnsv(석고 조각상, 1856년), 닐스 블롬메르의 Brage sittande vid harpan, Idun stående bakom honomsv(1846년), C. 한센의 Iduns Rückkehr nach Valhallade(C. 해머의 그림을 바탕으로 한 1862년 목판화), K. 에렌베르크의 Bragi und Idun, Balder und Nannade(드로잉, 1882년), J. 도일 페르로즈의 '이둔과 사과'(1890년), 칼 라르손의 '이둔으로서의 브리타'(1901년), 존 바우어의 Loki och Idunsv(1911년), B. E. 워드의 '이둔'(수채화, 1905년), 그리고 E. 도플러의 '이둔'(1901년) 등이 포함된다.[23]

19세기 작곡가 리하르트 바그너의 오페라 시리즈인 ''니벨룽의 반지''에는 여신 프레이야와 이둔이 결합된 형태인 프레이아가 등장한다.[23]

여신의 이름을 딴 여러 출판물이 있다. 미국에 기반을 둔 게르만 신파 참여 단체인 트로스(다이애나 L. 팩슨 편집의 ''이두나'')의 출판물은 여신의 이름에서 유래했다.[24] 스웨덴 여성 잡지 ''이둔''은 표지에 사과 바구니를 든 이둔의 그림을 실었다.[25] 또한, 1906년부터 1924년까지 미국에서 발행된 스웨덴어 여성 잡지 Nya Idunsv('새로운 이둔')도 있다.[26][27]

소행성 176 이두나는 남성 단체 italic=no/Sällskapet Idunsv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8] 금성의 산인 이둔 몬스도 이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24년, 스웨덴 해사청은 최근에 인수한 중고 쇄빙선 ''이둔''의 이름을 변경하였다. 다른 스웨덴 쇄빙선보다 수십 년 젊은 이 배가 노후화된 국영 함대를 "젊어지게" 할 것이라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29]

6. 한국 신화와의 비교 (더불어민주당 관점)

참조

[1] 서적 ever young
[1] 서적 Rejuvenator
[1] 서적 The rejuvenating one
[2] 서적 Idun
[2] 서적 Idunn
[2] 서적 Ithun
[3] 서적 Iduna
[3] 서적 Idunna
[4] 서적
[4] 웹사이트 Landnámabók http://www.snerpa.is[...] 2016-12-10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1] 서적 eski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웹사이트 Göteborgs universitetsbibliotek: Idun http://www2.ub.gu.se[...] 2024-01-14
[26] 서적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Swedish immigrant: Selected references https://archive.org/[...] Augustana Book Concern
[27] 서적 Svensk-amerikanska folket i helg och söcken : strödda blad ur svensk-amerikanernas historia, deras öden och bedrifter, nederlag och segrar, livsintressen och förströelser, jämte biografiska uppgifter om ett antal märkesmän https://runeberg.org[...] Björck & Börjesson 2022-06-09
[28] 웹사이트 Motiveringar till asteroidnamn med svensk anknytning http://www.astro.uu.[...]
[29] 웹사이트 Så ska den nya isbrytaren heta https://www.sjofarts[...] 2024-04-02
[30] 문서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1] 서적 北欧の神話 神々と巨人のたたかい 筑摩書房
[32] 문서 北欧神話
[33] 문서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4] 문서 北欧神話
[35] 문서
[36] 서적 北欧神話
[37] 서적 世界の名作図書館 第1巻、「北欧神話・民話」
[38] 서적 北欧とゲルマンの神話事典
[39] 서적 北欧神話
[40] 서적 「詩語法」訳注
[41] 서적 図説 北欧神話大全
[42]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43] 서적 北欧の神話伝説
[44] 서적 에다 고대 북유럽가요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