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인하우스-모서 표기법은 후고 스테인하우스가 정의한 큰 수를 표기하는 방법으로, 삼각형, 사각형, 원 안에 숫자를 넣어 표기한다. 삼각형 안에 n은 nn을, 사각형 안에 n은 중첩된 삼각형 n개 안에 n을 쓴 수와 같으며, 원 안에 n은 중첩된 사각형 n개 안에 n을 쓴 수와 같다. 모서 표기법은 스테인하우스의 표기법을 확장하여, 더 많은 변을 가진 다각형을 사용하여 큰 수를 표기할 수 있도록 했다. 이 표기법을 통해 정의된 특수한 값으로는 메가(원 안에 2)와 메지스톤(원 안에 10)이 있으며, 모저 수는 메가곤 안에 2를 쓴 수로, 그레이엄 수에 비해 매우 작은 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수학 표기법 - 기수법 기수법은 수를 나타내는 방법 또는 체계로, 십진법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일진법, 명수법, 위치값 기수법 등으로 분류되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십진법은 힌두-아라비아 숫자 체계를 기반으로 위치값 기수법의 발전과 0의 도입으로 수학적 계산의 효율성을 높였다.
수학 표기법 - 중위 표기법 중위 표기법은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연산자 표기 방식이지만, 컴퓨터가 구문 분석하기 어렵고 연산 순서를 위해 괄호나 연산자 우선순위 규칙이 필요하다.
대수 - 미분 등급 대수 미분 등급 대수는 체 위의 등급 대수와 미분의 순서쌍으로, 대수적 위상수학 및 호모토피 이론에서 활용되며, 등급 대수에 차수, 라이프니츠 규칙, 멱영성을 만족하는 미분을 추가하여 정의됩니다.
대수 - C* 대수 C* 대수는 복소수 대합 대수와 복소수 바나흐 대수의 구조를 결합한 복소수 벡터 공간으로, 겔판트-나이마르크 정리에 따라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의 유계 선형 연산자 대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함수해석학, 수리물리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스테인하우스-모서 표기법
개요
종류
수학적 표기법
분야
수론
고안자
후고 스타인하우스 레오 모저
발표 시기
1950년대
표기법
기본 형태
'n 안에 m'
계산 규칙
'3 안에 2 = 3^{3^{3}} (지수가 3개)' 'n 안에 2 = n^{n^{...^{n}}} (지수가 n개)' 'n 안에 3 = n 안에 (n 안에 n) (반복)'
확장
'n 안에 k = n 안에 (n 안에 ... (n 안에 n) ...) (k-1번 반복)' 'm 안에 k = m 안에 (m 안에 ... (m 안에 m) ...) (k-1번 반복)'
다각형 표기법과의 관계
유사점
거듭제곱의 반복을 나타냄 매우 큰 수를 간결하게 표현
차이점
다각형 표기법은 다각형의 꼭짓점 수를 이용 스타인하우스-모서 표기법은 '안에' 기호를 사용
2. 정의
스테인하우스-모서 표기법은 매우 큰 수를 표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삼각형 안에 n '''삼각형''' 안에 n|n영어을 쓴 수는 n|n영어n|n영어을 의미한다.
사각형 안에 n '''사각형''' 안에 n|n영어을 쓴 수는 "중첩된 삼각형 n|n영어개 안에 n|n영어을 쓴 수"와 같다.
오각형 안에 n '''오각형''' 안에 n|n영어을 쓴 수는 "중첩된 사각형 n|n영어개 안에 n|n영어을 쓴 수"와 같다.
일반적으로 (m|m영어 + 1)각형 안에 n|n영어을 쓴 수는 "중첩된 m|m영어각형 n|n영어개 안에 n|n영어을 쓴 수"와 같다.
다각형이 여러 개 중첩되어 있을 때, 안쪽으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삼각형 안에 n|n영어을 쓴 것은 삼각형 안에 n|n영어n|n영어을 쓴 것과 같으며, 이는 n|n영어n|n영어을 n|n영어n|n영어 제곱한 것과 같다.
스테인하우스는 삼각형, 사각형, 그리고 원 안에 n '''원'''(오각형과 동일)을 정의했다.
2. 1. 스테인하우스의 다각형 표기법
'''삼각형''' 안에 n을 쓴 수는 nn을 의미한다.
'''사각형''' 안에 n을 쓴 수는 "중첩된 삼각형 n개 안에 n을 쓴 수"와 같다.
'''원''' 안에 n을 쓴 수는 "중첩된 사각형 n개 안에 n을 쓴 수"와 같다. 스테인하우스는 원까지만 정의했다.
2. 2. 모저의 다각형 표기법
'''오각형''' 안에 n을 쓴 수는 "중첩된 사각형 n개 안에 n을 쓴 수"와 같다. 일반적으로, '''(m+1)각형''' 안에 n을 쓴 수는 "중첩된 m각형 n개 안에 n을 쓴 수"와 같다.
모저의 다각형 표기법은 스테인하우스 표기법을 확장한 것이다.
, 은 스테인하우스 표기법과 같다.
= "''n'' 겹의 사각형 안에 ''n'' " ()
일반적으로 "''m'' 각형 안에 ''n''" = "''n'' 겹의 (''m'' - 1) 각형 안에 ''n''"
"원 안에 2각형 안에 2"를 '''모저 수'''라고 한다.
3. 특수값
스테인하우스는 다음 두 수를 정의했다.
'''메가'''는 원 안에 2를 쓴 수(②)이다.
'''메기스톤'''은 원 안에 10을 쓴 수(⑩)이다.
'''모서 수'''(Moser's number영어)는 "메가곤 안에 2를 쓴 수"를 나타내고, '''메가곤'''은 "메가"각형을 의미하며, 백만각형(megagon영어)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다른 표기법은 다음과 같다.
함수 square(x)와 triangle(x)를 사용한다.
를 중첩된 각형 개 안에 을 쓴 수를 의미한다고 할 때, 규칙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메가 =
메기스톤 =
모서 =
3. 1. 메가
메가는 스테인하우스-모서 표기법에서 원 안에 2를 쓴 수(②)로 정의된다. 이는 2를 2겹의 사각형 안에 넣은 수와 같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