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판 에드베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테판 에드베리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활약한 스웨덴의 테니스 선수이다. 주니어 시절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최초의 선수였으며, 프로 선수로 전향하여 6개의 그랜드 슬램 단식 타이틀과 3개의 그랜드 슬램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72주 동안 세계 랭킹 1위를 기록했으며, 41개의 단식 타이틀과 18개의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1984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남자 단식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은퇴 후에는 로저 페더러의 코치를 맡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 - 로빈 쇠델링
스웨덴 출신 은퇴한 프로 테니스 선수 로빈 쇠델링은 2009년 프랑스 오픈에서 라파엘 나달을 꺾고 결승에 진출, 2010년 파리 마스터스 우승, ATP 랭킹 4위를 기록했으나 단핵구증으로 2015년 은퇴했다. - 스웨덴의 남자 테니스 선수 - 로빈 쇠델링
스웨덴 출신 은퇴한 프로 테니스 선수 로빈 쇠델링은 2009년 프랑스 오픈에서 라파엘 나달을 꺾고 결승에 진출, 2010년 파리 마스터스 우승, ATP 랭킹 4위를 기록했으나 단핵구증으로 2015년 은퇴했다. - 스웨덴의 남자 테니스 선수 - 마츠 빌란데르
스웨덴 출신의 은퇴한 프로 테니스 선수 마츠 빌란데르는 1980년대에 7개의 그랜드 슬램 단식 타이틀을 획득하고 1988년 세계 랭킹 1위에 오르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으며, 은퇴 후 해설가와 코치로 활동하다 2002년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스테판 에드베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얀 스테판 에드베리 |
거주지 | 런던, 잉글랜드 |
출생일 | 1966년 1월 19일 |
출생지 | 베스테르비크, 스웨덴 |
키 | 1.88m |
프로 전향 | 1983년 |
은퇴 | 1996년 |
코치 | 토니 피커드 |
플레이 스타일 | 오른손잡이 (한손 백핸드) |
총상금 | US$20,630,941 |
테니스 명예의 전당 헌액 년도 | 2004년 |
테니스 명예의 전당 ID | stefan-edberg |
단식 | |
통산 전적 | 801승 270패 (74.8%) |
통산 타이틀 | 41 |
최고 랭킹 | 1위 (1990년 8월 13일) |
호주 오픈 결과 | 우승 (1985, 1987) |
프랑스 오픈 결과 | 준우승 (1989) |
윔블던 결과 | 우승 (1988, 1990) |
US 오픈 결과 | 우승 (1991, 1992) |
기타 토너먼트 | 예 |
마스터스 컵 결과 | 우승 (1989) |
그랜드 슬램 컵 결과 | 준결승 (1993) |
WCT 파이널 결과 | 준우승 (1988) |
복식 | |
통산 전적 | 283승 153패 (64.9%) |
통산 타이틀 | 18 |
최고 랭킹 | 1위 (1986년 6월 9일) |
기타 토너먼트 | 예 |
호주 오픈 결과 | 우승 (1987, 1996) |
프랑스 오픈 결과 | 준우승 (1986) |
윔블던 결과 | 준결승 (1987) |
US 오픈 결과 | 우승 (1987) |
마스터스 컵 결과 | 우승 (1985, 1986) |
올림픽 결과 | 준결승 (1988) |
단체전 | |
데이비스 컵 결과 | 우승 (1984, 1985, 1987, 1994) |
코치 경력 | |
코치 활동 기간 | 2014–2015 |
코치 선수 | 로저 페더러 (2014–2015) |
코치 단식 타이틀 | 10 |
코치 토너먼트 기록 | 3 x ATP 월드 투어 마스터스 1000 (페더러) 데이비스 컵 (페더러) |
메달 기록 | |
스포츠 | 남자 테니스 |
대회 | 올림픽 게임 |
동메달 | 1988 서울 단식 |
동메달 | 1988 서울 복식 |
2. 경력
스테판 에드베리는 주니어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내, 1983년 남자 주니어 선수로는 오픈 시대 최초이자 유일하게 4대 그랜드 슬램을 모두 석권하는 '주니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하며 큰 주목을 받았다.[5] 같은 해 프로로 전향한 에드베리는 이후 세계적인 테니스 선수로 성장했다.
그는 프로 통산 그랜드 슬램 남자 단식에서 총 6회(호주 오픈 2회, 윔블던 2회, US 오픈 2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남자 복식에서도 3회(호주 오픈 2회, US 오픈 1회) 우승을 기록했다. 특히 보리스 베커와는 1988년부터 1990년까지 3년 연속 윔블던 결승에서 맞붙는 등 명승부를 펼치며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다. 1990년 8월에는 처음으로 남자 테니스 세계 랭킹 1위에 올랐으며, 총 72주간 1위 자리를 지켰다. 다만, 프랑스 오픈에서는 1989년 결승에 진출했으나 마이클 창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러, 커리어 그랜드 슬램 달성에는 실패했다.
에드베리는 뛰어난 실력과 더불어 코트 위에서의 신사적인 매너로도 유명하여, ATP가 수여하는 스포츠맨십 상을 5회(1988, 1989, 1990, 1992, 1995년) 수상했다. 그의 업적을 기려 ATP는 1996년부터 이 상의 명칭을 Stefan Edberg Sportsmanship Award|스테판 에드베리 스포츠맨십 상eng으로 변경했다.
1996년 30세의 나이로 현역에서 은퇴했으며, 2004년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은퇴 이후에는 시니어 투어에 참가하고, 로저 페더러의 코치를 맡는 등 테니스계에서 활동을 이어갔다.[15][16]
2. 1. 주니어 시절
에드베리는 주니어 선수 시절부터 테니스계의 주목을 받았다. 1980년대 초, 그는 14세 이하와 16세 이하 부문에서 유럽 주니어 테니스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두 번의 결승전에서 모두 요나스 스벤손을 꺾었다.[3][4]1983년에는 4대 그랜드 슬램 주니어 남자 단식 부문을 모두 제패하여, 오픈 시대 최초이자 유일하게 '주니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선수가 되었다.[5] (2012년 기준으로도 남녀 주니어를 통틀어 연간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선수는 에드베리가 유일하다.) 같은 해 프로로 전향하여 바젤에서 첫 프로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프로 전향 이듬해인 1984년, 18세의 나이로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1984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가 시범 종목으로 치러졌을 때 남자 단식 토너먼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는 올림픽 정식 종목 복귀 전 21세 이하 선수를 대상으로 열렸다.
2. 2. 프로 시절
에드베리는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재능으로 주목받았다. 1983년에는 4대 그랜드 슬램 주니어 단식 부문을 모두 제패하며, 오픈 시대 이후 남녀를 통틀어 최초이자 유일하게 '주니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하는 대기록을 세웠다.[5] 같은 해 프로로 전향하여 바젤에서 첫 프로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1984년에는 밀라노에서 첫 ATP 투어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으며,[1] 테니스가 시범 종목으로 채택된 1984년 하계 올림픽의 남자 단식에서 우승했다. 또한 동료 안데르스 예리드와 함께 US 오픈 복식 결승에 진출했고, 1986년에는 프랑스 오픈 복식 결승에도 진출하며 그 해 복식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다.
에드베리의 첫 그랜드 슬램 단식 우승은 1985년 호주 오픈에서 나왔다. 준결승에서 당시 세계 1위 이반 렌들을 꺾은 후,[6][7][8] 결승에서 매츠 빌랜더를 세트 스코어 3-0으로 물리치고 정상에 올랐다. 1987년 1월에는 팻 캐시를 5세트 접전 끝에 꺾고 호주 오픈 2연패를 달성했다.[36] 당시 호주 오픈은 잔디 코트에서 열렸으며, 에드베리는 1987년 안데르스 예리드와 함께 호주 오픈과 US 오픈 남자 복식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1988년 윔블던 결승에서는 보리스 베커를 꺾고 우승하며 새로운 라이벌 관계의 시작을 알렸다. 이 경기는 비로 인해 이틀에 걸쳐 진행되었다. 에드베리와 베커는 1988년부터 1990년까지 3년 연속 윔블던 결승에서 맞붙었다. 1989년에는 베커에게 패배했지만, 1990년에는 에드베리가 5세트 접전 끝에 승리하며 설욕했다. 같은 해 서울 올림픽에서는 테니스가 정식 종목으로 복귀했으며, 에드베리는 단식과 복식(파트너 안데르스 예리드)에서 모두 동메달을 획득했다.
에드베리는 4대 그랜드 슬램 중 프랑스 오픈에서만 우승하지 못했다. 1989년 프랑스 오픈 결승에 진출했지만, 당시 17세였던 마이클 창에게 5세트 접전 끝에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 패배로 커리어 그랜드 슬램 달성에는 실패했다.
1990년 8월 13일, 신시내티 마스터스 우승으로 이반 렌들을 제치고 처음으로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다. 그는 1992년까지 총 72주 동안 세계 1위 자리를 지켰다. 1991년과 1992년에는 US 오픈에서 2연패를 달성했다. 1991년 결승에서는 짐 쿠리어를, 1992년 결승에서는 피트 샘프러스를 꺾었다. 특히 1992년 US 오픈에서는 8강에서 렌들을, 준결승에서는 마이클 창을 5시간 26분이라는 역대 최장 시간 경기 끝에 물리치고 우승하는 저력을 보여주었다.[10][11][12][13][14]
에드베리의 마지막 그랜드 슬램 단식 결승 진출은 1992년과 1993년 호주 오픈이었으나, 두 번 모두 짐 쿠리어에게 패했다. 1996년에는 페트르 코르다와 함께 호주 오픈 복식에서 우승하며 개인 통산 세 번째이자 마지막 그랜드 슬램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에드베리는 서브 앤 발리 플레이에 능했으며, 특히 바운드가 빠른 잔디 코트에서 강점을 보였다. 그의 그랜드 슬램 단식 우승 6회 중 4회(호주 오픈 2회, 윔블던 2회)가 잔디 코트에서 나왔고, 나머지 2회(US 오픈)는 하드코트에서 기록했다. 선수 생활 동안 단식 42회, 복식 18회의 우승 타이틀을 획득했다. 뛰어난 페어플레이 정신으로도 유명하여 ATP가 수여하는 스포츠맨십 상을 5회(1988, 1989, 1990, 1992, 1995년) 수상했다. 그의 업적을 기려 ATP는 1996년부터 이 상의 명칭을 '스테판 에드베리 스포츠맨십 상(Stefan Edberg Sportsmanship Award)'으로 변경했다.
에드베리는 1996년 30세의 나이로 현역에서 은퇴했으며, 2004년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은퇴 후에는 시니어 투어에 참가했으며, 2014년부터 2015년까지 로저 페더러의 코치를 맡기도 했다.[15][16]
2. 3. 국가대표 경력
18세였던 1984년, 테니스가 올림픽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었던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출전하여 남자 단식에서 우승했다. 당시 이 경기는 21세 이하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공개 경기' 형태로 진행되었다.[1] (여자부에서는 슈테피 그라프가 우승했다.)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 테니스는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복귀했으며, 에드베리는 스웨덴 대표로 이 대회에 참가했다. 남자 단식에서는 준결승까지 진출했으나, '스웨덴 킬러'로 불리던 미로슬라프 메치르(당시 체코슬로바키아 대표)에게 패배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안데르스 예리드와 함께 출전한 남자 복식에서도 준결승에서 패배하며 동메달을 추가했다. 서울 올림픽에서는 준결승 패배 선수(팀)에게 별도의 동메달 결정전 없이 모두 동메달을 수여했다.
2. 4. 은퇴 이후
1996년, 에드베리는 30세의 나이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그는 선수 시절 페어플레이 정신으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ATP의 스포츠맨십 상을 1988년, 1989년, 1990년, 1992년, 1995년 총 5회 수상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ATP는 1996년부터 이 상의 명칭을 “Stefan Edberg Sportsmanship Award”로 변경했다.은퇴 후인 2004년 7월 11일, 에드베리는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008년부터는 아웃백 챔피언십 시리즈, 블랙록 마스터스 테니스 등 시니어 투어에 참가하며 팬들과 다시 만났다.
2013년 12월, 에드베리는 로저 페더러의 코치를 맡기 시작했으며[15], 이 코칭 관계는 2015년 12월까지 이어졌다.[16] 이후 페더러는 이반 륄비치치를 새로운 코치로 영입했다.
3. 주요 경기 성적
스테판 에드베리는 주니어 시절부터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1983년에는 4대 그랜드 슬램 주니어 타이틀을 모두 석권하며 오픈 시대 최초이자 유일하게 '주니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선수가 되었다.[5] 같은 해 바젤에서 첫 프로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1984년에는 밀라노에서 첫 단식 투어 타이틀을 거머쥐었다.[1] 또한, 테니스가 시범 종목이었던 1984년 하계 올림픽 남자 단식에서 우승했다. 복식에서도 두각을 나타내 안데르스 예리드와 함께 1984년 US 오픈과 1986년 프랑스 오픈 복식 결승에 진출했고, 1986년에는 세계 복식 랭킹 1위에 올랐다.
에드베리의 프로 경력은 1985년 호주 오픈 단식 우승으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는 잔디 코트에서 열린 1987년 대회에서도 우승하며 호주 오픈 2회 우승을 기록했다. 이후 코트가 하드코트로 변경된 후에는 세 차례 더 결승에 진출했으나 준우승에 머물렀다. 윔블던에서는 1988년과 1990년에 우승했으며, 특히 보리스 베커와 1988년부터 3년 연속 결승에서 맞붙는 명승부를 펼쳤다. US 오픈에서는 1991년과 1992년에 연속으로 우승했다. 1992년 US 오픈에서는 8강과 준결승에서 연이어 5세트 접전을 펼치고 우승하는 저력을 보여주었다.[10][11][12][13][14]
프랑스 오픈에서는 1989년 단 한 차례 결승에 진출했으나 당시 17세였던 마이클 창에게 패배하여 준우승에 머물렀고, 이로 인해 커리어 그랜드 슬램 달성에는 실패했다. 그의 마지막 그랜드 슬램 단식 결승 진출은 1993년 호주 오픈이었다.
1990년 8월, 신시내티 오픈 우승 후 처음으로 세계 랭킹 1위에 올랐으며, 총 72주 동안 1위 자리를 지켰다.
복식에서는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총 3회 획득했다. 안데르스 예리드와 함께 1987년 호주 오픈과 US 오픈에서 우승했으며, 1996년에는 페트르 코르다와 조를 이루어 호주 오픈에서 다시 한번 우승했다. 이것이 그의 마지막 그랜드 슬램 타이틀이었다.
에드베리는 빠른 코트, 특히 잔디 코트에서 강점을 보였다. 그의 그랜드 슬램 단식 우승 6회 중 4회(호주 오픈 2회, 윔블던 2회)가 잔디 코트에서 나왔고, 나머지 2회(US 오픈)는 하드 코트에서 기록했다.
선수 생활 동안 단식 42회, 복식 18회의 투어 타이틀을 획득했다. 뛰어난 매너로 ATP 스포츠맨십 상을 5차례 수상했으며, ATP는 이를 기념하여 상의 명칭을 '스테판 에드베리 스포츠맨십 상'으로 변경했다.
; 약어 설명
W | F | SF | QF | #R | RR | Q# | LQ | A | Z# | PO | G | S | B | NMS | P | NH |
W=우승, F=준우승, SF=4강, QF=8강, #R=#회전 탈락, RR=라운드 로빈 탈락, Q#=예선 #회전 탈락, LQ=예선 탈락, A=대회 불참, Z#=데이비스컵/BJK컵 지역 존, PO=데이비스컵/BJK컵 플레이오프, G=올림픽 금메달, S=올림픽 은메달, B=올림픽 동메달, NMS=마스터스 시리즈 강등, P=개최 연기, NH=개최 없음.
단식 |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결과 | 승–패 |
---|---|---|---|---|---|---|---|---|---|---|---|---|---|---|---|---|---|
호주 오픈 | A | 2R | QF | W | NH | W | SF | QF | F | SF | F | F | SF | 4R | 2R | 2 / 13 | 56–10 |
프랑스 오픈 | A | A | 2R | QF | 2R | 2R | 4R | F | 1R | QF | 3R | QF | 1R | 2R | 4R | 0 / 13 | 30–13 |
윔블던 | A | 2R | 2R | 4R | 3R | SF | W | F | W | SF | QF | SF | 2R | 2R | 2R | 2 / 14 | 49–12 |
US 오픈 | A | 1R | 2R | 4R | SF | SF | 4R | 4R | 1R | W | W | 2R | 3R | 3R | QF | 2 / 14 | 43–12 |
승–패 합계 | 0–0 | 1–3 | 6–4 | 16–3 | 8–3 | 17–3 | 18–3 | 19–3 | 13–3 | 21–3 | 19–3 | 16–4 | 8–4 | 7–4 | 9–4 | 6 / 54 | 178–47 |
복식 |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결과 | 승–패 |
---|---|---|---|---|---|---|---|---|---|---|---|---|---|---|---|---|---|
호주 오픈 | A | 1R | 2R | 1R | NH | W | A | QF | QF | 1R | 1R | 3R | 3R | A | W | 2 / 11 | 20–8 |
프랑스 오픈 | A | A | QF | SF | F | A | A | A | A | A | A | SF | A | A | 3R | 0 / 5 | 18–5 |
윔블던 | A | 1R | 3R | 3R | 1R | SF | A | A | A | A | A | A | A | A | A | 0 / 5 | 8–5 |
US 오픈 | A | 3R | F | 2R | 2R | W | A | A | A | A | A | A | A | 1R | A | 1 / 6 | 15–5 |
승–패 합계 | 0–0 | 2–3 | 11–4 | 7–4 | 6–3 | 13–1 | 0–0 | 2–1 | 2–1 | 0–1 | 0–1 | 6–1 | 2–1 | 0–1 | 8–1 | 3 / 27 | 59–23 |
3. 1. 그랜드 슬램 결승
스테판 에드베리는 선수 경력 동안 총 11번의 그랜드 슬램 남자 단식 결승에 진출하여 6번 우승하고 5번 준우승했다. 복식에서는 5번 결승에 올라 3번 우승하고 2번 준우승했다.에드베리의 첫 그랜드 슬램 단식 우승은 오스트레일리아 오픈에서 나왔다. 그는 잔디 코트에서 열린 1985년과 1987년 대회에서 우승했다.[6][7][8] 이후 하드코트로 변경된 오스트레일리아 오픈에서는 1990년, 1992년, 1993년 세 차례 결승에 진출했으나 모두 준우승에 머물렀다. 특히 1990년 결승에서는 이반 렌들과의 경기 도중 복근 부상으로 기권했다.
윔블던에서는 보리스 베커와 명승부를 펼치며 1988년부터 3년 연속 결승에 진출했다. 1988년과 1990년에 우승했고, 1989년에는 준우승했다.
프랑스 오픈에서는 1989년 단 한 차례 결승에 올랐으나, 당시 17세였던 마이클 찬에게 패배하여 준우승에 머물렀고, 이로 인해 커리어 그랜드 슬램 달성에는 실패했다.
US 오픈에서는 1991년과 1992년에 연속으로 우승했다. 1991년 결승에서는 짐 쿠리어를, 1992년 결승에서는 피트 샘프라스를 꺾었다. 특히 1992년 US 오픈에서는 8강에서 이반 렌들, 준결승에서 마이클 창을 상대로 5세트가 넘는 긴 경기를 치른 끝에 우승하는 저력을 보여주었다.[10][11][12][13][14] 에드베리의 마지막 그랜드 슬램 단식 결승 진출은 1993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이었다.
복식에서는 스웨덴 동료 안데르스 예리드와 함께 1987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과 US 오픈에서 우승했으며, 1984년 US 오픈과 1986년 프랑스 오픈에서는 준우승했다. 1996년에는 페트르 코르다와 조를 이루어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복식에서 우승하며 개인 통산 세 번째 그랜드 슬램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3. 1. 1. 단식: 11 (6승 5패)
;우승 (6)연도 | 대회 | 코트 | 결승 상대 | 결승 스코어 |
---|---|---|---|---|
1985 | 호주 오픈 | 잔디 | 스웨덴 매츠 빌랜더 | 6-4, 6-3, 6-3 |
1987 | 호주 오픈 (2) | 잔디 | 호주 팻 캐시 | 6-3, 6-4, 3-6, 5-7, 6-3 |
1988 | 윔블던 | 잔디 | 독일 보리스 베커 | 4-6, 7-6(2), 6-4, 6-2 |
1990 | 윔블던 (2) | 잔디 | 독일 보리스 베커 | 6-2, 6-2, 3-6, 3-6, 6-4 |
1991 | US 오픈 | 하드 | 미국 짐 쿠리어 | 6-2, 6-4, 6-0 |
1992 | US 오픈 (2) | 하드 | 미국 피트 샘프라스 | 3-6, 6-4, 7-6(5), 6-2 |
;준우승 (5)
연도 | 대회 | 코트 | 결승 상대 | 결승 스코어 |
---|---|---|---|---|
1989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미국 마이클 창 | 1-6, 6-3, 6-4, 4-6, 2-6 |
1989 | 윔블던 | 잔디 | 독일 보리스 베커 | 0-6, 6-7(1), 4-6 |
1990 | 호주 오픈 | 하드 | 체코슬로바키아 이반 렌들 | 6-4, 6-7(3), 2-5 기권 |
1992 | 호주 오픈 | 하드 | 미국 짐 쿠리어 | 3-6, 6-3, 4-6, 2-6 |
1993 | 호주 오픈 | 하드 | 미국 짐 쿠리어 | 2-6, 1-6, 6-2, 5-7 |
3. 1. 2. 복식: 5 (3승 2패)
로리 워더로버트 세구소
세바스티앵 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