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장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장력은 기업이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시장 구조, 진입 장벽, 제품 차별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시장 구조는 완전 경쟁, 독점적 경쟁, 과점, 독점 등으로 구분되며, 각 구조는 기업의 시장 지배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시장 지배력은 러너 지수, 시장 집중도, 허핀달-허쉬만 지수 등의 지표로 측정될 수 있으며, 수요의 가격 탄력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경쟁법에서는 시장 지배력의 남용을 규제하며, 한국의 공정거래법 또한 시장 지배적 사업자의 지위 남용 행위를 제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완전 경쟁 - 과점
    과점은 소수의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는 시장 구조로, 높은 진입 장벽, 상호 의존성, 비가격 경쟁 등의 특징을 보이며, 경쟁법과 반경쟁적 행위 규제를 받는다.
  • 불완전 경쟁 - 진입 장벽
    진입 장벽은 신규 기업이 특정 산업이나 시장에 진입할 때 겪는 어려움으로, 규모의 경제, 네트워크 효과, 자본 요건, 기존 업체의 우위, 유통 채널 접근성, 정부 규제 등이 주요 원인이며 시장 구조와 한국 시장의 특성으로 인해 그 강도가 달라진다.
시장력
시장력
정의특정 기업이 상품 가격을 경쟁 수준 이상으로 상당히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능력
시장력 원천
높은 시장 점유율특정 기업이 시장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하는 경우
진입 장벽새로운 기업이 시장에 진입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소들 (예: 높은 초기 투자 비용, 정부 규제, 특허 등)
제품 차별화기업이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경쟁사와 차별화되어 소비자들이 특정 브랜드를 선호하게 만드는 경우
네트워크 효과더 많은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할수록 그 가치가 증가하는 현상
규모의 경제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단위당 생산 비용이 감소하는 현상
시장력 측정 지표
러너 지수가격과 한계비용 간의 차이를 가격으로 나눈 값. 시장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됨
허핀달-허쉬만 지수 (HHI)시장 집중도를 측정하는 지표. 시장 내 모든 기업의 시장 점유율 제곱의 합으로 계산됨
집중률상위 기업들의 시장 점유율 합계를 나타내는 지표. 시장 집중도를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음
시장력의 영향
소비자 후생 감소기업이 시장력을 이용하여 가격을 인상하면 소비자들은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하므로 소비자 후생이 감소함
생산량 감소시장력을 가진 기업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생산량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사회 전체의 자원 배분 효율성을 저해함
혁신 저해경쟁이 부족하면 기업은 혁신에 대한 유인이 줄어들어 기술 발전이 둔화될 수 있음
불평등 심화시장력을 가진 기업의 소유주나 경영진은 과도한 이윤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소득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음
시장력 규제
경쟁법시장 지배적 지위 남용, 불공정 거래 행위, 기업 결합 등을 규제하여 시장 경쟁을 촉진하는 법률
반독점 정책시장의 독과점을 방지하고 경쟁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부 정책
규제 완화정부 규제를 완화하여 새로운 기업의 진입을 촉진하고 시장 경쟁을 활성화하는 정책
참고
시장 지배력 남용 행위 유형부당 염매 행위
거래 거절 행위
차별적 가격 책정
경쟁 사업자 배제 행위

2. 시장 구조

다양한 시장 구조


경제학에서 시장 구조는 기업의 행동과 재무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10] 시장 구조는 기업이 판매하는 재화의 유형(동질적/이질적)과 산업 내 경쟁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산업을 특징짓고 차별화한다.[11] 기업이 다양한 시장에서 행사하는 시장 지배력의 정도는 기업이 활동하는 시장 구조와 관련이 있다.

관찰되는 주요 시장 구조는 완전 경쟁, 독점적 경쟁, 과점, 독점의 네 가지이다.[11] 완전 경쟁과 독점은 시장 구조의 양 극단을 나타내며, 독점적 경쟁과 과점은 이 두 극단 사이에 존재한다.[10]

완전 경쟁 시장에서는 개별 기업이 가격 결정권을 가지지 못하고 시장 가격을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50] 반면, 완전 경쟁 이외의 시장에서는 기업이 자신의 행동으로 제품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를 시장 지배력이라고 한다.[52] 현실에서는 완전 경쟁 시장은 드물고, 많은 기업이 어느 정도 시장 지배력을 가진다.

2. 1. 완전 경쟁

완전 경쟁은 어떠한 장벽이나 간섭이 없는 시장 구조를 의미하며, 기업이나 소비자가 가격에 영향을 미칠 만큼 강력하지 않은 시장을 설명한다. 경제학적 관점에서 볼 때, 이는 많은 전통적인 시장 형태 중 하나이며 시장 경쟁의 최적 조건이다.[12] 완전 경쟁의 개념은 시장이 파레토 효율성을 달성하는 균형에 도달하는 이론적 시장 구조를 나타낸다. 이는 시장에서 판매자가 공급하는 수량이 현재 가격에서 구매자가 수요하는 수량과 같을 때 발생한다.[13] 완전 경쟁 시장에서 경쟁하는 기업은 시장 가격한계 비용과 같아 경제적 이윤이 존재하지 않는다.

완전 경쟁 시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이 충족되어야 한다.

# 생산자는 동질적인 상품을 판매한다.

# 모든 기업은 가격 수용자이다.

# 완전한 정보

# 진입 및 퇴출 장벽 없음

# 모든 기업은 상대적으로 작은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

시장의 모든 기업이 가격 수용자이므로 본질적으로 시장 지배력이 없으며 시장에서 제시된 가격을 받아들여야 한다. 완전 경쟁 시장은 현실 세계에서는 논리적으로 달성 불가능하며, 자체적으로 모순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경제학자들은 이를 이상적인 프레임워크로 간주한다.[14]

완전 경쟁 시장에서는 개별 기업에 가격 결정권이 없다.[50] 시장 가격을 초과하는 가격을 붙인 제품은 전혀 팔리지 않으며,[50] 단독 기업의 행동은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51] 이 때문에 개별 기업은 시장 가격을 주어진 것으로[51], 자사 제품을 시장 가격으로 판매하는 것 외에는 선택지가 없다.

이에 반해 완전 경쟁 이외의 시장에서는 기업은 그 행동에 따라 자사 제품의 판매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경우 기업은 시장 지배력을 가진다고 한다.[52] 그 궁극적인 형태가 독점이다.[52] 현실적으로 완전 경쟁으로 간주할 수 있는 시장은 극히 소수이며, 많은 기업이 어떤 형태의 시장 지배력을 가진다(적어도 어느 정도는 제품의 판매 가격을 컨트롤할 수 있다).

2. 2. 독점적 경쟁

독점적 경쟁은 완전 경쟁독점 사이의 "중간 지점"으로, 차별화된 유사 상품을 판매하는 많은 생산자가 존재하는 시장 구조이다.[15] 독점적 경쟁 시장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특징설명
차별화된 제품기업은 차별화된 유사 상품을 판매하여 서로 경쟁하며, 완전 대체재는 아니다.[16]
많은 판매자와 구매자시장에는 많은 수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존재한다.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기업은 시장에 자유롭게 진입하고 퇴출할 수 있다.



이러한 시장 구조 내의 기업은 가격 수용자가 아니며, 제품 가격, 품질 및 마케팅 노력을 통해 경쟁하고, 고유하게 차별화된 제품에 대한 개별 가격을 설정한다.[18] 단기적으로 기업은 차별화된 상품이 판매자에게 어느 정도의 시장 지배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경제적 이윤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업계의 경쟁 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윤은 0에 접근한다.[17] 독점적 경쟁이 있는 산업의 예로는 식당, 미용실, 의류 등이 있다.

2. 3. 과점

과점은 소수의 기업이 시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시장 구조이다. 과점 시장 형태는 주로 시장 경쟁의 독점(기업이 경쟁 우위를 통해 획득한 시장 독점)과 정부 규제로 인한 행정 독점에 기인한다.[25] 예를 들어 정부가 법률 및 규정을 통해 산업 내 기업에 독점적 권한을 부여하고 동시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특정 규제를 부과하는 경우이다.[25] 과점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소수의 판매자와 다수의 구매자.

# 동질적이거나 차별화된 제품.

# 높은 진입 장벽. 여기에는 '기술적 문제, 정부 규제, 특허, 창업 비용 또는 교육 및 면허 요건'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26]

# 상호 작용/전략적 행동.

소수의 기업만이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므로, 이들의 시장 지배력은 집단적으로 크며 각 기업은 독립적으로 시장 지배력이 거의 또는 전혀 없다.[27] 이러한 산업에 진입하려는 기업의 경우, 대규모 생산 규모로 시작하여 상당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지 못하면 높은 평균 비용으로 인해 기존 기업과 경쟁하는 것이 불가능해질 것이다.[28] 일반적으로 과점 시장에서 운영되는 기업이 가격을 조정하면 업계의 다른 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굴절 수요 곡선


미국 경제학자 폴 스위지가 제안한 굴절 수요 곡선 가설에 따르면,[29] 과점 기업은 굴절 수요 함수의 제약 내에서 운영된다. 즉, 기업이 지배적인 가격 수준(P*) 이상으로 가격을 설정하면, 개인들이 경쟁사의 제품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격은 상대적으로 탄력적이다. P* 이하의 가격은 경쟁 기업이 가격 변동을 모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탄력적이라고 여겨진다. 즉, 기업은 더 적은 이익을 얻게 된다.[30]

과점은 시장 지배력을 행사하고 가격을 조작하여 여러 기업의 수요와 수익을 통제하기 위해 명시적이든 묵시적이든 담합에 참여할 수 있다. 시장 가격이나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기로 명시적으로 합의한 기업 집단을 카르텔이라고 하며, 석유 수출국 기구(OPEC)는 국제 카르텔의 가장 잘 알려진 예시 중 하나이다.

2. 4. 독점

독점은 제품의 단독 판매자,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을 가진 생산자, 또는 대규모 기업을 지칭하는 다양한 경우에 사용된다.[19] 이러한 경우들의 공통점은 자체 생산 결정을 통해 재화 또는 서비스의 공급을 변경하여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가장 많이 논의되는 형태의 시장 지배력은 독점이지만, 매점과 같은 다른 형태와 이러한 극단적인 경우의 더 완화된 형태도 존재한다. 독점은 '시장 실패'로 간주되며, 대체재가 없는 독특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생산하는 하나의 기업으로 구성된다. 순수한 독점은 드물지만, 독점력은 훨씬 더 흔하며 시장에 둘 이상의 공급자가 있는 경우에도 많은 산업에서 볼 수 있다.[20] 독점력을 가진 기업은 수요가 상대적으로 비탄력적이므로 제품에 대해 더 높은 가격(더 높은 마크업)을 부과할 수 있다.[21] 또한, 기업이 노동과 같은 비싼 투입에서 벗어나면서 노동 분배율이 하락하는 것을 볼 수 있다.[22] 종종 독점력을 가진 기업은 높은 진입 장벽이 있는 산업에 존재하며,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 규모의 경제

# 포식적 가격 책정[20]

# 핵심 자원 통제 (재화 생산에 필요)

# 법적 규제[21]

독점적 시장 지배력의 잘 알려진 예는 마이크로소프트사(Microsoft)의 PC 운영 체제 시장 점유율이다. ''미국 대 마이크로소프트''(United States v. Microsoft) 소송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자사의 웹 브라우저를 운영 체제와 묶어 시장 지배력을 불법적으로 행사했다는 혐의를 다루었다. EU 반독점법에서 지배력과 지배적 지위의 개념은 엄격하게 관련된 측면이다.[23]

완전 경쟁 시장에서는 개별 기업에 가격 결정권이 없다.[50] 완전 경쟁 시장에서는 시장 가격을 초과하는 가격을 붙인 제품은 전혀 팔리지 않으며,[50] 단독 기업의 행동은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51] 이 때문에 개별 기업은 시장 가격을 주어진 것으로[51] 자사 제품을 시장 가격으로 판매하는 것 외에는 선택지가 없다.

이에 반해 완전 경쟁 이외의 시장에서는 기업은 그 행동에 따라 자사 제품의 판매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경우 기업은 시장 지배력을 가진다고 한다.[52] 그 궁극적인 형태가 독점이다.[52] 현실적으로 완전 경쟁으로 간주할 수 있는 시장은 극히 소수이며, 많은 기업이 어떤 형태의 시장 지배력을 가진다 (적어도 어느 정도는 제품의 판매 가격을 컨트롤할 수 있다).

3. 시장 지배력의 원천

시장 지배력은 주로 차별화된 재화 또는 시장의 진입 장벽으로부터 발생한다.

완전 경쟁 시장에서는 개별 기업에 가격 결정권이 없다.[50] 시장 가격을 초과하는 가격을 붙인 제품은 전혀 팔리지 않으며[50], 단독 기업의 행동은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51] 이 때문에 개별 기업은 시장 가격을 주어진 것으로[51]받아들인다.

이에 반해 완전 경쟁 이외의 시장에서는 기업이 그 행동에 따라 자사 제품의 판매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경우 기업은 시장 지배력을 가진다고 하며[52], 그 궁극적인 형태가 독점이다.[52] 현실적으로 완전 경쟁 시장은 극히 소수이며, 많은 기업이 어떤 형태의 시장 지배력을 가진다. 기업이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경쟁 상대가 시장에 진입하는 것을 막는 요인이 필요한데[53], 이를 진입 장벽이라고 한다.[53]

3. 1. 진입 장벽

신규 기업이 시장에 진입하여 기존 기업과 경쟁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을 진입 장벽이라고 한다.[53]

진입 장벽의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다.

  • 핵심적 생산요소의 통제: 다이아몬드 광산 채굴권을 독점한 드비어스처럼, 한 기업이 핵심 생산요소를 통제하면 다른 기업의 시장 진입이 어려워진다.[55]
  • 자연 독점: 시장 진입에 필요한 고정비용이 매우 크고, 규모가 커질수록 평균 비용이 낮아지는 규모의 경제가 발생하면 자연 독점이 발생한다.[55]
  • 네트워크 효과: 특정 재화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소비자의 효용이 증가하여, 신규 기업의 시장 진입을 막는 장벽이 형성된다.[55]
  • 특허 또는 정부 규제: 정부가 연구개발에 특허권을 부여하거나, 기존 공급자 보호를 위해 법으로 신규 진입 장벽을 만들기도 한다.[55]
  • 높은 초기 비용: 전력, 케이블 TV, 통신 회사와 같이 산업 내 초기 창조 비용이 크면 신규 진입자가 성공하기 어렵다.[32]
  • 소비자의 브랜드 충성도: 기존 기업은 고객 충성도로 인해 경쟁 우위를 가지며, 한계 가격 설정, 포식 가격 책정, 전략적 번들링 등 진입 억제 전략을 사용하기도 한다.[32]
  • 생산 요소 장벽: 재화 생산에 필요한 유형(토지, 자본) 및 무형(인적 자원, 지능) 생산 요소의 공급 통제가 시장력에 영향을 준다. 특히 지식 기반 경제에서는 무형 생산 요소의 통제가 중요해진다.[34]


OPEC은 희소 자원(석유)을 통제하여 시장력을 가진 예시이다.[32] 마이크로소프트는 기술적 우위로 가격 결정력을 가진다.[32] 정부가 프랜차이즈나 영업 허가로 독점을 만드는 경우(제약 회사 특허 등)도 있다.[33]

진입 장벽이 없으면 신규 기업 진입으로 개별 기업의 이윤이 감소하여 장기적으로 초과 이윤을 얻기 어렵다.[56] 반면, 진입 장벽이 있으면 신규 기업 진입이 어려워져 기존 기업은 높은 가격을 책정할 수 있다.[56]

3. 2. 제품 차별화

소비자는 재화가 차별화되어 있을 때 차별화된 재화의 특성에 대한 선호를 가지게 되며, 이는 시장 지배력의 원천이 된다.[55] 만약 재화가 동질적인 경우라면 가장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공급자가 시장을 차지하게 된다. 그러나 재화가 차별화되어 있다면 제품 간의 대체가 제한적이므로 경쟁 기업보다 가격을 조금 낮추는 것으로 시장 전부를 차지할 수는 없게 된다.[55] 재화나 판매자가 구별될 수 있다는 점은 시장력을 갖기 위한 필요조건이다.[56]

4. 시장 지배력의 측정

시장 지배력을 측정하는 것은 복잡하지만, 몇 가지 지표가 널리 사용된다. 기업의 시장력 규모는 탄력적인 수요 곡선에서 벗어나 한계 비용보다 높은 가격을 부과할 수 있는 능력으로 나타나며, 이는 일반적으로 기업의 마크업 또는 마진이라고 불린다.[35] 마크업이 높을수록 시장력의 규모가 커지지만, 마크업은 기업의 한계 비용에 따라 달라지므로 측정하기가 복잡하다. 그 결과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매출 데이터만 필요한 집중률이 더 일반적인 지표로 사용된다. 시장력 측정은 시장 정의와 분석 범위에 따라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표가 민감하게 변동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복잡하다.

4. 1. 러너 지수

러너 지수는 독점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아바 러너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매출액에서 독점 이윤이 차지하는 비율로 계산한다.[57]

러너 지수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한다.

:L=\frac{P-MC}{P}

여기서 P는 시장 가격, MC는 한계 비용을 의미한다.

과점 시장에서는 시장 전체의 러너 지수를 계산할 때, 각 기업의 한계비용에 시장 점유율을 가중치로 부여하여 계산한다.[54]

:L=\frac{P-\sum_{i=1}^{N} s_{i}MC_{i}}{P}

:s_i는 기업 i의 시장 점유율이고, MC_i는 기업 i의 한계 비용이다.

레르너 지수는 독점 시장에서 시장 지배력을 추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 지수는 기업의 생산물 가격을 한계 비용과 비교한다. 완전 경쟁 시장에서는 한계 비용에 맞춰 가격이 결정되는 것이 "사회적으로 최적"이다.[41] 레르너는 시장 지배력을 독점 기업이 가격을 한계 비용보다 높게 올릴 수 있는 능력이라고 보았다.[42]

레르너 지수는 다음 공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L = (P-MC)/P

여기서 P는 기업이 설정한 재화의 가격, MC는 기업의 한계 비용을 나타낸다. 이 공식은 독점의 본질에 초점을 맞추고, 파레토 효율성 원칙이 가지는 후생 경제적 의미를 강조한다.[43] 레르너가 가격/비용 마진 지수의 공로를 인정받고 있지만, 일반화된 버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이탈리아의 신고전파 경제학자 루이지 아마로소에 의해 도출되었다.[44]

4. 2. 집중률 (Concentration Ratio)

''N''-기업 집중률은 시장에서 가장 큰 ''N''개 기업의 결합된 시장 점유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4-기업 집중률은 한 산업에서 가장 큰 4개 기업의 총 시장 점유율을 측정한다. ''N''-기업 집중률을 계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매출액을 사용하여 시장 점유율을 계산하지만, 생산 능력과 같은 다른 지표를 기반으로 한 집중률도 사용할 수 있다. 독점의 경우 4-기업 집중률은 100%인 반면, 완전경쟁의 경우 이 비율은 0이다.[37] 연구에 따르면 40~70% 사이의 집중률은 해당 기업이 과점 형태로 운영됨을 시사한다.[38] 이 수치는 유효하지만, 집중률을 분석할 때 다른 시장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경험 법칙'으로 사용해야 한다.

집중률은 매출액 데이터만 필요하므로 계산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상대적인 매출액에 관한 것이며 비용이나 이윤에 대한 정보는 포함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4. 3. 허핀달-허쉬만 지수 (Herfindahl-Hirschman Index, HHI)

헤르핀달-허쉬만 지수와 시장 구조 간의 관계. 헤르핀달-허쉬만 값이 클수록 시장 지배력이 커진다.


헤르핀달-허쉬만 지수(HHI)는 시장 집중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시장 내 모든 기업의 시장 점유율 제곱의 합이다.[39] HHI는 경제학 및 정부 규제에서 널리 사용되는 지표이다. 이 지수는 시장 내 대기업의 시장 점유율뿐만 아니라 대기업 외의 시장 구조도 반영하므로 대기업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더 정확하게 나타낸다.[40]

예를 들어, 시장 점유율이 각각 50%인 두 기업이 있는 시장의 경우, HHI는 0.502 + 0.502 = 0.50이다. 독점 시장의 HHI는 1이고, 완전 경쟁 시장의 HHI는 0에 가깝다. ''N''-기업 집중률과 달리 HHI에서는 대기업에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하므로 HHI가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HHI는 시장 정의에 민감하다는 한계가 있어, 서로 다른 산업을 비교하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업이 변화하는 상황을 분석하는 데는 사용할 수 없다.[22]

5. 수요의 가격 탄력성과의 관계

기업이 한계 비용 이상으로 가격을 인상할 수 있는 정도는 기업의 이윤 극대화 생산량 수준에서 수요 곡선의 형태에 따라 달라진다.[47] 결과적으로, 시장 지배력과 수요의 가격 탄력성(PED) 간의 관계는 다음 방정식으로 요약할 수 있다.

:\frac{P}{MC}=\frac{PED}{1+PED}.

P/MC 비율은 항상 1보다 크며, P/MC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은 더 많은 시장 지배력을 갖는다. PED의 절대값이 증가함에 따라, P/MC 비율은 1에 접근하고 시장 지배력은 0에 접근한다. 이 방정식은 독점 가격 결정 규칙에서 파생된다.

:\frac{P-MC}{P}=-\frac 1 {PED}.

6. 경쟁법과의 관계 (한국의 관점)

1890년 셔먼 반독점법 제2조는 개별 기업이 시장 조작 권한을 이용하거나 반경쟁 행위에 참여하는 것을 통해 반경쟁 행위에 관여하는 것을 제한한다.[45] 기업이 시장과 소비자에게 해로운 방식으로 시장력을 활용하여 부당하게 더 많은 시장력을 얻은 경우, 법률 위반으로 간주될 수 있다. 시장력의 측정은 법률 위반을 결정하는 데 핵심이다.

호주에서는 소비자법에 따라 기업이 상당한 시장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할 수 있지만, "경쟁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목적, 효과 또는 그럴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한다.[46]

한국의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공정거래법)은 시장 지배적 사업자의 지위 남용 행위를 규제하고 있다. 이는 시장 지배력을 가진 기업이 그 지위를 남용하여 불공정한 경쟁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대기업의 시장 지배력 남용을 규제하고, 중소기업과의 공정한 경쟁 환경을 조성하는 정책을 지지하는 경향이 있다.

참조

[1] 논문 Market Power in Antitrust Cases https://chicagounbou[...]
[2] 논문 Macroeconomics and Market Power: Context, Implications, and Open Questions
[3] 서적 The Palgrave Encyclopedia of Strategic Management
[4] 서적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
[5] 논문 The Rise of Market Power and the Macroeconomic Implications
[6] 논문 The Ordoliberal Notion of Market Power: An Institutionalist Reassessment
[7] 간행물 Predatory Pricing and Recoupment
[8] 논문 Retail channel management decisions under collusion https://www.scienced[...] 2021-02-09
[9] 논문 Market Power in Electricity Markets: Beyond Concentration Measures https://www.jstor.or[...] 1999
[10] 서적 Economics of Strategy ""
[11] 논문 Market structure and competition in transition: results from a spatial analysis 2018-03-28
[12] 논문 What is Perfect Competition? 1934
[13] 서적 Theory of value; an axiomatic analysis of economic equilibrium Yale University Press 1959
[14] 논문 Perfect competition, methodologically contemplated 2015-05-19
[15] 서적 The Economics of Food and Agricultural Markets 2016
[16] 서적 International economics: theory and policy Pearson Addison-Wesley 2009
[17] 논문 Oligopolistic vs. monopolistic competition: Do intersectoral effects matter? http://link.springer[...] 2016-06
[18] 웹사이트 Monopolistic Competition – Overview, How It Works, Limitations https://corporatefin[...] 2021-04-27
[19] 서적 Deadweight-Loss Monopoly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21-04-25
[20] 웹사이트 Monopoly power as a market failure {{!}} Economics Online {{!}} Economics Online https://www.economic[...] 2021-04-20
[21] 웹사이트 Monopoly Power https://xplaind.com/[...] 2019-02-23
[22] 논문 The Rise of Market Power and the Macroeconomic Implications* 2020-05-01
[23] 간행물 An Institutionalist Explanation of Market Dominances. World Competition
[24] 웹사이트 Oligopoly – characteristics {{!}} Economics Online https://www.economic[...] 2021-04-18
[25] 서적 Global Oligopoly : a Key Idea for Business and Society Routledge
[26] 웹사이트 Barriers to Entry – Types of Barriers to Markets & How They Work https://corporatefin[...] 2021-04-18
[27] 웹사이트 Section 3: Characteristics of an Oligopoly Industry {{!}} Inflate Your Mind https://inflateyourm[...] 2021-04-18
[28] 논문 Monopoly and Oligopoly by Merger https://www.jstor.or[...] 1950-05
[29] 웹사이트 Kinked Demand Curve https://www.toppr.co[...] 2018-10-17
[30] 웹사이트 Interdependence in Oligopolies https://revisionworl[...] 2021-04-18
[31] 서적 Market Power: How Does it Arise? How is it Measured? http://oxfordhandboo[...]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4-25
[32] 서적 Microeconomics Worth
[33] 논문 On the Relevance of Market Power https://www.jstor.or[...] 2017
[34] 논문 Perceptions regarding strategic and structural entry barriers 2010-07
[35] 논문 Macroeconomics and Market Power: Context, Implications, and Open Questions 2019-08-01
[36] 논문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 ratio and Herfindahl-Hirschman index: A re-examination based on majorization theory 2018-10-11
[37] 서적 Microeconomics McGraw-Hill
[38] 웹사이트 Glossary: Learn more about IBISWorld's key terms https://www.ibisworl[...] 2018-12-08
[39] 서적 Microeconomics McGraw-Hill
[40] 논문 The New Merger Guidelines and the Herfindahl-Hirschman Index https://doi.org/10.2[...] 1983-03
[41] 논문 The Lerner index and revenue maximization 2017-09-02
[42] 논문 Research on market power and market structure
[43] 논문 The Lerner Index of Monopoly Power: Origins and Uses
[44] 논문 Who Invented the Lerner Index? Luigi Amoroso, the Dominant Firm Model, and the Measurement of Market Power https://www.jstor.or[...] 2012
[45] 문서 usc 15 2
[46] 문서 Competition and Consumer Act 2010
[47] 서적 Microeconomics Theory & Applications with Calculus Pearson
[48] 웹사이트 The Sveriges Riksbank Prize in Economic Sciences in Memory of Alfred Nobel 2014 https://www.nobelpri[...] 2021-04-25
[49] 서적 レヴィット ミクロ経済学 発展編 東洋経済新報社
[50] 서적 レヴィット ミクロ経済学 基礎編 東洋経済新報社
[51] 서적 レヴィット ミクロ経済学 基礎編 東洋経済新報社
[52] 서적 レヴィット ミクロ経済学 発展編 東洋経済新報社
[53] 서적 レヴィット ミクロ経済学 発展編 東洋経済新報社
[54] 서적 https://archive.org/[...]
[55] 서적
[56] 인용 Market Power: How Does it Arise? How is it Measured? http://oxfordhandboo[...]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7-01
[57]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