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결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간 결정은 시간적 대칭성의 자발적 파괴를 통해 형성되는 물질의 상태이다. 2012년 프랭크 윌첵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으며, 일반적인 결정이 공간에서 주기적인 것과 달리 시간 결정은 시간에서 반복적인 구조를 갖는다. 시간 결정은 시간 병진 대칭성을 깨뜨리고 시간에 따라 주기적인 패턴을 나타낸다. 2017년, 이산 시간 결정이 처음으로 실험적으로 구현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실험을 통해 시간 결정의 특성이 연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역학의 분과 - 열화학
열화학은 화학 반응이나 상변화에서 발생하는 열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열량계를 사용하여 열 변화를 측정하고 열역학적 계를 분류하여 분석한다. - 열역학의 분과 - 블랙홀 열역학
블랙홀 열역학은 블랙홀의 물리적 법칙을 다루는 분야로, 열역학 법칙과 유사한 블랙홀 역학 법칙을 통해 설명되며, 블랙홀의 온도와 엔트로피를 정의하고, 끈 이론과 우주론적 사건 지평선으로 확장된다. - 2012년 과학 - 433 에로스
1898년 카를 구스타프 비트가 발견한 433 에로스는 그리스 신화의 사랑의 신 이름을 딴 최초의 지구 근접 소행성이자 남성 이름의 소행성으로, NEAR 슈메이커 탐사선의 탐사 결과 땅콩 모양이며 지구와의 충돌 가능성도 있는 잠재적 위협으로 여겨진다. - 2012년 과학 - 딥씨 챌린저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와 롤렉스의 지원으로 제작된 심해 잠수정 딥씨 챌린저는 론 앨럼이 개발하고 제임스 카메론 감독이 마리아나 해구 탐사에 사용했으며, 우즈 홀 해양 연구소에 기증되어 심해 연구에 활용되다 화재로 손상되었다. - 물리학의 역설 - 올베르스의 역설
올베르스의 역설은 무한하고 균일한 우주에 무수히 많은 별이 존재할 경우 밤하늘이 밝아야 한다는 역설로, 우주의 유한성, 빛의 속도, 팽창, 적색편이 현상 등으로 해결된다. - 물리학의 역설 - 중력 특이점
중력 특이점은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시공간이 정의되지 않고 물리량이 무한대로 발산하는 지점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론에 따라 존재가 부정되거나 사건 지평선 뒤에 숨겨져 있다고 여겨지기도 하고 블랙홀의 엔트로피와 관련된 호킹 복사 이론과도 관련된다.
시간 결정 | |
---|---|
개요 | |
유형 | 비평형 물질의 새로운 유형 또는 위상 |
설명 | 시간 속에서 반복되는 구조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응집물질물리학 결정 준결정 시간 결정 메모리 |
2. 역사
일반 결정은 공간적 대칭성과 관련된 자발적인 대칭성 깨짐을 통해 형성된다. 다이아몬드, 소금 결정과 같이, 이러한 과정은 흥미로운 특성을 가진 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 시간 결정은 이와 유사하게 시간 이동 대칭성의 자발적인 깨짐을 통해 발생한다.[7]
시간 결정의 아이디어는 2012년 노벨상 수상자이자 MIT 교수인 프랭크 윌첵이 처음 제안했다.[21][22][78] 2013년, 버클리의 나노 엔지니어 샹 장(Xiang Zhang)과 그의 연구팀은 전하를 띤 이온이 끊임없이 회전하는 고리 형태의 시간 결정을 만들 것을 제안했다.[23][24][79]
윌첵과 장의 제안에 대해, 유럽 싱크로트론 방사선 시설의 패트릭 브루노(Patrick Bruno)와 도쿄 대학의 오시카와 마사키(Masaki Oshikawa)는 시공간 결정은 불가능하다는 내용의 여러 논문을 발표했다.[25][26][80][81]
이후 연구에서는 시간 병진 대칭성 붕괴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의가 개발되었고, 평형 상태의 양자 시공간 결정은 불가능하다는 와타나베-오시카와 "불가능성 정리"로 이어졌다.[27][28][76][82] 이후 연구에서는 와타나베와 오시카와의 범위를 제한했다. 엄밀히 말하면, 그들은 공간과 시간 모두에서 장거리 질서가 평형 상태에서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시간 병진 대칭성 단독의 붕괴는 여전히 가능했다.[29][30][31]
이후 평형 상태의 불가능성 논의를 피하는 시간 결정의 여러 구현이 제안되었다.[32][83] 2014년, 크라쿠프의 야기엘론 대학교의 Krzysztof Sacha|크리스토프 사차pl는 "진동하는 거울 위에서 튕겨져 나오는 초저온 원자 구름"을 갖는 주기적으로 구동되는 시스템에서 이산 시간 결정의 거동을 예측했다.[33][34][77]
2016년, 프린스턴과 산타바바라의 연구 그룹은 주기적으로 구동되는 양자 스핀 시스템이 유사한 거동을 보일 수 있다고 독립적으로 제안했다.[35][84] 또한 2016년, 버클리의 노먼 야오(Norman Yao)와 동료들은 스핀 시스템에서 이산 시간 결정을 만드는 다른 방법을 제안했다.[36][85] 이러한 아이디어는 하버드 대학교의 미하일 루킨(Mikhail Lukin)[37][86]이 이끄는 그룹과 메릴랜드 대학교의 크리스토퍼 먼로(Christopher Monroe)가 이끄는 그룹에 의해 독립적으로 실현되었다.[38][87] 두 실험 모두 2017년 3월 ''네이처''의 같은 호에 게재되었다.
이후 이산[39][40][41][42] 및 연속[43][44] 시간 병진 대칭성을 깨는, 이른바 소산 시간 결정인 열린 시스템의 시간 결정이 제안되었다. 소산 시간 결정은 2021년 함부르크 대학교 레이저 물리학 연구소의 안드레아스 헤머리히(Andreas Hemmerich) 그룹에 의해 처음으로 실험적으로 실현되었다.[45] 연구자들은 소산 광 공동에 강하게 결합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을 사용했으며, 시간 결정은 두 원자 밀도 패턴 사이를 주기적으로 전환하여 이산 시간 병진 대칭성을 자발적으로 깨는 것을 보여주었다.[45][46][47]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의 틸만 에슬링거(Tilman Esslinger) 그룹의 이전 실험에서는 2019년에 리미트 사이클 동역학[48]이 관찰되었지만,[49] 교란에 대한 견고성과 시간 병진 대칭성 파괴의 자발성에 대한 증거는 제시되지 않았다.
2019년, 물리학자 발레리 코진(Valerii Kozin)과 올렉산드르 키리옌코(Oleksandr Kyriienko)는 시스템이 특이한 장거리 다입자 상호 작용을 포함하는 경우, 이론적으로 고립된 시스템으로 영구적인 양자 시간 결정이 존재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기존의 "불가능" 논쟁은 만큼 빠르게 감소하는 전형적인 단거리 필드가 있는 경우에만 유효하다. 대신, 코진과 키리옌코는 장거리 다중 스핀 상호 작용을 가진 스핀-1/2 다체 해밀토니안을 분석하여 연속 시간 병진 대칭성을 깨는 것을 보여주었다. 시스템이 닫혀 있고 바닥 상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스템의 특정 스핀 상관 관계는 시간에 따라 진동한다. 그러나 실제로 그러한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은 지나치게 어려울 수 있으며,[50][51] 모델의 장거리 특성의 물리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52]
2022년, 한스 케슬러(Hans Keßler)와 안드레아스 헤머리히(Andreas Hemmerich)가 감독한 함부르크 연구팀은 연속 시간 병진 대칭성의 자발적 파괴를 나타내는 연속 소산 시간 결정을 처음으로 시연했다.[72][73][74][75]
2024년 2월, 독일 도르트문트 대학교의 연구팀은 인듐 갈륨 비소로 만든 시간 결정을 개발하여 이전 기록인 약 5밀리초보다 거의 1,000만 배나 긴 40분 동안 지속되었다. 또한 어떤 붕괴도 없다는 것은 결정이 "최소 몇 시간, 어쩌면 더 오래" 지속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53][54][55][56][57]
3. 개념
시간 결정은 비공식적으로 시간-주기적 자기 조직 구조로 정의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결정이 공간에서 주기적인 구조를 갖는 반면, 시간 결정은 시간에 대해 주기적인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진자 시계의 진자는 시간에 대해 주기적이지만, 시간 결정은 "자발적으로" 자기 조직화되어 견고한 주기적 운동을 보인다는 특징이 있다(시간적 대칭성을 깨뜨림).[7]
시간 결정의 개념은 2012년 MIT 교수이자 노벨상 수상자인 프랭크 윌첵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다.[78] 2013년에는 버클리의 나노 엔지니어 Xiang Zhang과 그의 팀이 끊임없이 회전하는 하전된 이온 형태로 시간 결정을 만드는 것을 제안했다.[79]
이후 프랑스 그르노블에 있는 유럽 싱크로트론 방사광 시설의 이론가 Patrick Bruno와 도쿄 대학의 오시카와 마사키는 시간 결정이 바닥 상태에서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밝혀냈다.[80][81]
이후의 연구를 통해 시간 병진 대칭성의 파괴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의가 발전했으며, 평형 상태의 양자 시간 결정은 불가능하다는 노고 정리으로 이어졌다.[82][76] 그러나 평형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피하는 시간 결정을 구현하는 방법이 제안되었고,[83] 야기엘론 대학교의 Krzysztof Sacha는 주기적으로 구동되는 극저온 원자계의 이산 시간 결정의 거동을 예측했다.[77] 이후 주기적으로 구동되는 양자 스핀계가 유사한 거동을 보인다는 연구와[84] 버클리의 Norman Yao가 시간 결정의 다른 모델을 연구했다.[85] 그리고, Yao의 청사진은 하버드 대학교와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86][87]
물리 법칙은 우주의 어디에서나 똑같이 작용한다는 대칭성(보편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블랙홀의 중심에서는 물리 법칙이 통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공간 대칭성이 깨져있다"라고 표현한다. 상대성 이론에서는 공간과 시간을 불가분의 것으로 생각하는 시공간을 다루기 때문에, 공간 대칭성이 깨졌다면 시간 대칭성도 깨질 수 있다는 예상이 나왔다.
원래 물리 법칙은 시간에서도 언제나 똑같이 작용해야 하지만, 양자역학의 세계에서는 기존의 물리 법칙이 통용되지 않는 현상이 관측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물질에 1초 간격으로 에너지를 조사했을 때, 물질도 1초 간격으로 반응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물질의 반응이 0.5초 간격으로 빨라지거나, 2초 간격으로 늦어지거나, 무작위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시간 대칭성이 깨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에너지 보존의 법칙에도 위배되는 현상이다.
3. 1. 시간 병진 대칭성
뇌터 정리에 따르면 자연의 대칭성은 보존 법칙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8]
시간 병진 대칭성은 시간이 흘러도 물리 법칙은 변하지 않는다는 개념이다.[9] 즉,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자연 법칙은 과거에도 똑같이 적용되었고, 미래에도 변함없이 적용될 것이다.[9] 이러한 시간 병진 대칭성은 에너지 보존을 의미한다.[10]
3. 2. 일반 결정에서의 깨진 대칭
일반적인 결정은 '깨진 병진 대칭'을 나타낸다. 즉, 공간에서 반복적인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임의의 병진 또는 회전에 불변하지 않다. 물리학의 법칙은 임의의 병진과 회전에 의해 변하지 않지만, 결정의 원자를 고정하면 결정 내의 전자 또는 다른 입자의 역학은 결정에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라 달라지며, 입자 운동량은 결정의 원자와 상호 작용하여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클라프 과정에서 그렇다.[11] 그러나 준운동량은 완벽한 결정에서 보존된다.[12]
시간 결정은 이산 공간-병진 대칭 깨짐과 유사한 깨진 대칭을 보여준다.
3. 3. 이산 시간 결정 (DTC)에서의 깨진 대칭
시간 결정은 시간 병진 대칭성을 깨는 것으로 보이며, 시스템의 법칙이 시간의 병진에 의해 불변하더라도 시간에 반복적인 패턴을 보인다. 실험적으로 실현된 시간 결정은 ''연속적인'' 시간 병진 대칭성 파괴가 아닌 ''이산적인'' 시간 병진 대칭성 파괴를 보여준다. 즉, 구동력 주파수의 ''분수''로 진동하는 주기적으로 구동되는 시스템이다.[13]
이산 시간 결정은 다음과 같은 엄격한 '''이산 시간 병진 대칭성 파괴''' 정의를 따른다는 점에서 고유하다:[15]
또한, 시간 결정에서의 깨진 대칭성은 다체 상호 작용의 결과이다. 질서는 공간 결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집단적 과정''의 결과이다.[14]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이산 시간 결정은 공간 결정과 유사하며, 비평형 물질의 새로운 유형 또는 상으로 간주될 수 있다.[14]
처음 대칭성은 이산 시간 병진 대칭성()으로, 일 때 자발적으로 인 더 낮은 이산 시간 병진 대칭성으로 깨진다. 여기서 는 시간, 는 구동 주기, 은 정수이다.[14]
많은 시스템이 자발적인 시간 병진 대칭성 파괴의 동작을 보일 수 있지만, 이산 시간 결정(또는 플로케 시간 결정)이 아닐 수 있다. 대류 세포, 진동 화학 반응, 공력 탄성 진동, 파라데이 불안정성, NMR 스핀 에코와 같은 주기적 구동력에 대한 서브하모닉 응답, 파라메트릭 다운 변환, 주기 배증된 비선형 동적 시스템 등이 있다.[14]
일반적으로 물질에 1초 간격으로 에너지를 조사(照射)했다면, 물질도 1초 간격으로 반응해야 한다. 그러나 1초 간격으로 에너지를 조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질의 반응이 0.5초 간격으로 빨라지거나, 2초 간격으로 늦어지거나, 또는 무작위로 변화하는 경우, 기존의 물리 법칙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므로 시간 대칭성이 깨진 것이 된다. 1초에 1번만 조사하고 있는 에너지가 1초에 2번 돌아온다면, 그것은 에너지가 2배로 증폭된 것이 되어 에너지 보존의 법칙에도 위배된다. 이러한 이상한 물리 법칙의 변화나 불균일성을 결정학의 결정계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따라 "시간 결정은 이산적 주기성을 가지며, 시간 병진 대칭성을 깬다" 등으로 표현한다.
4. 열역학
시간 결정은 열역학 법칙을 위반하지 않는다. 전체 시스템의 에너지는 보존되며, 이러한 결정은 열 에너지를 기계적 일로 자발적으로 변환하지 않으며, 영구적인 일 저장소 역할을 할 수 없다. 그러나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는 한 고정된 패턴으로 영구적으로 시간 변화를 겪을 수 있다. 이들은 "에너지 없는 운동"[16]을 가지며, 겉보기 운동은 기존의 운동 에너지를 나타내지 않는다.[17]
시간 결정은 열역학 제2법칙을 회피하지 않으며,[18] 열역학에서 시간 결정의 엔트로피는 시스템의 무질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이해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어 감소하지 않음으로써 열역학 제2법칙을 간신히 만족시킨다.[19][20]
5. 실험
2016년 10월, 메릴랜드 대학교의 크리스토퍼 먼로는 야오(Yao) 등이 제안한 아이디어를 사용하여[36] 세계 최초의 이산 시간 결정을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같은 해, 미하일 루킨도 하버드 대학교에서 구동 시간 결정의 생성을 보고했다.[37]
2018년 5월, 알토 대학교의 연구팀은 절대 영도에서 켈빈의 만 분의 일 이내로 냉각된 헬륨-3 초유체에서 시간 준결정의 형성 및 연속 시간 결정으로의 위상 전이를 관찰했다고 보고했다.[58] 2020년 8월 17일 ''네이처 머터리얼스''는 동일한 연구팀의 논문을 게재하여, 처음으로 두 개의 시간 결정 사이의 구성 입자의 상호 작용과 흐름을 관찰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59]
2021년 2월, 막스 플랑크 지능형 시스템 연구소의 연구팀은 마그논으로 구성된 시간 결정을 생성하고 이를 주사 투과 X선 현미경으로 탐지하여 이러한 유형의 최초의 비디오 기록에서 반복적인 주기적 자화 구조를 포착했다고 설명했다.[60][61]
2021년 7월, 함부르크 대학교 레이저 물리학 연구소의 안드레아스 헤머리히가 이끄는 연구팀은 초저온 원자를 광학 공진기에 결합하여 "소산 시간 결정"이라고 하는 열린 시스템에서 시간 결정을 처음으로 구현했다.[45][46][47]
2021년 11월, 구글과 여러 대학의 물리학자들의 협력으로 구글의 시카모어 프로세서, 즉 양자 컴퓨팅 장치에서 이산 시간 결정의 관찰이 보고되었다.[20][62]
2022년 2월, UC 리버사이드의 한 과학자는 2021년 7월의 시스템과 유사하지만 전적으로 광학적인 소산 시간 결정을 보고했으며, 이를 통해 실온에서 작동할 수 있었다.[67][68]
2022년 3월, 멜버른 대학교의 두 물리학자가 양자 프로세서에서 시간 결정을 연구하는 새로운 실험을 수행했으며, 이번에는 IBM의 양자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총 57개의 큐비트를 관찰했다.[69][70][71]
2022년 6월, 한스 케슬러와 안드레아스 헤머리히가 감독하는 함부르크 대학교 레이저 물리학 연구소의 연구팀에서 연속 시간 결정의 관찰이 보고되었다.[72][73][74][75]
6. 관련 개념
프랭크 윌첵이 2012년에 시간 결정 개념을 처음 제시했다.[78] 이후, "안무 결정체"(직역하면 "무용 결정")라고 불리는 유사한 개념이 제안되었다.[91]
참조
[1]
웹사이트
Viewpoint: Crystals of Time
http://physics.aps.o[...]
APS Physics
2012-10-15
[2]
논문
Modeling spontaneous breaking of time-translation symmetry
[3]
harvp
[4]
harvp
[5]
논문
How to Create a Time Crystal
https://physics.aps.[...]
American Physical Society
2021-04-05
[6]
웹사이트
Physicists Create World's First Time Crystal
https://www.technolo[...]
[7]
논문
Time crystals: a review
2018-01-01
[8]
서적
Conceptual Foundations of Quantum Field The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03-25
[9]
서적
A Beautiful Question: Finding Nature's Deep Design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2015-07-16
[10]
서적
Introduction to Condensed Matter Physics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11]
서적
Fundamentals of the Physics of Solids: Volume 1: Structure and Dynam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7-09-19
[12]
서적
Fundamentals of the Physics of Solids: Volume 1: Structure and Dynam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7-09-19
[13]
논문
In search of time crystals
https://physicsworld[...]
2021-09-06
[14]
논문
Discrete Time Crystals
https://doi.org/10.1[...]
2020-03
[15]
논문
Time crystals in periodically driven systems
[16]
뉴스
Time Crystals Might Exist After All – And They Could Break Space-Time Symmetry
https://www.sciencea[...]
2017-09-21
[17]
뉴스
'Time Crystals' Could Be a Legitimate Form of Perpetual Motion
https://www.scientif[...]
2023-07-22
[18]
뉴스
Google May Have Created an Unruly New State of Matter: Time Crystals
https://www.popularm[...]
Popular Mechanics
2021-08-04
[19]
웹사이트
Physicists create time crystals with quantum computers
https://phys.org/new[...]
2021-12-03
[20]
논문
Time-Crystalline Eigenstate Order on a Quantum Processor
[21]
논문
Quantum Time Crystals
[22]
논문
Classical Time Crystals
[23]
harvs
[24]
웹사이트
Perpetual Motion Test Could Amend Theory of Time
https://www.quantama[...]
Simons Foundation
2013-04-25
[25]
harvp
[26]
웹사이트
Notes from the Editors: The Aftermath of a Controversial Idea
http://physics.aps.o[...]
APS Physics
2013-03-15
[27]
harvp
[28]
논문
Absence of Quantum Time Crystals
[29]
논문
Isolated Heisenberg magnet as a quantum time crystal
2020-07-20
[30]
간행물
A Brief History of Time Crystals
2019-10-23
[31]
논문
Out-of-equilibrium phase diagram of long-range superconductors
2020
[32]
harvp
[33]
논문
Modeling spontaneous breaking of time-translation symmetry
[34]
서적
Time Crystals
https://link.springe[...]
Springer
2020
[35]
harvp
[36]
논문
Discrete Time Crystals: Rigidity, Criticality, and Realizations
https://physics.aps.[...]
[37]
논문
Observation of discrete time-crystalline order in a disordered dipolar many-body system
[38]
논문
Observation of a discrete time crystal
[39]
논문
Boundary time crystals
2018-07-16
[40]
논문
Discrete Time-Crystalline Order in Cavity and Circuit QED Systems
2018-01-25
[41]
논문
Discrete Time Crystals in the Absence of Manifest Symmetries or Disorder in Open Quantum Systems
2019-01-08
[42]
논문
Dissipation Induced Nonstationarity in a Quantum Gas
https://link.aps.org[...]
2019-12-23
[43]
논문
Boundary Time Crystals
https://link.aps.org[...]
2018-07-16
[44]
논문
Non-stationary coherent quantum many-body dynamics through dissipation
2019-04-15
[45]
논문
Observation of a Dissipative Time Crystal
https://link.aps.org[...]
2021-07-19
[46]
논문
Time Crystals in Open Systems
https://physics.aps.[...]
2021-07-19
[47]
논문
Quantum time crystals open up
https://www.nature.c[...]
2021-09-01
[48]
논문
Self-Ordered Limit Cycles, Chaos, and Phase Slippage with a Superfluid inside an Optical Resonator
https://link.aps.org[...]
2015-10-15
[49]
논문
Dissipation-induced structural instability and chiral dynamics in a quantum gas
https://www.science.[...]
2019-12-20
[50]
뉴스
Back to the future: The original time crystal makes a comeback
https://www.science.[...]
2020-03-19
[51]
논문
Quantum Time Crystals from Hamiltonians with Long-Range Interactions
2019-11-20
[52]
arXiv
Comment on 'Quantum Time Crystals from Hamiltonians with Long-Range Interactions'
[53]
웹사이트
Scientists Built a Time Crystal That Lasted for 40 Minutes. That's Astonishing
https://www.popularm[...]
2024-02-24
[54]
웹사이트
A Time Crystal Survived a Whopping 40 Minutes
https://gizmodo.com/[...]
2024-02-06
[55]
웹사이트
Scientists Built a Time Crystal That Lasted for 40 Minutes. That's Astonishing
https://www.msn.com/[...]
2024-02-24
[56]
웹사이트
Radical New Time Crystal Revealed That Lasts Millions of Times Longer
https://www.sciencea[...]
2024-02-05
[57]
웹사이트
Physicists develop highly robust time crystal
https://phys.org/new[...]
[58]
논문
Observation of a Time Quasicrystal and Its Transition to a Superfluid Time Crystal
2018-05-01
[59]
논문
AC Josephson effect between two superfluid time crystals
2021-02-01
[60]
논문
Real-Space Observation of Magnon Interaction with Driven Space–Time Crystals
https://link.aps.org[...]
2021-02-03
[61]
웹사이트
World's first video recording of a space–time crystal
https://is.mpg.de/ne[...]
2021-08-07
[62]
웹사이트
Eternal Change for No Energy: A Time Crystal Finally Made Real
https://www.quantama[...]
2021-07-30
[63]
논문
Observation of a prethermal discrete time crystal
https://www.science.[...]
2021-06-11
[64]
웹사이트
Creating Time Crystals Using New Quantum Computing Architectures
https://scitechdaily[...]
2021-12-27
[65]
논문
Many-body–localized discrete time crystal with a programmable spin-based quantum simulator
https://www.science.[...]
2021-12-17
[66]
웹사이트
Physicists create discrete time crystals in a programmable quantum simulator
https://physicsworld[...]
2021-12-27
[67]
웹사이트
New Breakthrough Could Bring Time Crystals Out of The Lab And Into The Real World
https://www.sciencea[...]
2022-03-11
[68]
논문
All-optical dissipative discrete time crystals
2022-02-14
[69]
논문
Physicists produce biggest time crystal yet
https://www.science.[...]
2022-03-02
[70]
논문
Realization of a discrete time crystal on 57 qubits of a quantum computer
2022-03-04
[71]
웹사이트
"'An ever-ticking clock': we made a 'time crystal' inside a quantum computer"
http://theconversati[...]
2022-03-02
[72]
논문
Observation of a continuous time crystal
https://www.science.[...]
2022-08-05
[73]
논문
Unleashing spontaneity in a time crystal
https://www.science.[...]
2022-08-05
[74]
웹사이트
Researchers observe continuous time crystal
https://www.cui-adva[...]
2022-08-07
[75]
웹사이트
Physicists Create Continuous Time Crystal for the First Time
https://scitechdaily[...]
2022-08-07
[76]
문서
See Watanabe Oshikawa 2015
[77]
문서
See Sacha 2015
[78]
문서
See Wilczek 2012 and Shapere Wilczek 2012
[79]
문서
See txt last1=Li et al. year1=2012a year2=2012b, Wolchover 2013
[80]
문서
See Bruno 2013a and Bruno 2013b
[81]
문서
See Thomas 2013
[82]
문서
See Nozières 2013, Yao et al. 2017 p=1 and Volovik 2013
[83]
문서
See Wilczek 2013b and Yoshii et al. 2015
[84]
문서
See Khemani et al. 2016 and Else et al. 2016
[85]
문서
See Yao et al. 2017, Richerme 2017
[86]
문서
See Choi et al. 2017
[87]
문서
See Zhang et al. 2017
[88]
뉴스
Time Crystals Might Exist After All - And They Could Break Space-Time Symmetry
https://www.sciencea[...]
ScienceAlert
2017-09-21
[89]
뉴스
"Time Crystals" Could Be a Legitimate Form of Perpetual Motion - Scie…
https://archive.is/U[...]
archive.is
2017-09-21
[90]
문서
See Esposito et al. 2009 and Campisi et al. 2011 for academic review articles on non-equilibrium quantum fluctuations
[91]
문서
See Boyle et al. 2016
[92]
웹인용
Time Crystals Created, Suspending Laws of Physics
http://www.livescien[...]
Purch
2017-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