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원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원리는 동일성과 구별 불가능성의 관계를 다루는 철학적 원리이다. 이 원리는 두 가지로 나뉘는데, 동일자 구별 불가능성 원리는 동일한 대상은 동일한 속성을 가진다는 것이고, 구별 불가능자 동일성 원리는 동일한 속성을 가진 대상은 동일하다는 것이다. 이 두 원리는 '라이프니츠의 법칙'으로 불리며, 2차 논리로 표현될 수 있지만 1차 논리로는 표현될 수 없다. 식별 불가능성은 속성의 개념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며, 순수한 속성과 불순한 속성, 내재적 속성과 외재적 속성의 구분이 중요하다. 이 원리에 대한 비판으로 맥스 블랙의 대칭 우주 논증과 데카르트의 정신-육체 이원론에 대한 반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일성 - 테세우스의 배
    테세우스의 배는 모든 부품이 교체된 배가 원래의 배와 동일한지에 대한 철학적 사고 실험으로,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에 기록되어 있으며 동일성 문제, 물질 구성, 시간적 지속성 등 다양한 철학적 질문을 제기하며 여러 학문 분야에서 논의된다.
  • 동일성 - 열린 개인주의
    열린 개인주의는 모든 의식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철학적 관점으로, 우파니샤드 사상과 유사하며, 철학자, 물리학자, 작가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었고, 윤리학 및 대중문화에서도 그 개념을 찾아볼 수 있다.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 이진법
    이진법은 0과 1 두 개의 숫자를 사용하는 밑이 2인 위치 기수법으로, 컴퓨터 과학의 기초가 되었으며 현대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 신정론
    신정론은 전지전능하고 선한 신의 존재 하에 세상의 악과 고통의 존재 이유를 설명하고 신의 선함과 전능함을 정당화하려는 이론으로, 다양한 해석과 비판적 시각, 그리고 대안적 접근 방식들이 제시되고 있다.
  • 존재론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존재론 - 심신 문제
    심신 문제는 마음과 몸, 정신과 물질의 관계를 다루는 철학 및 과학 분야의 핵심 질문으로, 마음과 몸이 서로 다른 실체라는 이원론과 하나의 실체라는 일원론으로 나뉘며, 현대 신경과학과 인지과학은 뇌 활동과 의식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원리

2. 동일성과 구별 불가능성

동일성과 구별 불가능성은 모두 "같음"이라는 단어로 표현된다.[2][3] 동일성은 수적 동일성을 의미하며, 등호("=")로 표현되는, 각 객체가 자기 자신에게만 갖는 관계이다.[4] 반면 구별 불가능성은 질적 동일성과 관련되며, 두 객체가 모든 속성을 공유할 때 구별 불가능하다고 한다.[1]

'같음'의 두 가지 의미는 동일자 구별 불가능성 원리와 구별 불가능자 동일성 원리라는 두 가지 원리로 연결된다. 동일자 구별 불가능성 원리는 두 대상이 동일하다면 동일한 속성을 갖는다는 것이고, 구별 불가능자 동일성 원리는 두 대상이 동일한 속성을 가지면 동일하다는 것이다. 이 두 원리를 합쳐 라이프니츠의 법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3]

등식 관계는 반사적(모든 것은 자기 자신과 같다), 대칭적(만약 ''x''가 ''y''와 같다면 ''y''는 ''x''와 같다) 및 추이적(만약 ''x''가 ''y''와 같고 ''y''가 ''z''와 같다면 ''x''는 ''z''와 같다)이다.

2. 1. 동일자 구별 불가능성 원리

동일자 구별 불가능성 원리(The Principle of the Indiscernibility of Identicals)는 두 실체가 동일하다면 동일한 속성을 갖는다는 원리이다.[3] 이 원리는 일반적으로 선험적 논리적 진리로 간주되며, 큰 논란의 여지가 없다.[1]

형식적으로 이 원리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orall x \, \forall y \, [x=y \rightarrow \forall F(Fx \leftrightarrow Fy)]

:: 모든 xy에 대해, xy와 동일하다면, xy는 모든 동일한 속성을 갖는다.

이 원리는 등식 관계의 대칭성과 추이성을 도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6]

성질정의증명
반사성모든 것은 자기 자신과 같다.구별 불가능자의 동일성 원리로부터 도출[6]
대칭성만약 xy와 같다면 yx와 같다.동일자의 구별 불가능성 원리와 반사성으로부터 도출[6]
추이성만약 xy와 같고 yz와 같다면 xz와 같다.동일자의 구별 불가능성 원리와 반사성으로부터 도출[6]



하지만, 이 원리의 적용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르네 데카르트는 ''성찰''에서 자신의 존재는 의심할 수 없지만, 자신의 몸의 존재는 의심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 원리를 사용했다. 이는 사람들이 어떤 개체에 대해 아는 것이나 믿는 것은 실제로 그 개체의 특성이 아니라는 비판을 받는다.[14]

비밀 정체성을 이용한 반례도 제시된다. 예를 들어, 로이스 레인은 클라크 켄트가 날 수 없다고 생각하지만, 슈퍼맨이 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슈퍼맨이 클라크 켄트가 갖지 못한 속성을 갖는다는 결론으로 이어져, 동일자 구별 불가능성 원리에 대한 반박으로 사용될 수 있다.[15]

2. 2. 구별 불가능자 동일성 원리

구별 불가능자 동일성 원리(The Principle of the Identity of Indiscernibles)는 두 실체가 모든 속성을 공유한다면, 그 두 실체는 동일하다는 원리이다.[3] 이는 "서로 다른 두 객체는 완벽하게 같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1] 이 원리는 동일자 구별 불가능성 원리에 비해 더 논란의 여지가 있다.[3]

형식적으로 이 원리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모든 xy에 대해, xy가 모든 동일한 속성을 가지고 있다면, xy와 동일하다.

이 원리는 논리적 진리로 여겨지는 동일자 구별 불가능성 원리와 달리, 맥스 블랙이 반대 주장을 펼치는 등 논란의 여지가 있다.[1][5]

두 개의 서로 다른 객체 A와 B가 존재하는 우주에서, 모든 술어 F는 다음 속성 중 하나와 물질적으로 동등하다.

  • IsA: A에는 적용되지만 B에는 적용되지 않는 속성
  • IsB: B에는 적용되지만 A에는 적용되지 않는 속성
  • IsAorB: A와 B 모두에 적용되는 속성
  • IsNotAorB: A와 B 모두에 적용되지 않는 속성


만약 ∀F가 모든 그러한 술어에 적용된다면, 위에서 언급된 구별 불가능자 동일성 원리는 논쟁의 여지가 없는 논리적 항진명제로 축소된다. 이 경우, 객체는 IsA, IsB 및 이들 중 하나와 물질적으로 동등한 모든 술어에 의해 구별된다. 이 주장은 임의의 수의 서로 다른 객체를 포함하는 우주로 확장될 수 있다.

등식 관계는 반사적(모든 것은 자기 자신과 같다), 대칭적(만약 ''x''가 ''y''와 같다면 ''y''는 ''x''와 같다) 및 추이적(만약 ''x''가 ''y''와 같고 ''y''가 ''z''와 같다면 ''x''는 ''z''와 같다)이다. '동일자의 구별 불가능성'과 '구별 불가능자의 동일성'은 등식 관계를 정의하는 데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등식의 '대칭성'과 '추이성'은 동일자의 구별 불가능성 원리에서 비롯되며, '반사성'은 구별 불가능자의 동일성 원리에서 비롯된다.[6]

2. 3. 라이프니츠의 법칙

동일자 구별 불가능성 원리와 구별 불가능자 동일성 원리를 통칭하여 '라이프니츠의 법칙'이라고 부른다.[3] 이 법칙은 2차 논리 표현이며, 1차 논리로는 표현할 수 없다 (비일차적 표현 가능성).[3] 라이프니츠의 법칙은 등식 관계의 반사성, 대칭성, 추이성을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6]

형식적으로, 두 원리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동일자의 구별 불가능성: \forall x \, \forall y \, [x=y \rightarrow \forall F(Fx \leftrightarrow Fy)]

#: 모든 xy에 대해, xy와 동일하다면, xy는 모든 동일한 속성을 갖는다.

# 구별 불가능자의 동일성: \forall x \, \forall y \, [\forall F(Fx \leftrightarrow Fy) \rightarrow x=y]

#: 모든 xy에 대해, xy가 모든 동일한 속성을 가지고 있다면, xy와 동일하다.

원리 1은 일반적으로 선험적 논리적 진리로 간주된다.[1] 반면에 원리 2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맥스 블랙은 이에 반대하는 주장을 했다.[5]

등식의 '대칭성'과 '추이성'은 첫 번째 원리(동일자의 구별 불가능성)에서 비롯되며, '반사성'은 두 번째 원리(구별 불가능자의 동일성)에서 비롯된다.[6]

3. 속성 개념과 구별 불가능성

동일성과 구별 불가능성은 모두 "같음"이라는 단어로 표현되지만,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다.[2][3] '동일성'은 수적 동일성을 의미하며, 각 객체가 자기 자신에게만 갖는 유일한 관계를 나타낸다. 등호("=")로 표현된다.[4] 반면, '구별 불가능성'은 질적 동일성과 관련이 있으며, 두 객체가 모든 속성을 공유할 때 구별 불가능하다고 한다.[1] 이는 "\forall F(Fx \leftrightarrow Fy)"로 표현할 수 있다.

'같음'의 두 가지 의미는 '동일자 구별 불가능성 원리'와 '구별 불가능자 동일성 원리'라는 두 가지 원리로 연결된다. 전자는 두 실체가 동일하다면 동일한 속성을 갖는다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원리이다.[3] 반면, 후자는 두 실체가 동일한 속성을 가지면 동일하다는 역의 주장을 하므로 더 논란의 여지가 있다.[3] 이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것은 서로 정확히 닮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1] 이 두 원리는 2차 논리 표현이며, 1차 논리로는 표현할 수 없다 (비일차적 표현 가능성). 이들을 '라이프니츠의 법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두 원리를 형식적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동일자의 구별 불가능성: \forall x \, \forall y \, [x=y \rightarrow \forall F(Fx \leftrightarrow Fy)]

#: 모든 xy에 대해, xy와 동일하다면, xy는 모든 동일한 속성을 갖는다.

# 구별 불가능자의 동일성: \forall x \, \forall y \, [\forall F(Fx \leftrightarrow Fy) \rightarrow x=y]

#: 모든 xy에 대해, xy가 모든 동일한 속성을 가지고 있다면, xy와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동일자의 구별 불가능성 원리는 선험적 논리적 진리로 간주된다.[1] 반면에 구별 불가능자의 동일성 원리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맥스 블랙은 이에 반대하는 주장을 했다.[5]

등식 관계는 반사적(모든 것은 자기 자신과 같다), 대칭적(만약 ''x''가 ''y''와 같다면 ''y''는 ''x''와 같다) 및 추이적(만약 ''x''가 ''y''와 같고 ''y''가 ''z''와 같다면 ''x''는 ''z''와 같다)이다. '동일자의 구별 불가능성'과 '구별 불가능자의 동일성'은 등식 관계를 정의하는 데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등식의 '대칭성'과 '추이성'은 첫 번째 원리에서, '반사성'은 두 번째 원리에서 비롯된다. 두 원리는 양방 조건 연산자(''\leftrightarrow'')를 사용하여 단일 공리로 결합될 수 있다.[6]

식별 불가능성은 일반적으로 공유된 속성의 관점에서 정의된다. 즉, 두 객체가 모든 속성을 공유하는 경우 식별 불가능하다고 한다.[7] 구별 불가능자 동일성 원리의 타당성과 강도는 식별 불가능성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속성의 개념에 따라 달라진다.[7][10]

3. 1. 순수 속성과 불순 속성

동일성과 구별 불가능성을 정의할 때 사용되는 속성의 개념에 따라 식별 불가능자 동일성 원리의 타당성과 강도가 달라진다.[7][10]

이와 관련하여 중요한 것은 ''순수 속성''과 ''불순 속성''의 구분이다. ''순수 속성''(Pure property)은 특정 개체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지 않는 속성이다. 반면 ''불순 속성''(Impure property)은 정의에 특정 개체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는 속성이다.[7] 예를 들어, ''아내이기''는 순수한 속성이지만, "소크라테스의 아내이기"는 "소크라테스"라는 특정 개체에 대한 언급 때문에 불순한 속성이다.[8] ''순수한''과 ''불순한'' 대신 ''질적인''과 ''비질적인''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9]

일반적으로 식별 불가능성은 순수 속성의 관점에서만 정의된다. 불순 속성을 고려하면 이 원리가 자명하게 참이 되기 때문이다. 모든 개체는 자신과 동일하다는 불순한 속성을 가지며, 이는 다른 개체와 공유하지 않는다.[7][10]

3. 2. 내재적 속성과 외재적 속성

식별 불가능자 동일성 원리의 타당성과 강도는 내재적 속성과 외재적 속성의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10] 어떤 속성을 포함시켜 식별 불가능성을 정의하느냐에 따라 동일한 객체도 구별 가능하거나 불가능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7][10]

  • '''내재적 속성(Intrinsic property)'''은 객체가 다른 객체에 의존하지 않고 갖는 속성이다.
  • '''외재적 속성(Extrinsic property)'''은 객체가 다른 객체와의 관계에 의해 갖는 속성이다.


예를 들어, ''60kg의 질량을 갖기''는 내재적 속성인 반면, ''고모이기''는 외재적 속성이다.[11][12]

식별 불가능자의 동일성이 ''내재적 순수한'' 속성으로만 정의된다면, 책상 위에 놓인 두 권의 책이 ''내재적으로 동일''할 때 이들을 구별할 수 없다. 하지만 ''외재적''이고 ''불순한'' 속성 또한 고려된다면, 동일한 책들은 후자의 속성을 통해 식별될 수 있다.[7][10]

4. 비판과 반론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원리에 대한 비판은 주로 이 원리가 성립하지 않는 반례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맥스 블랙은 이 원리에 반대하는 주장을 펼치기 위해, 모든 속성이 동일하지만 서로 다른 두 대상이 존재하는 모형을 제시했다. 그는 오직 두 개의 대칭적인 구체만이 존재하는 대칭 우주를 예시로 들며, 이 두 구체가 모든 속성을 공유하더라도 서로 다른 객체라고 주장했다.[13] 그는 심지어 관계적 속성(시공간에서 객체 간의 거리를 지정하는 속성)조차도 대칭 우주에서 두 개의 동일한 객체를 구별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동일자 구별 불가능성 원리의 적용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르네 데카르트는 이 원리를 사용하여 자신의 정신과 육체가 다르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이는 사람들이 어떤 객체에 대해 아는 것이나 믿는 것이 실제로 그 객체의 특성이 아니라는 비판을 받는다.[14]

데카르트의 추론에 대한 반박은 '비밀 정체성 논증'을 통해 구체화된다. 귀류법을 사용한 반례 중 하나는 비밀 정체성에 기반한 논증이다.[15] 이 논증은 클라크 켄트와 슈퍼맨의 예를 통해, 어떤 사람의 믿음이나 지식이 객체의 속성을 결정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조)[15]

4. 1. 대칭 우주

맥스 블랙은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원리에 반대하는 주장을 펼치기 위해 반례를 제시했다. 그는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원리가 거짓임을 증명하기 위해, 모든 속성이 동일하지만 서로 다른 (수적으로 동일하지 않은) 두 대상이 존재하는 모형을 제시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보았다. 그는 오직 두 개의 대칭적인 구체만이 존재하는 대칭 우주에서는, 두 구체가 모든 속성을 공유하더라도 서로 다른 두 개의 객체라고 주장했다.[13]

블랙은 심지어 관계적 속성(시공간에서 객체 간의 거리를 지정하는 속성)조차도 대칭 우주에서 두 개의 동일한 객체를 구별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두 객체는 우주의 대칭면과 서로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으며, 앞으로도 그 거리를 유지할 것이다. 외부 관찰자를 동원하여 두 구체에 별도의 이름을 붙이는 것조차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데, 이는 우주의 대칭성을 위반하기 때문이다.

4. 2. 동일자 구별 불가능성 원리에 대한 비판

동일자 구별 불가능성 원리의 적용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르네 데카르트는 이 원리를 사용하여 자신의 정신과 육체가 다르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이는 사람들이 어떤 객체에 대해 아는 것이나 믿는 것이 실제로 그 객체의 특성이 아니라는 비판을 받는다.[14]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성찰''의 논증은 데카르트가 자신의 마음의 존재를 의심할 수 없다는 것이 그의 마음의 본질의 일부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데카르트의 추론에 대한 반박은 '비밀 정체성 논증'을 통해 구체화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조)

4. 2. 1. 비밀 정체성 논증

르네 데카르트의 추론을 반박하기 위해 ''귀류법''을 통해 수많은 반례가 제시되는데, 그 중 하나는 비밀 정체성에 기반한 논증이다.[15]

# 대상 ''x''와 ''y''는 ''x''가 소유한 어떤 술어도 ''y''도 소유하고, 그 반대도 성립할 경우에만 동일하다.

# 클라크 켄트는 슈퍼맨의 비밀 정체성이다. 즉, 그들은 동일한 사람(동일자)이지만, 사람들은 이 사실을 알지 못한다.

# 로이스 레인은 클라크 켄트가 날 수 없다고 생각한다.

# 로이스 레인은 슈퍼맨이 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따라서 슈퍼맨은 클라크 켄트가 갖지 못한 속성, 즉 로이스 레인이 그가 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속성을 갖는다.

# 따라서 슈퍼맨은 클라크 켄트와 동일하지 않다.[15]

# 명제 6에서 명제 2와 모순되는 결론에 도달하므로, 최소한 하나의 전제가 틀렸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다음 중 하나일 수 있다.

#* 라이프니츠의 법칙이 틀렸다.

#* 어떤 사람의 ''x''에 대한 지식은 ''x''의 술어가 아니다.

#* 라이프니츠의 법칙의 적용이 잘못되었다. 이 법칙은 단항적 속성이 아닌 다항적 속성의 경우에만 적용 가능하다.

#*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은 실제 대상 자체가 아니다.

#* 사람은 상반되는 믿음을 가질 수 있다.

:::이 중 어느 것이든 데카르트의 주장을 약화시킬 것이다.[16]

참조

[1] Encyclopedia The Identity of Indiscernibles http://plato.stanfor[...] 2008-09-01
[2] 서적 Enzyklopädie Philosophie https://meiner.de/en[...] Meiner 2010-01-01
[3] 웹사이트 Identit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8-01-01
[4] 서적 The Cambridge Dictionary of Philosophy https://philpapers.o[...]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학술지 The Identity of Indiscernibles 1952-01-01
[6] 서적 Principia Mathematica https://commons.wiki[...]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The Identity of Indiscernibles: 1. Formulating the Principle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0-01-01
[8] 학술지 The Pure and the Impure https://www.jstor.or[...] 1979-01-01
[9] 학술지 Non-Qualitative Properties https://philpapers.o[...] 2015-01-01
[10]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https://philpapers.o[...] Oxford University Press 2005-01-01
[11] 웹사이트 Intrinsic vs. Extrinsic Propertie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8-01-01
[12] 웹사이트 Properties: 7a. Intrinsic and Extrinsic Properties https://iep.utm.edu/[...]
[13] 문서 Metaphysics: An Anthology Blackwell Publishing 1999-01-01
[14] 서적 Between Two Worlds: A Reading of Descartes's Meditation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 간행물 Alter Egos and Their Names http://www.calstatel[...] 2001-10-01
[16] 문서 A Puzzle about Belief 1979-01-01
[17] 문서 Notes on Existence and Necessity 1943-03-04
[18] 문서 A Puzzle about Belief 1979-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