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체판 드르지슬라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체판 드르지슬라브는 969년 미하일로 크레시미르 2세의 뒤를 이어 크로아티아의 국왕이 되었다. 그는 비잔티움 제국과의 동맹을 통해 달마티아 지역을 회복하고, 크로아티아의 영향력을 확장했다. 그는 비잔틴 황제로부터 '달마티아와 크로아티아의 국왕' 칭호를 받았으며, 아들 스베토슬라브에게 크로아티아 공작 칭호를 부여하여 공동 통치를 하기도 했다. 996년 베네치아와의 갈등이 있었으며, 그의 사후 왕위는 스베토슬라브 수로냐가 계승했으나, 다른 형제들과의 왕위 분쟁이 발생했다. 전설에 따르면, 그는 체스 시합에서 승리하여 크로아티아 문장에 체스판 무늬를 통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세기 크로아티아 사람 - 트르피미르 2세
트르피미르 2세는 928년 크로아티아의 국왕이 되었으며, 불가리아 제1제국 멸망 후 비잔티움 제국과의 관계가 변화하고 아드리아해 무역 거점으로 여겨졌으며, 크레시미르 1세가 왕위를 승계받았다. - 997년 사망 - 북송 태종
북송 태종은 형인 송 태조 사후 황위에 올라 오대십국을 통일하고 문치주의를 펼쳤으나 요나라와의 전쟁 실패와 무리한 군사 원정으로 비판받은 북송의 제2대 황제이다. - 997년 사망 - 성종 (고려)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아 문물 제도를 정비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했으며, 요나라의 침입을 외교 담판으로 막아내고 강동 6주를 설치하여 영토를 확장했으나 왕실 권위가 실추되기도 했던 고려의 제6대 왕이다. - 트르피미로비치 왕조 - 크레시미르 1세
크레시미르 1세는 트르피미르 2세의 아들이자 935년경 크로아티아의 국왕으로, 콘스탄티누스 7세의 기록에 따르면 강력한 군사력을 유지했으며 사후 왕위 계승 분쟁이 일어났다. - 트르피미로비치 왕조 -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는 11세기 크로아티아 왕국의 국왕으로, 로마 가톨릭과의 관계 강화, 달마티아 연안 도시 편입, 도시 건설 등 영토 확장과 국가 발전에 기여했으나, 말년에 노르만족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포로로 잡혀 사망했다.
스체판 드르지슬라브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
직함 | 크로아티아 국왕 |
통치 | |
통치 기간 | 969년 – 997년경 |
계승 순서 | 크로아티아 국왕 |
이전 통치자 | 미하이로 크레시미르 2세 |
섭정 | 자다르의 옐레나 (969년–976년) |
다음 통치자 | 스베토슬라브 수로냐 |
가문 | |
왕가 | 트르피미로비치 왕조 |
왕가 유형 | 왕조 |
출생과 사망 | |
사망 시기 | 997년경 |
매장 장소 | 성 스테파노 교회, 솔린 |
가족 관계 | |
부친 | 미하이로 크레시미르 2세 |
모친 | 자다르의 옐레나 |
자녀 | 스베토슬라브 크레시미르 3세 고이스라브 |
종교 | |
종교 | 기독교 |
2. 생애
스체판 드르지슬라브는 미하일로 크레시미르 2세의 아들로, 969년에 크로아티아의 국왕으로 즉위했다.[3]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트르피미르 2세 시대에 비잔티움 제국에 빼앗겼던 달마티아 지역을 되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 과정에서 크르크섬, 라브섬, 자다르, 트로기르, 스플리트 등이 크로아티아에 다시 편입되었다.[3]
996년, 베네치아의 도제 피에트로 2세 오르세올로는 크로아티아 왕에게 안전 통행에 대한 세금 지불을 중단하면서 양국 간의 오랜 평화가 깨지고 다시 갈등이 시작되었다.[3] 스체판 드르지슬라브는 네레트비아인과 함께 베네치아 함대에 맞서 싸웠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3]
그의 사후, 크로아티아의 왕위는 스베토슬라브 수로냐에게 돌아갔지만, 크레시미르 3세, 고이슬라브 형제와의 왕위 계승 분쟁이 발생했다.
2. 1. 초기 생애와 섭정
미하일로 크레시미르 2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969년에 아버지의 뒤를 이어 크로아티아의 국왕으로 즉위했다.[3] 그의 아내인 자다르의 옐레나(Jelena)는 969년부터 976년 10월 8일 사망할 때까지 섭정 역할을 수행했다.[3][4]2. 2. 비잔티움 제국과의 동맹
스테판 드르지슬라브는 미카엘 크레시미르 2세 국왕과 자다르의 옐레나 여왕의 아들이었다.[3] 옐레나는 969년부터 976년 10월 8일 사망할 때까지 어린 국왕의 섭정 역할을 했다.비잔틴 제국 황제 바실 2세가 차르 사무일과 전쟁을 벌이는 동안, 사무일은 정복을 통해 크로아티아의 이웃이 되었고, 스테판 드르지슬라브는 적극적으로 비잔틴인과 동맹을 맺었다.[4][3] 바실 2세가 986년 사무일이 자다르를 향해 공격하는 동안 모든 아드리아 해안 도시를 방어한 후, 그 도시들은 크로아티아의 통제 하에 반환되었다. 드르지슬라브의 동맹에 대한 보상으로, 동로마 황제는 986년에서 990년 사이에 스테판 드르지슬라브를 ''총대주교이자 달마티아의 총독''으로 임명하여 달마티아 테마에 대한 공식적인 권한을 부여했다(그러나 일부 역사가들은 달마티아 도시 국가에 대한 권한은 아니라고 생각한다).[4][3] 토마스 아르디아코누스에 따르면, 스테판 드르지슬라브는 비잔틴 황제로부터 인정받는 행위로 왕의 징표와 칭호를 받았고,[3][5] ''달마티아와 크로아티아의 국왕(reges Dalmatie et Chroatie)''이 되었으며 그의 후손들도 같은 칭호를 받았다.[4]
2. 3. 달마티아 통치권 회복
스체판 드르지슬라브는 트르피미르 2세 시대에 비잔티움 제국에 빼앗긴 달마티아를 되찾기 위해 노력했다. 이 과정에서 크르크섬, 라브섬, 자다르, 트로기르, 스플리트 등이 크로아티아에 다시 포함되었다.[3]비잔티움 제국 황제 바실 2세가 차르 사무일과 전쟁을 하는 동안, 사무일은 정복을 통해 크로아티아와 이웃하게 되었고, 스체판 드르지슬라브는 비잔티움 제국과 동맹을 맺었다.[3][4] 바실 2세는 986년 사무일이 자다르를 공격할 때 모든 아드리아 해안 도시를 방어한 후, 그 도시들을 크로아티아의 통제 하에 돌려주었다. 동로마 황제는 드르지슬라브의 동맹에 대한 보상으로 986년에서 990년 사이에 스체판 드르지슬라브를 ''총대주교이자 달마티아의 총독''으로 임명하여 달마티아 테마에 대한 공식적인 권한을 부여했다 (일부 역사가들은 달마티아 도시 국가에 대한 권한은 아니라고 주장한다).[3][4] 토마스 아르디아코누스에 따르면, 스체판 드르지슬라브는 비잔티움 황제로부터 왕의 징표와 칭호를 받았고,[3][5] ''달마티아와 크로아티아의 국왕(reges Dalmatie et Chroatie)''이 되었으며 그의 후손들도 같은 칭호를 받았다.[4]
2. 4. 베네치아와의 갈등
996년, 베네치아의 도제 피에트로 2세 오르세올로는 한 세기 동안의 평화 이후 크로아티아 왕에게 안전 통행에 대한 세금 지불을 중단하여 오래된 적대 행위를 재개했다.[3] 스테판 드르지슬라브는 네레트비아인과 함께 바도라이 브라가딘이 이끄는 베네치아 함대와 비스에서 싸웠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3] 일부 역사가들은 베네치아인들이 그 해에 공격한 것은 드르지슬라브가 이미 사망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며, 그의 사망 시기를 997년이 아닌 996년으로 추정한다.[4]2. 5. 크로아티아 왕위 계승 분쟁
스베토슬라브 수로냐가 크로아티아의 왕위를 계승받았으나, 크레시미르 3세, 고이슬라브 형제와 함께 크로아티아의 왕위 계승을 둘러싼 분쟁을 겪게 된다.3. 유산
스체판 드르지슬라브는 크로아티아 역사에서 중요한 유산을 남겼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크로아티아 왕국은 번영을 누렸으며, 그의 업적은 여러 전설과 유물에 남아있다. 대표적으로 체스판 문장 전설과 크닌 비문이 있다.
3. 1. 체스판 문장 전설
전설과 민간 전통에 따르면, 그는 베네치아인에게 사로잡혀 피에트로 II 오르세올로 도제와 체스 시합을 벌였다고 한다. 그는 3번의 시합에서 모두 승리하여 자유를 얻었고, 이후 붉은 체스판 무늬를 크로아티아 문장에 통합시켰다.[7]3. 2. 크닌 비문
1892년, 루요 마룬은 크닌 근처의 카피툴에서 크로아티아 엮임 무늬와 함께 드르지슬라브의 비문이 새겨진 석판이 발견되었다고 기록했다.[8]참조
[1]
서적
Codex diplomaticus regni Croatiae, Dalmatiae et Slavoniae
https://books.google[...]
Društvo za jugoslavensku povjestnicu i starine
[2]
서적
Goldstein: Hrvatska povijest; Kolekcija knjiga POVIJEST Jutarnjeg lista, svezak 21
[3]
백과사전
Držislav, Stjepan
https://www.enciklop[...]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21
[4]
간행물
Držislav Stjepan I
https://hbl.lzmk.hr/[...]
Miroslav Krleža Lexicographical Institute
2023-10-12
[5]
문서
Historia Salonitana
[6]
서적
History of the Bishops of Salona and Split – Historia Salonitanorum atque Spalatinorum pontificum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Legende o hrvatskom grbu
https://povijest.hr/[...]
2020-05-10
[8]
논문
Kapitul – the History of Archaeological Excavations and Preliminary Results of Recent Revision Excavations in the Period from 2011 to 2017
https://hrcak.srce.h[...]
2024-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