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바르트알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바르트알프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존재로, '산문 에다'에서 주로 언급된다. 스바르트알파르(svartálfar)는 '이발디의 아들들'로 묘사되기도 하며, 이들은 종종 드워프로 해석된다. 스바르트알파헤임(검은 요정의 세계)은 '산문 에다'에 두 번 등장하며, 신들이 펜리르를 묶을 글레이프니르를 만들기 위해 드워프들을 찾는 곳, 또는 로키가 드워프 안드바리를 만나는 곳으로 묘사된다. 학자들은 스바르트알프와 스바르트알파헤임이 드워프와 그들의 거주지를 가리킨다는 점에서 스바르트알프가 드워프의 동의어일 수 있다고 본다. 한국에서는 드워프가 판타지 소설과 게임 등에서 자주 등장하며, J.R.R. 톨킨의 '반지의 제왕'의 영향으로 뛰어난 손재주와 강인함을 가진 종족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드 신화의 생물 - 트롤
    트롤은 노르드 신화에서 유래하여 악마, 귀신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 신화적 존재로, 요툰의 한 종류로 묘사되며 인간에게 적대적인 특징을 갖고, 스칸디나비아 민속에서는 햇빛에 닿으면 돌로 변하는 늙고 어리석은 존재로 나타나며, 대중문화에서는 괴물이나 인기 캐릭터, 온라인에서는 악성 댓글을 다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노르드 신화의 생물 - 요르문간드
    요르문간드는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로키와 앙그르보다의 자식인 거대한 뱀으로, 오딘에 의해 바다에 던져졌지만 미드가르드를 둘러쌀 정도로 자라 꼬리를 물고 있으며, 토르와의 낚시 조우 및 라그나로크 전투, 꼬리를 문 모습으로 세상의 순환을 상징하는 모티프로 전해진다.
스바르트알프
개요
유형엘프
거주지스바르트알프헤임
특징어두운 피부
뛰어난 기술
능력마법, 공예
관련 신화노르드 신화

2. 어원 및 명칭

'스바르트알파르'는 거의 '산문 에다'에서만 언급된다('에크토르 사가 오크 카파 한스'에 나타나지만, 아마도 '산문 에다'에서 차용되었을 것이다).[3] 'Skáldskaparmál' 35에 언급된 '스바르트알파르'는 로키가 장난으로 금빛 머리카락을 잘라버린 신 토르의 아내 시프를 위해 머리카락을 만들어주도록 고용한 이발디의 아들들이다.[4] 이발디는 종종 드워프로 해석된다.

'스바르트알파헤임르'("검은 요정의 세계")는 '산문 에다'에 두 번 나타나며,[5][6] 각 경우 특정 드워프가 살고 있는 곳으로 묘사된다.[7] '길피의 속임수' 33장에서 "검은 요정의 세계"는 신들이 늑대 펜리르를 묶을 족쇄 글레이프니르를 만들기 위해 드워프들을 찾는 곳이다.[8] 그리고 'Skáldskaparmál' 39장에서 "검은 요정의 세계"는 로키가 드워프 안드바리를 만나는 곳이다.[9]

3. 출전

"스바르트알프"라는 말은 《신 에다》에만 거의 유일하게 등장한다(《에크토르 사가》에도 언급되긴 하나, 《신 에다》의 표현을 빌린 것으로 생각된다).[11]시어법〉 제35장에서 로키토르의 아내 시프를 삭발시킨 뒤 그 보상으로 새 머리카락을 가져왔을 때 그 머리카락을 만들어준 이발디의 아들들이 스바르트알프이다.[12] 이발디는 드베르그라는 주석이 붙어있는 경우도 종종 있다.[13]

"스바르트알파헤임"은 《신 에다》에 두 번,[14][15] 각각의 경우 모두 특정한 드베르그들이 사는 곳으로서 언급된다.[16] 〈길피의 속임수〉 제33장에 보면 에시르가 펜리르를 포박하기 위해 글레이프니르를 만들었는데, 이를 위해 스바르트알파헤임의 드베르그에게 도움을 청했다고 한다.[17] 그리고 〈시어법〉 제39장에 보면 로키가 안드바리를 잡아 협박한 곳이 스바르트알파헤임이라고 한다.[18]

4. 신화 해석

학자들은 스바르트알프와 스바르트알파헤임이 모두 드베르그 및 그들이 사는 곳을 가리킨다는 점을 들어, "스바르트알프"가 단순히 "드베르그"의 동의어일 수 있다고 본다.[19] 존 린도우는 《신 에다》가 쓰여질 당시 도크알프와 스바르트알프가 같은 존재로 여겨졌는지 여부는 불확실하다고 언급했다.[20]

참조

[1] 서적 Biographie universelle, ancienne et moderne; ou, Histoire, par ordre alphabétique
[2] 서적 The Creed of Japhet W. Clowes and Sons, Limited
[3] 서적 Elves in Anglo-Saxon England: Matters of Belief, Health, Gender and Identity Boydell
[4] 논문
[5] 논문
[6] 간행물 Edda https://books.google[...]
[7] 서적 The Legend of Sigurd and Gudrun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문서 Elves in Anglo-Saxon England: Matters of Belief, Health, Gender and Identity http://www.libgen.ne[...] Boydell 2014-05-01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간행물 Edda http://books.google.[...]
[16] 서적 The Legend of Sigurd and Gudrun http://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