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테인하우스-모서 표기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테인하우스-모서 표기법은 후고 스테인하우스가 정의한 큰 수를 표기하는 방법으로, 삼각형, 사각형, 원 안에 숫자를 넣어 표기한다. 삼각형 안에 n은 nn을, 사각형 안에 n은 중첩된 삼각형 n개 안에 n을 쓴 수와 같으며, 원 안에 n은 중첩된 사각형 n개 안에 n을 쓴 수와 같다. 모서 표기법은 스테인하우스의 표기법을 확장하여, 더 많은 변을 가진 다각형을 사용하여 큰 수를 표기할 수 있도록 했다. 이 표기법을 통해 정의된 특수한 값으로는 메가(원 안에 2)와 메지스톤(원 안에 10)이 있으며, 모저 수는 메가곤 안에 2를 쓴 수로, 그레이엄 수에 비해 매우 작은 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학 표기법 - 기수법
    기수법은 수를 나타내는 방법 또는 체계로, 십진법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일진법, 명수법, 위치값 기수법 등으로 분류되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십진법은 힌두-아라비아 숫자 체계를 기반으로 위치값 기수법의 발전과 0의 도입으로 수학적 계산의 효율성을 높였다.
  • 수학 표기법 - 중위 표기법
    중위 표기법은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연산자 표기 방식이지만, 컴퓨터가 구문 분석하기 어렵고 연산 순서를 위해 괄호나 연산자 우선순위 규칙이 필요하다.
  • 대수 - 미분 등급 대수
    미분 등급 대수는 체 위의 등급 대수와 미분의 순서쌍으로, 대수적 위상수학 및 호모토피 이론에서 활용되며, 등급 대수에 차수, 라이프니츠 규칙, 멱영성을 만족하는 미분을 추가하여 정의됩니다.
  • 대수 - C* 대수
    C* 대수는 복소수 대합 대수와 복소수 바나흐 대수의 구조를 결합한 복소수 벡터 공간으로, 겔판트-나이마르크 정리에 따라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의 유계 선형 연산자 대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함수해석학, 수리물리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스테인하우스-모서 표기법
개요
종류수학적 표기법
분야수론
고안자후고 스타인하우스
레오 모저
발표 시기1950년대
표기법
기본 형태'n 안에 m'
계산 규칙'3 안에 2 = 3^{3^{3}} (지수가 3개)'
'n 안에 2 = n^{n^{...^{n}}} (지수가 n개)'
'n 안에 3 = n 안에 (n 안에 n) (반복)'
확장'n 안에 k = n 안에 (n 안에 ... (n 안에 n) ...) (k-1번 반복)'
'm 안에 k = m 안에 (m 안에 ... (m 안에 m) ...) (k-1번 반복)'
다각형 표기법과의 관계
유사점거듭제곱의 반복을 나타냄
매우 큰 수를 간결하게 표현
차이점다각형 표기법은 다각형의 꼭짓점 수를 이용
스타인하우스-모서 표기법은 '안에' 기호를 사용

2. 정의

스테인하우스-모서 표기법은 매우 큰 수를 표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삼각형 안에 n
    '''삼각형''' 안에 n|n영어을 쓴 수는 n|n영어n|n영어을 의미한다.
  • 사각형 안에 n
    '''사각형''' 안에 n|n영어을 쓴 수는 "중첩된 삼각형 n|n영어개 안에 n|n영어을 쓴 수"와 같다.
  • 오각형 안에 n
    '''오각형''' 안에 n|n영어을 쓴 수는 "중첩된 사각형 n|n영어개 안에 n|n영어을 쓴 수"와 같다.
  • 일반적으로 (m|m영어 + 1)각형 안에 n|n영어을 쓴 수는 "중첩된 m|m영어각형 n|n영어개 안에 n|n영어을 쓴 수"와 같다.


다각형이 여러 개 중첩되어 있을 때, 안쪽으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삼각형 안에 n|n영어을 쓴 것은 삼각형 안에 n|n영어n|n영어을 쓴 것과 같으며, 이는 n|n영어n|n영어을 n|n영어n|n영어 제곱한 것과 같다.

스테인하우스는 삼각형, 사각형, 그리고
원 안에 n
'''원'''(오각형과 동일)을 정의했다.

2. 1. 스테인하우스의 다각형 표기법

'''삼각형''' 안에 n을 쓴 수는 nn을 의미한다.

'''사각형''' 안에 n을 쓴 수는 "중첩된 삼각형 n개 안에 n을 쓴 수"와 같다.

'''원''' 안에 n을 쓴 수는 "중첩된 사각형 n개 안에 n을 쓴 수"와 같다. 스테인하우스는 원까지만 정의했다.

2. 2. 모저의 다각형 표기법

'''오각형''' 안에 n을 쓴 수는 "중첩된 사각형 n개 안에 n을 쓴 수"와 같다. 일반적으로, '''(m+1)각형''' 안에 n을 쓴 수는 "중첩된 m각형 n개 안에 n을 쓴 수"와 같다.

모저의 다각형 표기법은 스테인하우스 표기법을 확장한 것이다.

  • , 은 스테인하우스 표기법과 같다.
  • = "''n'' 겹의 사각형 안에 ''n'' " ()
  • 일반적으로 "''m'' 각형 안에 ''n''" = "''n'' 겹의 (''m'' - 1) 각형 안에 ''n''"


"
원 안에 2
각형 안에 2"를 '''모저 수'''라고 한다.

3. 특수값

스테인하우스는 다음 두 수를 정의했다.


  • '''메가'''는 원 안에 2를 쓴 수(②)이다.
  • '''메기스톤'''은 원 안에 10을 쓴 수(⑩)이다.


'''모서 수'''(Moser's number영어)는 "메가곤 안에 2를 쓴 수"를 나타내고, '''메가곤'''은 "메가"각형을 의미하며, 백만각형(megagon영어)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다른 표기법은 다음과 같다.

  • 함수 square(x)와 triangle(x)를 사용한다.
  • M(n, m, p)를 중첩된 p각형 m개 안에 n을 쓴 수를 의미한다고 할 때, 규칙은 다음과 같다.
  • M(n,1,3) = n^n
  • M(n,1,p+1) = M(n,n,p)
  • M(n,m+1,p) = M(M(n,1,p),m,p)
  • 그리고
  • 메가 = M(2,1,5)
  • 메기스톤 = M(10,1,5)
  • 모서 = M(2,1,M(2,1,5))

3. 1. 메가

메가는 스테인하우스-모서 표기법에서 원 안에 2를 쓴 수(②)로 정의된다. 이는 2를 2겹의 사각형 안에 넣은 수와 같다.

다른 표기법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mega = M(2, 1, 5) = 2[5] = 2[4]2


메가(②)는 그 자체로도 매우 큰 수이다. 다음은 메가를 구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② = square(square(2))

= square(triangle(triangle(2)))

= square(triangle(22))

= square(triangle(4))

= square(44)

= square(256)

= triangle(triangle(triangle(...triangle(256)...))) [256개의 삼각형]

= triangle(triangle(triangle(...triangle(256256)...))) [255개의 삼각형]

≈ triangle(triangle(triangle(...triangle(3.2E)...))) [254개의 삼각형]

...

여기서,

  • square(x)는 x를 삼각형 안에 넣는 함수
  • triangle(x)는 x를 x겹의 삼각형 안에 넣는 함수


다른 표기법을 사용하면:

  • mega = M(2,1,5) = M(256,256,3)


함수 f(x) = x^x를 사용하면, mega = f^{256}(256) = f^{258}(2) 이고, 이때 지수는 대수적인 거듭제곱이 아닌 함수의 거듭제곱을 의미한다.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 M(256, 2, 3) = (256^{256})^{256^{256}} = 256^{256^{257}}
  • M(256, 3, 3) ≈ 256^{256^{256^{257}}}
  • M(256, 4, 3) ≈ 256^{256^{256^{256^{257}}}}
  • M(256, 5, 3) ≈ 256^{256^{256^{256^{256^{257}}}}}


따라서, mega = M(256, 256, 3) \approx (256\uparrow)^{256}257 이고, 여기서 (256\uparrow)^{256}는 함수 f(n) = 256^n의 함수 거듭제곱을 의미한다.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으로 근사하면, mega ≈ 256\uparrow\uparrow 257이다.

처음 몇 단계 이후 n^n의 값은 근사적으로 256^n과 같아진다. 사실은 10^n과도 같아진다. 십진법을 사용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M(256,1,3)\approx 3.23E
  • M(256,2,3)\approx10^{1.99\times10^{619}}
  • M(256,3,3)\approx10^{10^{1.99\times10^{619}}}
  • M(256,4,3)\approx10^{10^{10^{1.99\times10^{619}}}}

...

  • mega = M(256,256,3)\approx(10\uparrow)^{255}1.99E


따라서 10\uparrow\uparrow 257 < \text{mega} < 10\uparrow\uparrow 258이다.

3. 2. 메지스톤

원 안에 10
는 '''메지스톤'''(megiston)이라고 하며, 10을 10겹의 사각형 안에 넣은 수와 같다. 다른 표기법으로는 megiston = M(10,1,5) = 10[5] = 10[4]10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3. 모저 수

'''모저 수'''(Moser's number영어)는 "메가곤 안에 2를 쓴 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메가곤'''은 "메가"각형을 의미하며, 백만각형(megagon)과는 다르다.

다른 표기법으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함수 square(x)와 triangle(x)를 사용
  • M(n, m, p)를 중첩된 p각형 m개 안에 n을 쓴 수를 의미한다.
  • M(n, 1, 3) = n^n
  • M(n, 1, p+1) = M(n, n, p)
  • M(n, m+1, p) = M(M(n, 1, p), m, p)
  • moser = M(2, 1, M(2, 1, 5)) = 2[M(2, 1, 5)] = 2[2[5]] = 2[②]


모서 수는 매우 큰 수로, 콘웨이 연쇄 화살표 표기법이나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 \mathrm{moser} < 3\rightarrow 3\rightarrow 4\rightarrow 2
  • \mathrm{moser} < f^{3}(4) = f(f(f(4))), \text{ where } f(n) = 3 \uparrow^n 3


모서 수는 그레이엄 수보다는 훨씬 작다.

  • \mathrm{moser} \ll 3\rightarrow 3\rightarrow 64\rightarrow 2 < f^{64}(4) = \text{Graham's number}.

4. 다른 표기법


  • 함수 square(x)영어와 triangle(x)영어를 사용한다.
  • ''M''(''n'', ''m'', ''p'')를 ''n''이 ''m''개의 중첩된 ''p''각형으로 표현되는 수라고 하면, 규칙은 다음과 같다.
  • M(n,1,3) = n^n
  • M(n,1,p+1) = M(n,n,p)
  • M(n,m+1,p) = M(M(n,1,p),m,p)
  • 그리고
  • 메가 = M(2,1,5)
  • 메기스톤 = M(10,1,5)
  • 모서 = M(2,1,M(2,1,5))

요크 대학교의 수잔 스텝니교수는 다음과 같은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

  • ''p'' 각형 안의 ''n''을 n[p]\,로 표기한다.
  • [\ldots]은 필요한 만큼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 각형 안의 ''q'' 각형 안의 ''n''은 n[q][p]\,로 표기한다.
  • ''k'' 겹의 ''p'' 각형 안의 ''n''을 n[p]_k\,로 표기한다. 즉,

::n[p]_k = n \underbrace{ [p][p]...[p] }_k

:이다.

이를 사용하면 다각형 표기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 ''n''[3] = ''n''''n''
  • = ''n''[4] = ''n''[3]''n''
  • = = ''n''[5] = ''n''[4]''n''
  • 일반적으로 ''n''[''m''] = ''n''[''m''−1]''n'' (m이 4 이상인 경우)


다른 예시:

  • 53x53px = ''n''[3]4


스테인하우스와 모서가 정의한 거대 수는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 (메가) = 2[5]
  • (메지스톤) = 10[5]
  • 모서 수 = 2[2[5]] = 2

5. 계산

스테인하우스는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 '''mega'''는 원 안에 2를 쓴 수이다: ②
  • '''megiston'''은 원 안에 10을 쓴 수이다: ⑩


'''모서 수'''(Moser's number영어)는 "megagon 안에 2를 쓴 수"를 나타내고, '''megagon'''은 "mega"각형을 의미하며, 백만각형(megagon영어)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다른 표기법으로는 함수 square(x)와 triangle(x)를 사용하거나, M(n, m, p)를 중첩된 p각형 m개 안에 n을 쓴 수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규칙은 다음과 같다.

  • M(n,1,3) = n^n
  • M(n,1,p+1) = M(n,n,p)
  • M(n,m+1,p) = M(M(n,1,p),m,p)


그리고

  • mega = M(2,1,5)
  • megiston = M(10,1,5)
  • moser = M(2,1,M(2,1,5))


계산은 왼쪽에서부터 진행된다.[4]

5. 1. Mega (메가) 계산

메가(mega)는 스테인하우스-모서 표기법에서 매우 큰 수를 나타내는 표기법 중 하나이다. 메가는 로 표현되며, 이는 2[5]와 같다. 이를 계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 = 2[5] = 2[4]2 = 256[4] = 256[3]256


256[3]n을 단계별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계산근사값 (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
1256[3] = 256^{256} \approx 3.23 \times 10^{616}256 \uparrow 256
2256[3]_2 = 256^{256^{257}}(256 \uparrow)^2 257
3256[3]_3 \fallingdotseq 256^{256^{256^{257}}}(256 \uparrow)^3 257
.........
256256[3]_{256} \approx (256\uparrow)^{256} 257256 \uparrow\uparrow 257



여기서 지수 타워의 "근사"에서는

: 256^{256^{257 + 256^{257}}} = \left( 256^{256^{256^{257}}} \right) ^ {256 ^ {257}} \gg 256^{256^{256^{257}}}

이며, "지수 타워 역설"이라고 불릴 정도로 큰 차이가 남을 주의해야 한다.

최종적으로 메가는 다음과 같이 근사할 수 있다:


  • = 256[3]256 ≒ (256↑)256 257 ≒ 256↑↑257


하지만 실제로는 메가가 256\uparrow\uparrow 257 보다 훨씬 크다.

십진 표기법을 사용하면, 메가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메가 = M(256, 256, 3) \approx (10\uparrow)^{255} 1.99 \times 10^{619}


따라서 메가는 다음 범위에 있다:

  • 10\uparrow\uparrow 257 < 메가 < 10\uparrow\uparrow 258

5. 2. Megiston (메지스톤) 계산

은(는) 10[5] 또는 10[4]10으로 표현된다. 스타인하우스가 사용한 메가(mega)의 근사 방식과 유사하게, 다음 근사식을 적용할 수 있다.

:a[4]\fallingdotseq a\uparrow\uparrow \left(a+1 \right) \fallingdotseq a\uparrow\uparrow a \quad \text{ when } \ a \gg 1 (*)

이에 따라, 10[4]는 다음과 같이 근사된다.

:10[4] \fallingdotseq 10\uparrow\uparrow 11

:10[4]_2 = 10[4][4] \fallingdotseq \left(10\uparrow\uparrow 11\right)\uparrow\uparrow \left(10\uparrow\uparrow 11\right)

일반적인 ''a'', ''b'', ''n''에 대해, ''a''↑''b'' = ''ab''임을 고려하여 다음 식을 생각한다.

:

\begin{align}

\left(a\uparrow\uparrow b \right)\uparrow\uparrow n & = \left(a\uparrow\uparrow b\right)\uparrow \left\{\left(a\uparrow\uparrow b \right) \uparrow\uparrow \left(n-1\right) \right\} \\

& = \left[a\uparrow \left\{ a\uparrow \left(b-1\right) \right\} \right]\uparrow \left\{ \left(a\uparrow\uparrow b \right) \uparrow\uparrow \left(n-1\right) \right\} \\

& = a\uparrow \left[ \left\{ a\uparrow \left(b-1\right) \right\} + \left(a\uparrow\uparrow b\right) \uparrow\uparrow \left(n-1\right) \right] \\

\end{align}



''a''와 ''b''가 충분히 크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a\uparrow \left(b-1 \right) \ll \left(a\uparrow\uparrow b \right) \uparrow\uparrow \left(n-1 \right)

따라서, 다음 근사식을 얻을 수 있다.

: \left(a\uparrow\uparrow b \right)\uparrow\uparrow n \fallingdotseq a\uparrow \left\{ \left(a\uparrow\uparrow b \right) \uparrow\uparrow \left(n-1 \right) \right\}

이 과정을 ''n''이 1이 될 때까지 반복하면 다음과 같다.

:

\begin{align}

\left(a\uparrow\uparrow b \right)\uparrow\uparrow n &\fallingdotseq \underbrace{a\uparrow a\uparrow \cdots \uparrow a}_{ \left(n-1\right) \text{ copies of } a }

\uparrow \left \{ \left(a\uparrow\uparrow b\right) \uparrow\uparrow 1 \right \} \\

&= \underbrace{a\uparrow a\uparrow \cdots \uparrow a}_{\left(n-1\right) \text{ copies of } a } \uparrow \left(a\uparrow\uparrow b \right) \\

&\fallingdotseq a\uparrow\uparrow \left \{ \left(n-1\right) + b \right \}

\end{align}



결과적으로, ''n'' ≫ ''b''일 때, 다음 근사식을 얻는다.

: \left(a\uparrow\uparrow b \right)\uparrow\uparrow n \fallingdotseq a\uparrow\uparrow n (**)

(**)를 사용하여 10[4]2를 다시 근사하면 다음과 같다.

:10[4]_2 \fallingdotseq 10\uparrow\uparrow \left(10\uparrow\uparrow 11 \right)

이하 마찬가지로 (*)와 (**)를 반복 적용하면,

:\begin{align}

10[4]_3 = 10[4]_2[4] &\fallingdotseq \left \{ 10\uparrow\uparrow \left(10\uparrow\uparrow 11 \right) \right\}

\uparrow\uparrow \left\{ 10\uparrow\uparrow \left(10\uparrow\uparrow 11 \right) \right\} \\

&\fallingdoteq 10\uparrow\uparrow \left\{ 10\uparrow\uparrow \left(10\uparrow\uparrow 11 \right) \right\} \\

&= 10\uparrow\uparrow 10\uparrow\uparrow 10\uparrow\uparrow 11 \\

&= \left(10 \uparrow\uparrow \right)^3 11\end{align}

:10[4]_4 = 10[4]_3[4] \fallingdotseq 10\uparrow\uparrow 10\uparrow\uparrow 10\uparrow\uparrow 10\uparrow\uparrow 11= \left(10 \uparrow\uparrow \right)^4 11

:10[4]_5 = 10[4]_4[4] \fallingdotseq 10\uparrow\uparrow 10\uparrow\uparrow 10\uparrow\uparrow 10\uparrow\uparrow 10\uparrow\uparrow 11 = \left(10 \uparrow\uparrow \right)^5 11

따라서,

:10[4]_{10} \fallingdotseq 10 \uparrow\uparrow 10 \uparrow\uparrow 10 \uparrow\uparrow

10 \uparrow\uparrow 10 \uparrow\uparrow 10 \uparrow\uparrow 10 \uparrow\uparrow

10 \uparrow\uparrow 10 \uparrow\uparrow 11= \left(10 \uparrow\uparrow \right)^{10} 11

이므로, 메지스톤은 대략 다음과 같이 근사할 수 있다.

≒ 10↑↑↑11

하지만, 실제로는 메가와 마찬가지로,

≫ (10↑↑)10 11 ≫ 10↑↑↑11

이다.

5. 3. 모저 수 계산

모저 수는 2[2[5]] = 2로, 메가보다 훨씬 큰 수이다. 콘웨이 연쇄 화살표 표기법과 크누스 윗화살표 표기법으로 근사값을 구할 수 있다. 모저 수는 대략 3↑↑↑...(-2개)...↑↑↑3 에 근사한다.[4]

콘웨이 연쇄 화살표 표기법에서, 모저 수는 3 → 3 → 4 → 2 보다 작다.

크누스 윗화살표 표기법에서, 모저 수는 f3(4) = f(f(f(4))) 보다 작고, 여기서 f(n) = 3 ↑n 3 이다.

따라서 모저 수는 매우 크지만 그레이엄 수에 비해서는 매우 작다.[2] 모저 수는 3 → 3 → 64 → 2 보다 훨씬 작고, 그레이엄 수는 f64(4) 이다.

모저 수는 2 이다. 보다 훨씬 크며, 보다도 훨씬 크다.

1998년 Tim Chow는 모저 수가 그레이엄 수보다 압도적으로 작다는 것을 증명했다.[4] 이 증명에 따르면, 모저 수 ''M''은 콘웨이 연쇄 화살표 표기법, 크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하이퍼 연산자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M < 3 → 3 → ((3 → 3 → 5) × 2 - 1) = 3 → 2 → ((3 → 3 → 5) × 2) = 3 → 2 → ((3 → 2 → 6) × 2) = 3 ↑ (3 ↑4 3 ↑4 3 ) × 22 = 3 ↑ (3 ↑3 3↑4(3 ↑4 3-1) ) × 2 - 1 3 = 3 ↑ 33 ↑↑ (3 ↑3 (3↑4(hyper(3, 6, 3)-1)-1)-1) × 22

6. 참고: 큰 수의 비교

스테인하우스-모서 표기법으로 표현되는 수들은 매우 크지만, 그레이엄 수와 같은 다른 큰 수들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다. 모서 수는 그레이엄 수보다 훨씬 작다.[2]

참조

[1] 서적 Mathematical Snapshots Oxford University Press 1969
[2] 웹사이트 Proof that G >> M http://www-users.cs.[...]
[3] 문서
[4] 웹사이트 http://www-users.c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