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라야라도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타라야라도가는 753년에 건설되어 950년까지 동유럽의 주요 무역 항구 중 하나였던 도시이다. 발트해에서 노브고로드, 콘스탄티노폴리스, 카스피해, 바그다드로 이어지는 무역로의 교차점에 위치했으며,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다. 862년에는 바랑인 지도자 류리크가 이곳을 수도로 삼았고, 12세기부터 15세기까지 노브고로드 공화국 시대에 속했다. 15세기 말과 16세기 초에 요새가 재건되었고, 1703년 표트르 대제에 의해 노바야 라도가가 건설되면서 "오래된 라도가"라는 의미로 스타라야라도가로 불리게 되었다. 주요 문화 유산으로는 라도가 요새, 성 게오르기 교회, 성모 승천 대성당, 성 클리멘트 교회, 성 니콜라스 수도원 등이 있다. 19세기에는 많은 예술가들이 이곳에서 작품 활동을 했으며, 1945년부터 1990년대 초까지는 예술가들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는 '창의의 집'이 운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유적 - 보로네시
보로네시는 키예프 루스 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러시아 보로네시주의 행정 중심지로, 러시아 최초의 함대 탄생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경제, 산업, 문화, 과학의 중심지로서 100만 명이 넘는 인구가 거주하는 주요 도시이다. - 러시아의 유적 - 타나이스
타나이스는 아조프해 북동쪽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밀레토스 출신 상인들이 건설한 엠포리움으로서 초원, 흑해, 북방 무역의 중심지였으나 고트족에 의해 파괴 후 재건되었고 여러 차례 정복당하는 부침을 겪었으며 현재는 고고학적 발굴이 진행 중이다. - 노브고로드 공화국 - 베체
베체는 슬라브족의 민회 또는 평의회를 의미하며, 동유럽 부족 회의에서 기원하여 키예프 루스 시대 이전부터 존재했고, 전쟁과 평화 문제, 법률 채택, 통치자 선출 및 추방 등을 논의하는 기능을 수행한 최고 입법 및 사법 기관이었다. - 노브고로드 공화국 - 벨리키노브고로드
벨리키노브고로드는 러시아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이자 노브고로드 주의 행정 중심지이며, 러시아 최초 국가의 요람이자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중심지로서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번성했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역사적 건축물과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스타라야라도가 | |
---|---|
기본 정보 | |
![]() | |
![]() | |
위치 | 러시아 레닌그라드주 |
좌표 | 북위 59° 59′ 50″, 동경 32° 17′ 53″ |
행정 구역 | 볼홉스키군 스타롤라도시코예 농촌 정착지 |
최초 설립 | 753년 |
일반 통계 | |
지역 종류 | 농촌 지역 |
마을 종류 | 셀로 |
면적 | 알 수 없음 |
인구 (2010년) | 2,012명 |
시간대 | 알 수 없음 |
행정 | |
연방 주체 | 레닌그라드주 |
자치구 | 볼홉스키군 |
농촌 정착지 | 스타롤라도시코예 농촌 정착지 |
행정 중심지 | 스타롤라도시코예 농촌 정착지 |
지방 자치 | |
지방 자치구 | 볼홉스키 지방 자치구 |
농촌 정착지 | 스타롤라도시코예 농촌 정착지 |
행정 중심지 | 스타롤라도시코예 농촌 정착지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187412 |
지역 번호 | 81363 |
웹사이트 | 스타라야라도가 |
2. 역사
2. 1. 기원과 초기 발전 (8세기 ~ 9세기)
스타라야라도가는 연륜연대기에 따르면 753년에 건설되었으며,[9] 950년까지 동유럽의 가장 중요한 무역 항구 중 하나였다.[10] 발트해에서 볼호프 강을 거쳐 노브고로드로, 더 나아가 콘스탄티노폴리스나 카스피해로 이어지는 바랑인에서 그리스로의 무역로와 볼가 강을 따라 하자르의 수도 아틸을 거쳐 바그다드까지 이어지는 볼가 무역로의 교차점에 위치했다.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아라비아 반도 중세 시대의 동전이 이곳에서 발굴되었으며,[10] 스웨덴에서 발견된 아랍의 디르함 은화 중 90%에서 95%는 라도가를 경유한 것으로 보인다.스타라야라도가의 중심은 볼호프 강에 엘레나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세워진 오래된 크렘린이다. 이곳은 볼호프 강을 더 이상 거슬러 올라갈 수 없는 외양선이 정박할 수 있는 중요한 항구였다.
노르드인, 핀족, 슬라브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으며, 각자 다른 이름으로 이 도시를 불렀다. 핀란드어로는 '저지대의 강'을 뜻하는 알로데-요키(Alode-joki), 고대 노르드어로는 알데이갸(Aldeigja), 고대 동슬라브어로는 라도가(Ladoga)로 불렸다.
2. 2. 류리크 왕조와 루스 카간국 (9세기 ~ 10세기)

이파티예프 연대기에 따르면, 862년 바랑인 지도자 류리크가 라도가에 도착하여 수도로 삼았다.[11] 류리크는 나중에 노브고로드로 옮겨갔고, 그의 후계자들은 키예프로 이동하여 키예프 루스의 기반을 다졌다.[11] 라도가 교외에는 류리크와 그의 후계자 노브고로드의 올레그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둔덕들이 있다.[11]
990년대 후반, 노르웨이의 에리크 호콘손이 라도가를 공격하여 약탈했다.[11] 800년에서 900년 사이에 라도가는 동유럽의 주요 무역 중심지였으며, 스웨덴에서 발견된 아랍 디르함의 90%~95%가 라도가를 거쳐간 것으로 추정된다.[11]
1019년, 스웨덴의 잉에게르드가 야로슬라프 1세와 결혼하면서 라도가를 지참금으로 받았다.[11] 이후, 스웨덴 백작 라그날 울프손이 라도가를 통치했다.[11] 이 정보는 사가와 고고학적 증거에 의해 확인되며, 이는 라도가가 점차적으로 주로 바랑인 정착지로 발전했음을 시사한다. 적어도 두 명의 스웨덴 왕, 스테킬과 잉에 1세, 그리고 아마도 아눈드 고르스케 왕도 라도가에서 젊은 시절을 보냈다.[11]
2. 3. 노브고로드 공화국 시대 (12세기 ~ 15세기)
2. 4. 러시아 제국 시대와 쇠퇴 (16세기 ~ 현재)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초, 요새가 재건되었다.[12] 1703년, 표트르 대제는 라도가 호수 인근에 노바야 라도가(새 라도가)를 건설했다. 고대 요새와 도시는 점차 쇠퇴하여 새로운 라도가와의 구분을 위해 "오래된 라도가", 즉 스타라야 라도가라고 불리게 되었다.[12] 요새 안에는 12세기 중반의 성 클리멘트 교회의 폐허와 17세기에 건설되어 성 니콜라이에게 헌정된 수도원 등이 있다.3. 문화 유산
라도슈카 강과 볼호프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 라도가 요새는 15세기 말과 16세기 초에 재건되었다.[13] 볼호프 강을 항해할 수 없는 해상 선박에게 유일하게 가능한 항구였기 때문에 전략적 요충지였다.[13]
12세기 중반에 지어진 성 게오르기 교회에는 12세기 프레스코화가 남아 있다.
성모 승천 대성당은 승천 수녀원/수도원에 있는 12세기 중반의 대성당이다.
12세기 중반에 건설된 성 클리멘트 교회는 현재 폐허로 남아있다.
성 니콜라스 수도원은 17세기에 주로 건설되었다.
3. 1. 주요 유적지
라도슈카 강과 볼호프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 라도가 요새는 15세기 말과 16세기 초에 재건되었다.[13] 볼호프 강을 항해할 수 없는 해상 선박에게 유일하게 가능한 항구였기 때문에 전략적 요충지였다.[13]12세기 중반에 지어진 성 게오르기 교회에는 12세기 프레스코화가 남아 있다.
성모 승천 대성당은 승천 수녀원/수도원에 있는 12세기 중반의 대성당이다.
12세기 중반에 건설된 성 클리멘트 교회는 현재 폐허로 남아있다.
성 니콜라스 수도원은 17세기에 주로 건설되었다.
3. 2. 예술과 문화
19세기에는 이반 아이바조프스키, 오레스트 키프렌스키, 알렉산데르 오를로프스키, 알렉세이 베네치아노프 등 많은 화가들이 스타라야 라도가를 찾아 작품 활동을 했다.[14] 바실리 막시모프는 스타라야 라도가에서 태어나 그곳에 묻혔으며, 농민들의 일상생활을 묘사한 작품을 남겼다. 니콜라스 로에리치는 1899년 스타라야 라도가에서 풍경화를 그렸으며, 이곳을 러시아 최고의 풍경이라고 칭송했다.[15] 발렌틴 세로프, 콘스탄틴 코로빈, 보리스 쿠스토디예프 등도 스타라야 라도가에서 작품 활동을 했다.알렉산드르 사모흐발로프는 1924년부터 1926년까지 스타라야 라도가를 방문하여 성 게오르기 교회 복원에 참여하고, "스타라야 라도가"(1924)와 "어부의 가족"(1926) 등의 작품을 남겼다.[16][17][18]
1945년부터 1990년대 초까지 '창의의 집' «스타라야 라도가»가 운영되어, 많은 레닌그라드 및 기타 지역 화가와 그래픽 예술가들이 이곳에서 작업하며 러시아 예술의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19][22] 세르게이 오시포프, 글레브 사비노프, 니콜라이 팀코프, 아르세니 세묘노프를 비롯한 많은 예술가들이 수년간 이곳에서 영감을 얻었다.[21] 1970~80년대에 걸쳐 러시아 SFSR 예술 재단은 예술가들의 주택, 식량, 여행에 대한 모든 약속을 지원했다.[15] 이곳에서 제작된 그림들은 일류 미술 전시회에 전시되었고,[23][24][25] 소련 주요 박물관과 러시아 및 해외의 수많은 개인 소장품, 그리고 박물관 "스타라야 라도가"의 회화, 그래픽 및 조각품 컬렉션의 기반이 되었다.[26] 소련의 붕괴와 예술 재단의 해산 이후, '창의의 집'에 대한 자금 지원은 중단되었고 예술가들을 환영하는 것을 멈추고 폐쇄되었다.
4. 현대의 스타라야 라도가
참조
[1]
법률
Oblast Law #32-oz
[2]
법률
Oblast Law #56-oz
[3]
러시아인구참조
2010Census
[4]
서적
The Origin of Rus': Old Scandinavian Sources Other than the Saga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Relations between Ancient Russia and Scandinavia, and the Origin of the Russian State
https://archive.org/[...]
Paul Bondarovski
1877
[6]
서적
Vikings
Weidenfeld & Nicolson
2012
[7]
서적
Viking Rus: Studies on the Presence of Scandinavians in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Brill
2004
[8]
Citation
A Comparative Study of Thirty City-state Cultures: An Investigation
Kgl. Danske Videnskabernes Selskab
2000
[9]
간행물
Дендрохронология древнейших горизонтов Старой Ладоги (по материалам раскопки Земляного городище) (Dendrochronology of the Oldest Layers of Staraya Ladoga (from the Excavation Materials))
[10]
간행물
Ladoga in the early middle ages (mid-VIII -early XII centuries)
http://www.ladogamus[...]
2015-10-14
[11]
서적
Новгород и новгородская земля в XV веке
USSR Academy of Sciences
[12]
서적
The clash of cultures on the medieval Baltic frontier
2016
[13]
뉴스
http://karpovka.net/[...]
karpovka.net
2015-07-27
[14]
문서
Н. В. Мурашова, Л. П. Мыслина. Дворянские усадьбы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ой губернии. Южное Приладожье. Кировский и Волховский районы. — СПб, Алаборг, 2009. C. 207—224.
[15]
문서
Д. П. Бучкин. О доме творчества «Старая Ладога» // Д. П. Бучкин. Гравюры и рассказы. — СПб, Бибилиотека «Невского альманаха», 2004. — С. 10.
[16]
문서
А. Н. Самохвалов. Ладога, и не только Ладога // А. Н. Самохвалов. Мой творческий путь. — Л: Художник РСФСР, 1977. — С. 102 —113.
[17]
문서
А. Н. Самохвалов. В поисках монументальной выразительности // А. Н. Самохвалов. В годы беспокойного солнца. — СПб: Всемирное слово, 1996. — С. 193 —194.
[18]
문서
Баршова И., Сазонова К. Александр Николаевич Самохвалов. — Л: Художник РСФСР, 1963. — С. 50.
[19]
문서
Стенографический отчёт заседания Правления ЛССХ совместно с Правлением Ленизо и Художественным фондом по обсуждению плана работ на 1945 год и о подготовке к выставке 1945 года // Централь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в литературы и искусства. СПб. Ф.78. Оп.1. Д.49, Л.8.
[20]
문서
Л. С. Конова.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Союз художников. Краткая хроника 1932-2009 // Петербургские искусствоведческие тетради. Выпуск 20. — СПб, 2012. — С.176.
[21]
문서
А. Н. Семёнов, С. И. Осипов, К. А. Гущин. Выставка произведений. Каталог. Авт. вступ. статьи Г. Ф. Голенький. — Л: Художник РСФСР, 1977. — С. 4.
[22]
웹사이트
Дом творчества художников «Старая Ладога» в галерее «Голубая гостина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ого Союза художников
http://www.iskusstvo[...]
[23]
문서
Зональная выставка «Ленинград». — Л: Художник РСФСР, 1965. — С. 9, 13, 14, 15, 19, 21, 25, 31.
[24]
문서
Изобразительное искусство Ленинграда. — Л: Художник РСФСР, 1976. — С. 15, 16, 17, 19, 32.
[25]
웹사이트
Выставка произведений петербургских художников «Старая Ладога». 14 марта – 6 апреля 2014 года
http://www.nimrah.ru[...]
[26]
웹사이트
Фонд живописи, графики и скульптуры музея - заповедника «Старая Ладога»
http://www.ladogam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