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무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무일은 마케도니아 프릴레프 출신으로, 10세기 불가리아의 귀족이자 통치자였다. 그는 969년 키예프 대공국의 침공으로 불가리아가 위기에 처하자 반 비잔틴 항쟁을 이끌었고, 다비드, 모세, 아론과 함께 코미토풀리 형제를 이루어 불가리아의 실권을 장악했다. 980년 불가리아의 차르로 즉위하여 모에시아를 되찾고 세력을 확장했으며,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며 발칸 반도의 대부분을 지배했다. 그러나 1014년 벨라시차 전투에서 패배하고 눈이 뽑힌 포로들을 보고 충격으로 사망했다. 사무엘은 불가리아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그의 업적과 유산은 오늘날까지 불가리아와 북마케도니아에서 기념되고 있으며, 민족적 기원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흐리드 - 오흐리드호
    오흐리드호는 북마케도니아와 알바니아에 걸쳐 있는 발칸 반도에서 가장 깊고 오래된 호수 중 하나로, 독특한 고유종 생태계와 풍부한 생물 다양성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및 람사르 협약 습지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오흐리드 - 오흐리드 조약
    오흐리드 조약은 2001년 북마케도니아 정부와 알바니아계 주민 간 민족 갈등 해결을 위해 체결된 협정으로, 알바니아계의 권리 보장과 사회적 평등을 통해 북마케도니아를 시민 국가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 958년 출생 - 블라디미르 1세
    블라디미르 1세는 980년부터 1015년까지 키예프 루스를 통치하며 영토를 확장하고 동방 정교회를 국교로 받아들여 비잔틴 문화를 전파하여 동슬라브 민족에게 기독교 시대를 열었다.
  • 958년 출생 - 야로폴크 1세
    야로폴크 1세는 스뱌토슬라프 1세의 아들이자 키예프 공작으로서, 동생 올레크를 살해하고 키예프 루스를 통치했으나, 블라디미르 1세와의 갈등으로 살해당했으며, 외교 활동을 펼치고 라틴 의식에 따른 세례를 받았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사무일
기본 정보
그의 유골을 기반으로 한 얼굴 재구성
그의 유골을 기반으로 한 얼굴 재구성
칭호차르
통치 기간997년 – 1014년 10월 6일
이전 통치자로만
후임 통치자가브릴 라도미르
왕가코미토풀리 왕조
왕조 유형왕조
배우자아가타
자녀가브릴 라도미르
미로슬라바
아버지니콜라스
어머니립시미아
사망일1014년 10월 6일
사망 장소프레스파, 제1차 불가리아 제국
종교불가리아 정교회
이름
로마자 표기Samuil
생애
통치 시작997년
사망1014년 10월 6일
기타 정보
왕조코미토풀리 왕조
주요 업적서부 불가리아 제국 통치

2. 어린 시절과 가계

사무엘은 불가리아 귀족인 니콜라스 백작의 넷째 아들이었다.[17] 일부 자료에서는 그가 스레데츠 지방(오늘날의 소피아)의 백작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지만,[18] 다른 자료에서는 마케도니아 지방(마케도니아)의 프레파 지방의 지역 백작이었다고 주장한다.[19] 그의 어머니는 아르메니아 출신의 립시메였다.[20] 왕조의 실제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 "코메토풀리"는 비잔티움 역사가들이 사용한 별칭으로, "백작의 아들들"로 번역된다.

사무엘의 무덤이 발견된 프레스파 호의 아기오스 아킬리오스 성당 유적


프레스파 요새


사무엘의 아내 아가타는 디라키움(Dyrrhachium)의 거상 요한 크리셀리오스(John Chryselios)의 딸이었다. 사무엘과 아가타 사이에는 가브릴 라도미르와 미로슬라바를 포함해 여러 자녀가 있었다. 가브릴 라도미르는 헝가리의 일로나와 라리사의 이레네와 두 번 결혼했고, 미로슬라바는 비잔티움 귀족 아쇼트 타로니테스(Ashot Taronites)와 결혼했다.

불가리아 멸망 후, 사무엘의 후손들은 소아시아와 아르메니아에 정착하여 비잔티움 궁정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했다. 그의 손녀딸 중 한 명인 카타리나는 비잔티움의 황후가 되었다.

11세기 역사가 스테파노스 아소기크(Stepanos Asoghik)는 사무엘에게 형제가 한 명뿐이었다고 주장하며, 그들은 데르잔(Derjan) 지역 출신의 아르메니아인이었다고 한다. 아랍 역사가 안티오크의 야히야(Yahya of Antioch)는 사무엘과 아론의 가문을 구분하며, 모세와 아론은 코메토풀리 가문 출신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2. 1. 코미토풀리 형제

그는 마케도니아 프릴레프 출신으로, 그의 아버지 코미타 니콜라는 페타르 1세 때의 대귀족이었다. 969년 키예프 대공국의 스뱌토슬라프 1세 대공의 침략으로 불가리아가 위기에 처하자 소피아와 마케도니아를 중심으로 세력권을 형성했다.[22] 970년 니콜라 사후, 그의 네 아들인 다비드, 모세, 아론, 그리고 사무일(코미토풀리 형제)이 유력자가 되었다. 이때 스뱌토슬라프 1세가 비잔티움 제국에 패하여 러시아로 돌아가던 중 암살되고 보리스 2세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잡혀가자, 이들은 반(反) 비잔티움 항쟁을 일으켰고 황제 요한네스 1세와 싸워 승리하였다.[25]

973년, 코미토풀리 형제는 자신들의 땅을 보호받기 위해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오토 1세에게 쿠에들린부르크에 사절을 보냈다.[27] 형제들은 사두정치를 통해 함께 통치했다.[28] 각 형제들의 통치 지역은 다음과 같다.

이름통치 지역주요 역할
다비드프레스파, 카스토리아최남단 지역 통치, 테살로니키와 테살리아 주변 국경 지역 방어[28]
모세스트루미차에게 해 연안과 세레스 공격 거점[28]
아론스레데츠에디르네(아드리아노플)에서 베오그라드로 이어지는 주요 도로 방어, 트라키아 공격[28]
사무일비딘불가리아 북서부 통치, 옛 수도 프레스라프를 포함한 동쪽 지역 해방 조직[29]



976년에 이르러 다비드와 모세가 왈라키아인들과의 싸움에서 전사하고, 아론이 비잔틴과 내통한 사실이 밝혀져 사무일과 전투 끝에 아론의 아들 이반 블라디슬라프를 제외한 아론의 가족 전원이 살해당했다. 그리고 이어 보리스 2세가 살해됨으로써 사무일은 불가리아의 실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3. 불가리아의 통치자

973년 코메토풀리(티에트마르 메르제부르크는 그들을 단순히 "불가리아인"으로 묘사했다)[26]는 자신의 땅을 보호받기 위해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오토 1세에게 쿠에들린부르크에 사절을 보냈다.[27] 형제들은 사두정치를 통해 함께 통치했다.[28] 다비드는 최남단 지역을 통치하고 테살로니키테살리아 주변의 가장 위험한 국경 지역 중 한 곳의 방어를 이끌었다.[28] 그의 영지의 중심지는 프레스파와 카스토리아였다. 모세는 스트루미차에서 통치했는데,[28] 이곳은 에게 해 연안과 세레스를 공격하기 위한 전초기지였다. 아론은 스레데츠에서 통치했고,[28] 에디르네(아드리아노플)에서 베오그라드로 이어지는 주요 도로를 방어하고 트라키아를 공격해야 했다. 사무엘은 비딘의 강력한 요새에서 불가리아 북서부를 통치했다. 그는 또한 옛 수도 프레슬라프를 포함한 동쪽의 정복된 지역 해방을 조직해야 했다.[29] 일부 기록에 따르면 다비드는 불가리아 역사의 이 격변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한다.[30]

997년 스페르헤이오스 강 전투에서 패배한 이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포로로 잡혀있던 로마누스가 사망하면서 크룸 왕조의 통치가 끝나게 되었다.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으로 왕위가 오랫동안 공석으로 있는 것은 위험했기에, 사무엘은 사망한 황제와 가장 가까운 관계이며 로마누스의 오랜 군 사령관이었기에 새로운 불가리아 황제로 선출되었다.[86] 두클랴의 사제는 이 사건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그 무렵 불가리아인들 사이에서 사무엘이라는 자가 일어나 스스로 황제라고 선포하였다. 그는 비잔티움인들과 오랜 전쟁을 벌여 그들을 불가리아 전역에서 몰아냈고, 비잔티움인들은 감히 불가리아에 접근하지 못하게 되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새 황제를 인정하지 않았다. 비잔티움인들에게 보리스 2세의 퇴위는 불가리아의 공식적인 종말을 상징했고, 사무엘은 단순한 반란자로 여겨졌다. 대신 사무엘은 교황에게 인정을 구했는데, 이는 발칸반도에서 비잔티움의 입지를 약화시키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의 영향력을 약화시켜 로마 교황청과 불가리아 모두에게 이익이 될 것이었다. 사무엘은 아마도 교황 그레고리오 5세로부터 황제관을 받았을 것이다.[88]

998년, 사무엘은 두클랴와 요반 블라디미르 공과 비잔티움 제국 사이의 동맹을 막기 위해 대규모 원정을 시작했다. 불가리아 군대가 두클랴에 도착하자, 세르비아 공과 그의 백성은 산으로 후퇴했다. 사무엘은 군대 일부를 산기슭에 남겨두고 나머지 병사들을 이끌고 해안 요새 울치니를 포위했다. 유혈 사태를 막기 위해 그는 요반 블라디미르에게 항복을 요구했다. 공이 거부하자, 일부 세르비아 귀족들이 불가리아인들에게 협력을 제안했고, 더 이상의 저항이 무의미하다는 것이 분명해지자 세르비아인들은 항복했다. 요반 블라디미르는 프레스파에 있는 사무엘의 궁전으로 유배되었다.

미로슬라바와 아쇼트 타로니테스의 결혼식


불가리아 군대는 달마티아를 통과하여 코토르를 장악하고 두브로브니크로 진군했다. 두브로브니크를 함락시키지는 못했지만, 주변 마을들을 황폐화시켰다. 불가리아 군대는 반란을 일으킨 공작 크레시미르 3세와 고이스라브를 지원하기 위해 크로아티아를 공격하여 스플리트, 트로기르, 자다르까지 북서쪽으로 진격한 후 보스니아라슈카를 거쳐 북동쪽으로 진군하여 불가리아로 돌아왔다. 이 크로아티아-불가리아 전쟁을 통해 사무엘은 크로아티아에 괴뢰 군주들을 세울 수 있었다.

사무엘의 친척인 테오도라 코사라는 포로로 잡힌 요반 블라디미르와 사랑에 빠졌다. 두 사람은 사무엘의 승인을 얻은 후 결혼했고, 요반은 사무엘이 신뢰하는 그의 삼촌 드라고미르와 함께 불가리아 관리로서 자신의 땅으로 돌아왔다. 한편, 공주 미로슬라바는 테살로니키의 사망한 총독인 그레고리오스 타로니테스의 아들인 비잔티움 귀족 포로 아쇼트와 사랑에 빠져 결혼 허락을 받지 못하면 자살하겠다고 위협했다. 사무엘은 이를 허락하고 아쇼트를 디라키움의 총독으로 임명했다.[89]

3. 1. 비잔티움과의 전쟁

980년 불가리아의 차르로 정식 즉위한 사무일은 모에시아를 되찾고 알바니아테살리아까지 세력을 확장하였다. 992년 수도를 스코페에서 오흐리다로 옮기고 불가리아 총대주교구를 부활시켰다. 980년대에 바실리우스 2세 불가록토노스를 격파한 뒤 발칸반도에 남슬라브 통일 국가를 건설하겠다는 꿈을 가졌고, 세르비아를 멸망시키고 나렌타인들까지 굴복시켰다. 그러나 소아시아에서의 싸움을 끝낸 바실리우스 2세가 발칸에서 사무일과 싸움을 재개하면서 997년부터 지루하고 참혹한 싸움이 시작되었다.[192]

1014년 7월 29일 벨라시차 전투에서 사무일은 완패하였고, 겨우 오흐리다로 귀환하였으나 곧 바실리우스가 귀환시킨 포로들을 보고 경악하였다. 15,000명에 달하는 포로들을 100단위로 나누어 앞장 선 자만 눈 하나를 뽑고 나머지는 모두 눈을 뽑아서 보냈기 때문이다. 그 끔찍한 행렬을 보고 사무일은 결국 기절해서 죽었다.[193][194][195]

클리디온 전투. 동로마군이 승리(위), 사무일은 눈이 뽑힌 포로들의 귀환에 쓰러졌다(아래)


이후 아들 가브릴은 1015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하던 중 이반 블라디슬라프에게 암살당했고, 이반 블라디슬라프도 1018년 전사하면서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은 멸망하였다.

3. 2. 헝가리와의 관계

게자 사후, 가브릴 라도미르와 헝가리 통치자의 딸의 결혼으로 수립되었던 다뉴브 지역 두 강국 간의 우호 관계는 악화되었다. 불가리아는 게자의 아들 헝가리의 이슈트반 1세 대신 율라와 코파니를 지지했고, 이 갈등으로 가브릴 라도미르와 헝가리 공주의 결혼은 파탄났다. 헝가리인들은 헝가리 왕관 경쟁자들을 지원했던 아흐툼을 공격했고, 이슈트반 1세는 아흐툼의 오른팔 하나딘을 설득해 공격에 가담시켰다. 음모가 발각되자 하나딘은 헝가리군에 합류했다.[102] 비잔티움 군대도 아흐툼의 근거지 비딘을 포위했다. 아흐툼은 북쪽 전쟁에 몰두하다가 군대가 헝가리군에 패배하면서 전투 중 사망했다.[103] 이로 인해 다뉴브강 북서쪽 불가리아 영향력은 감소했다.

1003년, 비잔티움-불가리아 갈등에 헝가리가 개입하면서 갈등은 절정에 달했다. 9세기 초부터 불가리아 영토는 카르파티아 산맥 너머 티사강과 다뉴브강 중류까지 뻗어 있었다. 사무엘 치세 당시 이 지역 총독은 930년대 헝가리인에게 패배했던 글라드 공작의 손자 아흐툼이었다. 아흐툼은 강력한 군대로 제국 북서쪽 국경을 지켰고, 트란실바니아에 교회와 수도원을 건설하며 기독교를 전파했다.[100][101]

4. 황제 즉위와 최후

980년 불가리아의 차르로 정식 즉위한 사무일은 모에시아를 되찾고 알바니아테살리아까지 세력을 확장하였다. 992년 수도를 스코페에서 오흐리다로 옮기고 불가리아 총대주교구를 부활시켰다. 980년대에 바실리우스 2세 불가록토누스를 격파한 후 발칸반도에 남슬라브 통일 국가를 건설하겠다는 꿈을 가졌고, 세르비아를 멸망시키고 나렌타인들을 굴복시켰다. 그러나 트라키아와 크로아티아에 입성하기 전에 그 꿈은 좌절되었다.[86] 소아시아에서의 싸움을 끝낸 바실리우스 2세가 발칸에서 사무일과의 싸움을 재개하면서 997년부터 지루하고 참혹한 싸움이 시작되었다.

클레이디온 전투


마나세스 연대기의 미니어처, 사무엘 황제의 죽음


thumb

thumb

1014년, 사무일은 바실리오스 2세의 침략을 막기 위해 클리우치(Kleidion, "열쇠"라는 뜻) 마을 주변 협곡에 두꺼운 나무벽을 건설했다. 바실리오스 2세는 성벽 공격에 큰 피해를 입었지만, 플로브디브 총독 니케포로스 크시피아스(Nicephorus Xiphias)가 우회로를 발견하여 불가리아군을 격파하고 1만 4천 명의 병사들을 사로잡았다.[114][118][119][193] 바실리오스 2세는 포로 100명 중 한 명만 한쪽 눈을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눈을 멀게 한 뒤 고향으로 돌려보냈다.[120][121] 이 광경을 본 사무일은 충격으로 쓰러져 이틀 뒤인 1014년 10월 6일 사망했다.[114][195] 이러한 잔혹 행위로 바실리오스 2세는 "불가리아 살해자"라는 뜻의 "Βουλγαροκτόνος"(Bulgaroktonos)라는 별명을 얻었다.[122]

사무일 사후, 아들 가브릴 라도미르와 조카 이반 블라디슬라프가 저항했지만, 결국 1018년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은 멸망하였다.[123]

5. 유산과 평가

사무일은 980년 불가리아의 차르로 즉위하여 모에시아를 되찾고 알바니아테살리아까지 세력을 확장했다. 992년 수도를 스코페에서 오흐리다로 옮기고 불가리아 총대주교구를 부활시켰다. 980년대에 바실리우스 2세를 격파한 후 발칸반도에 남슬라브 통일 국가를 건설하려는 꿈을 가졌으나, 1014년 벨라시차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좌절되었다. 그는 15,000명에 달하는 포로들의 눈을 뽑아 돌려보낸 바실리우스 2세의 잔혹함에 충격을 받아 사망했다.[91]

새로운 밀레니엄의 시작과 함께 비잔티움-불가리아 전쟁의 흐름은 바뀌었다. 바실 2세는 불가리아보다 크고 강력한 군대를 모아 불가리아를 완전히 정복하기로 결심하고, 동부 전선의 전투 경험이 풍부한 군대를 발칸으로 이동시켰다.[92][93] 사무엘은 방어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94] 1001년, 비잔티움 군대는 프레스라프와 플리스카를 탈환하고 불가리아 북동부 지역을 다시 지배하게 되었다.[95] 이후 테살리아와 불가리아 제국의 최남단 지역을 공격하여 점령했다. 비잔티움은 베로이아, 콜리드론 요새를 점령했고, 세르비아의 총독 니쿨리차는 포로로 잡혔다가 탈출하여 사무엘에게 합류했으나 다시 체포되었다.[96][106][97][98] 바실 2세는 테살리아의 여러 도시를 재정복하고 불가리아 인구를 메스타와 마리차 강 사이의 볼레론 지역으로 이주시켰다. 에데사는 포위 공격 끝에 함락되었고, 주민들은 볼레론으로 이주되었다.[99]

사무엘의 아내는 아가타였으며, 디라키움(두러스)의 거상 요한 크리셀리오스(John Chryselios)의 딸이었다. 사무엘과 아가타 사이에는 가브릴 라도미르와 미로슬라바 등의 자녀가 있었다.[126] 불가리아 멸망 후 사무엘의 후손들은 소아시아와 아르메니아에 정착하여 비잔티움 궁정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했다. 그의 손녀딸 중 한 명은 비잔티움의 황후가 되었고, 다른 손주 페트르 2세 델리안은 1040~1041년 반란을 일으켜 불가리아 제국 재건을 시도했다.[126]

사무엘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다. 11세기 역사가 스테파노스 아소기크는 사무엘이 비잔티움 제국에 편입된 아르메니아 지역 출신이라고 주장했고, 니콜라스 아돈츠도 이를 뒷받침했다.[127][128] 반면 아랍 역사가 안티오크의 야히야는 사무엘의 아들이 아론의 아들에게 암살당했다고 주장하며, 사무엘의 종족과 아론의 종족을 구분했다.[130]

1965년 그리스 교수 니콜라오스 무츠포풀로스는 프레스파 호의 성 아킬리오스 교회에서 사무엘의 무덤을 발견했다. 사무엘은 이 성인의 유물을 위해 교회를 지었다고 한다.[131] 그의 유해는 테살로니키의 비잔틴 문화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가, 최근 합의에 따라 불가리아로 반환되어 벨리코 투르노보의 성 40인 순교자 교회에 안치될 예정이다.[133][134]

사무엘은 불가리아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통치자 중 한 명으로, 비잔티움 제국과의 군사적 투쟁은 불가리아 역사의 서사시적인 시대로 여겨진다. 불가리아와 북마케도니아에는 그를 기리는 많은 기념물과 기념비가 있으며, 여러 마을과 남극 대륙의 사무엘 포인트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36] 그는 디미타르 탈레프,[137] 안톤 돈체프 및 스테판 차네프 등 여러 작가의 소설과 이반 바조프,[139] 펜초 슬라베이코프,[140] 아타나스 달체프[141]의 시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5. 1. 역사 논쟁

스코페(Skopje)의 삼윌(Samuil) 기념비


삼윌(Samuel)의 제국은 오늘날 마케도니아 지역의 중심지인 오흐리드(Ohrid)시 서쪽과 남서쪽, 이전 문화 중심지였던 제1 불가리아 제국에 있었다.[163][162] 1913년, 5세기 동안 이어진 오스만 제국의 지배 이후 이 지역이 세르비아 왕국(후일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면서,[163][162] 그곳의 민족주의적 역사 서술에서 삼윌의 제국이 불가리아 제국과는 별개의 "세르비아" 또는 "마케도니아 슬라브" 국가였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42] 최근에는 마케도니아 공화국(현재 북마케도니아)에서도 같은 주장이 유지되고 있다.[170]

당시 세르비아는 사실상 존재하지 않았다. 세르비아는 약 930년 차슬라프(Časlav) 치하에서 독립을 얻었지만, 약 960년 비잔티움 제국, 그리고 나중에는 불가리아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43] 세르비아가 그 지역을 처음 차지한 것은 수세기 후인 1280년대였다. 삼윌 시대에 마케도니아는 지리적 용어로 오늘날의 트라키아 지역의 일부를 가리켰다.[144] 그 당시의 "마케도니아" 황제들은 "불가르 살해자"로 불린 바실 2세(Basil II)와 오늘날 유럽 터키 지역인 영토 출신의 마케도니아 왕조의 비잔티움 친척들이었다.[145] 마케도니아 지역의 대부분은 당시 쿠트미체비차(Kutmichevitsa)로 알려진 불가리아의 속주였다.[146] 이 지역은 1018년 비잔티움 제국에 편입되어 불가리아라는 새로운 속주가 되었다.[147]

현대 지역을 가리키는 "마케도니아"라는 이름 자체는 5세기 동안 이어진 오스만 제국의 지배 기간 동안 거의 사라진 후 19세기에야 부활했다.[148][149][150][151][152] 20세기 초 및 그 이후에도 명확한 민족 의식을 가진 마케도니아 슬라브인 대다수는 자신들이 불가리아인이라고 믿었다.[153][154][155][156][157][158] 발칸 전쟁(1912-1913)과 제1차 세계 대전(1914-1918) 이후 이 지역은 주로 그리스와 세르비아(후일 유고슬라비아) 사이에 분할되었고, 이는 이 지역의 민족 구성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전에 주도적인 지위에 있던 불가리아 공동체는 인구 교류 또는 공동체의 민족 정체성 변화로 인해 감소했다.[159] 마케도니아 슬라브인들은 강제 세르비아화 정책에 직면했다.[160]

20세기 세르비아 및 유고슬라비아의 역사학에서는 사무엘 왕국의 위치를 당시 유고슬라비아 영토에 주로 두고, 불가리아의 이 지역에 대한 주장을 반박하는 데 사용했다.[161] 러시아 출신 유고슬라비아 역사가 조르제 오스트로고르스키(George Ostrogorsky)는 사무엘 제국을 불가리아 제국과 구분하여 "마케도니아 제국"이라고 명명했지만, 사무엘 왕국의 정치적, 교회적으로 불가리아의 시메온 1세(Simeon I of Bulgaria)와 페터 1세(Peter I of Bulgaria)의 제국의 직계 후손임을 인정했으며, 사무엘과 비잔티움 제국 모두 그것을 불가리아 제국 자체로 간주했다는 점을 인정했다.[162]

일부 역사가들, 예를 들어 세르비아 학자 드라구틴 아나스타시예비치(Dragutin Anastasijević)는 사무엘이 반불가리아 반란의 결과로 세워진 마케도니아에 별개의 남슬라브, 즉 세르비아 제국을 통치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163] 세르비아인들은 그 '독립적인 국가'의 '세르비아식 과거'와 '세르비아 통치자'를 대중화하려고 노력했다.[164] 이러한 이야기는 공산주의 유고슬라비아 시대에도 계속되어, 별개의 마케도니아 정체성이 형성되었고 사무엘은 '마케도니아 차르'로 묘사되었다.[165]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세르비아 학술원(SANU)의 세르비아 역사가들인 스르잔 피리바트리치(Srđan Pirivatrić)와 티보르 지브코비치(Tibor Živković)는 이러한 구시대적인 이론들을 거부했다.[169] 피리바트리치는 사무엘 왕국에 초기 불가리아 정체성이 존재했고, 그것은 다음 세기에도 그 지역에 남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169]

이러한 변방 이론들은 주로 북마케도니아에서 지지되고 있으며, 여기서 공식 국가 이념은 사무엘을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의 첫 번째 차르로 언급하는 "마케도니아 민족" 제국을 가리킨다.[170] 그러나 이러한 논쟁은 역사적이지 않은데, 현대의 민족적 구분을 과거에 투영하기 때문이다.[171]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역사적 근거는 없다.[172] 사무엘과 그의 후계자들은 당시 사람들에 의해 "마케도니아인"이라고 불린 적이 없었고,[173] 단순히 ''불가리아인'' 그리고 드물게 ''모이시아인''이라고 불렸다. 마지막 명칭은 당시 불가리아가 로마의 옛 모에시아 주의 영토를 점령했기 때문에 생겨났다.[174]

마케도니아 역사가들은 또한 바실 2세 황제가 그의 묘비명에서 사무엘 제국의 적들을 "스키타이인"으로 지칭했고, "불가리아"라는 명칭은 ''이데올로기적 선전''에 사용되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새롭게 도입된 행정 용어였으며, 황제는 이를 통해 옛 불가리아 제국과 옛 사무엘 국가의 새로 획득한 영토를 이데올로기적으로 규정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불가리아인"이라는 용어는 사무엘 국가 자체에 대한 투영된 이름이 되었다.[175] 그러나 "스키타이인"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불가리아인"을 가리켰고,[176][177] 게다가 사무엘과 그의 후계자들은 자신의 국가를 불가리아로 여겼다.[178][179]

2017년 6월 소피아에서 열린 회담에서 보이코 보리소프 총리와 조란 자에프 총리는 사무엘 차르 기념비에 함께 꽃을 바치며, 두 국가가 우호 관계 협정에 서명함으로써 미해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낙관적인 전망을 표명했다.[180] 불가리아와 북마케도니아 정부는 같은 해에 우호 조약에 서명했으며, 이 조약은 2018년 두 의회에서 비준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역사 문제에 대한 양국 전문가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2019년 2월, 불가리아와 마케도니아 과학자들이 참여한 위원회 회의에서 양측은 사무엘 차르를 공동으로 기념하는 것을 정부에 제안하기로 합의했다. 마케도니아 측은 또한 그가 불가리아 차르였다는 점을 인정했다.[181][182][183][184] 그러나 2020년 12월 북마케도니아 측은 공동 위원회에서 이 결정을 철회했다.[185] 북마케도니아 측의 견해에 따르면, 사무엘 차르는 북마케도니아 교과서에서는 한 가지 방식으로, 공동 기념 행사에서는 다른 방식으로 묘사되어야 한다.[186]

2022년 8월, 북마케도니아 외무부는 두 국가 간에 운영되는 공동 역사 위원회의 공식 권고안을 발표했다. 여기서 소피아와 스코페 정부는 사무엘을 공동으로 기념하는 것을 제안받았는데, 위원회에 따르면 사무엘은 대규모 중세 국가의 통치자였으며, 현대 역사 학계의 대다수는 이 국가를 오늘날 북마케도니아의 영토를 중심으로 한 불가리아 제국 자체로 간주한다.[187] 이러한 방식으로 위원회의 마케도니아 구성원들은 사무엘의 국가를 불가리아로 확인할 뿐만 아니라 중세 시대 불가리아 민족의 존재도 인정했다.[188]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사무엘의 민족적 귀속 문제를 둘러싼 분쟁으로 인해 불가리아와 북마케도니아 간의 적대감이 여러 차례 나타났으며, 이 문제는 여전히 매우 민감한 문제이다.[189][190]

5. 2. 현대의 기념

변방 이론들은 주로 북마케도니아에서 지지받고 있으며, 공식 국가 이념은 사무엘을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의 첫 번째 차르로 언급하는 "마케도니아 민족" 제국을 가리킨다.[170]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역사적이지 않은데, 현대의 민족적 구분을 과거에 투영하기 때문이다.[171]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역사적 근거는 없다.[172] 사무엘과 그의 후계자들은 당시 사람들에게 "마케도니아인"이라고 불린 적이 없었고,[173] 단순히 ''불가리아인'' 그리고 드물게 ''모이시아인''이라고 불렸다.[174]

2017년 6월 소피아에서 열린 회담에서 보이코 보리소프 총리와 조란 자에프 총리는 사무엘 차르 기념비에 함께 꽃을 바치며, 두 국가가 우호 관계 협정에 서명함으로써 미해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낙관적인 전망을 표명했다.[180] 불가리아와 북마케도니아 정부는 같은 해에 우호 조약을 서명했으며, 이 조약은 2018년 두 의회에서 비준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역사 문제에 대한 양국 전문가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2019년 2월, 불가리아와 마케도니아 과학자들이 참여한 위원회 회의에서 양측은 사무엘 차르를 공동으로 기념하는 것을 정부에 제안하기로 합의했다. 마케도니아 측은 또한 그가 불가리아 차르였다는 점을 인정했다.[181][182][183][184] 그러나 2020년 12월 북마케도니아 측은 공동 위원회에서 이 결정을 철회했다.[185]

2022년 8월, 북마케도니아 외무부는 두 국가 간에 운영되는 공동 역사 위원회의 공식 권고안을 발표했다. 여기서 소피아와 스코페 정부는 사무엘을 공동으로 기념하는 것을 제안받았는데, 위원회에 따르면 사무엘은 대규모 중세 국가의 통치자였으며, 현대 역사 학계의 대다수는 이 국가를 오늘날 북마케도니아의 영토를 중심으로 한 불가리아 제국 자체로 간주한다.[187] 이러한 방식으로 위원회의 마케도니아 구성원들은 사무엘의 국가를 불가리아로 확인할 뿐만 아니라 중세 시대 불가리아 민족의 존재도 인정했다.[188]

참조

[1] 서적 Southea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500–12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문서 Spelled thus in Fine, ''The Early Medieval Balkans''; also Ostrogorsky, Treadgold, ''[[#References|opp. cit.]]'',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In French, compare [[Nicholas Adontz|Adontz, Nicholas]]. "Samuel l'Armenien, Roi des Bulgares", in ''Études Arméno-Byzantines''. Lisbonne: Livraria Bertrand, 1965, pp. 347–407.
[3] 서적 Македонска енциклопедија, том II Македонска академија на науките и уметностите
[4] 간행물 Крунисувањето на Самуил за цар и митот за царот евнух
[5] 서적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Streams of Gold, Rivers of Blood: The Rise and Fall of Byzantium, 955 A.D. to the First Crusade Oxford University Press
[7] 문서 One theory is that from 972/976 to 997 Samuel co-ruled with [[Roman I of Bulgaria]], who was the official tsar until 997, when he died in Byzantine captivity. Roman is mentioned as tsar in several historical sources; for example the ''Annals'' by Yahya of [[Antioch]] call Roman "Tsar" and Samuel "Roman's loyal military chief". However, other historians dispute this theory, as Roman was castrated and so technically could not have claimed the crown. There was also a governor of Skopje called Roman who surrendered the city to the Byzantines in 1004, receiving the title of patrician from [[Basil II]] and becoming a Byzantine ''[[strategos]]'' in Abydus ([[John Skylitzes|Skylitzes]]-Cedr. II, 455, 13), but this could be a mere coincidence of names.
[8] 웹사이트 Samuil of Bulgaria https://web.archive.[...] 2008-05-23
[9] 웹사이트 Britannica Online – Samuel of Bulgaria http://www.britannic[...] 2008-05-23
[10] 서적 Making of Orthodox Byzantium
[11] 서적 The legend of Basil the Bulgar-slayer
[12] 서적 The life of St Nikon Brookline
[13] 서적 L'épopée byzantine á la fin de dixiéme siécle, 1. Jean Tzimisés; les jeunes années de Basile II, le tueur de Bulgares (969–989) Paris
[14] 웹사이트 About Ohrid http://wwfow.chrysos[...] 2008-05-23
[15]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Wildside Press LLC
[16] 서적 A short history of Yugoslavia from early times to 1966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7]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18] 서적 Die Zusätze in der Handschrift des Johannes Scylitzes. Codex Vindobonensis hist. graec. LXXIV. München
[19] 서적 Southeastern Europe in the early Middle Ages
[20] 간행물 Samuel l'Armenien, roi des Bulgares
[21] 문서 According to Zlatarski (''History of the Bulgarian state'', I, 2, [http://www.promacedonia.org/vz1b/vz1b_5_3.html pp. 544, 562.]) the sons of Peter I were sent in the Byzantine capital in 963 as one of the term to resettle the peace treaty of 927. According to other historians such as Andreev (''Who is who in Medieval Bulgaria'', p. 41.) the heirs to the Bulgarian throne became hostages per a Bulgarian-Byzantine agreement against the Kievan Rus' in 968.
[22] 문서 Skylitzes records: He [Peter] himself died shortly afterwards, whereupon the sons were sent to Bulgaria to secure the ancestral throne and to restrain the 'children of the counts' from further t. David, Moses, Aaron and Samuel, children of one of the powerful counts in Bulgaria, were contemplating an uprising and were unsettling the Bulgars'
[23] 간행물 For the origins of Emperor Samuel (Za proizhoda na tsar Samuil, За произхода на цар Самуил)
[24] 문서 "They (the [[Cometopuli]]) make their first appearance under the government of Kekaumenos, the strategos of Larissa ... (980–983)": Adontz. "Samuel l'Armenien", 358.
[25] 서적 Historia
[26] 서적 Bulgarians by Birth: The Comitopuls, Emperor Samuel and their Successors According to Historical Sources and the Historiographic Tradition Brill
[27] 서적 12. The decline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12. Zalezat na Parvoto Balgarsko Tsarstvo, 12. Залезът на Първото българско царство)
[28] 서적
[29] 간행물 Rebellion of Peter and Boyan in 976 and struggle of the Cometopuli with Byzantium (Vosstanie Petra i Boyana v 976 i borba Komitopulov s Vizantiei, Восстание Петра и Бояна в 976 г. и борьба Комитопулов с Византией)
[30] 서적
[31] 서적
[32] 간행물 Восстание Петра и Бояна в 976 г. и борьба комитопулов с Византией Sofia
[33] 서적 Български старини из Македония София
[34] 서적 Precious sources on the Russo-Byzantine relations in the 9th century (Tsenniy istochnih po vaprosu pussko-vizantiyskih otnosheniy v X veke, Ценный источних по вопросу русско-византийских отношений в X веке)
[35] 서적 Centralism and regionalism in Bulgaria during the early Middle ages (end of the 7th{{mdash}} beginning of the 11th century) (Tsentralizam i regionalizam v rannosrednovekovna Balgariya (kraya na VII{{mdash}} nachaloto na XI v.), Централизъм и регионализъм в ранносредновековна България (края на VII{{mdash}} началото на ХІ в.)) София
[36] 서적 Die Fragmente des Toparcha Goticus (Anonymus Tauricus aus dem 10. Jahrhundert) Zentralantiquariat der Dt. Demokrat. Republik
[37] 문서 Petrov
[38] 문서 Petrov
[39] 서적 General history of Stephan from Taron (Vseobshaya istoriya Stepanosa Taronskogo, Всеобщая история Степаноса Таронского)
[40] 문서 Skylitzes
[41] 학술지 Formation and consolidation of the Western Bulgarian state (Obrazuvane i ukrepvane na Zapadnata Balgarska darzhava, Образуване и укрепване на Западната Българска държава)
[42] 문서 Seibt, Untersuchungen
[43] 서적 Emperor Basil the Bulgar-slayer: extractions from Yuhia of Antioch's chronicles (Imperator Vasiliy Bolgaroboytsa: izvecheniya iz letopisi Yahi Antiohijskago, Император Василий Болгаробойца: извлечения из летописи Яхи Антиохийскаго) Variorum Reprints
[44] 문서 Boris II and Roman were sons of Peter I whose dynasty had ruled Bulgaria since the reign of Khan Krum (803–814)
[45] 문서 Petrov
[46] 문서 Adontz. "Samuel l'Armenien"
[47] 문서 Skylitzes
[48] 문서 Prokić
[49] 서적 Emperor Basil the Bulgar-slayer: extractions from Yuhia of Antioch's chronicles (Imperator Vasiliy Bolgaroboytsa: izvecheniya iz letopisi Yahi Antiohijskago, Император Василий Болгаробойца: извлечения из летописи Яхи Антиохийскаго) Variorum Reprints
[50] 학술지 On the question concerning the authenticity of the Virgin charter and the data it contains (Po vaprosa za awtentichnostta na Virginskata gramota i sadarzhastite se v neya danni, По въпроса за автентичността на Виргинската грамота и съдържащите се в нея данни)
[51] 문서 Skylitzes
[52] 웹사이트 Th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2001. First Bulgarian Empire – Samuil https://web.archive.[...] 2008-05-23
[53] 문서 Kekaumenos, Strategikon
[54] 문서 Skylitzes
[55] 문서 Kekaumenos, Strategikon
[56] 문서 Litavrin, G. Soveti i rasskazy Kekavmena. Sochinenie vizantiiskogo polkovodtsa XI veka
[57] 문서 Ostrogorsky, G.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Istorija Vizantije, Исторijа Византиje)
[58] 문서 Leo Diaconus, Historia
[59] 문서 W. Seibt, Untersuchungen zur Vor- und Frühgeschichte der bulgarischen Kometopulen, Handes Amsorya
[60] 문서 Rozen
[61] 문서 Stephen of Taron
[62] 문서 Dennis, Three Treatises
[63] 문서 Skylitzes
[64] 서적 Letters from the history of Serbians and Bulgarians (Pisma ob istorii serbov i bolgar, Письма об истории сербов и болгар)
[65] 문서 Ioannis Geometrae Carmina varia
[66] 웹사이트 Roman Emperors – Basil II https://web.archive.[...] 2008-03-23
[67] 문서 Al-Rudrawari
[68] 문서 Ostrogorsky, G.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Istorija Vizantije, Исторijа Византиje)
[69] 문서 E Codd. Manuscriptis Bibliothecae Regiae Parisiensis
[70] 문서 Rozen
[71] 서적 Skylitzes
[72] 서적 Anecdota Graeca, E Codd. Manuscriptis Bibliothecae Regiae Parisiensis Oxford
[73] 서적 Zlatarski
[74] 서적 History of the years 976–986 (K istorii 976–986 godov, К истории 976–986 годов)
[75] 서적 Carmina
[76] 서적 Byzantine State
[77] 서적 Zlatarski
[78] 간행물 Yahya
[79] 서적 Stephen of Taron
[80] 서적 Rozen
[81] 서적 Skylitzes
[82] 서적 Skylitzes
[83] 서적 Skylitzes
[84] 서적 The legend of Basil the Bulgar-slayer
[85] 서적 Andreev
[86] 서적 Rozen
[87] 서적 John Kyriotes Geometres, a tenth century Byzantine writer Madison
[88] 학술지 Correspondence of Pope Innocent III with the Bulgarians (Prepiska na papa Inokentii III s balgarite, Преписка на папа Инокентий III с българите.)
[89] 서적 Skylitzes
[90] 서적 Collection in memory of Аl. Burmov
[91] 서적 Basil II and the government of the empire
[92] 서적 Samuel and his estate
[93] 서적 Emperor Basil the Bulgar-slayer (Imperator Vasiliy Bolgaroboytsa, Император Василий Болгаробойца)
[94] 서적 The Bulgarian Khans and Tsars (Balgarskite hanove i tsare, Българските ханове и царе) Veliko Tarnovo
[95] 서적 Skylitzes
[96] 서적 Ibidem
[97] 서적 Zonaras
[98] 서적 Skyl. – Cedr.
[99] 서적 Skylitzes
[100] 서적 Legenda Saneti Gerhardi episcopi
[101] 서적 Venedikov
[102] 서적 Legenda Saneti Gerhardi episcopi
[103] 서적 Venedikov
[104] 서적 Skylitzes
[105] 서적 Bulgarian historical monuments in Macedonia (Balgarski starini iz Makedoniya, Български старини из Македония) Nauka i izkustvo
[106] 서적 Prokić
[107] 서적 Skylitzes
[108] 서적 Skylitzes
[109] 서적 Zlatarski
[110] 간행물 Actes d'Iviron I. Des origines au milieu du XIe siècle, Archives de l'Athos XIV Paris
[111] 서적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Istorija Vizantije, Исторijа Византиje)
[112] 서적 Gilferding
[113] 서적 Златарски
[114] 서적 Skylitzes
[115] 서적 Daulaurier
[116] 간행물 Selected sources for the Bulgarian history, Volume II: The Bulgarian states and the Bulgarians in the Middle Ages (Podbrani izvori za balgarskata istoriya, Tom II: Balgarskite darzhavi i balgarite prez srednovekovieto, Подбрани извори за българската история, Том II: Българските държави и българите през средновековието)
[117] 서적 Пириватрич, Самуиловата държава
[118] 서적 Short history of Bulgaria (Kratka istoriya na Balgariya, Кратка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я) Nauka i izkustvo
[119] 논문 Conquest of Bulgaria by Byzantium (end of the 10th-beginning of the 11th century) in the Russian chronography, HV-XVI c. (Zavoevenie Bolgarii Vizantiei (konets X-nachalo XI v.) v russkom hronografe, HV-XVI vv; ЗАВОЕВАНИЕ БОЛГАРИИ ВИЗАНТИЕЙ (КОНЕЦ Х-НАЧАЛО XI в.) В РУССКОМ ХРОНОГРАФЕ, XV-XVI вв.) http://www.promacedo[...]
[120] 서적 In the old Bulgaria literature (Iz starata balgarska knijnina, Из старата българска книжнина) Hemus
[121] 서적 Cecaumenes. Strategion
[122] 서적 Zlatarski
[123] 서적 Emperor Samuil and the "Bulgarian epopee" https://web.archive.[...] VMRO Rusa
[124] 웹사이트 Themes in the Byzantine Empire under Basil II http://img53.exs.cx/[...]
[125] 서적 Zlatarski
[126] 웹사이트 V. Zlatarski – Istorija 1 B – Priturka 15 http://www.promacedo[...] 2008-09-10
[127] 서적 L'histoire universelle Paris
[128] 서적 Samuel l'Armenien
[129] 논문 Произход на цар Самуиловия род (The origin of the family of the king Samuel) Сборник в чест на В. Н. Златарски
[130] 서적 Samuel l'Armenien
[131] 뉴스 Prof. Kazimir Popkonstantinov: The offer for exchange of Samuel's remains is a provocation from Greece https://web.archive.[...] "Focus" Agency 2007-02-15
[132] 웹사이트 The Coat of Arms of Emperor Samuel https://archive.toda[...] American Chronicle 2009-03-21
[133] 웹사이트 Τα οστά του Σαμουήλ, η ανταλλαγή και το παρασκήνιο http://www.kathimeri[...] Καθημερινή 2014-10-07
[134] 웹사이트 The remains of Tsar Samuel will after all go to Tarnovo – to the grave of Kaloyan http://e-vestnik.bg/[...] e-vestnik.bg 2007-04-18
[135] 뉴스 The appearance of Tsar Samuel is resurrected in Moscow https://web.archive.[...] Radio Bulgaria 2007-03-05
[136] 웹사이트 Republic of Bulgari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tarctic Place-names Commission, Bulgarian Antarctic Gazetteer Samuel Point http://www.geocities[...]
[137] 서적 Samuil – Bulgarian Tsar (Samuil – tsar balgarski, Самуил – цар български) Аbagar
[138] 웹사이트 S. Runciman -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 Preface http://www.promacedo[...]
[139] 웹사이트 The Volunteers at Shipka (in Bulgarian) http://liternet.bg/p[...]
[140] 웹사이트 Tsar Samuil (in Bulgarian) http://slovo.bg/old/[...]
[141] 웹사이트 Towards the Motherland (in Bulgarian) http://www.litclub.c[...] 2008-09-10
[142] 서적 Dialogos: Hellenic Studies Review Routledge 2014
[143]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Medieval Warfare Routledge 2004
[14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Scarecrow Press 2009
[145] 서적 Brill's Companion to Ancient Macedon: Studies in the Archaeology and History of Macedon, 650 BC – 300 AD Brill 2011
[146] 서적 The entry of the Slavs into Christendom: an introduction to the medieval history of the Slavs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70
[147] 서적 Contested Ethnic Identity: The Case of Macedonian Immigrants in Toronto, 1900–1996 Peter Lang 2010
[14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49] 서적 Collective Memory, National Identity, and Ethnic Conflict: Greece, Bulgaria, and the Macedonian Questio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150] 서적 Modern Greece: A History since 1821. A New History of Modern Europe John Wiley & Sons 2009
[151] 서적 History of the Balkans, Vol. 2: Twentieth Centu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152] 서적 Plundered Loyalties: World War II and Civil War in Greek West Macedonia NYU Press 1999
[153]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Sixth to the Late Twelfth Centur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1
[154] 서적 The Macedonian conflict: ethnic nationalism in a transnational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155] 서적 The struggle for Greece, 1941–1949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2002
[156] 서적 Yugoslav communism and the Macedonian question Archon Books 1971
[157] 서적 The Macedonian Question: Britain and the Southern Balkans 1939–1949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58] 서적 Essence of Political Manipulation: Emotion, Institutions, & Greek Foreign Policy Peter Lang 2005
[159]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Cornell University Press 1988
[160] 서적 Yugoslavism: histories of a failed idea, 1918–1992 https://books.google[...]
[161] 서적 Nationalism and Yugoslavia: Education, Yugoslavism and the Balkans before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5
[162] 서적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Rutgers 1969
[163] 간행물 Hypothesis on Western Bulgaria (Hipoteza o Zapadnoj Bugarskoj, Хипотеза о Западноj Бугарскоj) 1928
[164] 서적 Yugoslavia and Macedonia Before Tito: Between Repression and Integration Bloomsbury Publishing 2017
[165] 서적 The Balkans in the Cold War. Security, Conflict and Cooperation in the Contemporary World Springer 2017
[166] 간행물 Pohod bugarskog cara Samuila na Dalmaciju 2002
[167] 간행물 Samuilova država: obim i karakter
[168] 간행물 Vizantološki institut (Srpska akademija nauka i umetnosti) 1997
[169] 서적 Macedonia: A Voyage through History (Vol. 1, From Ancient Times to the Ottoman Invasions)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6
[170] 웹사이트 An outline of Macedonian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1991 2007-04-28
[171] 백과사전 Samuel of Bulgaria
[172] 서적 The Balkans: From Constantinople to Communism Springer 2002
[173] 서적 Byzantine Macedonia: Identity, Image and History: Papers from the Melbourne Conference July 1995 BRILL 2000
[174] 서적 Byzantium's Balkan Frontier: A Political Study of the Northern Balkans, 900–1204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75] 학술지 Ideology behind the Naming: On the Origin of Basil II's Appellation 'Scythicus' https://czasopisma.u[...] 2022
[176] 서적 Byzantine Culture in Translation Brill
[177] 서적 Adam of Bremen’s Gesta Hammaburgensis Ecclesiae Pontificum. Origins, Reception and Significance Taylor & Francis
[178] 서적 The Bulgarian-Byzantine Wars for Early Medieval Balkan Hegemony: Silver-Lined Skulls and Blinded Armies Springer
[179] 서적 A Concise History of Bulgaria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0] 웹사이트 Council of Ministers of the Republic of Bulgaria, Government Information Service http://www.governmen[...] 2017-10-19
[181] 뉴스 България и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ия да честват заедно цар Самуил, предложи съвместната комисия https://www.dnevnik.[...] в-к Дневник 2019-02-23
[182] 뉴스 Проф. Иван Илчев: Македонците в двустранната комисия признаха, че цар Самуил е български владетел. https://trud.bg/%D0%[...] Труд онлайн 2018-12-10
[183] 뉴스 Драги Георгиев: Цар Самуил својот легитимитет го црпи од Бугарската царска круна. https://www.kanal5.c[...] Канал 5 ТВ 2019-01-05
[184] 웹사이트 Цар Самуил легитимен претставник на Бугарското царство https://faktor.mk/ca[...] 2020-09-23
[185] 뉴스 Вместо напредък Скопие се върна при цар Самуил (Oбзор, видео) https://www.24chasa.[...] 24chasa.bg 2020-12-04
[186] 웹사이트 On Unifying Around Our Common History - Tsar Samuil Erga Omnes https://respublica.e[...] 2021-04-07
[187] 뉴스 Пробив в историческата комисия: Цар Самуил е владетел на българско царство https://dnes.dir.bg/[...] Dir.bg 2022-08-15
[188] 서적 Macedonian Nation Between Self-Identity and Euro-Atlantic Integration: Implications of the Agreements with Bulgaria and Greece Springer
[189] 뉴스 Macedonian Medieval Epic Annoys Bulgaria https://balkaninsigh[...] Balkan Insight (BIRN) 2014-02-17
[190] 뉴스 Катерина Блажевска, Бугарски историчари ликуваат: Ова е прва победа! https://www.dw.com/m[...] Deutsche Welle 2022-08-16
[191] 웹사이트 Samuel tsar of western Bulgaria https://www.britanni[...]
[192] 문서 동로마에 의한 정복 이전에 불가리아는 동서로 분열되어 있었고, 정복된 것은 동쪽뿐이며, 사무일들은 남은 서쪽의 군주라는 설도 있다. 2016-10
[193] 문서 현재 불가리아 클류치(현재 블라 고에브그라트 주 페트리치의 일부) 근교의 벨라시차 산맥에 있는 클류치 고개에서 행해졌다. 클레이디온(Kleidion)은 중세 그리스어 명칭이다. 클리디움(Clidium)은 라틴어 명칭이다. 클류치는 불가리아어 명칭이다. 벨라시차 전투(Battle of Belasitsa)라고도 한다.
[194] 문서 맹인 포로들의 안내역으로 하기 위해 100명당 1명은 한쪽 눈을 남겨두었다. 2016-10
[195] 문서 이로 인해 바실레이오스 2세는 "불가리아인 살해자(불가리아인 살해자)"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