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암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암초는 '갈비뼈'를 뜻하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된 말로, 물속에 잠겨있는 바위를 의미한다. 암초는 기원, 지리적 위치, 수심 등에 따라 분류되며, 생물 기원 암초, 지질학적 암초, 인공 암초로 나뉜다. 특히 해양법에서는 암초의 정의에 따라 영해, 접속수역, 배타적경제수역, 대륙붕의 권한이 달라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안지리학 - 갯벌
    갯벌은 조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쌓여 형성된 평탄한 지형으로, 생물 다양성 유지, 오염 물질 정화, 해안 침식 방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간척 사업으로 면적이 감소하여 보존 및 복원 노력이 필요하며 한국 서해안과 남해안에 넓게 분포한다.
  • 해안지리학 - 동굴
    동굴은 다양한 지질학적 작용으로 형성된 지하 공간으로, 용식 동굴, 용암 동굴, 해식 동굴 등 여러 유형이 있으며, 빛과 영양분이 부족한 특수한 환경으로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고 고고학적, 문화적, 현대적 가치를 지닌다.
암초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의수면 아래에 있는 암석, 산호 또는 기타 물질의 둑
관련 용어여울, 얕은 곳, 수중 산맥
형성 원인화산 활동
판 구조 운동
생물학적 성장
특징항해 위험
해양 생물 서식지
유형
산호초열대 해역
산호 폴립의 골격
다양한 해양 생물 서식
암초암석으로 구성
해안가 또는 해저에 존재
항해에 위험
생태계
생물 다양성다양한 해양 생물 서식
물고기, 갑각류, 연체동물, 해조류 등
생태학적 역할해양 생태계의 중요한 부분
먹이 사슬의 기반
해안선 보호
인간과의 관계
항해항해 위험 요소
선박 좌초의 원인
어업어류 서식지
어업 활동의 장소
관광다이빙 및 스노클링 명소
해양 관광 자원
보호환경 보호의 대상
오염 및 파괴로부터 보호 필요
문화적 중요성해안 지역 사회의 전통 및 문화
전설 및 신화에 등장
추가 정보
참고 자료Gilby et al. (2018) - 어류 및 어업을 위한 굴 암초 복원의 이점 극대화
National Geographic - 암초
길이약 2300km

2. 어원

"암초"라는 단어는 고대 노르드어 단어 ''rif''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갈비뼈" 또는 "암초"를 의미한다. ''rif''는 게르만 원어 ''ribją''에서 유래했는데, "갈비뼈"를 의미한다.[3] 한국어에서는 '여'라는 명칭으로도 불리며, 이희승이 저술한 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여'는 '물속에 잠겨있는 바위'를 의미한다. '여'로 불리는 자연 지명은 우리나라 주변, 특히 제주도 부근에 많이 분포한다. '제주시 옛지명'에서는 '걸바다밭 중에 바위'를 '여'라고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여'가 '물속에 잠겨있는 바위'를 의미하며, 국어사전의 정의와 거의 같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여'는 '암(바위)'과 동일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한다. 제주도 부근의 '여'로는 옺아진여, 쟁반여, 동산여, 큰여 등이 있으며, 남해안에는 곡두여, 흑등여 등이 있다.

3. 분류

암초는 기원, 지리적 위치, 수심 및 지형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대 산호초의 가장자리 암초나 온대성 암석 간조대 암초 등이 있다.[1]

3. 1. 생물 기원 암초

생물 기원 암초(Biotic reef)는 굴초와 해면초 등 다양한 유형이 있지만, 가장 크고 널리 분포하는 것은 열대 산호초이다. 산호초는 산호석회조류를 포함한 석회질 조류가 함께 만들어내는 거대한 구조물이다.

유생은 성체 굴에 정착하여 층을 이루며 성장하는데, 이들은 해면, 해조류 등이 자라는 서식지를 제공하는 석회질 탄산 칼슘 구조를 형성한다.

생물초는 육지와의 관계에 따라 보초, 장벽초, 환초 등으로 구분된다. 보초는 섬에 붙어 있는 암초이고, 장벽초는 섬 주변에 석회질 장벽을 형성하여 해안과 암초 사이에 석호를 만든다. 환초는 육지가 없는 고리 모양의 암초이다.

암초 정면은 바다를 향해 높은 에너지 지역을 이루고, 내부 석호는 입자가 고운 퇴적물이 있는 저에너지 지역이다.

3. 1. 1. 구상체 (Mounds)

구상체는 암초와 유사하지만, 거시적인 골격 구조가 없는 퇴적 구조물이다. 미생물이나 골격 구조가 없는 유기체에 의해 형성된다. 미생물 구상체는 시아노박테리아에 의해 전적으로 또는 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층상 내부 구조를 가진 미생물 구상체의 한 예이다.[4] 시아노박테리아는 골격이 없고 개체는 현미경적이지만, 탄산칼슘의 침전이나 축적을 촉진하여 해저에 지형적 특징을 갖는 독특한 퇴적체를 생성할 수 있다.[4] 이끼벌레류(bryozoan)와 극피동물(crinoid)는 미시시피절(Mississippian period) 동안 해양 퇴적물에 기여하는 일반적인 유기체로, 다른 종류의 구상체를 생성한다.[4][6] 이끼벌레류는 작고 극피동물의 골격은 분해되지만, 이끼벌레류와 극피동물 초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될 수 있으며 퇴적 지형을 갖는 구성상 독특한 퇴적체를 생성한다.[4]

3. 2. 지질학적 암초

지질학적 암초는 물속에서 주변의 느슨한 지표면 위로 솟아오른 암석 노두(암석이나 광맥이 지표면에 드러난 부분)이다. 이러한 암초는 얕은 물가에서부터 깊은 바다까지 다양한 수심에서 발견되며, 여러 생물에게 서식처와 은신처를 제공한다. 암초는 주로 아열대, 온대, 아극지방 근처에 위치한다.

3. 2. 1. 구조

윈들리 키 화석초(Windley Key Fossil Reef Geological State Park)의 화석 뇌산호(미국 25센트 동전은 크기 비교를 위한 것이다.)


층서 단면에 묻힌 고대 산호초는 지구 역사에서 그 위치에 대한 고환경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지질학자들에게 상당한 관심의 대상이다. 또한, 일련의 퇴적암 내의 산호초 구조는 화석 연료 또는 광물화 유체가 석유 또는 광상을 형성하는 함정이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는 불연속성을 제공한다.[8]

사방산호와 격벽산호를 포함한 일부 주요 멸종 그룹 산호는 오르도비스기 이후 현생누대의 대부분 동안 중요한 산호초 건설자였다. 그러나 홍조류(특히 석회조류) 및 연체동물(특히 루디스트 이매패류는 백악기 동안)과 같은 다른 유기체 그룹은 다양한 시기에 거대한 구조를 만들었다.

캄브리아기 동안, 불확실한 친족 관계(아마도 해면동물)의 멸종 그룹인 아르케오시아타의 원추형 또는 관형 골격이 산호초를 건설했다.[9] 이끼벌레와 같은 다른 그룹은 골격 구축자 사이에서 사는 중요한 간극 생물이었다. 오늘날 산호초를 건설하는 산호인 경산호는 초기 사방산호(그리고 다른 많은 그룹)를 멸종시킨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멸종 사건 이후에 나타났다. 그들은 중생대 전반에 걸쳐 점점 더 중요한 산호초 건설자가 되었다.[10] 그들은 사방산호 조상으로부터 유래했을 수 있다.

사방산호는 방해석으로 골격을 만들었고, 골격이 아라고나이트인 석산호와는 다른 대칭성을 가지고 있다.[11] 그러나 후기 페름기에는 잘 보존된 아라고나이트 사방산호의 특이한 예가 있다. 또한, 일부 석산호의 초기 유생 후 석회화에서 방해석이 보고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기 트라이아스기에 출현한) 석산호는 사방산호(후기 페름기에 사라짐)와는 독립적으로 석회화되지 않은 조상으로부터 유래했을 수 있다.[4]

3. 3. 인공 암초

인공 암초는 특징 없는 바닥에 해양 생물을 촉진하거나, 침식을 제어하거나, 선박 통행을 막거나, 저인망 어업을 제한하거나, 서핑을 개선하기 위해 건설되는 인공 수중 구조물이다.

많은 인공 암초는 다른 목적으로 건설된 물체를 사용하여 건설된다. 예를 들어, 석유 시추 시설을 침몰시키거나(Rigs-to-Reefs 프로그램을 통해), 침몰시키거나, 잔해나 건설 폐기물을 배치하는 방법이 있다. 다른 인공 암초는 PVC 또는 콘크리트로 특별히 제작된다(예: Reef Ball Foundation의 리프볼). 난파선은 해저에서 인공 암초가 되기도 한다. 건설 방법에 관계없이 인공 암초는 일반적으로 조류와 따개비, 산호, 굴과 같은 무척추동물이 부착되는 안정적인 단단한 표면을 제공한다. 부착된 해양 생물의 축적은 차례로 물고기 군집에 복잡한 구조와 먹이를 제공한다.

4. 한국의 암초

한국에서는 암초를 '여'라고 부르며, 제주도 주변 해역에 옺아진여, 쟁반여, 동산여, 큰여 등 다양한 '여'가 분포한다. 남해안에는 곡두여, 흑등여 등이 있다. 국어사전에서는 '여'를 '물속에 잠겨있는 바위(암초)'로 정의하고 있다.[1]

5. 해양법과 암초

해도에서는 조수 간만을 기준으로 암초를 수상암, 간출암, 세암, 암암으로 구분한다.[13] 이 중 암암은 일반적으로 암초라고 불린다.


  • 수상암 - 최고 수면(평균고조면)보다 높은 곳에 있는 암석.[13] 만조시를 포함하여 항상 수면 위에 노출되어 있다.
  • 간출암 - 최저 수면(평균저조면)과 최고 수면 사이에 있는 암석.[13] 만조 시에는 수면 아래에 잠기고, 간조 시에 수면 위에 노출된다.
  • 세암 - 최저 수면(평균저조면)과 같은 높이의 암석.[13] 간조 시, 암석의 정상이 수면과 거의 같은 높이가 된다.
  • 암암 - 최저 수면(평균저조면)보다 낮은 곳에 있는 암석. 간조 시를 포함하여 항상 수면 아래에 잠겨 있다.[12]


국제연합 해양법협약(UN 해양법협약) 제121조에서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육지로서 물에 둘러싸여 있고, 고조시에도 수면 위에 있는 것을 으로 정의하고, 섬에 영해, 접속수역, 배타적경제수역(EEZ), 대륙붕을 인정하고 있다. 다만, 상기 조건을 충족하더라도, 사람이 거주하거나 독자적인 경제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것은 '''암초'''로 정의되며, 배타적경제수역이나 대륙붕을 가지지 않는다(영해, 접속수역은 가짐).

이 정의에 따르면, 간출암, 세암, 암암은 국제연합 해양법협약상 섬도 암초도 아니므로, 영해, 접속수역, 배타적경제수역, 대륙붕을 가지지 않는다. 다만, 간출암이 저조고지로 인정된 경우, 간출암의 저조선을 영해의 기선으로 할 수 있다.

6. 관용 표현

어떤 일이 장애물 때문에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을 때 '암초에 걸리다'라는 관용구를 사용한다.

참조

[1] 논문 Maximizing the benefits of oyster reef restoration for finfish and their fisheries https://onlinelibrar[...] 2018-09-00
[2] 웹사이트 Reef https://education.na[...] null
[3]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Proto-Germanic https://archive.org/[...] 2013-00-00
[4] 웹사이트 Reading: Shorelines {{!}} Geology https://courses.lume[...]
[5] 논문 Are reefs and mud mounds really so different? https://www.scienced[...] 2001-12-15
[6] 웹사이트 Chooser https://chooser.cros[...]
[7] 논문 Possible indicators of microbial mat deposits in shales and sandstones: examples from the Mid-Proterozoic Belt Supergroup, Montana, U.S.A. https://sepm04.siteh[...] 1998-00-00
[8] 논문 Coastal Geology: Shorelines https://pressbooks.c[...]
[9] 웹사이트 Archaeocyathans https://ucmp.berkele[...]
[10] 논문 The reorganization of reef communities following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05-09-01
[11] 웹사이트 Rugose Coral https://www.colorado[...] 2021-06-30
[12] 웹사이트 暗礁(あんしょう)とは https://kotobank.jp/[...]
[13] 웹사이트 海は危険がいっぱい http://www1.kaiho.ml[...]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