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스택은 파도에 의한 침식 작용으로 해안에서 떨어져 나와 형성된 암석 기둥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수평 층리를 보이는 퇴적암이나 화산암으로 구성되며, 암석의 절리나 단층을 따라 침식이 진행되어 동굴, 아치를 거쳐 시스택이 만들어진다. 시스택은 바닷새의 번식 장소, 암벽 등반 장소, 관광 명소 등으로 활용되며, 세계 각지에서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스택 - 레돈다섬
레돈다섬은 안티구아 바부다에 속한 작은 섬으로, 구아노 채굴로 한때 사람이 거주했으나 현재는 무인도이며, 희귀 동식물의 서식지 보호와 '레돈다 왕국' 신화로 알려져 있다. - 시스택 - 볼스피라미드
볼스피라미드는 로드하우 섬에서 떨어진 해상 암탑으로, 로드하우 융기를 기반으로 헨리 리드버드 볼 대위에 의해 발견되었고, 현재는 엄격한 조건 하에 등반이 허용되며, 멸종된 것으로 여겨진 로드하우 섬 대벌레의 서식지로서 생물학적 중요성을 지닌다. - 해저지형 - 해령
해령은 대양 중앙부를 따라 뻗은 거대한 해저 산맥으로, 판이 갈라지면서 맨틀 물질이 상승하여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는 곳이며, 활발한 화산 활동과 높은 지각 열류량을 보인다. - 해저지형 - 대륙사면
대륙사면은 대륙붕 가장자리에서 심해 평원 방향으로 급격히 경사가 변하는 해저 지형으로, 해저 협곡과 같은 다양한 지형적 특징을 가지며 활성 및 수동 사면으로 나뉘고 해양 생태계와 경제적 가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지형학 - 유역
유역은 분수계를 경계로 빗물이 모여 하천을 이루는 지역으로, 형태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며 홍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학적으로 중요한 개념이다. - 지형학 - 영구동토
영구동토는 북반구 고위도와 고산지대에 주로 분포하며 2년 이상 0℃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는 토양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빙될 경우 온실가스 배출 증가 및 지반 불안정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시스택 | |
---|---|
지질학적 기둥 | |
정의 | 해안 또는 내륙에 위치한, 침식에 의해 형성된 가파르고 종종 수직적인 암석 기둥 |
형성 과정 | |
해안 지역 | 파도의 침식 작용으로 곶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면서 형성 파도의 침식으로 인해 아치가 붕괴되면서 형성 파도의 지속적인 침식으로 인해 굴이 관통되면서 형성 |
내륙 지역 | 차별적인 침식으로 인해 형성 (더 부드러운 암석이 침식되고 더 단단한 암석이 남음) 빙하 작용으로 인해 형성 |
특징 | |
높이 |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에 이르기까지 다양 |
모양 | 뾰족하거나 뭉툭하거나 불규칙한 모양 |
분포 | |
해안 지역 | 영국 아이슬란드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미국 일본 한국 |
내륙 지역 | 미국 (예: 브라이스 캐니언 국립공원) 중국 (예: 장가계) |
기타 | |
관련 용어 | 해식 기둥 후두 (Hoodoo) |
2. 형성 과정
시스택은 파도가 해안 절벽의 약한 부분(절리, 단층 등)을 공격하여 만들어지는 지형이다. 일반적으로 퇴적암이나 화산암에서 형성되며, 특히 석회암 절벽에서 잘 나타난다.
2. 1. 침식 작용
파도가 절벽의 약한 틈을 공격하여 동굴을 형성한다. 동굴이 곶을 관통하면 아치 형태가 된다. 아치가 침식으로 무너지면 기둥 모양의 시스택이 남는다. 시스택은 결국 침식되어 스텀프(stump)라고 불리는 작은 암초가 된다.[3]시스택은 일반적으로 수평 층리를 보이는 퇴적암 또는 화산암에서 형성되며, 특히 석회암 절벽에서 잘 나타난다. 이러한 암석의 중간 정도 경도는 마모 및 마찰 침식에 대한 중간 정도의 저항성을 의미한다. 더 저항력이 강한 층은 모자석을 형성할 수 있다. 약한 암석의 절벽은 사태가 일어나고 너무 빨리 침식되어 시스택을 형성하기 어렵고, 화강암과 같은 단단한 암석은 다른 방식으로 침식된다.[4]
시스택의 형성 과정은 일반적으로 바다가 절벽 표면의 가파른 절리나 작은 단층대와 같은 약점을 공격하면서 시작된다. 이러한 틈은 점차 커져 동굴로 변한다. 동굴이 곶을 관통하면 아치가 형성된다. 추가 침식으로 인해 아치가 무너지면서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단단한 암석 기둥, 즉 시스택이 남게 된다. 결국 침식으로 인해 시스택이 무너져 스텀프가 남게 된다. 이 스텀프는 일반적으로 조수 간만의 차로 잠길 수 있을 만큼 낮은 작은 암초 섬을 형성한다.
해식주는 조건이 갖춰지면 연안부에 자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해식주의 형성 과정은 먼저 곶과 같이 바다로 돌출된 끄트머리에 존재하는 바위의 작은 틈새나 틈에 파도가 부딪히면서 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틈새는 점차 넓어져 작은 동굴이 된다. 더 침식되면 이 동굴이 바다로 돌출된 끄트머리를 관통하여 자연 아치가 형성된다. 더욱 침식이 진행되면 아치가 붕괴되어 단단한 암석으로 이루어진 아치의 지주 부분이 남아 해안에서 솟아오른 상태가 된다. 이 상태가 바로 해식주이다. 다만, 이 해식주도 결국 침식되어 기부만 남게 된다. 이 기부는 보통 작은 암초이며, 만조가 되면 바다에 잠기게 된다.
3. 구성 암석
시스택은 주로 퇴적암(특히 석회암)이나 화성암으로 구성된다.
3. 1. 암석의 특징
시스택은 일반적으로 수평 층리를 보이는 퇴적암 또는 화산암에서 형성되며, 특히 석회암 절벽에서 잘 나타난다. 이러한 암석은 중간 정도의 경도를 가지며, 마모 및 마찰 침식에 대한 중간 정도의 저항성을 의미한다. 더 저항력이 강한 층은 모자석을 형성할 수 있다.[4] (점토암이나 절리가 많은 암석과 같이 약한 암석의 절벽은 사태가 일어나고 너무 빨리 침식되어 시스택을 형성하기 어렵고, 화강암과 같은 단단한 암석은 다른 방식으로 침식된다.)[4]일반적인 해식주는 퇴적암 (특히 석회암)이나 화성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암석은 중간 정도의 경도를 가지며, 침식에 대해서도 중간 정도의 내성을 갖는다. 침식에 더 강한 지층이 있는 경우에는 해식주 위에 관석이 형성되기도 한다. 반면, 더 무른 점토와 같은 암석은 사태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경우보다 짧은 기간 내에 해식주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반대로, 더 단단한 화강암과 같은 암석은 해식주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침식된다.
4. 활용
시스택은 육지 동물로부터 격리되어 바닷새에게 중요한 번식 장소가 된다.[1] 경사가 급하기 때문에 암벽 등반 장소로도 잘 알려져 있다.[1] 기암으로 유명한 시스택은 관광 명소로 이용되기도 한다.[1]
5. 기타
큰 호수에서도 시스택과 유사한 지형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대호 중 휴런호에 접한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조지아 만에 위치한 플라워팟 아일랜드(Flowerpot Island)가 있다. 플라워팟은 화분을 뜻하며, 생김새가 화분처럼 보여 이러한 명칭이 붙었다.
또한, 물이 없는 곳에서도 풍화 작용에 의해 시스택과 유사한 지형이 형성될 수 있다.
6. 시스택의 예
다음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시스택의 예시이다.
- --
- --
- --
- --
- --
6. 1. 세계의 시스택

6. 2. 동아시아의 시스택
참조
[1]
서적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Prentice Hall
[2]
웹사이트
Sea stacks
http://www.britannic[...]
2009-04-14
[3]
웹사이트
Mayo - County Geological Site Report
https://gsi.geodata.[...]
Geological Survey of Ireland
2023-12-28
[4]
서적
Encyclopedia of Coastal Scienc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