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플레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페이스플레인은 우주선과 항공기의 특징을 모두 갖춘 비행체로, 우주에서 운용되며 대기권 비행도 가능하다. 자체 추진력 없이 활공하거나, 공기역학적 표면을 이용해 기동하며 착륙하는 경우가 많다. 스페이스플레인은 발사, 우주 환경, 대기권 재진입, 공기역학적 비행, 수평 착륙 등의 기술적 요구 사항으로 인해 설계가 복잡하고 비용이 높다. 미국 우주왕복선, 소련의 부란 등 개발이 완료되어 퇴역했거나, X-37, 드림 체이서, 선롱 등 개발 중인 스페이스플레인이 있으며, 징거, X-30 NASP, HOTOL 등 개발이 중단된 사례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켓 - 파즈르-5
파즈르-5는 이란에서 개발 및 생산하는 파즈르 로켓 제품군의 최신 하이브리드 로켓으로, 중국 WS-1 다연장 로켓 시스템의 영향을 받아 개발되었으며, 파편 고폭탄두를 탑재하고 이란군 외 여러 단체에서 운용되어 분쟁 지역에서 사용된 역사를 가진다. - 로켓 - 역추진 로켓
역추진 로켓은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추력을 생성하여 속도를 감소시키는 로켓 엔진으로, 우주선 착륙, 발사체 단 분리, 항공기 제동 등에 사용되며 재사용 발사 시스템 개발로 중요성이 증가하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에서 처음 개발되어 우주 개발의 핵심 기술이 되었다. - 스페이스플레인 - 스페이스십원
스페이스십원은 스케일드 컴포지츠사에서 제작한 3인승 준궤도 우주선으로, 하이브리드 로켓 엔진과 독특한 꼬리날개 설계를 통해 민간 자금으로 유인 우주 비행에 최초로 성공하며 안사리 X상을 수상했다. - 스페이스플레인 - 드림 체이서
드림 체이서는 시에라 스페이스에서 NASA의 HL-20 디자인을 기반으로 개발 중인 활주로 착륙 방식의 재사용 가능한 우주 왕복선으로, 국제 우주 정거장에 화물을 보급하고 유인 버전 개발 및 유엔과의 협력을 통한 우주 개발 기여를 목표로 한다. - 신기술 - 탄소 나노튜브
탄소 나노튜브는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나노미터 크기의 튜브로, 뛰어난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단일벽과 다중벽으로 구분되고, 아크 방전 등의 방법으로 합성된다. - 신기술 - 라이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물체의 거리와 3차원 형상 정보를 측정하는 기술로, 코라이더 시스템에서 유래되어 자율주행차, 지형 측량, 대기 관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레이저 빔을 발사하고 반사된 빛의 비행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원리를 사용한다.
| 스페이스플레인 | |
|---|---|
| 개요 | |
![]() | |
| 유형 | 유인 우주선 겸 항공기 |
| 개발 주체 | 다양한 주체 |
| 운용 주체 | 다양한 주체 |
| 특징 | |
| 주요 특징 | 대기권 내 공기역학적 비행 능력과 우주 비행 능력 겸비 |
| 활용 분야 | 우주 접근 극초음속 비행 연구 장거리 여객 |
| 유사 용어 | 궤도 항공기 재사용 가능 발사 시스템 우주왕복선 |
| 역사 및 개발 | |
| 초기 개념 | 1930년대 오스트리아의 로켓 전문가 외젠 제 hunger이 제안한 "대륙간 탄도 우주 수송기" |
| 냉전 시대 | 군사적 목적으로 연구 활발 |
| 주요 프로젝트 | X-20 다이나소어 호르텐 Ho 18 아메리카 폭격기 (아이디어만 존재) |
| NASA의 구상 | "오리엔트 익스프레스" (단일 단계 지구 궤도 왕복선) |
| 기술적 측면 | |
| 주요 기술 | 로켓 엔진 램제트 엔진 스램제트 엔진 복합 사이클 엔진 |
| 동체 형상 | 양력 발생 동체 (lifting body) 형태 |
| 재진입 기술 | 내열 시스템 (열 방패) |
| 종류 | |
| 준궤도 우주왕복선 | 스페이스십투 |
| 궤도 우주왕복선 | 우주왕복선 (퇴역) |
| 개발중인 우주왕복선 | 드림 체이서 스페이스 라이너 Radian One |
| 참고 | |
| 관련 용어 | 극초음속 |
2. 운용 원리
스페이스플레인은 기존 우주선처럼 우주 공간에서 작동하는 동시에, 항공기처럼 대기권 내 비행이 가능해야 한다.[3][4][5] 대기권 내에서는 공기역학적 표면을 이용해 활공하며, 자체 추진력은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미국의 우주왕복선은 자체 추진력으로는 비행할 수 없었지만, 궤도 이탈 후 운동량을 이용하여 활주로 목적지까지 활공했다.[3][4][5] 이러한 요구 조건은 설계 복잡성, 위험성, 건조 질량 및 비용 증가의 요인이 된다.
스페이스플레인은 항공기와 마찬가지로 활주로에서 이륙하여 그대로 대기권을 이탈하고, 대기권 재진입 후에는 다시 활주로에 착륙하는 우주선이다. 일회용 로켓과 같은 복잡한 발사 설비를 불필요하게 하여 비용 감소와 운용 지점 증가를 기대한다.
기술적 특징으로는, 대기권 내에서는 Airbreathing jet engine|에어브리딩영어 (공기 흡입형) 엔진을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적인 로켓은 연료가 되는 액체 수소 외에 산화제로서 액체 산소 등을 자체 중량에 포함하므로, 치올코프스키의 공식에 의해 더욱 성능 향상은 어렵다. 그래서 대기권 내에서는 산화제를 탑재하는 것이 아니라, 공기 중의 산소를 산화제로 사용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 또한, 대기권 내 비행을 위해 주익 혹은 리프팅 바디 등의 양력 발생 기구를 갖는다.
스페이스플레인 계획에는 탄도 비행을 목표로 하는 것과 위성 궤도와 왕복하는 재사용 우주왕복선을 목표로 하는 것이 있다. 초기 구상인 실버포겔은 탄도 비행을 예정하고 있었고, X-30은 "워싱턴-도쿄 사이를 2시간"이라고 외친 "위성 궤도 경유의 여객기"라는 구상이었다.
현재 스페이스플레인은 각국에 계획이 있지만 실용화 전망은 서 있지 않다. 우주 비행의 대폭적인 비용 절감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었지만, 스크램제트 엔진 개발이 난항을 겪고 있으며, 2009년 현재 기술로는 비행 속도·고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엔진을 탑재해야 하며, 또한 대기권 외에서는 로켓 엔진도 필요 불가결하기 때문에, 실용적인 기체를 설계할 수 없다.
2. 1. 우주 발사
궤도 진입에 필요한 비행 궤도는 상당한 공기역학적 하중, 진동 및 가속도를 발생시키며, 스페이스플레인의 기체 구조는 이를 모두 견뎌야 한다.발사체가 치명적인 고장을 일으킬 경우, 기존의 캡슐형 우주선은 발사 탈출 시스템을 통해 안전하게 탈출한다. 우주왕복선은 이 방식을 적용하기에는 너무 크고 무거웠으며, 이는 생존 가능성이 불확실한 일련의 비상 절차를 따르게 했다. 실제로 챌린저 참사는 우주왕복선이 상승 중에 생존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2. 2. 우주 환경
궤도에 진입한 우주왕복선은 태양 전지와 배터리 또는 연료 전지로 전력을 공급받고, 궤도 기동을 수행하며, 열 평형을 유지하고, 자세 제어 시스템을 통해 자세를 제어하며, 통신을 해야 한다. 궤도 열 환경 및 방사선 환경은 추가적인 부담을 준다.우주왕복선은 궤도 기동을 수행하기 위해 궤도 기동 시스템의 전용 엔진을 사용했다.[1] 이 엔진은 특수한 취급 주의가 필요한 유독성 초고속 로켓 추진제를 사용했다.[1] 가압용 헬륨과 생명 유지용 질소를 포함한 다양한 가스는 복합재 압력 용기에 고압으로 저장되었다.[1]
2. 3. 대기권 재진입
지구 대기권으로 재진입하는 궤도 우주선은 상당한 궤도 속도를 감소시켜야 하며, 이로 인해 대기 진입 시 극심한 가열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우주왕복선 열 보호 시스템(TPS)은 우주왕복선의 내부 구조를 약 1648.9°C에 달하는 표면 온도에서 보호한다.[6]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 참사는 TPS 고장의 직접적인 결과였다.
2. 4. 공기역학적 비행 및 수평 착륙
우주왕복선은 항공기처럼 대기권 비행이 가능해야 한다.[3][4][5]
우주왕복선은 자체 추진력으로 비행할 필요는 없으며, 하강 및 착륙 중 대기 중에서 공기역학적 제어면을 사용하여 기동하면서 관성으로 활공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의 우주왕복선은 자체 추진력으로는 비행할 수 없었지만, 궤도 이탈 후 운동량을 이용하여 활주로 목적지까지 활공했다.
착륙 장치는 추가적인 질량 증가를 감수하고라도 포함되어야 한다.
2. 5. 공기 흡입 궤도 스페이스플레인
공기흡입 궤도 우주왕복선은 '강하 궤도'라고 알려진 비행을 해야 하는데, 이는 우주왕복선을 대기권의 고고도 극초음속 비행 영역에 오랫동안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 환경은 특히 우주왕복선의 선두 표면에 높은 동압, 고온, 높은 열 흐름 부하를 유발하므로 외부 표면은 첨단 재료로 구성되거나 능동 냉각을 사용해야 한다.3. 개발 현황

스페이스플레인 개발은 여러 국가와 기업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다. 일부는 개발에 성공하여 퇴역하였고, 일부는 개발이 중단되거나 구상 단계에 머물러 있다.
다음은 날개를 가지고 비행기처럼 활공하며 착륙하지만, 발사에는 로켓을 사용하는 스페이스 플레인 목록이다.
| 개발 국가 | 명칭 | 그림 | 최초 공개 | 초도 비행 | 상태 | 비고 |
|---|---|---|---|---|---|---|
| 독일 | 실버보겔 | 1930년대 | 중단 | 나치 독일의 패전과 함께 연구 중단 | ||
| 미국 | X-15 | |||||
| 1954년 | 1959년 9월 17일 | 퇴역 | 유인 탄도 비행로켓기 | |||
| 미국 | 아이싱글라스 계획 | 1964년 | 중단 | A-12/SR-71의 후속으로 1964년부터 1968년에 걸쳐 진행되었지만 중단 | ||
| 미국 | 우주왕복선 | |||||
| 1969년 | 1981년 4월 12일 | 퇴역 | 유인 우주선, 로켓으로 발사 | |||
| 소련 | 에네르기야-부란 | |||||
| 1960년대 | 1988년 11월 15일 | 퇴역 | 로켓으로 발사 | |||
| 미국 | ![]() | 1960년대 | 중단 | |||
| 영국 | HOTOL | 1985년 | 중단 | 연구 중단 (1985년~1988년) | ||
| 미국 | X-30 NASP | |||||
| 1986년 | 중단 | 개발 중단 (1986년~1994년) | ||||
| 소련 | MAKS 스페이스 플레인 | 1988년 | 중단 | |||
| 징거II | 1988년 | 중단 | 미래형 유럽 우주 수송 조사 계획 (FESTIP)으로 이행 (1988년~1994년) | |||
| 일본 | 스페이스 플레인 | 1980년대 | 구상 | 2010년 시점에서 연구 수준. 실현은 상당히 늦어질 것으로 예상[51] | ||
| 일본 | HOPE | 1990년대 초 | 중단 | 로켓으로 발사 | ||
| 미국 | 벤처스타 | ![]() | 1996년 | 중단 | 수직 이착륙 수평 착륙의 단단계 로켓기 | |
| 미국 | X-37 | |||||
| 1996년 | 2010년 4월 22일 | 운용 중 | 무인 연구기. 로켓으로 발사. 미국 항공우주국이 손을 떼면서 2006년 이후에는 미국 공군 전속 프로젝트가 됨. | |||
| 인도 | 아바타 | 1998년 | 구상 | |||
| 러시아 | 클리퍼 | |||||
| 1990년대 | 중단 | 유인 우주선. 로켓으로 발사 | ||||
| 스케일드 컴포지트 | 스페이스십 원 | |||||
| 2003년 12월 17일 | 퇴역 | 유인 탄도 비행. 모선에서 공중 발사하는 로켓기 | ||||
| 시에라 네바다 코퍼레이션 | 드림 체이서 | |||||
| 2004년 | 개발 중 | 무인 우주선. 로켓으로 발사 | ||||
| 스페이스십 컴퍼니 | 스페이스십 투 | |||||
| 2006년 | 2013년 4월 29일 | 퇴역 | 유인 탄도 비행. 모선에서 공중 발사하는 로켓기 | |||
| 중국 | 2007년 | 개발 중 | 무인 연구기. 로켓으로 발사[52] | |||
| PD 에어로스페이스 | 페가수스 | 2009년 | 개발 중 | 유인 탄도 비행 스페이스 플레인 | ||
| 스카이론 | 2000년대 | 중단 | 공기 흡입 엔진을 사용하는 단단계 스페이스 플레인 | |||
| 오비탈 사이언시스 | 프로메테우스 | 2010년 | 중단 | 유인 우주선. 로켓으로 발사 | ||
| 미국 | XS-1 | 2013년 | 중단 | 무인 탄도 비행. 다단계 로켓의 1단계를 스페이스 플레인으로 대체하는 계획. | ||
| SPACE WALKER | 풍신 | 2018년 | 개발 중 | 무인 탄도 비행 스페이스 플레인 | ||
| 중국 | 재사용 가능한 실험 우주기 | 2020년 9월 4일 | 운용 중 | 무인 연구기. 로켓으로 발사. | ||
| 스페이스십 컴퍼니 | 스페이스십 III | 2021년 | 중단 | 유인 탄도 비행. 모선에서 공중 발사하는 로켓기 |
1980년대에 영국 항공우주는 혁신적인 SABRE 공기 흡입 로켓 엔진으로 구동되는 단단계 우주 비행체(SSTO)인 HOTOL 개발을 시작했지만, 기술적 및 재정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프로젝트가 취소되었다.[23]
록웰 X-30 국가 항공 우주기(NASP)는 항공기처럼 운용하고 왕복선처럼 궤도에 진입할 수 있는 스크램제트 차량을 개발하려는 시도였다. 1986년에 대중에게 공개되었으며, 마하 25에 도달하여 덜레스 공항에서 도쿄까지 2시간 만에 비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4] 그러나 NASP 프로그램은 1995년 1월 27일 공군의 HySTP 참여 종료로 중단되었다.[14]
록히드 마틴 X-33은 NASA가 의도한 대로 수소 탱크 설계를 제작할 수 없어 실패한 단일 단계 궤도 진입(SSTO) 수소 연료 우주 왕복선 벤처스타를 건설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1/3 크기 프로토타입이었다.
3. 1. 개발 완료 및 퇴역

노스아메리칸 X-15와 스페이스십원은 유인 아(亞)궤도 로켓 추진 항공기로 우주에 도달했다. 스페이스십투는 미국의 정의에 따른 우주 경계를 넘었지만,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더 높은 경계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이들은 모두 궤도 진입이 불가능했으며, 모선 항공기에 의해 높은 고도로 올려졌다.
미국 공군은 1950년대 후반 항공우주기 연구의 일환으로 다양한 우주 왕복선 프로젝트를 진행했지만, 이후 프로젝트 범위를 축소했다. 그 결과, 보잉 X-20 다이나-소어가 최초의 궤도 우주 왕복선이 될 예정이었으나, 1960년대 초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제미니 계획과 미국 공군의 유인 우주 비행 프로그램을 위해 취소되었다.[12][13]
1980년대에 시작된 록웰 X-30 국가 항공 우주기(NASP)는 항공기처럼 운용하고 왕복선처럼 궤도에 진입할 수 있는 스크램제트 차량을 개발하려는 시도였다. 1986년에 대중에게 공개되었으며, 마하 25에 도달하여 덜레스 공항에서 도쿄까지 2시간 만에 비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4] NASP 프로그램은 1994년 말에 극초음속 시스템 기술 프로그램(HySTP)이 되었고, 1995년 1월 27일 공군은 HySTP 참여를 종료했다.[14]
소련은 1960년대 초 로켓 발사 소형 우주왕복선인 라포토크의 예비 설계를 고려했다. 1960년대에서 1980년대에 걸쳐 소형 궤도 우주왕복선과 로켓을 2단계로 하는 스피랄 항공 우주 시스템을 개발했다. 미코얀-구레비치 MiG-105는 저속 핸들링 및 착륙을 탐색하기 위한 유인 시험 차량이었다.[19]
다음은 날개를 가지고 비행기처럼 활공하며 착륙하지만, 발사에는 로켓을 사용하는 스페이스 플레인 목록이다.
| 개발 국가 | 명칭 | 그림 | 최초 공개 | 초도 비행 | 상태 | 비고 |
|---|---|---|---|---|---|---|
| 독일 | 실버보겔 | 1930년대 | 중단 | 나치 독일의 패전과 함께 연구 중단 | ||
| 미국 | X-15 | |||||
| 1954년 | 1959년 9월 17일 | 퇴역 | 유인 탄도 비행로켓기 | |||
| 미국 | 아이싱글라스 계획 | 1964년 | 중단 | A-12/SR-71의 후속으로 1964년부터 1968년에 걸쳐 진행되었지만 중단 | ||
| 미국 | 우주왕복선 | |||||
| 1969년 | 1981년 4월 12일 | 퇴역 | 유인 우주선, 로켓으로 발사 | |||
| 소련 | 에네르기야-부란 | |||||
| 1960년대 | 1988년 11월 15일 | 퇴역 | 로켓으로 발사 | |||
| 미국 | 1960년대 | 중단 | ||||
| 영국 | HOTOL | 1985년 | 중단 | 연구 중단 (1985년~1988년) | ||
| 미국 | X-30 NASP | |||||
| 1986년 | 중단 | 개발 중단 (1986년~1994년) | ||||
| 소련 | MAKS 스페이스 플레인 | 1988년 | 중단 | |||
| 징거II | 1988년 | 중단 | 미래형 유럽 우주 수송 조사 계획 (FESTIP)으로 이행 (1988년~1994년) | |||
| 일본 | 스페이스 플레인 | 1980년대 | 구상 | 2010년 시점에서 연구 수준. 실현은 상당히 늦어질 것으로 예상[51] | ||
| 일본 | HOPE | 1990년대 초 | 중단 | 로켓으로 발사 | ||
| 미국 | 벤처스타 | 1996년 | 중단 | 수직 이착륙 수평 착륙의 단단계 로켓기 | ||
| 미국 | X-37 | |||||
| 1996년 | 2010년 4월 22일 | 운용 중 | 무인 연구기. 로켓으로 발사. 미국 항공우주국이 손을 떼면서 2006년 이후에는 미국 공군 전속 프로젝트가 됨. | |||
| 인도 | 아바타 | 1998년 | 구상 | |||
| 러시아 | 클리퍼 | |||||
| 1990년대 | 중단 | 유인 우주선. 로켓으로 발사 | ||||
| 스케일드 컴포지트 | 스페이스십 원 | |||||
| 2003년 12월 17일 | 퇴역 | 유인 탄도 비행. 모선에서 공중 발사하는 로켓기 | ||||
| 시에라 네바다 코퍼레이션 | 드림 체이서 | |||||
| 2004년 | 개발 중 | 무인 우주선. 로켓으로 발사 | ||||
| 스페이스십 컴퍼니 | 스페이스십 투 | |||||
| 2006년 | 2013년 4월 29일 | 퇴역 | 유인 탄도 비행. 모선에서 공중 발사하는 로켓기 | |||
| 중국 | 2007년 | 개발 중 | 무인 연구기. 로켓으로 발사[52] | |||
| PD 에어로스페이스 | 페가수스 | 2009년 | 개발 중 | 유인 탄도 비행 스페이스 플레인 | ||
| 스카이론 | 2000년대 | 중단 | 공기 흡입 엔진을 사용하는 단단계 스페이스 플레인 | |||
| 오비탈 사이언시스 | 프로메테우스 | 2010년 | 중단 | 유인 우주선. 로켓으로 발사 | ||
| 미국 | XS-1 | 2013년 | 중단 | 무인 탄도 비행. 다단계 로켓의 1단계를 스페이스 플레인으로 대체하는 계획. | ||
| SPACE WALKER | 풍신 | 2018년 | 개발 중 | 무인 탄도 비행 스페이스 플레인 | ||
| 중국 | 재사용 가능한 실험 우주기 | 2020년 9월 4일 | 운용 중 | 무인 연구기. 로켓으로 발사. | ||
| 스페이스십 컴퍼니 | 스페이스십 III | 2021년 | 중단 | 유인 탄도 비행. 모선에서 공중 발사하는 로켓기 |
3. 2. 개발 중 또는 구상 단계
- X-37 (미국): 무인 로봇 우주왕복선으로, 현재 운용 중이다.
- 중국 재사용 실험 우주선: 중국의 로봇 우주왕복선이다.
- 드림 체이서 (미국): 무인 우주왕복선으로, 개발 중이다.
- 선롱 (중국): 보잉 X-37과 유사한 중국의 로봇 우주왕복선으로 개발 중이다.[38]
- 재사용 발사체 기술 시연 프로그램 (인도): 2단 궤도 진입 재사용 발사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한 첫 단계로, 소형 우주왕복선 시험을 진행했다.[43]
- 날개 재사용 발사체 (일본): 회수 가능한 1단계 발사체 또는 유인 준궤도 우주왕복선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46]
- Dawn Mk-II Aurora (국제): 던 항공우주(Dawn Aerospace)가 하루에 여러 차례 준궤도 비행을 시연하기 위해 개발 중인 준궤도 우주선이다. 던 항공우주는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미국의 CAA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47]
3. 3. 개발 중단
록웰 X-30 국가 항공 우주기(NASP)는 항공기처럼 운용하고 왕복선처럼 궤도에 진입할 수 있는 스크램제트 차량을 개발하려는 시도였다. 1986년에 대중에게 공개된 이 개념은 마하 25에 도달하여 덜레스 공항에서 도쿄까지 2시간 만에 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저궤도 비행도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14] 그러나 NASP 프로그램은 1995년 1월 27일 공군의 HySTP 참여 종료로 중단되었다.[14]
1980년대에 영국 항공우주는 혁신적인 SABRE 공기 흡입 로켓 엔진으로 구동되는 단단계 우주 비행체(SSTO)인 HOTOL 개발을 시작했지만 기술적 및 재정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프로젝트가 취소되었다.[23]
록히드 마틴 X-33은 NASA가 의도한 대로 수소 탱크 설계를 제작할 수 없어 실패한 단일 단계 궤도 진입(SSTO) 수소 연료 우주 왕복선 벤처스타를 건설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1/3 크기 프로토타입이었다.
4. 주요 스페이스플레인 (표)
| 개발 국가 | 명칭 | 그림 | 최초 공개 | 초도 비행 | 상태 | 비고 |
|---|---|---|---|---|---|---|
| 독일 | 실버보겔 | 1930년대 | 중단 | 나치 독일의 패전과 함께 연구 중단 | ||
| 미국 | X-15 | -- | 1954년 | 1959년 9월 17일 | 퇴역 | 유인 탄도 비행로켓기 |
| 미국 | 아이싱글라스 계획Project Isinglass영어 | 1964년 | 중단 | A-12/SR-71의 후속으로 1964년부터 1968년에 걸쳐 진행되었지만 중단되었다. | ||
| 미국 | 우주왕복선 | -- | 1969년 | 1981년 4월 12일 | 퇴역 | 유인 우주선. 로켓으로 발사 |
| 소련 | 에네르기야-부란 | -- | 1960년대 | 1988년 11월 15일 | 퇴역 | 로켓으로 발사 |
| 미국 | North American DC-3|DC-3영어 | 1960년대 | 중단 | |||
| 영국 | HOTOL | 1985년 | 중단 | 연구 중단 (1985년~1988년) | ||
| 미국 | X-30 NASP | -- | 1986년 | 중단 | 개발 중단 (1986년~1994년) | |
| 소련 | MAKS 스페이스 플레인 | 1988년 | 중단 | |||
| 징거II | 1988년 | 중단 | 미래형 유럽 우주 수송 조사 계획 (FESTIP)으로 이행 (1988년~1994년) | |||
| 일본 | 스페이스 플레인 | 1980년대 | 구상 | 2010년 시점에서 연구 수준. 실현은 상당히 늦어질 것으로 예상[51] | ||
| 일본 | HOPE | 1990년대 초 | 중단 | 로켓으로 발사 | ||
| 미국 | 벤처스타 | 1996년 | 중단 | 수직 이착륙 수평 착륙의 단단계 로켓기 | ||
| 미국 | X-37 | -- | 1996년 | 2010년 4월 22일 | 운용 중 | 무인 연구기. 로켓으로 발사. 미국 항공우주국이 손을 떼면서 2006년 이후에는 미국 공군 전속 프로젝트가 됨. |
| 인도 | 아바타 | 1998년 | 구상 | |||
| 러시아 | 클리퍼 | -- | 1990년대 | 중단 | 유인 우주선. 로켓으로 발사 | |
| 스케일드 컴포지트 | 스페이스십 원 | -- | 2003년 12월 17일 | 퇴역 | 유인 탄도 비행. 모선에서 공중 발사하는 로켓기 | |
| 시에라 네바다 코퍼레이션 | 드림 체이서 | -- | 2004년 | 개발 중 | 무인 우주선. 로켓으로 발사 | |
| 스페이스십 컴퍼니 | 스페이스십 투 | -- | 2006년 | 2013년 4월 29일 | 퇴역 | 유인 탄도 비행. 모선에서 공중 발사하는 로켓기 |
| 중국 | Shenlong (spacecraft)|신룡영어 | 2007년 | 개발 중 | 무인 연구기. 로켓으로 발사[52] | ||
| PD 에어로스페이스 | 페가수스 | 2009년 | 개발 중 | 유인 탄도 비행 스페이스 플레인 | ||
| Reaction Engines Limited|리액션 엔진스영어 | 스카이론 | 2000년대 | 중단 | 공기 흡입 엔진을 사용하는 단단계 스페이스 플레인 | ||
| 오비탈 사이언시스 | 프로메테우스 | 2010년 | 중단 | 유인 우주선. 로켓으로 발사 | ||
| 미국 | XS-1 | 2013년 | 중단 | 무인 탄도 비행. 다단계 로켓의 1단계를 스페이스 플레인으로 대체하는 계획. | ||
| SPACE WALKER | 풍신 | 2018년 | 개발 중 | 무인 탄도 비행 스페이스 플레인 | ||
| 중국 | 재사용 가능한 실험 우주기 | 2020년 9월 4일 | 운용 중 | 무인 연구기. 로켓으로 발사. | ||
| 스페이스십 컴퍼니 | 스페이스십 III | 2021년 | 중단 | 유인 탄도 비행. 모선에서 공중 발사하는 로켓기 |
5. JAXA의 스페이스플레인
NAL는 1980년대부터 스페이스플레인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2003년 JAXA로 통합된 후에도 연구가 계속되었다. 2006년 현재까지 이 스페이스플레인에는 특별한 명칭이 없으며, 단순히 "스페이스플레인"이라고 불리고 있다. 미국의 NASP와 유사한 형상의 [https://web.archive.org/web/20060508064303/http://spaceinfo.jaxa.jp/note/rocket/j/roc13_j.html 상상도]와, 우주왕복선과 같은 우주선을 짊어진 2단식 [http://spaceinfo.jaxa.jp/ja/space_plane.html 상상도]가 공개되었다.
구 ISAS에서도 기초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JAXA 통합 후에도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 ATREX에서도 응용 사례로 2단식 스페이스플레인의 상상도를 제시하고 있다.
참조
[1]
뉴스
25 Years Ago, NASA Envisioned Its Own 'Orient Expres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4-10-20
[2]
웹사이트
Spaceplanes: The return of the reusable spacecraft?
https://www.bbc.com/[...]
2021-01-22
[3]
웹사이트
Re-entry and Landing Procedures: A Guide to Safe Spacecraft Descent - Space Voyage Ventures
https://spacevoyagev[...]
2024-02-23
[4]
웹사이트
The Aeronautics of the Space Shuttle - NASA
https://www.nasa.gov[...]
2003-12-29
[5]
웹사이트
Returning from Space: Re-entry
https://www.faa.gov/[...]
[6]
웹사이트
Orbiter Thermal Protection System
http://www-pao.ksc.n[...]
NASA/Kennedy Space Center
1989
[7]
웹사이트
Virgin Galactic's spaceplane finally makes it to space for the first time
https://www.theverge[...]
2018-12-13
[8]
웹사이트
Hyflex
http://www.astronaut[...]
[9]
웹사이트
HYFLEX
http://www.rocket.ja[...]
Space Transportation System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JAXA
[10]
웹사이트
NOVA Online {{!}} Stationed in the Stars {{!}} Inspired by Science Fiction
https://www.pbs.org/[...]
[11]
웹사이트
CHAPTER 1: SPACE STATIONS AND WINGED ROCKETS
https://history.nasa[...]
1999
[12]
웹사이트
Boeing's X-20 Dyna-Soar Was The Air Force's 'Spaceplane' That Never Flew
https://thedebrief.o[...]
2021-06-21
[13]
웹사이트
USAF X-20 “Dyna-Soar” Program Draftees {{!}} Spaceline
https://www.spacelin[...]
[14]
웹사이트
X-30 National Aerospace Plane (NASP)
https://fas.org/irp/[...]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15]
웹사이트
Black Horse
http://www.astronaut[...]
[16]
간행물
Black Horse: One Stop to Orbit
http://www.risacher.[...]
1995-06
[17]
뉴스
Two-Stage-to-Orbit 'Blackstar' System Shelved at Groom Lake?
http://www.aviationw[...]
Aviation Week & Space Technology
2006-03-05
[18]
뉴스
Secretive US X-37B Space Plane Could Evolve to Carry Astronauts
http://www.space.com[...]
Space.com
2011-10-07
[19]
서적
Soviet X-planes
Midland Publishers
2000
[20]
웹사이트
Russia Develops New Aircraft – Cosmoplane
http://russia-ic.com[...]
Russia-InfoCentre
2006-02-27
[21]
웹사이트
Космоплан – самолет будущего
http://www.rususa.co[...]
2003-11-03
[22]
웹사이트
MUSTARD (Multi-Unit Space Transport and Recovery Device)
http://www.daviddarl[...]
2010
[23]
웹사이트
HOTOL History
http://www.reactione[...]
Reaction Engines Limited
2010
[24]
웹사이트
Skylon FAQ
http://www.reactione[...]
Reaction Engines Limited
2010
[25]
문서
Skylon Aerodynamics and SABRE Plumes
NASA
2015
[26]
웹사이트
Big Test Looms for British Space Plane Concept
https://www.space.co[...]
2011-04-18
[27]
웹사이트
Bristol Spaceplanes Company Information
http://bristolspacep[...]
Bristol Spaceplanes
2014
[28]
논문
Hermes: Learning from our mistakes
1995-08
[29]
웹사이트
Saenger II
http://www.astronaut[...]
[30]
웹사이트
Germany and Piloted Space Missions
https://fas.org/spp/[...]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31]
뉴스
Europe's space shuttle passes early test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4-05-10
[32]
뉴스
Launching the next generation of rockets
http://news.bbc.co.u[...]
BBC News
2004-10-01
[33]
논문
Possible Future European Launchers, A Process of Convergence
http://www.esa.int/e[...]
European Space Agency
1999-03
[34]
뉴스
Europe Aims For Re-entry Spacecraft
http://www.space.com[...]
Space.com
2008-10-15
[35]
뉴스
Indian Scientists unveils space plane Avatar in US
http://www.scity.guj[...]
Gujarat Science City
2001-07-10
[36]
뉴스
India Eyes New Spaceplane Concept
http://www.spacedail[...]
2014-10-22
[37]
뉴스
AVATAR- Hyper Plane to be built by INDIA
2011-12-19
[38]
웹사이트
China's Mystery Space Plane Project Stirs Up Questions
http://www.space.com[...]
2015-06-13
[39]
웹사이트
"...And Races into Space"
http://www.strategyc[...]
International Assessment and Strategy Center
2008-01-03
[40]
웹사이트
Shenlong Space Plane Advances China's Military Space Potential
http://www.strategyc[...]
International Assessment and Strategy Center
2015-02-12
[41]
웹사이트
Invoking China to keep the shuttle alive
http://www.spacepoli[...]
2008-01-03
[42]
웹사이트
FAST20XX (Future High-Altitude High-Speed Transport 20XX) / Space Engineering & Technology / Our Activities / ESA
http://www.esa.int/O[...]
Esa.int
2012-10-02
[43]
웹사이트
India's Reusable Launch Vehicle-Technology Demonstrator (RLV-TD), Successfully Flight Tested
http://www.isro.gov.[...]
Indian Space Research Organisation
2016-12-27
[44]
웹사이트
Reusable Launch Vehicle Autonomous Landing Mission (RLV LEX)
https://www.isro.gov[...]
2023-04-02
[45]
뉴스
Isro reusable launch vehicle's landing experiment successful; RLV closer to orbital re-entry mission
https://timesofindia[...]
2023-04-02
[46]
간행물
Subscale Winged Rocke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o Future Reusable Space Transportation
https://www.research[...]
[47]
웹사이트
Dawn Aerospace wins license for suborbital flights
https://spacenews.co[...]
2022-08-19
[48]
웹사이트
Dawn Aerospace conducts five flights of its suborbital spaceplane
https://techcrunch.c[...]
2021-08-25
[49]
웹사이트
After nearly 40 flights on surrogate jets, we are pretty close to - Stefan Powell on LinkedIn
https://www.linkedin[...]
2022-08-19
[50]
웹사이트
Mk-I vehicle: Rocket power in flight, multiple times per hour
https://www.dawnaero[...]
2022-08-19
[51]
서적
第一部「国際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が拓く有人宇宙開発」 で出された意見
https://fanfun.jaxa.[...]
JAXA
2012-06-08
[52]
뉴스
Shenlong Space Plane: China’s Answer To U.S. X-37B Drone?
https://www.huffpost[...]
2019-10-21
[53]
웹인용
스페이스 플레인
http://100.daum.net/[...]
2018-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