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식산흥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식산흥업은 일본이 근대 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추진된 산업 진흥 정책을 통칭한다. 1851년 사쓰마 번의 시마즈 나리아키라가 집성관 사업을 통해 시작했으며,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부국강병'을 목표로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 메이지 정부는 토지세 개혁, 공부성 설치, 유학생 파견 등을 통해 산업 기술을 도입하고, 관영 철도 및 공장 건설을 통해 산업 기반을 다졌다. 1880년 이후 관영 사업은 민간에 불하되었고, 미쓰이, 미쓰비시 등 재벌의 성장을 촉진하며 일본의 산업 혁명을 이끌었다. 이러한 정책은 한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이지 시대의 경제 - 개척사
    개척사는 메이지 유신 이후 홋카이도의 개척과 러시아 남하 방지를 위해 설치되어 이민 장려, 산업 진흥 등을 추진했으나 아이누족의 희생을 수반하고 1882년 폐지된 일본의 임시 지방행정기관이다.
  • 메이지 시대의 경제 - 신초샤
    신초샤는 1896년 창업한 일본의 출판사로, 자유주의 서적 출판을 시작으로 신초문고 발간, 잡지 발행, 교열 시스템 구축, 작가 지원 등을 통해 성장했으나, 과격한 보도 논란과 사업 확장 등 변화를 겪으며 사장직은 창업주로부터 세습되고 있다.
  • 메이지 시대의 정치 - 사족 반란
    메이지 유신 초기, 특권을 잃은 사족들이 일으킨 일련의 무장 반란인 사족 반란은 사가의 난을 시작으로 세이난 전쟁까지 이어지며 일본 근대화 과정의 사회적 갈등을 보여주었고, 이후 자유민권 운동의 계기가 되었다.
  • 메이지 시대의 정치 - 부번현 삼치제
    부번현 삼치제는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에서 시행된 지방 행정 체제로, 막부 직할지를 부와 현으로 나누고 번을 존속시키다가 1871년 폐번치현으로 종료되었다.
  • 메이지 유신 - 사족 반란
    메이지 유신 초기, 특권을 잃은 사족들이 일으킨 일련의 무장 반란인 사족 반란은 사가의 난을 시작으로 세이난 전쟁까지 이어지며 일본 근대화 과정의 사회적 갈등을 보여주었고, 이후 자유민권 운동의 계기가 되었다.
  • 메이지 유신 - 부번현 삼치제
    부번현 삼치제는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에서 시행된 지방 행정 체제로, 막부 직할지를 부와 현으로 나누고 번을 존속시키다가 1871년 폐번치현으로 종료되었다.
식산흥업
식산흥업
로마자 표기Siksaneung'eop
영문 표기Encouragement of new industry
다른 명칭부국강병 정책의 일환
개요
정의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제국이 추진한 부국강병 정책의 핵심으로, 서양의 기술과 지식을 도입하여 산업을 발전시키고 국가 경제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
목표산업 발전
경제력 강화
부국강병 달성
배경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근대화 필요성 증대
서양 열강의 압력에 대한 위기의식 고조
주요 내용
산업 육성관영 공장 설립: 제사공장, 방적공장, 조선소, 제철소 등
기술자 초빙: 서양 기술자 초빙을 통한 기술 도입 및 전수
유학생 파견: 서양 유학생 파견을 통한 신기술 및 지식 습득
경제 제도 개혁화폐 제도 개혁: 엔화 도입
은행 설립: 국립은행 설립을 통한 금융 시스템 구축
조세 제도 개혁: 지조 개정을 통한 세수 확보
사회 기반 시설 확충철도 건설
통신망 구축
항만 개발
영향
긍정적 영향일본의 산업 발전 및 경제 성장 촉진
군사력 강화 및 제국주의 팽창의 기반 마련
서양 문물 수용 및 근대화 가속화
부정적 영향농민층의 희생 및 빈부격차 심화
제국주의 침략 전쟁의 도구로 활용
환경 오염 및 자원 고갈 문제 발생
평가
긍정적 평가일본의 근대화와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가 있음.
부정적 평가제국주의 침략의 토대가 되었으며,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켰다는 비판도 있음.

2. 역사적 배경

1851년 사쓰마 번에서 시마즈 나리아키라가 번주로 취임하면서 집성관 사업 계획에 착수하여 식산흥업, 부국강병에 의한 번정 개혁을 추진했고,[3][4][5] 1867년에는 가고시마 방적소가 창설되었다.[6] 1854년 3월 31일 도쿠가와 막부가 개국을 단행하면서, 오쿠보 도시미치 등 일본 각지의 정치인들은 서양과의 압도적인 국력 차이를 의식했다.

1868년 1월 3일 왕정복고 대호령으로 수립된 메이지 정부는 부국강병을 슬로건으로 적극적으로 산업을 일으키는 정책을 펼쳤다.[9] 마에다 마사나를 중심으로 토지세 개혁과 녹봉 처분으로 세제 개혁을 실시하였고, 1870년에는 공부성을 설치했다.[9] 이와쿠라 사절단 파견과 함께 유학생을 보내는 등 산업 기술 이식에 힘썼다. 1872년에는 관영 철도기선이 발족하여 국내 교통망이 발달했고, 광산 등의 사업을 실시하고, 군마현에 도미오카 제사장 등 관영 공장을 개설했다. 1873년에는 관영 사업을 총괄하는 내무성(초대 내무경 오쿠보 도시미치)이 설립되었고, 홋카이도에는 개척사[8]를 설치하고 둔전병을 파견했다.[10] 1871년 금융에서는 신화 조례를, 1872년에는 국립은행 조례를 포고했다.

1880년 군과 관계된 사업체를 제외하고 관영 사업은 미쓰이, 미쓰비시 등 민간에 매각했고, 1885년 공부성은 폐지되었다. 1882년에는 오사카 방적 회사가 설립되어 방적업이 확고해졌하고, 청일 전쟁, 러일 전쟁을 거쳐 일본의 산업 혁명이 진행되었다. 민간에서는 이와사키 야타로가 창시한 미쓰비시와 미쓰이가 정부의 보호를 받는 관급 기업이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재벌의 형성이 촉진되었다.

2. 1. 에도 시대 말기의 움직임

1851년, 사쓰마 번의 시마즈 나리아키라는 번주 취임 후 일본 최초의 근대 양식 공장군인 집성관 사업 계획에 착수하여 식산흥업과 부국강병을 통한 번정 개혁을 추진했다.[3][4][5] 1854년 3월 31일, 도쿠가와 막부가 개국하면서 오쿠보 도시미치 등 일본 각지의 정치인들은 서양과의 압도적인 국력 차이를 인식하게 되었다. 1867년에는 사쓰마 번에서 일본 최초의 방적 공장인 가고시마 방적소가 창설되었다.[6]

2. 2. 메이지 유신과 산업화 정책

1868년 1월 3일 왕정복고 대호령으로 수립된 메이지 정부는 210년 동안 쇄국 정책을 펼친 도쿠가와 막부를 무너뜨리고, '부국강병'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적극적으로 산업을 일으키는 정책을 펼쳤다.[9] 마에다 마사나를 중심으로 토지세 개혁과 녹봉 처분 등 세제 개혁을 실시하고, 1870년에는 공부성을 설치하여 서구의 산업 기술 도입에 힘썼다.[9] 이와쿠라 사절단을 파견하고 유학생을 보내는 등 적극적으로 서구 문물을 받아들였다.

1872년에는 관영 철도증기선을 출범시켜 국내 교통망을 발달시켰다. 광산 개발 및 군마현에 도미오카 제사장과 같은 관영 공장을 설립했다. 1873년에는 관영 사업을 총괄하는 내무성(초대 내무경 오쿠보 도시미치)을 설립하고, 1869년부터는 홋카이도개척사[8]를 두고 둔전병을 파견하여 북방 영토 개척에도 힘썼다.[10] 1871년에는 신화 조례를, 1872년에는 국립은행 조례를 선포하여 금융 제도 개혁도 추진했다.

3. 산업 발전 과정

1868년 1월 3일 왕정복고 대호령으로 수립된 메이지 정부는 210년 동안 쇄국 정책을 펼친 도쿠가와 막부를 무너뜨리고, '부국강병'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적극적으로 산업을 육성하는 정책을 추진했다.[9] 1871년에는 금융에서 《신화조례》(新貨条例)를, 1872년에는 《국립은행 조례》를 선포했다.

메이지 정부의 노력과 더불어 민간 부문에서도 산업화가 진행되었다. 1851년 사쓰마 번에서는 시마즈 나리아키라가 번주로 취임하면서 집성관 사업 계획에 착수하여 식산흥업과 부국강병을 통한 번정 개혁을 추진했다.[3][4][5] 1867년에는 가고시마 방적소가 설립되어 일본 최초의 방적 공장이 탄생했다.[6]

3. 1. 정부 주도 산업 발전

1868년 1월 3일 왕정복고 대호령으로 탄생한 메이지 정부는 '부국강병'을 목표로 삼아 산업 발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1870년 공부성을 설치하고, 서양 기술 도입을 위해 외국인 기술자들을 대거 채용하였다.[9] 이와쿠라 사절단 파견과 유학생 유치를 통해 선진 기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1872년에는 정부 주도로 철도증기선 사업을 시작하여 국내 교통망을 확충하였다. 광산 개발과 군마현의 도미오카 제사 공장과 같은 관영 공장 설립도 추진되었다.[9] 1873년에는 내무성을 설치하여 관영 사업을 총괄하게 하였다.

1880년에는 군 관련 사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관영 사업이 미쓰이, 미쓰비시 등 민간 기업에 매각되었고, 1885년에는 공부성이 폐지되었다. 하지만, 1901년 야하타 제철소가 가동을 시작하면서 중공업 발전의 기반을 다졌다.

3. 2. 민간 부문 성장과 재벌 형성

1880년 군 관련 사업체를 제외한 관영 사업은 미쓰이, 미쓰비시 등 민간에 매각되었다.[9] 이와사키 야타로가 창시한 미쓰비시와 미쓰이는 정부의 보호를 받는 관급 기업이 되었다.[9] 1882년 오사카 방적 회사가 설립되어 방적업이 확립되었고,[9] 청일 전쟁, 러일 전쟁을 거쳐 일본의 산업 혁명이 진행되면서 재벌의 형성이 촉진되었다.[9]

3. 3. 전쟁과 산업 고도화

청일 전쟁(1894~1895)과 러일 전쟁(1904~1905)을 거치면서 일본의 산업은 더욱 발전하여 산업 혁명의 공업화가 진행되었고, 중공업 중심으로 고도화되었다. 전쟁 수요는 군수 산업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 전반의 성장을 촉진했다.[9]

참조

[1] 간행물 日本における中小企業研究の新しい視点(I) : 二分法のジレンマ : 戦前期 http://id.nii.ac.jp/[...] 福岡大学商学論叢 2004-09
[2] 논문 明治・大正期鉄道網形成の社会的便益 https://doi.org/10.2[...] 土木学会論文集 1992
[3] 웹사이트 殖産興業 2023-02-21
[4] 서적 島津斉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5] 서적 集成館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6] 웹사이트 鹿児島紡績所跡 https://web.archive.[...] 鹿児島市 2017-07-23
[7] 간행물 <書評と紹介> 武田万里子著 『鎖国と国境の成立』 https://hdl.handle.n[...] 法政史学, 法政大学史学会 2006-03-24
[8] 문서 폐번치현의 일환.
[9] 지식백과 식산흥업과 문명 개화 정책 네이버 지식백과 2009-04-20
[10] 지식백과 식산흥업과 문명 개화 정책 네이버 지식백과 2009-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