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뢰는 위험을 전제로 하며, 상대방의 기대와 다른 행동을 할 수 있다는 배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념이다. 신뢰는 계약적 신뢰, 역량 신뢰, 호의적 신뢰 등의 유형으로 구분되며, 사회적 신뢰는 일반화된 신뢰, 외집단 신뢰, 내집단 신뢰, 이웃에 대한 신뢰로 나뉜다. 신뢰는 개인의 발달, 사회적 관계, 경제 활동 등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학, 심리학, 철학, 경제학, 경영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연구된다. 특히 사회적 신뢰는 민족 다양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대한민국에서도 사회 자본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신뢰는 일반적으로 위험을 내포하며, 신뢰 대상이 기대에 어긋나는 행동을 할 가능성, 즉 배신의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둔다. 신뢰는 정보가 불확실하고 감시가 완전하지 않은 상황에서 자발적으로 이루어진다. 신뢰하는 사람은 계산적인 판단을 통해 신뢰 여부를 결정하며, 궁극적으로는 상호 협력을 목표로 한다.[126] 신뢰는 둘 이상의 사회적 관계에서 나타나는 특성이다.[126]
2. 신뢰의 개념 및 유형
학계에서는 계약적 신뢰, 역량 신뢰, 호의적 신뢰 등의 유형을 확인한다. 계약적 신뢰는 계약 의무를 자발적으로 수용하는 것에 기반하며,[9] 역량 신뢰는 상대방이 업무를 수행하거나 과제를 완료하는 능력에 대한 믿음이다.[10] 호의적 신뢰는 상대방의 자비심과 성실성에 대한 신뢰를 의미한다.[11]
사회적 신뢰는 일반화된 신뢰, 외집단 신뢰, 내집단 신뢰, 이웃에 대한 신뢰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12] 영유아기에는 신뢰 획득이 중요한 발달 과제이며, 이를 획득하지 못하면 다른 사람을 신뢰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사회학자 니클라스 루만은 신뢰 개념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의 필요성을 주장했으며, 이후 안토니 기든스와 사회심리학자들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사회심리학자 야마기시 토시오는 자신의 저서 『신뢰의 구조』(1998년)에서 "상대방이 자신을 착취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기대"를 "상대방의 자기 이익 평가"에 기반한 "안심"(assurance)과 "상대방의 인격이나 자신에 대한 감정 평가"에 기반한 "신뢰"(trust)로 구분하여 설명한다.[109]
야마기시 토시오는 현대 사회의 신뢰 변화를 분석했다. 서구에서는 신뢰 붕괴,[112] 구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안심 붕괴가 일어나고 있으며,[113] 일본은 폐쇄적인 사회에서 열린 사회로 나아가는 과도기에 있다고 보았다.[114] 그는 집단주의 사회가 안심은 낳지만 신뢰는 파괴한다고 주장하며,[116] 사회적 지능에 기반한 일반적 신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117][118][119]
2. 1. 신뢰의 정의
신뢰는 위험을 전제로 하며, 신뢰 대상이 기대와 다르게 행동할 수 있다는 배신 가능성을 내포한다. 신뢰는 정보의 불확실성과 불완전한 감시를 전제로 하며, 자발적인 행위이다. 신뢰자는 계산적인 판단을 통해 신뢰 여부를 결정하며, 궁극적으로 상호 협조를 목표로 한다.[126] 신뢰는 둘 이상의 사회적 관계에서 나타나는 특성이다.[126]
학계에서는 계약적 신뢰, 역량 신뢰, 호의적 신뢰 등의 유형을 확인한다. 계약적 신뢰는 계약 의무의 자발적 수용에 기반하며,[9] 역량 신뢰는 상대방의 업무 수행 능력에 대한 믿음이다.[10] 호의적 신뢰는 상대방의 자비심과 성실성에 대한 신뢰를 의미한다.[11]
사회적 신뢰는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12]
영유아기는 신뢰 획득이 중요한 발달 과제이며, 실패 시 타인 신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사회학자 니클라스 루만은 신뢰 개념의 사회학적 분석을 주장했고, 이후 안토니 기든스 등의 연구가 이어졌다.
사회심리학자 야마기시 토시오는 저서 『신뢰의 구조』(1998년)에서 신뢰와 안심을 구분했다.[109] 안심은 상대방의 자기 이익 평가에 기반한 기대이고, 신뢰는 상대방의 인격이나 자신에 대한 감정 평가에 기반한 기대이다.[109]
야마기시 토시오가 제시한 신뢰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110]
자연 질서에 대한 기대 | ||||
---|---|---|---|---|
도덕적 질서에 대한 기대 | 상대방의 능력에 대한 기대 | |||
상대방의 의도에 대한 기대 | 안심 - “상대방의 자기 이익의 평가”에 근거한 기대 | |||
신뢰<신뢰하는 측의 특성> - “상대방의 인격이나 상대방이 자신에 대해 가지는 감정에 대한 평가”에 근거한 기대 | 인간관계적 신뢰(정보 의존적 신뢰) | |||
인격적 신뢰 | 개별적 신뢰(정보 의존적 신뢰) | |||
범주적 신뢰(정보 의존적 신뢰) | ||||
일반적 신뢰 | ||||
신뢰성<신뢰받는 측의 특성> |
야마기시는 현대 사회에서 신뢰의 변화를 분석했다. 서구에서는 신뢰 붕괴,[112] 구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안심 붕괴가 나타나고 있으며,[113] 일본은 폐쇄적 사회에서 열린 사회로의 이행이 과제라고 보았다.[114] 그는 집단주의 사회가 안심을 낳지만 신뢰를 파괴한다고 주장하며,[116] 사회적 지능에 기반한 일반적 신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117][118][119] 2020년 메타 분석에 따르면, 사회적 신뢰는 민족 다양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민족 다양성이 사회적 신뢰 저하의 원인일 수 있다.[124]
2. 2. 신뢰의 유형
학계 문헌에서 확인된 신뢰의 유형에는 계약적 신뢰, 역량 신뢰, 호의적 신뢰가 있다.[9][10][11]- 계약적 신뢰: 미국의 변호사인 찰스 프라이드(Charles Fried)는 계약상의 의무를 자발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일상적인" 경험으로서 "계약적 신뢰"에 대해 이야기한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약속을 지키고 상거래를 한다.[9]
- 역량 신뢰: "상대방의 업무 수행 또는 과제 완료 능력에 대한 믿음"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용어는 예를 들어 의료 분야의 문화적 역량과 관련하여 사용된다.[10]
- 호의적 신뢰: 업무 관계에서 "상대방의 자비심과 성실성에 대한 신뢰"로 설명되어 왔다.[11]
네 가지 유형의 사회적 신뢰가 인식된다.[12]
- 일반화된 신뢰: 타인을 신뢰하는 성향적 특성은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신뢰의 형태이며, 낯선 사람들과의 많은 사회적 상호 작용을 포함한다.[13]
- 외집단 신뢰: 사람이 다른 집단의 구성원에 대해 가지는 신뢰이다. 예를 들어, 다른 민족 집단의 구성원이거나 다른 국가의 시민일 수 있다.
- 내집단 신뢰: 자신의 집단 구성원에게 두는 신뢰이다.
- 이웃에 대한 신뢰: 공통의 주거 환경을 가진 사람들 간의 관계를 고려한다.
사회심리학자 야마기시 토시오(山岸俊男)는 『신뢰의 구조』(1998년)에서 “상대방이 자신을 착취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기대” 중, 상대방이 자신을 착취하는 것이 상대방 자신에게 불이익이 되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 즉 “상대방의 자기 이익의 평가”에 근거한 기대를 “안심”(assurance), “상대방의 인격이나 상대방이 자신에 대해 가지는 감정에 대한 평가”에 근거한 기대를 “신뢰”(trust)로 구분하여 고찰한다.[109]
자연 질서에 대한 기대 | ||||
---|---|---|---|---|
도덕적 질서에 대한 기대 | 상대방의 능력에 대한 기대 | |||
상대방의 의도에 대한 기대 | 안심 - “상대방의 자기 이익의 평가”에 근거한 기대 | |||
신뢰<신뢰하는 측의 특성> - “상대방의 인격이나 상대방이 자신에 대해 가지는 감정에 대한 평가”에 근거한 기대 | 인간관계적 신뢰(정보 의존적 신뢰) | |||
인격적 신뢰 | 개별적 신뢰(정보 의존적 신뢰) | |||
범주적 신뢰(정보 의존적 신뢰) | ||||
일반적 신뢰 | ||||
신뢰성<신뢰받는 측의 특성> |
[110]
신뢰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는 복잡한 개념으로, 일반적으로 위험을 전제로 한다. 즉, 신뢰 대상이 기대와 다르게 행동할 가능성, 다시 말해 배신의 가능성을 내포한다.[126] 신뢰는 정보의 불확실성과 감시의 불완전성을 전제하며, 자발적이고 계산적인 속성을 지닌다.[126] 또한, 최소 두 사람 이상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관계성을 전제로 한다.[126] 신뢰의 궁극적인 목표는 협조이며, 이는 다른 행위자가 자신의 이해에 부응하도록 협조할 것이라는 주관적인 기대를 의미한다.[126]
야마기시에 따르면, 현재[111], 서구에서는 신뢰의 붕괴가[112], 구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중앙 권력의 약화에 의한 안심의 붕괴가[113] 일어나고 있으며, 일본 사회에서는 폐쇄적인 사회에서 열린 사회로의 이행이 과제가 되고 있다[114]고 한다. 야마기시는 “집단주의 사회[115]는 안심을 낳지만 신뢰를 파괴한다”[116]는 것이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라고 하며, 다른 사람을 신뢰하는 정직한 사람이 바보가 되지 않는 열린 사회를 목표로[117], 사회적 지능[118]에 뒷받침된 “'''일반적 신뢰'''”[119]가 집단주의적 관계, 즉 야쿠자형 커밋먼트[120]가 제공하는 “안심”[121]을 대체하는 길을, 진화 게임적 접근, 공진화의 개념을 중심으로[122] 모색한다.[123]
3. 신뢰에 대한 다양한 학문적 접근
학계에서는 계약적 신뢰, 역량 신뢰, 호의적 신뢰 등 다양한 유형의 신뢰를 제시한다.[9] [10] [11] 찰스 프라이드(Charles Fried)는 계약상 의무를 자발적으로 수용하는 "일상적인" 경험으로서 계약적 신뢰를 설명한다.[9] 역량 신뢰는 상대방의 업무 수행 능력에 대한 믿음이며,[10] 호의적 신뢰는 상대방의 자비심과 성실성에 대한 신뢰를 의미한다.[11]
사회적 신뢰는 낯선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신뢰 형태인 일반화된 신뢰, 다른 집단 구성원에 대한 신뢰인 외집단 신뢰, 자신의 집단 구성원에 대한 신뢰인 내집단 신뢰, 공통 주거 환경을 가진 사람들 간의 신뢰인 이웃에 대한 신뢰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12] [13]
3. 1. 사회학적 관점
대한민국에서 신뢰에 대한 사회학적 논의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경제 위기 경험과 해외 학계의 영향으로 큰 관심을 받게 되었다.[127] 국내 학자들은 신뢰를 사회 자본으로 간주하고 그 축적 방안을 모색하는 경향이 있다.[127]
사회학은 신뢰를 사회적 현실의 요소로 본다.[15] 신뢰는 통제, 자신감, 위험, 의미, 권력 등과 함께 논의되며, 개인과 집단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1980년대 초부터 루만,[16] 바버,[17] 기든스[18] 등의 연구 이후 신뢰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으며, 이는 후기 현대성과 포스트모더니티 사회 변화와 관련이 있다.[19]
스비아토슬라프는 신뢰가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결정을 돕는다고 주장한다. 신뢰는 분석 마비를 막고, 제한된 합리성을 극복하며, 복잡한 상황을 처리하게 해준다.[20][21] 또한, 신뢰는 사회적 복잡성을 줄여 협력을 가능하게 한다.[22]
사회학은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 두 가지로 신뢰를 연구한다. 행동적 접근은 신뢰의 통계적 모델링을 가능하게 하며,[23] 사회적 행위자와 의사결정 과정 연구는 신뢰의 출현을 설명한다.
사회학은 신뢰를 의존성을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로 보며, 통제의 대안으로 간주한다.[25] 신뢰받는 사람이 더 강력하더라도, 신뢰하는 사람은 사회적 의무를 통해 지원받을 수 있다.[26]
현대 정보 기술은 신뢰에 대한 전통적 견해에 도전한다. 정보 시스템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인간적인 요소(자애, 정직, 능력)와 시스템적인 요소(유용성, 신뢰성, 기능성)를 통해 기술을 신뢰한다.[27]
야마기시 토시오는 『신뢰의 구조』에서 "안심"과 "신뢰"를 구분한다.[109] 안심은 상대방의 자기 이익 평가에 기반한 기대이고, 신뢰는 상대방의 인격이나 감정에 대한 평가에 기반한 기대이다.
자연 질서에 대한 기대 | ||||
---|---|---|---|---|
도덕적 질서에 대한 기대 | 상대방의 능력에 대한 기대 | |||
상대방의 의도에 대한 기대 | 안심 - “상대방의 자기 이익의 평가”에 근거한 기대 | |||
신뢰<신뢰하는 측의 특성> - “상대방의 인격이나 상대방이 자신에 대해 가지는 감정에 대한 평가”에 근거한 기대 | 인간관계적 신뢰(정보 의존적 신뢰) | |||
인격적 신뢰 | 개별적 신뢰(정보 의존적 신뢰) | |||
범주적 신뢰(정보 의존적 신뢰) | ||||
일반적 신뢰 | ||||
신뢰성<신뢰받는 측의 특성> |
[110]
야마기시는 서구에서는 신뢰 붕괴,[112] 구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안심 붕괴가 일어나고 있다고 한다.[113] 일본은 폐쇄적 사회에서 열린 사회로의 이행이 과제라고 한다.[114] 그는 집단주의 사회가 안심을 낳지만 신뢰를 파괴한다고 주장하며,[116] 사회적 지능에 기반한 "일반적 신뢰"가[119] 야쿠자형 커밋먼트가[120] 제공하는 "안심"을[121] 대체해야 한다고 말한다.[123] 2020년 메타 분석에 따르면, 사회적 신뢰는 민족 다양성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124]
3. 2. 심리학적 관점
심리학에서 신뢰는 상대방이 기대하는 바를 행할 것이라고 믿는 것을 의미한다. 정신분석학자 에릭 에릭슨은 기본적인 신뢰의 발달이 심리사회적 발달의 첫 번째 단계로서, 생후 2년 이내에 결정된다고 보았다. 이 단계에서 신뢰 형성에 성공하면 안전과 낙관적인 감정을 얻지만, 실패하면 불안정과 불신으로 이어져 애착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28] [29] 타인을 신뢰하는 성향은 성격 특성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주관적 행복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수 중 하나이다.[30] 신뢰는 대인 관계의 질을 향상시켜 주관적 행복을 증진시키는데, 행복한 사람들은 좋은 관계를 맺는 데 능숙하다.[31]신뢰는 사회적 영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뢰하는 사람에게는 영향을 미치거나 설득하기가 더 쉽다. 신뢰 개념은 타인, 제도(예: 정부 기관), 기계와 같은 대상에 대한 행동 수용을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이 때 정직성, 능력, 가치 유사성[32](친절함과 유사함)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
심리학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형태의 신뢰를 연구한다.
- ''신뢰''는 신뢰할 만한 사람일지라도 누군가에게 취약해지는 것이다.
- ''신뢰성''은 한 사람의 특성이나 행동으로 인해 다른 사람에게 긍정적인 기대를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 ''신뢰 경향''은 일반적으로 자신을 다른 사람에게 취약하게 만드는 경향이다.[33] 이러한 경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요한 삶의 사건에 의해 변할 수 있다.[34]
이 세 가지 요인 중 하나라도 위반되어 신뢰가 상실되면 회복하기가 매우 어렵다. 신뢰를 구축하고 파괴하는 데는 비대칭성이 존재한다.
신뢰의 사회적 함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예를 들어:
- 바바라 미스탈은 모든 신뢰 개념을 통합하여, 신뢰의 세 가지 기능(사회 생활 예측 가능성, 공동체 의식 형성, 협력 증진)을 제시했다.[35]
- 리키 로빈스는 성적 신뢰의 맥락에서 네 단계(완벽한 신뢰, 손상된 신뢰, 파괴된 신뢰, 회복된 신뢰)를 설명했다.[36] [37]
- 정보 이론에서 에드 거크는 신뢰를 권력, 감시, 책임과 같은 사회적 기능과 연결시켰다.[38]
- 사회적 정체성 관점에서, 낯선 사람을 신뢰하는 경향은 공유된 집단 구성원에 대한 상호 지식,[39][40] 고정관념,[40] 또는 집단의 긍정적 독특성 유지 필요성에서 비롯된다.[66]
사람들 사이의 신뢰를 높이는 요인 중 하나는 얼굴 유사성이다. 실험 결과, 유사한 얼굴 특징을 가진 파트너를 더 신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42] 그러나 성적 욕망에 의존하는 단기 관계에서는 유사한 얼굴 특징이 오히려 욕망을 감소시켰다. 반면, 신뢰가 중요한 장기 관계에서는 유사한 얼굴 특징이 매력도를 높였다.[43]
대인 관계 신뢰 문헌[41]에서는 "신뢰 진단 상황"을 통해 신뢰를 파악한다. 이는 파트너가 자신의 자기 이익이 아닌, 타인이나 관계를 위해 행동하는 능력을 시험하는 상황이다.[44]
신뢰도가 낮은 관계에서는 파트너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며, 부정적인 행동에 더 초점을 맞추고 긍정적인 행동의 영향은 축소하는 경향이 있다.[45] [46] 이는 회의론으로 이어져 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45]
불신하는 사람들은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맺을 기회를 놓칠 수 있다. 학대받은 유년 시절을 보낸 사람은 미래 관계에서 신뢰가 정당화될 수 있다는 증거를 얻지 못했을 수 있다.[4] 아동 성적 희생 치료에서는 부모와 자녀 간의 신뢰 재구축이 중요하다. 성적 학대를 인정하지 않는 성인의 실패는 자녀가 자신과 타인을 신뢰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만든다.[47] 자녀의 신뢰는 부모의 결혼 붕괴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48] 이혼 가정 자녀는 아버지에 대한 신뢰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49]
사람들은 비인간적 대상(동물,[50] 과학적 과정,[51] 사회적 기계)도 신뢰할 수 있다. 신뢰는 인간과 가축의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계약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52] 과학적 과정에 대한 신뢰는 생명 공학과 같은 혁신에 대한 신뢰 증가와 관련이 있다.[51] 사회적 기계에 대한 신뢰는 인간형 형태,[53] 여성적 단서,[54] 도덕적 행동[56] [55] 등에 영향을 받는다. 사람들은 기계가 사람보다 편견이 적고, 더 정확하며, 더 신뢰할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경향("기계 휴리스틱")이 있어, 때로는 로봇을 더 신뢰하기도 한다.[57] [58]
사람들은 성향적으로 타인이나 집단을 신뢰하고 그 신뢰성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멘토와의 관계 발전이나, 응급실에서 병동으로의 의뢰 경로에서 전문 간 협업을 들 수 있다. 새로운 관행, 사람, 사물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는 과정은 정규화 과정 이론의 "관계 통합" 개념으로 설명된다.[60] 일부 연구에서는 신뢰가 옥시토신의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한다.[61]
사회적 정체성 접근법은 타인에 대한 신뢰를 그룹 기반 고정관념이나 두드러지는 그룹 구성원 자격에 따른 내부 집단 선호 행동으로 설명한다. 사람들은 내부 집단 구성원을 외부 집단 구성원보다 더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39] [66] [62]
경험적 연구를 위해 할당자 연구가 사용되었으며,[39] [40] [62] [63] 대학 소속, 전공 과목, 임시 그룹 등의 사회적 범주가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그룹 구성원 자격이 중요할 때 내부 집단 구성원이 더 쉽게 신뢰를 얻는다는 것이 밝혀졌다.[40] [62] [63] 이는 내부 집단의 고정관념이 덜 긍정적일 때, 개인적 단서가 없을 때, 확실한 금전적 보상 선택 옵션이 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40] [66] [39]
내부 집단 선호는 사회적 정체성 위협이 존재할 때 내부 집단의 긍정적 차별화를 유지해야 할 필요성 때문일 수 있다.[63]
사회학자 야마기시 토시오(山岸俊男)는 『신뢰의 구조』(1998년)에서 “상대방이 자신을 착취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기대”를 “상대방의 자기 이익의 평가”에 근거한 “안심”(assurance)과 “상대방의 인격이나 감정에 대한 평가”에 근거한 “신뢰”(trust)로 구분했다.[109]
자연 질서에 대한 기대 | ||||
---|---|---|---|---|
도덕적 질서에 대한 기대 | 상대방의 능력에 대한 기대 | |||
상대방의 의도에 대한 기대 | 안심 - “상대방의 자기 이익의 평가”에 근거한 기대 | |||
신뢰<신뢰하는 측의 특성> - “상대방의 인격이나 상대방이 자신에 대해 가지는 감정에 대한 평가”에 근거한 기대 | 인간관계적 신뢰(정보 의존적 신뢰) | |||
인격적 신뢰 | 개별적 신뢰(정보 의존적 신뢰) | |||
범주적 신뢰(정보 의존적 신뢰) | ||||
일반적 신뢰 | ||||
신뢰성<신뢰받는 측의 특성> |
[110]
야마기시는 현대 사회에서 서구는 신뢰 붕괴,[112] 구 사회주의 국가는 안심 붕괴,[113] 일본은 폐쇄적 사회에서 열린 사회로의 이행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보았다.[114] 그는 “집단주의 사회[115]는 안심을 낳지만 신뢰를 파괴한다”[116]고 주장하며, 사회적 지능[118]에 기반한 “'''일반적 신뢰'''”[119]가 집단주의적 관계(야쿠자형 커밋먼트[120])가 제공하는 “안심”[121]을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23] 2020년 메타 분석에 따르면, 사회적 신뢰는 민족 다양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이는 민족 다양성이 사회적 신뢰 저하의 원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124]
3. 3. 철학적 관점
학계 문헌에서 확인된 신뢰의 유형에는 계약적 신뢰, 역량 신뢰, 호의적 신뢰가 있다. 미국의 변호사인 찰스 프라이드(Charles Fried)는 계약상 의무의 자발적인 수용을 기반으로 하는 "일상적인" 경험으로서 "계약적 신뢰"에 대해 이야기한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약속을 지키고 상거래를 한다.[9] "역량 신뢰"는 "상대방의 업무 수행 또는 과제 완료 능력에 대한 믿음"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용어는 예를 들어 의료 분야의 문화적 역량과 관련하여 사용된다.[10] 업무 관계에서 "호의적 신뢰"는 "상대방의 자비심과 성실성에 대한 신뢰"로 설명되어 왔다.[11]사회적 신뢰에는 네 가지 유형이 있다.[12]
- 일반화된 신뢰 또는 타인을 신뢰하는 성향적 특성은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신뢰의 형태이며, 낯선 사람들과의 많은 사회적 상호 작용을 포함한다.[13]
- 외집단 신뢰는 사람이 다른 집단의 구성원에 대해 가지는 신뢰이다. 예를 들어, 다른 민족 집단의 구성원이거나 다른 국가의 시민일 수 있다.
- 내집단 신뢰는 자신의 집단 구성원에게 두는 신뢰이다.
- 이웃에 대한 신뢰는 공통의 주거 환경을 가진 사람들 간의 관계를 고려한다.
많은 철학자들이 신뢰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 저술해 왔다. 대부분의 철학자들은 대인 신뢰가 이러한 형태들을 모델링할 수 있는 기반이라고 동의한다.[70] 어떤 행위가 신뢰의 표현이 되려면, 그것은 신뢰하는 사람의 기대를 배반해서는 안 된다. 라거스페츠(Lagerspetz)와 같은 일부 철학자들은 신뢰가 일종의 의존이지만 단순한 의존은 아니라고 주장한다.[67] 디에고 감베타(Diego Gambetta)는 신뢰는 다른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선한 의도를 가지고 있다는 고유한 믿음이며, 이것이 우리가 그들에게 의존하는 기반이라고 주장했다.[68] 아네트 바이어(Annette Baier)와 같은 철학자들은 이러한 견해에 이의를 제기하며, 신뢰는 배신당할 수 있지만 의존은 실망만 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신뢰와 의존의 차이점을 주장했다.[69] 캐롤린 맥클로드(Carolyn McLeod)는 시계가 시간을 알려줄 것이라고 의존할 수 있지만, 시계가 고장났을 때 배신감을 느끼지는 않으므로, 우리가 그것을 신뢰했다고 말할 수는 없다는 예시를 통해 바이어의 주장을 설명한다. 우리가 다른 사람을 의심할 때는 신뢰하지 않는 것이며, 이것은 사실 불신의 표현이다.[70] 신뢰의 위반은 이러한 배신감을 정당화한다.[71] 따라서 신뢰는 신뢰하는 사람이 배신당할 위험을 감수한다는 점에서 의존과 다르다.
카렌 존스(Karen Jones)는 신뢰에 감정적인 측면, 즉 신뢰하는 사람이 올바른 일을 할 것이라는 낙관론[72]을 제안했는데, 이것은 "정서적 신뢰"라고도 설명된다.[73] 사람들은 때때로 이러한 낙관적인 기대 없이도 다른 사람을 신뢰하며, 대신 신뢰를 확장함으로써 신뢰할 수 있는 행동을 신뢰받는 사람에게 촉구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것은 "치료적 신뢰"[74]로 알려져 있으며, 신뢰받는 사람에게 신뢰할 수 있는 이유를, 신뢰하는 사람에게는 그들이 신뢰할 수 있다고 믿을 이유를 제공한다.
무언가에 대한 믿음 또는 무언가에 대한 확신에 찬 기대라는 신뢰의 정의[75]는 기대나 믿음이 호의적인지 비호의적인지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위험의 개념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친구가 지난 15년 동안 습관적으로 늦게 도착했기 때문에 저녁 식사에 늦게 도착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확신에 찬 기대이다. 신뢰는 우리가 바라는 것에 대한 것이 아니라 데이터의 일관성에 대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데이터가 집합적 지식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위험이나 배신감은 없다. 포크너(Faulkner)는 이러한 "예측적 신뢰"를 앞서 언급한 정서적 신뢰와 대조하며, 예측적 신뢰는 부정확한 예측의 결과로 실망감만을 정당화할 수 있지 배신감을 정당화할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73]
3. 4. 경제학적 관점
경제학에서 신뢰는 실제 인간 행동과 사람들의 효용 극대화 욕구로 설명될 수 있는 행동 간의 차이를 설명한다. 경제학적 관점에서 신뢰는 내쉬 균형과 관찰된 균형 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으며, 이는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에도 적용될 수 있다.경제학자들에게 신뢰가 중요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조지 아커로프가 대중화한 레몬 시장 거래를 예로 들면[77], 자동차 구매자가 판매자가 레몬(결함 있는 중고차)을 팔지 않을 것이라고 신뢰하지 않으면 거래가 성사되지 않는다. 구매자는 제품이 구매자에게 큰 가치가 있더라도 신뢰 없이는 구매하지 않을 것이다. 신뢰는 경제적 윤활유 역할을 하여 당사자 간의 거래 비용을 줄이고, 새로운 형태의 협력을 가능하게 하며, 일반적으로 사업 활동,[78] 고용 및 번영을 증진시킨다.[79] 이러한 관찰은 신뢰를 사회 자본의 한 형태로서의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그러한 자본의 창출 및 분배 과정에 대한 연구를 촉진했다.[80] 더 높은 수준의 사회적 신뢰는 경제 개발과 긍정적으로 상관관계를 가진다. 원래 "고신뢰" 및 "저신뢰" 사회의 개념이 반드시 성립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회적 신뢰는 경제에 도움이 되고[80] 낮은 수준의 신뢰는 경제 성장을 저해한다. 신뢰 부족은 고용, 임금 및 이윤의 성장을 제한하여 사회 전체의 복지를 감소시킨다.[81]
이론적 경제 모델링은 합리적인 경제 주체가 거래에서 보여야 하는 최적의 신뢰 수준은 상대방의 신뢰성과 같다는 것을 보여준다.[83] 이러한 수준의 신뢰는 효율적인 시장으로 이어진다. 신뢰를 덜 하면 경제적 기회를 놓치게 되고, 신뢰를 더 하면 불필요한 취약성과 잠재적인 착취로 이어진다. 경제학은 또한 일반적으로 금전적 용어로 신뢰를 정량화하는 데 관심이 있다. 이윤 마진 증가와 거래 비용 감소 간의 상관관계 수준은 신뢰의 경제적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84]
경제적 "신뢰 게임"은 실험실 조건에서 관계 내 신뢰를 실증적으로 정량화한다. 여러 게임과 게임과 같은 시나리오가 시도되었으며, 금전적 용어로 신뢰를 추정할 수 있는 것들이 있다.[85] 신뢰 게임에서 내쉬 균형은 파레토 최적과 다르기 때문에 어떤 플레이어도 협력 없이 이기적인 전략을 바꿈으로써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할 수 없다. 협력 파트너도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고전적인 신뢰 게임은 투자자와 중개인이라는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추상적인 투자 게임으로 설명되어 왔다.[86] 투자자는 자신의 돈의 일부를 투자할 수 있으며, 중개인은 투자자의 이익의 일부를 투자자에게 반환할 수 있다. 두 플레이어 모두 순진한 경제적 최선의 이익을 따른다면 투자자는 결코 투자하지 말아야 하며, 중개인은 결코 어떤 것도 상환할 수 없다. 따라서 돈의 흐름과 그 양은 전적으로 신뢰의 존재에 기인한다. 이러한 게임은 일회성으로 진행되거나 동일하거나 다른 플레이어 집합으로 반복적으로 진행되어 일반적인 신뢰 경향과 특정 관계 내 신뢰를 구분할 수 있다. 이 게임에는 여러 가지 변형이 있는데, 규칙을 반대로 하면 불신의 게임이 되고, 사전 선언은 플레이어의 의도를 설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87] 이익 분배를 변경하여 두 플레이어의 인식을 조작할 수 있다.
다른 흥미로운 게임에는 이진 선택 신뢰 게임[89]과 선물 교환 게임이 있다.[90] 죄수의 딜레마를 기반으로 한 게임은 신뢰를 경제적 효용과 연결하고 상호주의의 합리성을 보여준다.[91]
전자 상거래의 대중화는 디지털 경제 내 신뢰와 구매자와 판매자의 서로에 대한 신뢰 결정을 이해하려는 욕구와 관련된 새로운 과제로 이어졌다.[92] 예를 들어,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대인 관계는 기술에 의해 중개되지 않았으며,[93] 결과적으로 개선이 필요했다.[94] 웹사이트는 판매자의 실제 신뢰성에 관계없이 구매자가 판매자를 신뢰하도록 영향을 미칠 수 있다.[95] 평판 기반 시스템은 신뢰성에 대한 집단적 인식을 포착함으로써 신뢰 평가를 개선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평판 모델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96]
3. 5. 경영학 및 조직 과학적 관점
경영 및 조직 과학에서 신뢰는 조직 구성원이 관리하고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 연구된다. 학자들은 개인 및 조직 수준의 분석을 통해 신뢰가 어떻게 발전하는지 연구해 왔다.[97] 그들은 조직 구조가 사람들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동시에 사람들의 신뢰가 조직 구조에 나타나는 상호작용 과정을 제시한다. 신뢰는 조직 문화가 지식 공유를 지원하는 조건 중 하나이다.[98] 지식 공유를 지원하는 조직 문화는 직원들이 자신의 지식, 업무 및 전문 지식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98][99] 구조는 종종 사람에 대한 신뢰를 만들고, 이는 직장에서 편안함을 느끼고 탁월함을 발휘하도록 격려하며, 그렇지 않으면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을 관리 가능하게 만든다.경영 및 조직 과학 학자들은 계약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신뢰가 공식적인 메커니즘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연구해 왔다.[100] 경영 및 관련 분야의 학자들은 관련은 있지만 별개의 구성 개념으로서 ''불신''의 중요성을 주장하기도 했다.[101] 마찬가지로 학자들은 신뢰 게임[102] 및 주주-경영 관계에서[103] 모니터링과 신뢰 간의 관계를 평가해 왔다.
1990년대 중반 이후로 조직 연구는 두 가지 구별되지만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신뢰 연구 패러다임을 따랐다.[104]
# 타인에 대한 신뢰는 인지 기반 신뢰(합리적인 계산에 기반)와 정서 기반 신뢰(정서적 애착에 기반)로 특징지을 수 있다.[105] 예를 들어, 자동차 수리점에 대한 신뢰는 수리점의 자동차 수리 능력에 대한 평가(인지 기반 신뢰) 또는 수리점 주인과의 오랜 관계(정서 기반 신뢰)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 신뢰를 낳는 신뢰할 만한 요소(즉, 자신의 인식된 능력, 자애, 그리고 성실성)와 신뢰 그 자체를 구분한다.[2]
이러한 패러다임은 다양한 신뢰성 속성을 보여줌으로써 조직에서 신뢰의 다양한 차원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예측한다.[104]
3. 6. 시스템적 관점
시스템에서 신뢰할 수 있는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가 의존할 수 있는 일련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 A가 B를 신뢰하는 경우, B의 속성에 위반이 발생하면 A의 정상적인 작동이 손상될 수 있다. A가 신뢰하는 B의 속성이 B의 실제 속성과 정량적 또는 정성적으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106] 이는 전체 시스템 설계자가 관계를 고려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따라서 신뢰는 구성 요소의 신뢰성 수준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구성 요소의 신뢰성은 그 아키텍처, 구축 및 환경에서 파생된 기능적 및 비기능적 속성 집합을 얼마나 잘 보호하는지에 따라 정의되며, 적절하게 평가된다.[106]4. 민족 다양성과 신뢰
수십 건의 연구에서 다양한 민족 구성이 사회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정치과학 연례 보고서에 발표된 연구[12]는 이 주제에 대한 세 가지 주요 논쟁점을 다음과 같이 결론지었다.
# 왜 다양한 민족 구성은 사회적 신뢰를 다소 감소시키는가?
# 접촉이 다양한 민족 구성과 사회적 신뢰 사이의 부정적 연관성을 줄일 수 있는가?
# 다양한 민족 구성은 사회적 불이익을 대신하는 것인가?
87건의 연구를 분석한 이 보고서의 메타 분석에 따르면, 다양한 민족 구성과 사회적 신뢰 사이에는 일관되지만 미미한 부정적 관계가 있다. 다양한 민족 구성은 이웃, 내부 집단, 일반화된 신뢰에 가장 큰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외부 집단에 대한 신뢰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저자들은 효과의 크기가 미미하다는 점을 경고하며, "전반적인 부정적 관계의 규모가 상당히 미미하다는 것은 현대 사회에서 사회적 신뢰에 대한 다양한 민족 구성의 심각한 위협에 대한 종말론적 주장이 과장되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12]
2020년 메타 분석에 따르면 사회적 신뢰는 민족의 다양성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민족의 다양성이 사회적 신뢰 저하의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124]
5. 대한민국에서의 신뢰 연구
대한민국에서 신뢰에 대한 사회학적인 논의는 역사가 짧음에도 불구하고 학계의 비교적 커다란 관심을 끌었는데, 여기에는 경제 위기 경험이 크게 작용하였다.[127] 이러한 사회 현실과 함께, 최근 해외 학계에서 신뢰 문제에 관한 논의가 빠르게 확산된 것도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또한 국내의 신뢰론자들은 대체로 신뢰를 대표적인 사회자본으로 간주하여 신뢰의 축적 방안을 모색하는 데 공통된 관심을 기울이는 경향이 있다.[127]
6. 정보 기술과 신뢰
현대 정보 기술은 포스트모던 사회로의 전환을 촉진했을 뿐만 아니라 신뢰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에도 도전장을 내밀었다. 정보 시스템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를 통해 기술을 신뢰하게 된다. 첫 번째는 자애, 정직, 능력을 포함한 인간과 같은 구성 요소이고, 두 번째는 유용성, 신뢰성, 기능성과 같은 시스템과 같은 구성 요소이다.[27] 정보 기술과 신뢰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연구가 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에 여전히 진행 중이다.
참조
[1]
논문
Trust in Social Relations
https://www.annualre[...]
[2]
논문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3]
multiref
Interpersonal Trust – Attempt of a Definition
http://www.ldv.ei.tu[...]
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
2011-08-16
[4]
서적
Trust and Trustworthiness
https://archive.org/[...]
Russell Sage Foundation
2002-03-21
[5]
논문
Attachment styles at work: Measurement, collegial relationships, and burnout
https://www.scienced[...]
2015-03-01
[6]
논문
New work attitude measures of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sonal need non-fulfilment
https://bpspsychub.o[...]
1980-03-01
[7]
서적
Trust: Forms, Foundations, Functions, Failures and Figures
https://archive.org/[...]
Edward Elgar Publishing
[8]
논문
Trust as a heuristic
https://www.research[...]
Peter Lang Publishing
2011
[9]
서적
Contract as Promise: A Theory of Contractual Oblig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24-01-02
[10]
간행물
Competence trust among providers as fundamental to a culturally competent primary healthcare system for immigrant families
https://www.cambridg[...]
Cambridge Core
2012-07-13
[11]
논문
Competence trust, goodwill trust and negotiation power in auditor-client relationships
https://www.emerald.[...]
2019
[12]
논문
Ethnic Diversity and Social Trust: A Narrative and Meta-Analytical Review
[13]
논문
Neighborhood disorder and generalized trust: A multilevel mediation examination of social mechanisms
https://www.scienced[...]
[14]
multiref
A Fuzzy Inference System for Synergy Estimation of Simultaneous Emotion Dynamics in Agents
https://www.ijser.or[...]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1-06-01
[15]
서적
The Construction of Social Reality
The Free Press
[16]
서적
Trust and Power
John Wiley & Sons
[17]
서적
The Logic and Limits of Trust
Rutgerts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Constitution of Society: Outline of the Theory of Structuration
Polity Press
[19]
서적
Trust: A Sociological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논문
Contracting with uncertain level of Trust
[21]
서적
Models of Bounded Rationality: Empirically grounded economic reason
https://books.google[...]
MIT Press
1997
[22]
논문
Trust, Power and Control in Transorganizational Relations
[23]
서적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4]
논문
Trust is much more than subjective probability: Mental components and sources of trust
[25]
논문
The Trust/Control Duality: An Integrative Perspective on Positive Expectations of Others
2005-09-01
[26]
서적
Moral Prejudi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논문
Technology, Humanness, and Trust: Rethinking Trust in Technology
2015
[28]
웹사이트
Erik Erikson's States of Social-Emotional Development
https://childdevelop[...]
Child Development Institute
[29]
서적
Attachment Theory and Psychoanalysis
Other Press Professional
[30]
논문
The Happy Personality: A Meta-Analysis of 137 Personality Traits and Subjective Well-Being
http://www.subjectpo[...]
[31]
논문
Happy as an Extraverted Clam? The Role of Personality for Subjective Well-Being
[32]
논문
The Impact of Value Similarity and Power on the Perception of Threat
http://dx.doi.org/10[...]
2012-03-13
[33]
논문
Trust, trustworthiness, and trust propensity: A meta-analytic test of their unique relationships with risk taking and job performan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4]
논문
Frontiersin
[35]
서적
Trust in Modern Societies: The Search for the Bases of Social Order
Polity Press
1996-04-11
[36]
서적
Betrayed!: How You Can Restore Sexual Trust and Rebuild Your Life
Adams Media Corporation
1998
[37]
웹사이트
The Four Stages Of Trust: Secret of Creating Trust
https://innerself.co[...]
Innerself.com
2013-01-04
[38]
웹사이트
Toward Real-World Models of Trust: Reliance on Received Information
http://mcwg.org/mcg-[...]
Meta-Certificate Working Group
1998-01-23
[39]
학술지
Two experimental tests of trust in in-group strangers: The moderating role of common knowledge of group membership
[40]
학술지
Group-based trust in strangers: The role of stereotypes and expectations
[41]
학술지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Trust
https://journals.sag[...]
2016-06-23
[42]
학술지
Facial resemblance enhances trust
2002-07-07
[43]
학술지
Trustworthy but not lust-worthy: context-specific effects of facial resemblance
2005-11-03
[44]
학술지
Trust and responsiveness in strain-test situations: A dyadic perspective.
http://dx.doi.org/10[...]
2012
[45]
학술지
Trust and communicated attributions in close relationships.
http://dx.doi.org/10[...]
2001
[46]
학술지
Causal attributions of married couples: When do they search for causes? What do they conclude when they do?
http://dx.doi.org/10[...]
1985
[47]
학술지
Treating sexual victimization: Developing trust-based relating in the mother-daughter dyad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8]
학술지
Belonging and Trust: Divorce and Social Capital
http://ssrn.com/abst[...]
2011
[49]
학술지
Parental Divorce and Interpersonal Trust in Adult Offspring
2002-08
[50]
간행물
Human-Animal Trust as an Analog for Human-Robot Trust: A Review of Current Evidence
https://apps.dtic.mi[...]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Orlando
2012-03-01
[51]
학술지
Media, Biotechnology, and Trust: What Drives Citizens to Support Biotechnology
2017-11-30
[52]
학술지
Between trust and domination: social contracts between humans and animals
2010-06-01
[53]
서적
Proceedings of the 2020 ACM/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Robot Interaction
2020-03-09
[54]
학술지
The (Fe)male Robot: How Robot Body Shape Impacts First Impressions and Trust Towards Robots
2019-05-25
[55]
학술지
Forms and Frames: Mind, Morality, and Trust in Robots across Prototypical Interactions
2021-04-15
[56]
학술지
Good Robots, Bad Robots: Morally Valenced Behavior Effects on Perceived Mind, Morality, and Trust
2020-09-10
[57]
학술지
Rise of Machine Agency: A Framework for Studying the Psychology of Human–AI Interaction (HAII)
2020-01
[58]
학술지
Of like mind: The (mostly) similar mentalizing of robots and humans.
2021-01-28
[59]
서적
Working Across Boundaries
CRC Press
[60]
학술지
Using Normalization Process Theory in feasibility studies and process evaluations of complex healthcare interventions: a systematic review
2018-06-07
[61]
학술지
Trust and Growth
https://repositorio.[...]
2001
[62]
서적
New issues and paradigms in research on social dilemmas
Springer
[63]
학술지
Social identity and trust –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http://edoc.mpg.de/3[...]
[64]
학술지
The psychology of prejudice: Ingroup love or outgroup hate?
[65]
학술지
Trust, reciprocity, and social history
[66]
학술지
A social identity approach to trust: Interpersonal perception, group membership and trusting behaviour
https://research.vu.[...]
[67]
학술지
Trust: The Tacit Demand
http://dx.doi.org/10[...]
[68]
서적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Department of Sociology, University of Oxford
[69]
학술지
Trust and Antitrust
1986
[70]
웹사이트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7-10-29
[71]
논문
Trust, Distrust and Commitment
http://dx.doi.org/10[...]
2012-10-25
[72]
서적
Personal Virtues: Introductory Readings
Palgrave Macmillan UK
[73]
서적
Knowledge on Trust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74]
논문
The Cunning of Trust
https://www.jstor.or[...]
1995
[75]
웹사이트
trust
https://www.etymonli[...]
[76]
서적
The Spirit Level: Why More Equal Societies Almost Always Do Better
Allen Lane
[77]
논문
The Market for 'Lemons': Quality Uncertainty and the Market Mechanism
https://academic.oup[...]
[78]
논문
The dynamics of contractual and relational governance: Evidence from long-term public-private procurement arrangements
http://opus.bath.ac.[...]
1994-07
[79]
서적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Touchstone Books
[80]
논문
Trust and Growth
https://repositorio.[...]
Royal Economic Society, Wiley
[81]
논문
The economics of trust, norms and networks
https://onlinelibrar[...]
[82]
뉴스
Davos 2024: What the theme 'rebuilding trust' is all about
https://www.euronews[...]
Euronews
2024-01-11
[83]
논문
Contracting With Uncertain Level Of Trust
[84]
논문
The value of reputation on eBay: a controlled experiment
https://research.hks[...]
2006-06
[85]
논문
Experimental games for the design of reputation management systems
[86]
논문
Trust, Reciprocity, and Social History
https://www.scienced[...]
1995-07-01
[87]
서적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Autonomous agents and multiagent systems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006-05-08
[88]
논문
How Effective are Electronic Reputation Mechanism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89]
논문
Experimental Tests of a Sequential Equilibrium Reputation Model
[90]
논문
Does Fairness Prevent Market Clearing?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1993-05
[91]
서적
Prisoner's Dilemma
Doubleday
[92]
서적
Proceedings of the 34th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2001-01-06
[93]
서적
Modernity and Self-identity: Self and Society in the Late Modern Age
Polity Press
[94]
서적
Computing with Social Trust
Springer
[95]
논문
From Interactions to Transactions: Designing the Trust Experience for Business-to-Consumer Electronic Commerce
[96]
서적
Trust and Reputation for Service-Oriented Environments: Technologies for Building Business Intelligence and Consumer Confidence
John Wiley & Sons, Ltd.
[97]
논문
At What Level (and in Whom) We Trust: Trust Across Multiple Organizational Levels
2012-07-01
[98]
서적
Knowledge Management in Theory and Practice
MIT Press
[99]
논문
Impersonal trust: The development of the construct and the scale
https://lutpub.lut.f[...]
[100]
논문
Do formal contracts and relational governance function as substitutes or complements?
[101]
논문
Revisiting the Foundations of Organizational Distrust
2017-02-15
[102]
간행물
How Monitoring Influences Trust: A Tale of Two Faces
http://www.teckho.co[...]
Management Science: Articles in Advance
2016
[103]
간행물
Trust and monitoring
https://www.scienced[...]
Journal of Banking and Finance
2022-10
[104]
논문
Revisiting the trustworthiness-trust relationship: Exploring the differential predictors of cognition- and affect-based trust
[105]
논문
Affect-and cognition-based trust as foundations for interpersonal cooperation in organizations
[106]
서적
Intrusion-Resilient Middleware Design and Validation
Elsevier
[107]
저널
Community Psychology, Political Efficacy, and Trust
https://doi.org/10.1[...]
[108]
문서
사회 관계 속에서 혹독한 경험을 지칭. 혹독한 경험을 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을 사회적 불확실성이라고 부른다.
[109]
서적
신뢰의 구조
[110]
서적
신뢰의 구조
[111]
서적
1998년 초판
[112]
서적
신뢰의 구조
[113]
서적
신뢰의 구조
[114]
서적
신뢰의 구조
[115]
서적
신뢰의 구조
[116]
서적
신뢰의 구조
[117]
서적
신뢰의 구조
[118]
서적
신뢰의 구조
[119]
서적
신뢰의 구조
[120]
서적
신뢰의 구조
[121]
서적
신뢰의 구조
[122]
서적
신뢰의 구조
[123]
서적
신뢰의 구조
[124]
저널
Ethnic Diversity and Social Trust: A Narrative and Meta-Analytical Review
https://www.annualre[...]
2020-05-11
[125]
저널
민주주의 공고화의 이해: 불확실성과 불신의 제도화
http://kiss.kstudy.c[...]
2016-01-03
[126]
저널
경쟁의 사회적 구조
http://www.dbpia.co.[...]
2015-12-21
[127]
저널
사회적 신뢰에 관한 이론적 시각들과 한국 사회
http://www.dbpia.co.[...]
2015-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