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스-아인슈타인 응축(BEC)은 절대 영도에 가까운 극저온에서 보스 입자들이 동일한 양자 상태로 모여 거시적인 양자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의 상태이다. 192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사티엔드라 나트 보스의 연구를 바탕으로 이 현상을 예측했으며, 1995년 에릭 코넬, 칼 와이먼, 볼프강 케테를레가 루비듐과 나트륨 원자를 냉각하여 최초로 실험적으로 구현했다. BEC는 초유체 성질을 보이며, 양자 소용돌이 생성, 빛의 속도 감소, 아톰트로닉스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마그논, 엑시톤, 폴라리톤과 같은 준입자에서도 BEC가 관찰되고 있으며, 양자 컴퓨터, 양자 센서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별난 물질 - 초전도 현상
초전도 현상은 특정 물질이 임계 온도 아래에서 전기 저항이 사라지는 현상으로, 마이스너 효과와 자기 선속 양자화 등의 특징을 보이며 BCS 이론으로 일부 설명되지만 고온 초전도체는 미해결 과제로 남아있고 MRI, 초전도 자석 등에 응용되며 상온 초전도체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별난 물질 - 중성자별
중성자별은 초신성 폭발 후 남은 태양 질량의 1.4배에서 3배 정도 되는 질량을 가진 고밀도 천체로, 주로 중성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빠른 자전과 강력한 자기장을 가진 펄서, 마그네타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쌍성 중성자별의 합병은 중력파와 감마선 폭발을 발생시키며 철보다 무거운 원소 생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물질의 상 - 고체
고체는 물질의 네 가지 기본 상태 중 하나로, 원자, 분자, 이온들이 강하게 결합하여 일정한 형태와 부피를 가지며, 결합 방식과 전기 전도도, 외부 힘에 대한 반응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특성을 나타낸다. - 물질의 상 - 초전도 현상
초전도 현상은 특정 물질이 임계 온도 아래에서 전기 저항이 사라지는 현상으로, 마이스너 효과와 자기 선속 양자화 등의 특징을 보이며 BCS 이론으로 일부 설명되지만 고온 초전도체는 미해결 과제로 남아있고 MRI, 초전도 자석 등에 응용되며 상온 초전도체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광전 효과
광전 효과는 빛이 물질에 닿을 때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으로, 빛 에너지가 광자라는 덩어리로 양자화되어 있고, 아인슈타인의 광양자 가설로 설명되며, 다양한 기술에 응용되지만 문제도 야기한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보스-아인슈타인 통계
보스-아인슈타인 통계는 동일한 입자가 여러 개 존재할 수 있는 보손 입자들의 통계적 분포로, 보스에 의해 개발되고 아인슈타인에 의해 확장되었으며,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현상을 설명하고 정보 검색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 |
---|---|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 |
![]() | |
발견자 | 사티엔드라 나트 보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발견 연도 | 1924년 ~ 1925년 (이론적 예측) |
실험적 관측 | 1995년 |
실험적 관측자 | 에릭 코넬 칼 위먼 볼프강 케텔레 |
노벨 물리학상 | 2001년 |
개요 | |
상태 | 물질의 상태 |
구성 입자 | 보손 |
온도 | 절대 영도에 가까운 극저온 |
특징 | 거시적인 양자 현상 발현 모든 입자가 동일한 양자 상태에 존재 파동의 성질이 두드러짐 응축된 입자들은 단일 양자 파동 함수로 기술 가능 |
이론적 배경 | |
통계 | 보스-아인슈타인 통계 |
개념 | 동일한 보손 입자가 특정 온도 이하에서 최저 에너지 준위에 모여 거시적인 양자 상태를 형성 보스-아인슈타인 통계를 따르는 입자들이 낮은 온도에서 보이는 특이한 행동을 설명 |
실험적 구현 | |
방법 | 레이저 냉각 자기 광학 트랩 증발 냉각 |
대상 원자 | 루비듐 나트륨 리튬 |
응용 분야 | |
연구 분야 | 원자 레이저 정밀 측정 응축 물질 물리학 양자 정보 과학 초유체 연구 고체 물리학 나노 기술 |
기타 | 초유체 연구 양자 컴퓨터 개발 |
같이 보기 | |
관련 주제 | 보스-아인슈타인 통계 양자 역학 절대 영도 물질의 상태 초유체 원자 레이저 |
참고 문헌 | |
참고 도서 | 앤서니 J. 레겟, "Quantum liquids: Bose condensation and Cooper pairing in condensed-matter systems" |
참고 논문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Quantentheorie des einatomigen idealen Gases" (1924)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Quantentheorie des einatomigen idealen Gases. Zweite Abhandlung" (1925) M. H. Anderson et al., "Observation of Bose-Einstein Condensation in a Dilute Atomic Vapor" (1995) K. B. Davis et al., "Bose-Einstein Condensation in a Gas of Sodium Atoms" (1995) 에릭 코넬, 칼 위먼, "Nobel Lecture: Bose-Einstein condensation in a dilute gas, the first 70 years and some recent experiments" (2002) 볼프강 케텔레, "Nobel lecture: When atoms behave as waves: Bose-Einstein condensation and the atom laser" (2002) |
외부 링크 |
2. 역사
1925년 인도 다카 출신의 물리학자 사티엔드라 나트 보스는 광자(빛 양자)의 양자 통계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에서 보스는 고전 물리학을 전혀 참고하지 않고 플랑크의 양자 복사 법칙을 유도했다.[5] 보스는 이 논문을 《왕립 학회 철학 저널》(Philosophical Magazine of the Royal Society|필로소피컬 매거진 오브 더 로열 소사이어티영어)에 제출했으나 출판을 거절당했다. 이에 보스는 원고를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게 보냈고, 아인슈타인은 그 진가를 알아보고 직접 독일어로 번역하여 《물리학 저널》(Zeitschrift für Physik|차이트슈리프트 퓌어 퓌지크de)에 게재될 수 있도록 주선해 주었다.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은 보스 입자들이 따르는 보스-아인슈타인 통계에 의해 설명된다. 보스 입자는 정수 스핀을 가지며, 동일한 양자 상태를 여러 입자가 공유할 수 있다. 극저온에서 열적 드브로이 파장이 입자 간 거리보다 커지면, 입자들의 파동 함수가 겹치면서 거시적인 수의 입자가 최저 에너지 상태로 떨어진다.
아인슈타인은 보스의 아이디어를 물질 입자에 적용하여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현상을 예견했다.[7][8] 그는 보존 입자(보손)를 매우 낮은 온도로 냉각시키면 가장 낮은 양자 상태로 떨어져 새로운 형태의 물질이 생성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1938년 표트르 레오니도비치 카피차, 존 앨런, 돈 마이스너는 헬륨4가 2.17K(람다 점) 이하의 온도에서 초유체라는 새로운 형태의 유체를 형성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프리츠 런던은 헬륨-4의 초유체 현상이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84][9]
1995년 콜로라도주 볼더에 있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와 콜로라도 대학교의 공동 연구소(JILA)에서 에릭 코넬과 칼 와이먼이 루비듐 원자 기체를 170 나노켈빈(nK)까지 냉각시켜 최초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을 실험적으로 구현했다.[14] 같은 해,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의 볼프강 케테를레 연구팀도 나트륨 원자를 이용하여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을 구현하고, 두 응축물 사이의 양자 간섭 현상을 관찰했다. 코넬, 와이먼, 케테를레는 이 공로로 2001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15]
2020년, 국제 우주 정거장(ISS)의 냉원자 실험실(Cold Atom Laboratory)에서 루비듐 원자의 보스-아인슈타인 응축(BEC)을 성공적으로 생성하고, 자유 낙하 상태에서 1초 이상 관찰하였다.[25][26]
3. 이론
1920년대에 사티엔드라 나트 보스의 통계역학적 연구를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일반화하여 이 현상을 예측하였다. 보스와 아인슈타인이 연구한 보스 기체의 개념은 보존 입자의 통계적 분포를 기술하고 있다. 광자나 헬륨4와 같은 보존 입자는 서로의 양자 상태를 공유할 수 있다. 아인슈타인은 보존 입자를 매우 낮은 온도로 냉각시키면 전이 가능한 가장 낮은 양자 상태로 떨어져 새로운 물질의 상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임계 온도 이하에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이 발생하며, 균일한 3차원 기체의 경우 임계 온도($T_c$)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보즈-아인슈타인 응축으로의 전이는 임계 온도 이하에서 발생하는데, 상호 작용하지 않는 입자로 구성된 균일한 3차원 기체의 경우 내부 자유도가 없는 입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16]
:
위의 공식은 보즈 기체에서 보즈-아인슈타인 통계를 사용하여 기체의 축퇴를 찾음으로써 유도된다.
임계 온도는 밀도에 따라 달라진다. 위상 공간 밀도 를 이용하면 더 간결하고 실험적으로 관련성이 있는[17] 조건이 되는데, 여기서
:
는 열 드브로이 파장이다. 이것은 무차원량이다. BEC로의 전이는 위상 공간 밀도가 임계값보다 클 때 발생한다.
:
3차원 균일 공간에서. 이것은 온도에 대한 위의 조건과 동일하다. 3차원 조화 포텐셜에서 임계값은
:[18]
이다. 여기서 은 최대 밀도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로스-피타예프스키 방정식은 약하게 상호작용하는 보스 기체의 응축 현상을 기술하는 비선형 슈뢰딩거 방정식이다.
상호작용하지 않는 ''N''개의 입자 집단을 생각할때, 각 입자는 두 개의 양자 상태 와 중 하나에 있을 수 있다. 두 상태의 에너지가 같다면, 각기 다른 모든 배열은 동일한 확률을 가진다.
어떤 입자가 어떤 입자인지 구별할 수 있다면, 각 입자가 또는 에 독립적으로 있을 수 있으므로 개의 서로 다른 배열이 존재한다. 거의 모든 배열에서 약 절반의 입자가 에, 나머지 절반이 에 있다. 이러한 균형은 통계적 효과이다. 입자가 균등하게 나뉘어 있을 때 배열의 수가 가장 많다.
그러나 입자를 구별할 수 없다면, 서로 다른 배열은 개만 존재한다. 상태 에 개의 입자가 있다면, 상태 에는 개의 입자가 있다. 어떤 특정 입자가 상태인지 상태인지 결정할 수 없으므로, 의 각 값은 전체 시스템에 대한 고유한 양자 상태를 결정한다.
이제 상태 의 에너지가 상태 의 에너지보다 만큼 약간 더 크다고 가정하자. 온도 에서 입자가 상태 에 있을 확률은 만큼 더 작다. 구별 가능한 경우, 입자 분포는 상태 쪽으로 약간 치우친다. 그러나 구별 불가능한 경우, 숫자가 같도록 하는 통계적 압력이 없으므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결과는 대부분의 입자가 상태 로 붕괴된다는 것이다.
구별 가능한 경우, 큰 ''N''에 대해 상태 에 있는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이것은 에 비례하는 확률로 동전을 던져 뒷면이 나올 확률과 같다.
구별 불가능한 경우, 의 각 값은 고유한 볼츠만 확률을 갖는 단일 상태이다. 따라서 확률 분포는 지수 함수이다.
:
큰 에 대해 정규화 상수 는 이다. 의 극한에서 가장 낮은 에너지 상태에 없는 입자의 예상 총 수는 다음과 같다.
:
''N''이 클 때 증가하지 않고 상수에 접근한다. 이것은 전체 입자 수의 무시할 수 있는 작은 부분일 것이다. 따라서 열평형 상태에 있는 충분한 수의 보즈 입자 집단은 에너지 차이가 아무리 작더라도 대부분 바닥 상태에 있고, 몇몇만이 들뜬 상태에 있을 것이다.
이제 서로 다른 운동량 상태 에 있을 수 있는 입자 기체를 생각해 보자. 입자 수가 열적으로 접근 가능한 상태 수보다 적다면, 고온과 저밀도에서는 모든 입자가 서로 다른 상태에 있을 것이다. 이 극한에서 기체는 고전적이다. 밀도가 증가하거나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입자당 접근 가능한 상태 수가 줄어들고, 어떤 시점에서 통계적 가중치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값보다 더 많은 입자가 단일 상태로 강제될 것이다. 이 시점부터 추가되는 모든 입자는 바닥 상태로 이동한다.
임의의 밀도에서 전이 온도를 계산하기 위해, 최대 들뜬 입자 수 에 대한 식을 모든 운동량 상태에 대해 적분한다.
:
:
차원 분석을 통해 와 의 인자를 복원하여 적분(또한 보즈-아인슈타인 적분으로 알려짐)을 평가하면, 앞 절의 임계 온도 공식이 나온다. 따라서 이 적분은 무시할 수 있는 화학 퍼텐셜 의 조건에 해당하는 임계 온도와 입자 수를 정의한다. 보즈-아인슈타인 통계 분포에서 는 BEC에 대해 실제로 0이 아니다. 그러나 는 바닥 상태 에너지보다 작다. 바닥 상태에 대해 특별히 이야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에너지 또는 운동량 상태에 대해 로 근사할 수 있다.
니콜라이 보골류보프(Nikolay Bogoliubov)는 희박 기체의 극한에서 섭동을 고려하여,[86] 영도에서 유한한 압력과 양의 화학 퍼텐셜을 발견했다. 이는 기저 상태에 대한 수정으로 이어진다. 보골류보프 상태의 압력()은 이다.
원래의 상호 작용하는 계는 분산 관계를 갖는 비상호 작용 입자계로 변환될 수 있다.
가장 단순한 경우, 응축된 입자들의 상태는 비선형 슈뢰딩거 방정식, 즉 그로스-피타예프스키 방정식으로 기술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의 유효성은 실제로 초저온의 경우로 제한되는데, 이는 대부분의 알칼리 원자 실험에 적합하다.
이 접근 방식은 BEC의 상태가 응축체의 고유 파동 함수 로 기술될 수 있다는 가정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종류의 계에서, 는 입자 밀도로 해석되므로, 원자의 총 개수는 이다.
본질적으로 모든 원자가 응축체에 존재한다고 가정하고(평균장 이론을 사용하여 보손을 처리하면), 상태 와 관련된 에너지(E)는 다음과 같다.
:
의 미소 변화에 대해 이 에너지를 최소화하고 원자 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그로스-피타예프스키 방정식(GPE)(비선형 슈뢰딩거 방정식이기도 함)을 얻는다.
:변수 설명 보손의 질량 외부 포텐셜 입자 간 상호 작용
외부 포텐셜이 없는 경우, 상호 작용하는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입자의 분산 법칙은 소위 보골리우보프 스펙트럼(에 대해)에 의해 주어진다.
:
그로스-피타예프스키 방정식(GPE)은 원자 BEC의 거동을 상대적으로 잘 설명한다. 그러나 GPE는 동역학 변수의 온도 의존성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에 대해서만 유효하다. 예를 들어, 임계 온도가 상온과 비슷한 엑시톤, 마그논 및 광자의 응축체에는 적용할 수 없다.
양자역학적 입자는 스핀이 정수값을 취하는 보손과 반정수값을 취하는 페르미온으로 나뉜다. 이 중 보손은 보스 통계를 따르며, 동일 입자는 위치를 제외하고는 구별이 없어 여러 입자가 같은 에너지 상태를 취할 수 있다. 보스 기체에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BEC)이 발생하는 기구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상온에서는 맥스웰-볼츠만 분포를 따르는 고전적인 입자로 행동하는 기체 원자도 극저온 상태에서는 양자성이 현저해진다. 극저온 상태에서 원자 간 거리가 원자의 공간적 퍼짐 정도를 나타내는 열적 드 브로이 파장에 가까워질 때, 각 원자의 파동 함수가 서로 겹치기 시작한다. 그 결과, 보손 동일 입자를 구별할 수 없게 되는 “양자 통계성”이 나타난다. 이때, 계의 보손 집단은 상호 교환에 대한 파동 함수의 대칭성으로부터 상공간의 한 점에 모이는 것처럼 행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과적으로 거시적이라고 할 수 있는 수의 보손이 최저 에너지의 양자 상태를 취하고 BEC가 발생한다. 응축체는 많은 원자가 하나의 파동 함수로 표현되는 거시적인 양자 상태이며, 결맞는 행동을 한다. 이것은 고체, 액체, 기체, 플라즈마와 마찬가지로 물질의 상의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
입자 간 상호작용이 없는 자유 보즈 입자로 구성된 보즈 입자 집단을 이상 보즈 기체라고 부른다. 열평형 상태의 이상 보즈 기체에서, 어떤 에너지 상태를 점유하는 입자 수는 보즈-아인슈타인 분포로 주어진다. 보즈-아인슈타인 분포의 성질로부터, 어떤 전이 온도 이하에서는 거시적인 수의 입자의 최저 에너지 상태 점유, 즉, BEC가 발생한다. 이 상전이는 순수하게 양자 통계적 성질에만 기인하며, 액화나 고화와 같은 다른 상전이와 달리, 상호 작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이다. 상자 속의 균일한 이상 보즈 기체 계나 이상 보즈 기체가 조화 진동자 포텐셜에 트랩된 계에서는, 다음과 같이 전이 온도와 응축 상의 입자 수가 구해진다.
상자 안에 있는 이상적인 보즈 기체의 계를 생각해 보자. 상자 안에는 퍼텐셜이 작용하지 않는 균일한 계로 하며, 계의 부피를 , 입자 수를 이라고 한다. 운동량 을 갖는 자유 보즈 입자의 1입자 에너지는 입자의 질량을 이라고 하면
:
이 된다.[107] BEC(보즈-아인슈타인 응축)가 발생하는 전이 온도 이하에서는 인 에너지 상태에 입자가 수용될 수 없게 되어, 인 상태로 운동량 공간에서 응축이 발생한다.[108]
이때, BEC가 발생하는 전이 온도는
:
로 주어진다. 단, 은 입자의 질량, 는 볼츠만 상수, 는 플랑크 상수이다. 또, 는 리만 제타 함수이며
:
이다. 또한, BEC 상태가 된 입자의 수 는
:
이 된다. 위 식에서 온도가 전이 온도 이하가 되면, 유한 온도에서도 에너지 상태에 있는 입자 수 가 급격히 증가하여, 에서 모든 입자가 응축 상태가 된다.[109] 이상적인 보즈 기체에서의 응축에서는 정적 비열의 미분에 불연속이 있으며, 이것은 3차 상전이이다.
중성 원자 기체의 실험에서 원자 집단을 가두는 외부 포텐셜은 조화 진동자 포텐셜
:
으로 근사할 수 있다. 1입자 에너지는
:
이며, 바닥 상태 에너지는
:
이다. 조화 진동자 포텐셜에 가두어진 이상적인 보즈 기체 계에서는 BEC의 전이 온도는
:
이 된다. 단, 는 기하 평균
:
이다. BEC 상태가 된 입자의 수 는
:
이 된다.
균일한 보즈 기체 계에서 BEC(보즈-아인슈타인 응축)가 일어나는 조건($T \le T_c$)는 열적 드브로이 파장을 도입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lambda_T = \frac{h}{\sqrt{2\pi mk_BT}}$
여기서, 입자 수 밀도($n = N/V$)와 열적 드브로이 파장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n \lambda_T^3 \ge \zeta \left( \frac{3}{2} \right) = 2.612 \cdots$
$\rho = n \lambda_T^3$ 로 정의되는 $\rho$는 위상 공간 밀도라고 불리며, BEC 발생을 특징짓는 지표이다. 조건($\rho \ge 2.612$)은 위상 공간 밀도가 1 정도의 차수가 될 때 BEC가 일어나는 것을 나타낸다. 이 조건은 $l = n^{-1/3} = (V/N)^{1/3}$로 주어지는 평균 입자 간 거리보다 열적 드브로이 파장이 작다는 것에 대응한다.
상자 속의 이상적인 보즈 기체로, 외부 포텐셜이 작용하지 않는 균일한 계를 생각하고, 계의 부피를 , 입자 수를 이라고 한다. 운동량 의 자유 보즈 입자의 1입자 에너지는, 입자의 질량을 이라고 하면 로 주어진다. 계가 온도 , 화학퍼텐셜 의 열평형 상태에 있을 때, 에너지가 인 입자 수 의 열통계 평균 은 보즈-아인슈타인 분포에 의해,
:
로 주어진다. 단, 는 역온도(는 볼츠만 상수), 는 퓨가시티이다. 여기서 1입자 기저 에너지 를 포함하는 모든 에 대해 이 되기 위해서는, 퓨가시티는 (화학 퍼텐셜은 )의 조건을 만족한다. 의 모든 운동량 상태에 대한 합은 입자 수 와 일치하고,
:
이 된다. 여기서 입자 수 를 1입자 기저 에너지 에 있는 입자 수 와 그 이외의 인 상태에 있는 입자 수 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퓨가시티 의 함수로 보았을 때 는 에서 최대값을 취한다.[110] 한편, 는 에서 특이성을 가지고, 인 경우, 는 매우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BEC의 전이 온도 는, 이 전 입자 수 와 일치하는 온도로 정해지고,
:
로 주어진다.
4. 실험적 구현
1995년 콜로라도주 볼더에 있는 국립표준연구소에서 에릭 코넬과 칼 와이먼이 루비듐 원자로 이루어진 기체를 170 나노켈빈(nK)까지 냉각시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물을 형성하는데 성공했다.[1]
최초의 진정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은 1995년 6월 5일 항공물리 공동연구소(JILA)에서 코넬, 와이먼과 동료 연구자들이 루비듐87 원자 약 2000개를 포함한 기체를 레이저 냉각(1997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기술)과 자기 증발 냉각 기술을 이용해 170nK까지 냉각시켜 만들었다. 넉 달 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볼프강 케털리가 독립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나트륨23 원자를 냉각시켜 성공하였다. 케털리의 연구는 100배 더 많은 원자를 이용하여 두 개의 다른 응축 사이에 양자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관찰하는 등 중요한 성과를 얻었다.
1995년 이후 많은 다른 원자 종이 응축되었으며, 분자, 폴라리톤, 기타 준입자 및 광자를 사용하여 BEC가 실현되었다.[85]
중성 원자 기체의 실험에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냉각에 의한 예비 냉각, 자기 광학 트랩(Magneto-optical trap)에 의한 포획, 증발 냉각 과정을 거쳐 BEC가 실현된다. 알칼리 금속 원자는 상온, 상압에서는 고체 상태이기 때문에 가열하여 기체 상태로 만들어 원자선으로 실험 장치 내로 보내진다. 레이저 냉각에서는 기체 원자의 공명 주파수보다 약간 낮은 주파수의 레이저를 x축, y축, z축의 양과 음의 방향 모두에서 조사한다. 이때 기체 원자는 복사압에 의해 감속된다. 레이저 냉각에서 레이저는 기체 원자에게 마치 점성을 가진 당밀처럼 작용하므로, 광 당밀 상태(Optical molasses)라고 불린다. 레이저 냉각된 기체 원자는 원편광 레이저와 4중극 자기장으로 구성된 자기 광학 트랩에 포획된다.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원자[111]에 대해서는 자기 광학 트랩 내에서 편광 기울기 냉각이 작용하여 더욱 냉각된다. 냉각의 최종 단계에서는 자기 트랩에서 운동 에너지가 큰 원자를 선택적으로 증발시키는 증발 냉각에 의해 BEC가 일어나는 전이 온도 이하에 도달한다.
1995년, 콜로라도 대학교의 에릭 코넬(Eric Cornell), 카를 와이만(Carl Wieman) 등은 루비듐-87(87Rb) 원자를 냉각함으로써 처음으로 BEC를 실현했고, 같은 해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울프강 케터레(Wolfgang Ketterle) 등은 나트륨-23(23Na) 원자로 BEC를 실현했다. 현재는 수소-1(1H), 리튬-7(7Li), 23Na, 칼륨-39(39K), 칼륨-41(41K), 크롬-52(52Cr), 85Rb, 87Rb, 세슘-133(133Cs), 이터븀-170(170Yb), 이터븀-174(174Yb), 헬륨-4(4He)에서 BEC가 실현되고 있다.[112]
5. 특이 성질
1938년, 표트르 카피차, 존 앨런과 돈 미세너는 헬륨-4가 2.17 K (람다점) 이하의 온도에서 초유체로 알려진 새로운 종류의 유체가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41] 초유체 헬륨은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고 흐르는 영 점성과 양자화된 소용돌이의 존재 등 여러 특이한 성질을 보인다. 초유체 현상은 액체의 부분적인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때문이라고 곧 밝혀졌다. 초유체 헬륨-4는 기체가 아니라 액체이므로 원자 간의 상호 작용이 비교적 강해,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이론을 크게 수정해야 한다. 그러나 보즈-아인슈타인 응축은 헬륨-4의 초유체 성질에 여전히 근본적이다. 헬륨-3은 페르미온이며, 훨씬 더 낮은 온도에서 두 원자의 보손적인 쿠퍼쌍을 형성하여 초유체 상으로 전이된다 (페르미온 응축물 참조).
보스 기체의 초유동 현상과 강하게 상호 작용하는 페르미 기체(쿠퍼쌍 기체)의 초전도 현상은 보즈-아인슈타인 응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상전이 온도 이하에서 이러한 현상은 헬륨-4와 여러 종류의 초전도체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초전도는 종종 페르미 기체의 초유동이라고 불린다. 가장 간단한 형태로, 초유동의 기원은 약하게 상호 작용하는 보손 모형에서 확인할 수 있다.[41]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BEC)에는 소용돌이가 존재할 수 있다.[36] 예를 들어, 레이저로 응축체를 휘젓거나,[37] 가두는 트랩을 회전시키거나,[38] 상전이를 통해 빠르게 냉각하여[39] 소용돌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소용돌이는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는 코어 모양을 가진 양자 소용돌이가 된다.[40]
1차원 BEC에서는 어두운 솔리톤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위상학적 물체는 절점면을 가로지르는 위상 기울기를 가지며, 이는 전파 및 상호 작용에서도 그 모양을 안정화시킨다. 솔리톤은 전하를 가지고 있지 않아 붕괴되기 쉽지만, 상대적으로 오래 지속되는 어두운 솔리톤이 광범위하게 생성되고 연구되었다.[42]
1995년부터 2000년까지 라이스 대학교의 랜덜 훌렛(Randall Hulet) 연구팀은 인력 상호작용을 하는 리튬 응축물이 임계 원자 수까지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보였다. 기체를 급랭각시키면서 응축물이 성장한 다음, 인력이 가두는 퍼텐셜의 영점 에너지를 압도하여 초신성을 연상시키는 폭발(내파 후 폭발)로 붕괴되는 것을 관찰했다.[19]
2000년 코넬, 와이먼 및 동료들의 JILA 팀은 인력 응축물에 대한 추가 연구를 수행했다. 이들은 음의 원자-원자 산란 길이를 갖는 루비듐-85의 자연적으로 인력이 작용하는 원자들을 사용했다. 스핀 플립 충돌을 일으키는 자기장 스윕을 포함하는 페슈바흐 공명을 통해 루비듐이 결합하는 특징적인 불연속 에너지를 낮추어, Rb-85 원자를 반발적으로 만들고 안정적인 응축물을 생성했다. 인력에서 반발력으로의 가역적인 변환은 파동과 같은 응축물 원자들 사이의 양자 간섭에서 비롯된다.[19]
JILA 팀이 자기장 세기를 더 높였을 때, 응축물은 갑자기 인력으로 되돌아가 내파하여 검출할 수 없을 정도로 수축한 다음 폭발하여 약 10,000개의 원자 중 약 3분의 2를 방출했다. 응축물 내 원자의 약 절반은 차가운 잔류물이나 팽창하는 기체 구름에서 관찰되지 않고 실험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처럼 보였다.[19] 칼 와이먼(Carl Wieman)은 현재의 원자 이론으로는 절대 영도 근처에 있는 원자의 에너지 상태가 내파를 일으키기에 충분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보즈-아인슈타인 응축의 특징을 설명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후속 평균장 이론이 이를 설명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아마도 이들은 두 개의 루비듐 원자로 된 분자를 형성했을 것이며,[94] 이 결합으로 얻은 에너지는 덫에서 검출되지 않고 빠져나갈 만큼 충분한 속도를 제공했을 것이다.[19]
상전이 현상에서 전이 온도 이하에서 계의 대칭성이 깨지면 새로운 질서상이 나타난다. 이 질서상의 상태는 질서 변수로 기술된다. BEC에서는 '''응축체의 파동 함수'''라는 질서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응축체의 파동 함수는 고전적인 복소장이며, 그 진폭의 제곱은 응축 상태에 있는 입자 수 밀도를 제공한다. 또한, 그 위상은 다수의 입자가 갖는 코히어런스를 나타낸다. 위상의 공간 미분은 초유동 상태의 속도와 관련된다. 특정 위상 값을 갖는 것은 대역적 U(1)게이지 대칭성이 깨진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121]
보스 입자인 헬륨-4(4He)에 의한 초유동 현상에서, 초유체 부분은 보스-아인슈타인 응축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액체 4He의 입자 수 밀도와 4He 원자의 질량을 이용하여 이상적인 보스 기체의 공식에서 BEC의 전이 온도를 구하면 3.1K가 되는데, 이는 람다 전이의 전이 온도(2.17K)에 가깝다. 그러나 액체 4He에서는 입자 간 상호 작용이 강하여 이상적인 보스 기체로 볼 수 없다. 따라서 BEC 상태에 있는 입자 수는 전체 입자 수의 10% 정도에 불과하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121]
BCS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는 초전도 현상에서는 전자쌍인 쿠퍼쌍을 보손으로 간주하여, 엄밀하게는 아니지만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이 일어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쿠퍼쌍은 전자쌍이므로, 전자쌍 응축(단순히 쌍응축이라고도 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21]
2020년 11월 도쿄대학과 교토대학의 공동 연구팀은 철 기반 초전도체 FeSe0.79S0.21에서 초전도 상태에 있는 전자를 직접 관측하여, 이 초전도체에서의 초전도가 쿠퍼쌍의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122] 극저온 초고분해능 레이저 각분해 광전자 분광 장치를 통해 에너지 밴드의 분산 관계를 관측한 결과, BCS 이론에 기반한 초전도 상태가 아니라,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을 기원으로 하는 초전도 상태에 해당하는 밴드 분산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122]
페르미온인 헬륨-3의 초유동은 초전도의 경우처럼 헬륨-3 원자의 쌍이 응축쌍을 만들어 응축 상태가 된다(초유동 참조). 또한, 페르미온인 중성자가 쌍을 이루기 때문에, 중성자별 내부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광자나 포논에서도 응축 현상을 생각할 수 있다.[121]
6. 응용
레네 호(Lene Hau)가 이끄는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 연구팀은 1999년에 초유체를 이용하여 빛의 속도를 초당 약 17미터로 늦추는 데 성공했다.[56] 이후 연구팀은 보스-아인슈타인 응축물을 이용하여 "느린 빛을 매개로 한 원자 물질파 증폭"을 시현했다. 이 방식은 응축된 원자들이 빛 펄스로부터 반동하여 빛의 위상과 진폭을 기록하고, 인근의 다른 응축물로 회복하는 것이다.[95]
고정밀 원자 간섭계에 보스-아인슈타인 응축물의 특성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2008년 독일 브레멘의 브레멘 낙하 타워(Fallturm Bremen)에서 하노버 라이프니츠 대학교(Leibniz University Hannover)의 어니스트 M. 라젤(Ernst M. Rasel)이 이끄는 연구진은 무중력 상태에서 BEC를 최초로 시연했다.[57] 같은 연구팀은 2017년 우주에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물을 최초로 생성하는 데 성공했으며,[58] 이는 국제 우주 정거장(International Space Station)에서 진행될 두 개의 향후 실험 주제이기도 하다.[59][60]
아톰트로닉스(atomtronics)라는 새로운 분야에서는 물질파 회로의 신흥 양자 기술에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물의 특성을 활용한다.[61][62]
1970년, 에마뉘엘 다비드 타넨바움(Emmanuel David Tannenbaum)은 반스텔스 기술(stealth technology)을 위해 BEC를 제안했다.[63]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온도를 절대영도보다 약간 높은 수준까지 냉각해야 한다. 과학자들은 중력 유무에 따른 원자 거동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국제우주정거장(ISS)을 이용한 연구를 수행하기로 했다. 2018년 5월 ISS로 발사된 Cold Atom Laboratory(CAL)는 지상 시험에서 200nK을 달성했으며, ISS에서의 실험에서는 1pK에 도달할 예정이다. 이는 지금까지 우주에서 관측된 것 중 가장 낮은 온도가 될 것이며, 새로운 양자 현상 관찰이나 물리학의 가장 기본적인 법칙 검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실험을 제안한 팀에는 3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포함되어 있다.[123]
7. 최근 연구 동향
JILA와 MIT 연구팀의 초기 발견 이후 보스-아인슈타인 응축(BEC)에 대한 실험 및 이론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44][45] 다양한 동위원소를 이용한 BEC 생성,[46] 간섭 현상 관찰,[47] 초유체 및 양자화된 소용돌이 연구, 1차원 BEC에서의 밝은 물질파 솔리톤 생성, 전자기 유도 투명성을 이용한 빛 펄스 감속[48] 등이 이루어졌다. BEC 소용돌이는 유사 중력 연구에도 활용되어 블랙홀 모델링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다.
또한, "광격자"를 이용한 초유체-모트 절연체 전이 연구,[49] 저차원 BEC 현상 연구 (1차원 리브-리니거 모형, 2차원 베레진스키-코스터리츠-토울리스 전이)도 진행되었다. 얕은 1차원 광격자에 갇힌 강하게 상호작용하는 보손의 고정 전이 민감성 연구도 이루어졌다.[50][51] 비균질 BEC의 소용돌이[52] 및 이동하는 장애물에 의한 여기 현상[53][54] 연구, 가두어진 BEC의 역학에서 질서와 혼돈 조건[55] 연구도 진행되었다.
증발 냉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연속 BEC 구현 연구도 중요한 과제였다. 연속 BEC는 새로운 감지 응용 프로그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2022년에는 strontium|스트론튬영어 84()를 사용한 연속 BEC가 처음으로 달성되었다.[72]
2020년에는 초전도 BEC 개발이 보고되었으며, BEC와 BCS 이론(Bardeen–Cooper–Shrieffer theory) 체제 사이에 "매끄러운 전이"가 있음이 밝혀졌다.[73][74]
차가운 암흑 물질 액시온이 열화를 통해 BEC를 형성할 수 있다는 연구도 진행되었다.[75] 액시온 암흑 물질 실험(Axion Dark Matter Experiment, ADMX)을 통해 액시온 탐색이 강화되고 있다.
2014년에는 율리히 연구소(Forschungszentrum Jülich)에서 잠재적 이중 중입자 d*(2380)이 검출되었다.[76][77] 이 입자는 세 개의 업 쿼크(Up quark)와 세 개의 다운 쿼크(Down quark)로 구성된 육쿼크(hexaquark)로 추정되며,[78][79] 초기 우주에서 BEC를 형성하여 암흑 물질처럼 행동할 수 있다고 이론화되었다.[80][81][82]
8. 대중문화 속의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 2016년 영화 스펙트럴(Spectral)에서 미군은 보스-아인슈타인 응축물로 만들어진 정체불명의 적 생물체와 싸운다.[83]
- 2003년 소설 블라인드 레이크(Blind Lake)에서는 과학자들이 보스-아인슈타인 응축물 기반 양자 컴퓨터를 이용한 망원경으로 51광년 떨어진 행성에서 지적 생명체를 관찰한다.
- 비디오 게임 시리즈 매스 이펙트(Mass Effect)에는 보스-아인슈타인 응축물로 채워져 있다고 설명하는 냉동 무기가 있다. 발사체가 충돌하면 파열되어 적에게 과냉각된 액체를 뿌린다.
참조
[1]
서적
Quantum liquids: Bose condensation and Cooper pairing in condensed-matter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2]
논문
Quantentheorie des einatomigen idealen Gases
https://www.uni-muen[...]
1924-07-10
[3]
서적
The Indian Comet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01
https://www.nobelpri[...]
2001-10-09
[5]
논문
Plancks Gesetz und Lichtquantenhypothese
1924
[6]
웹사이트
Leiden University Einstein archive
http://www.lorentz.l[...]
Lorentz.leidenuniv.nl
2011-03-23
[7]
논문
Quantentheorie des einatomigen idealen Gases
1925
[8]
서적
Einstein: The Life and Times
https://archive.org/[...]
Avon Books
[9]
서적
Superfluids
Dover
[10]
논문
Possible "New" Quantum Systems
1976-04-12
[11]
arXiv
Experiments in Dilute Atomic Bose–Einstein Condensation
1999
[12]
논문
Bose-Einstein Condensation of Atomic Hydrogen
1998-11-02
[13]
논문
Bose–Einstein condensation in atomic hydrogen
http://web.mit.edu/p[...]
2000
[14]
논문
Observation of Bose-Einstein Condensation in a Dilute Atomic Vapor
1995-07-14
[15]
웹사이트
Cornell, Ketterle, and Wieman Share Nobel Prize for Bose–Einstein Condensates
http://www.physicsto[...]
Physics Today online
2001
[16]
OEIS
[17]
문서
Producing Bose-Einstein condensates experimentally
[18]
OEIS
[19]
웹사이트
Eric A. Cornell and Carl E. Wieman — Nobel Lecture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20]
서적
Thermal Physic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Excitons and Cooper Pairs: Two Composite Bosons in Many-Body Physics
Oxford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Magnon Bose Einstein Condensation made simple
https://www.uni-muen[...]
Westfählische Wilhelms Universität Münster Prof.Demokritov
[23]
논문
Bose–Einstein condensation of exciton polaritons
2004
[24]
논문
Bose–Einstein condensation of exciton polaritons
2006-09-28
[25]
뉴스
Exotic fifth state of matter made on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20-06-11
[26]
논문
Observation of Bose–Einstein condensates in an Earth-orbiting research lab
2020
[27]
논문
Fortran Programs for the time-dependent Gross-Pitaevskii equation in a fully anisotropic trap
2009
[28]
논문
Bose–Einstein condensation dynamics in three dimensions by the pseudospectral and finite-difference methods
2003
[29]
논문
C Programs for the time-dependent Gross-Pitaevskii equation in a fully anisotropic trap
2012
[30]
논문
OpenMP Fortran and C Programs for the time-dependent Gross-Pitaevskii equation in a fully anisotropic trap
2016
[31]
논문
Fortran and C Programs for the time-dependent dipolar Gross-Pitaevskii equation in a fully anisotropic trap
2015
[32]
논문
Zh. Eksp. Teor. Fiz. 34, 417–432 (1958) [Soviet Phys. JETP 7, 289 (1958)]; ibid. 34, 433–446 [Soviet Phys. JETP 7, 299 (1958)].
1958
[33]
논문
Effective wave equations for the dynamics of cigar-shaped and disk-shaped Bose condensates
2002
[34]
논문
Quantum Bose liquids with logarithmic nonlinearity: Self-sustainability and emergence of spatial extent
2011
[35]
논문
Resolving the puzzle of sound propagation in liquid helium at low temperatures
2019
[36]
논문
Vortices in a Bose-Einstein Condensate
https://link.aps.org[...]
1999-09-27
[37]
논문
Vortex Formation in a Stirred Bose-Einstein Condensate
https://link.aps.org[...]
2000-01-31
[38]
논문
Formation and decay of vortex lattices in Bose-Einstein condensates at finite temperatures
2002
[39]
논문
Spontaneous vortices in the formation of Bose–Einstein condensates
2008-10-16
[40]
논문
Vortices in a Trapped Dilute Bose-Einstein Condensate
[41]
논문
Statistical hydrodynamics
https://doi.org/10.1[...]
1949-03-01
[42]
논문
Oscillations and interactions of dark and dark–bright solitons in Bose–Einstein condensates
https://www.nature.c[...]
2008-05-04
[43]
논문
Landau-Zener extension of the Tavis-Cummings model: Structure of the solution
[44]
웹사이트
How to watch a Bose–Einstein condensate for a very long time - physicsworld.com
http://physicsworld.[...]
2013-11-28
[45]
웹사이트
Bose-Einstein Condensate: A New Form of Matter
https://www.nist.gov[...]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2001-10-09
[46]
웹사이트
Ten of the best for BEC
http://physicsworld.[...]
Physicsweb.org
2005-06-01
[47]
웹사이트
Interference of Condensates (BEC@MIT)
https://web.archive.[...]
Cua.mit.edu
2009-10-13
[48]
논문
The art of taming light: ultra-slow and stopped light
[49]
웹사이트
From Superfluid to Insulator: Bose–Einstein Condensate Undergoes a Quantum Phase Transition
http://qpt.physics.h[...]
Qpt.physics.harvard.edu
[50]
논문
Pinning quantum phase transition for a Luttinger liquid of strongly interacting bosons
[51]
논문
Properties of bosons in a one-dimensional bichromatic optical lattice in the regime of the pinning transition: A worm- algorithm Monte Carlo study
[52]
논문
Elements of Vortex-Dipole Dynamics in a Nonuniform Bose–Einstein Condensate
[53]
논문
Self-interfering matter-wave patterns generated by a moving laser obstacle in a two-dimensional Bose–Einstein condensate inside a power trap cut off by box potential boundaries
[54]
논문
Nonequilibrium Dynamics of a Bose–Einstein Condensate Excited by a Red Laser Inside a Power-Law Trap with Hard Walls
[55]
논문
Conditions for order and chaos in the dynamics of a trapped Bose–Einstein condensate in coordinate and energy space
[56]
웹사이트
Physicists Slow Speed of Light
http://news.harvard.[...]
1999-02-18
[57]
논문
Bose–Einstein Condensation in Microgravity
2010-06-18
[58]
뉴스
MAIUS 1 – First Bose–Einstein condensate generated in space
http://www.dlr.de/dl[...]
[59]
웹사이트
Cold Atom Laboratory
https://coldatomlab.[...]
[60]
웹사이트
2017 NASA Fundamental Physics Workshop Planetary News
http://www.lpi.usra.[...]
[61]
논문
Roadmap on Atomtronics: State of the art and perspective
https://avs.scitatio[...]
2021-08-25
[62]
논문
Atomtronics may be the new electronics
http://www.sciencene[...]
2000-02-12
[63]
논문
Gravimetric Radar: Gravity-based detection of a point-mass moving in a static background
[64]
논문
Laser cooling for quantum gases
2021
[65]
논문
Degenerate quantum gases of strontium
http://www.ultracold[...]
University of Innsbruck
2013
[66]
논문
Bose–Einstein Condensation of Atomic Hydrogen
[67]
웹사이트
Bose–Einstein Condensation in Alkali Gases
https://ghostarchive[...]
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2001
[68]
서적
Lasers and Their Application to the Observation of Bose-Einstein Condensates
Iop Concise Physics
2019-09-04
[69]
문서
The chemistry of systems at room temperature is determined by the electronic properties, which is essentially fermionic, since room temperature thermal excitations have typical energies much higher than the hyperfine values.
[70]
논문
AIP Conference Proceedings
AIP
2005
[71]
웹사이트
Fermionic condensate makes its debut
http://physicsworld.[...]
Physicsweb.org
2004-01-28
[72]
논문
Continuous Bose–Einstein Condensation
[73]
뉴스
Researchers demonstrate a superconductor previously thought impossible
https://phys.org/new[...]
2020-12-08
[74]
논문
Bose–Einstein condensation superconductivity induced by disappearance of the nematic state
2020-11-01
[75]
논문
[76]
웹사이트
Forschungszentrum Jülich press release
https://www.fz-jueli[...]
[77]
웹사이트
Massive news in the micro-world: a hexaquark particle
https://www.theregis[...]
[78]
논문
Evidence for a New Resonance from Polarized Neutron-Proton Scattering
[79]
논문
A new possibility for light-quark dark matter
[80]
웹사이트
Did German physicists accidentally discover dark matter in 2014?
https://www.livescie[...]
2020-03-09
[81]
뉴스
Physicists Think We Might Have a New, Exciting Dark Matter Candidate
https://www.sciencea[...]
2020-03-04
[82]
웹사이트
Did this newfound particle form the universe's dark matter?
https://www.space.co[...]
2020-03-05
[83]
웹사이트
The science of Spectral: Is that really how Bose–Einstein condensate behaves? An actual Bose–Einstein condensate scientist reviews Spectral's science. Plus a response from the film's director, Nic Mathieu.
https://arstechnica.[...]
2021-06-04
[84]
논문
The λ-Phenomenon of liquid Helium and the Bose–Einstein degeneracy
[85]
논문
Bose–Einstein condensation of photons in an optical microcavity
[86]
논문
On the theory of superfluidity
1947
[87]
논문
Two-dimensional system of hard-core bosons
[88]
논문
Renormalization-group analysis of the ground-state properties of dilute Bose systems in d spatial dimensions
[89]
논문
Low-dimensional Bose liquids: Beyond the Gross-Pitaevskii approximation
[90]
논문
Collapse transition in mixtures of bosons and fermions
[91]
논문
Evidence of Bose–Einstein condensation in an atomic gas with attractive interactions
http://galileo.phys.[...]
[92]
논문
Bose–Einstein condensation of dilute magnons in TlCuCl3
[93]
논문
Bose–Einstein condensation of quasi-equilibrium magnons at room temperature under pumping
[94]
논문
Pair condensates produced in bosenovae
[95]
논문
Coherent control of optical information with matter wave dynamics
http://nrs.harvard.e[...]
[96]
문서
英語では、凝縮する過程を ''condensation''、凝縮した状態を ''condensate'' と言い分ける場合もある。
[97]
문서
上田 (1998)
[98]
문서
E.A. Cornel et al. (1999)
[99]
문서
F. Dalfavo et al. (1999)
[100]
문서
W. Kettelrle et al. (1999)
[101]
논문
Quantentheorie des einatomigen idealen Gases. Zweite Abhandlung
https://web.physik.r[...]
1925
[102]
문서
A. Pais (2005), chapter.23
[103]
논문
Observation of Bose-Einstein Condensation in a Dilute Atomic Vapor
1995
[104]
논문
Bose-Einstein Condensation in a Gas of Sodium Atoms
1995
[105]
논문
Nobel Lecture: Bose-Einstein condensation in a dilute gas, the first 70 years and some recent experiments
2002
[106]
논문
Nobel lecture: When atoms behave as waves: Bose-Einstein condensation and the atom laser
2002
[107]
문서
1粒子波動関数
[108]
문서
基底状態の1粒子波動関数
[109]
문서
보스액체와 헬륨4의 초유동
[110]
문서
운동량에 대한 합의 적분 근사
[111]
문서
2준위 전이 조건
[112]
서적
C.J. Pethick & H. Smith (2008), chapter.1
[113]
서적
久我 (2003)、第7-8章
[114]
논문
Plancks Gesetz und Lichtquantenhypothese
http://hermes.ffn.ub[...]
1924
[115]
논문
Zur Quantentheorie des idealen Gases
1925
[116]
문서
탈출능
[117]
서적
The Collected Papers of Albert Einstein, The Berlin Years: Writings & Correspondence, April 1923–May 1925
http://einsteinpap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8]
논문
Possible "New" Quantum Systems
[119]
논문
The possible superfluid behaviour of hydrogen atom gases and liquids
[120]
논문
Bose-Einstein Condensation of Atomic Hydrogen
[121]
논문
Neutron-Scattering Determination of the Momentum Distribution and the Condensate Fraction in Liquid 4He
[122]
웹사이트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에 의한 초전도를 처음으로 확인
https://issp.u-tokyo[...]
도쿄대학 물성연구소
2020-11-07
[123]
뉴스
Cold Atom Laboratory Creates Atomic Dance
http://www.nasa.gov/[...]
NASA
2014-09-26
[124]
웹인용
Bose-Einstein Condensation
http://www.bookrags.[...]
BookRags
2005-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