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자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적 자본은 개인 간의 관계, 즉 사회적 네트워크와 그로부터 발생하는 신뢰 및 상호주의 규범을 의미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19세기 말부터 용어가 사용되었으며, 20세기 후반 로버트 퍼트넘의 연구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사회적 자본은 경제 자본, 문화 자본과 함께 불평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며, 신뢰와 상호주의 규범, 시민회, 사회적 유대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사회 자본은 긍정적인 결과와 부정적인 결과를 모두 가져올 수 있으며, 접근성이 제한될 수 있다. 정치, 인종, 민족, 불평등, 교육 성취 등 다양한 사회 현상에 영향을 미치며, 인터넷과 같은 기술의 발전이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적 경제 - 비영리 단체
비영리 단체는 공익 또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며 정부가 제공하지 못하는 공공재를 공급하는 조직으로, 법적 요건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문제점과 온라인 활동을 통해 소통을 시도한다. - 사회적 경제 - 공정 무역
공정 무역은 투명성, 존중, 대화를 기반으로 국제 무역의 공정성을 높이고 경제적으로 불리한 생산자와 노동자의 권익 보호 및 지속가능한 개발을 지원하는 협력적 거래 관계이다. - 경제사회학 -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유형적, 정보적, 교우적 지지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개인의 심리적, 신체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스트레스 완화, 질병 예방 및 회복에 기여하는 개념이다. - 경제사회학 - 사회경제학
사회경제학은 사회적 자본, 규범, 가치관 등이 경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미시적으로 분석하고 사회 재건 및 개선을 목표로 경제학과 사회 철학 간의 관계를 거시적으로 탐구하는 비주류 경제학이다. - 문화경제학 - 창조경제
창조경제는 개인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경제 체제로서, 창의적 아이디어를 통해 새로운 제품, 서비스, 시장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정부의 주요 경제 정책으로 추진되었으나 정책의 구체성과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 문화경제학 - 사회 연결망 분석
사회 연결망 분석은 개인이나 집단 간 관계를 분석하여 사회 구조와 패턴을 파악하는 방법론으로, 사회학 이론을 기반으로 발전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발전과 함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크기, 동질성, 중심성 등의 주요 분석 요소를 가진다.
사회 자본 | |
---|---|
사회 자본 | |
![]() | |
개요 | |
정의 | 특정 사회에 살고 일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 |
학문적 연구 | |
학문 분야 | 사회 과학 커뮤니티 연구 커뮤니티 실천 커뮤니티 심리학 사회 복지 전산 사회학 문화 인류학 인터넷 연구 사회 과학 철학 농촌 사회학 사회 지리학 사회 철학 사회 문화 진화 도시 계획 |
주요 개념 | |
관련 개념 | 친화력 (사회학)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공동체 참여 공동체 교육 공동체 결속 이해 공동체 실천 공동체 장소 공동체 공동체 봉사 공동체주의 공동체 정치 집단 응집력 집단 (사회학) 집단 역학 상상된 공동체 조직 친사회적 행동 공동체 의식 소그룹 커뮤니케이션 소보르노스트 사회 소외 사회적 자본 사회적 죽음 사회적 배제 사회화 사회적 거부 사회적 지원 연대 (사회학) |
커뮤니티 개발 | |
관련 활동 | 커뮤니티 기반 관리 커뮤니티 건설 커뮤니티 경제 개발 커뮤니티 개발 계획 커뮤니티 조직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개요 :분류:커뮤니티 건설 :분류:커뮤니티 개발 :분류:지역주의 (정치) |
2. 역사
사회 자본이라는 용어는 1990년대 후반에 널리 사용되기 전인 1890년경부터 간헐적으로 사용되었다.[3] 사회학의 창시자들인 텡니스(1887),[4] 뒤르켐(1893),[5] 지멜(1905),[6] 베버(1946)[7] 등은 산업화와 도시화가 사회 관계를 변화시키고 전통적인 유대 관계를 약화시킨다고 보았다.[8]
존 듀이는 1899년 저서 『학교와 사회』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166] 1916년 미국 버지니아주 서부 농촌 지역의 학교 감독관이었던 L.J. 하니펀은 학교 운영에 지역 공동체의 참여가 중요하다고 주장하며 이 용어를 사용했다. 1961년 제인 제이콥스는 논문에서 이 용어를 네트워크의 가치를 설명하는 용어로 사용했다.
1972년 피에르 부르디외는 사회관계자본을 인맥으로 정의하고, 문화자본, 경제자본과 함께 사회적 지위 재생산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미국의 사회학자 제임스 콜먼은 1988년과 1990년의 문헌에서 사회자본을 인적 자본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설명하고, 신뢰, 교류, 중간 집단 등을 포함한다고 보았다.[167][168]
1993년 미국의 정치학자 로버트 퍼트넘은 이탈리아의 지역 정부 성과 차이가 사회 자본 축적의 차이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사회 자본을 "사람들의 협동 행동을 활발하게 함으로써 사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신뢰', '규범', '네트워크'"라고 정의했다. 퍼트넘은 시민 사회의 전통과 자발적인 시민 활동이 민주주의에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OECD는 사회 자본을 "그룹 내부 또는 그룹 간의 협력을 용이하게 하는 공통된 규범이나 가치관, 이해를 수반한 네트워크"로 정의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나바 요우지가 사회 자본을 "마음의 외부성을 수반한 사회에서의 신뢰·규범·네트워크"로, 야마무라 야스히코는 "사람들과 공동체에 내재하는 신뢰와 유대, 커뮤니케이션 등을 높이는 자원이며, 그것이 기능함으로써 지역 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2. 1. 18세기 ~ 19세기
사회 자본의 기저를 이루는 개념은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다. 19세기에는 제임스 매디슨(제임스 매디슨)과 알렉시 드 토크빌(알렉시 드 토크빌) 같은 사상가들이 연합 생활과 민주주의의 관계를 탐구하며 사회적 응집력과 연결성의 개념을 미국 정치학의 다원주의 전통에 통합시켰다.[8]19세기 전반, 알렉시 드 토크빌은 미국인들의 삶에 대한 관찰을 통해 사회 자본에 대한 개요와 정의를 제시하는 듯한 내용을 남겼다. 그는 미국인들이 가능한 한 많은 모임에서 국가, 경제 등 세계의 모든 문제들을 논의하기 위해 만나는 경향이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투명성은 국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했고, 결과적으로 민주주의가 더 잘 작동하도록 했다.[8]
존 듀이는 1899년 저서 '''학교와 사회'''에서 '사회 자본'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명확한 정의를 내리지는 않았다.[8] 한편, 고대부터 18세기까지 아리스토텔레스(아리스토텔레스)에서 토마스 아퀴나스(토마스 아퀴나스), 에드먼드 버크(에드먼드 버크)에 이르기까지 많은 철학자들이 공동체 통치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9]
2. 2. 20세기
L. J. 하니판은 1916년 시골 학교 지역 지원에 관한 기사에서 사회적 자본을 "호의, 친목, 유대감, 상호 공감, 그리고 사교적인 관계"라고 정의했다.[174] 이는 물질적 재화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회 단위를 이루는 개인과 가족들 사이의 관계를 중시한다.제인 제이콥스는 1960년대 초에 네트워크의 가치를 사회적 자본으로 설명했다.[16] 그녀는 이 용어를 명시적으로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네트워크가 사회에 기여하는 바를 강조했다.
피에르 부르디외는 1972년 그의 저서 《실천 이론 개요》[175]에서 사회적 자본을 문화 자본, 경제 자본 등과 함께 분석했다. 그는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 불평등의 재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했다.
제임스 콜먼은 1988년[176] 사회적 자본을 기능적으로 정의하고, 인적 자본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설명했다. 그는 사회적 자본이 사람들 사이의 관계에 존재하며, 신뢰, 교류, 중간 집단 등을 포함한다고 보았다.
로버트 퍼트넘은 1990년대 후반 《Bowling Alone》[178]을 통해 미국 사회의 사회적 자본 감소 현상을 지적하고, 이것이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경고했다. 그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사회적 연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3. 정의 및 형태
사회 자본은 일반적으로 사회적 네트워크, 신뢰, 규범, 협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지만,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사회 자본의 기초 개념은 19세기 전반 알렉시 드 토크빌이 미국인의 삶을 관찰하면서 제시한 개요와 정의에서 찾을 수 있다. 토크빌은 미국인들이 국가, 경제, 세계 문제 등을 논의하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모임을 갖는 경향이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투명성은 국민들의 참여를 유도했고, 이는 민주주의의 작동을 도왔다.[23]
사회 자본은 여러 정의, 해석, 용도를 가진다. 데이비드 할퍼른은 정책 입안자들이 사회 자본을 선호하는 이유가 "경제적인 느낌이 강하게 들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즉, 사회적 중요성을 재확인하면서 경제적인 측면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이 이 용어를 선호하는 이유는 부분적으로 그것이 설명할 수 있는 광범위한 결과들 때문이다. 사회 자본의 다양한 용도는 다양한 정의로 이어졌다.[23]
사회 자본은 우수한 경영 성과, 기업가적 기업의 성장, 기능적으로 다양한 집단의 실적 개선, 전략적 제휴에서 도출된 가치, 공급망 관계 강화 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24][25][26][27][28] 초기에는 사회 자본을 정의할 때 자원으로서 공익이나 개인의 이익 중 어느 쪽에 사용되어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췄다. 난 린은 사회 자본을 "시장에서 예상되는 수익률과 사회 관계에서의 투자"라는 개인주의적인 관점에서 접근했다.[179]
L. J. 해니펀은 1916년 농촌 학교에 대한 지역 사회의 지원에 관한 논문에서 "사회 자본"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며, 사회적 응집력과 공동체에 대한 개인적 투자를 강조했다.[10][11] 그는 사회 자본을 물질적 재화와 대조하며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 부동산, 개인 재산, 현금이 아니라, 사회 단위를 구성하는 개인과 가족 간의 호의, 동료애, 상호 공감, 사회적 교류와 같이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자산을 의미한다.… 이웃과 접촉하고, 이웃들끼리 접촉하면 사회 자본이 축적되어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전체 공동체의 생활 조건을 개선할 수 있는 사회적 잠재력을 갖게 된다. 전체 공동체는 모든 부분의 협력으로 이익을 얻고, 개인은 이웃의 도움, 공감, 동료애를 얻게 된다.
제인 제이콥스는 1960년대 초에 이 용어를 사용하면서 "사회 자본"을 명시적으로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네트워크의 가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16]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는 1972년 저서 《실천 이론 개요》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고,[17] 몇 년 후 문화 자본, 경제 자본, 행정 자본, 물적 자본, 정치 자본, 사회 자본, 상징 자본과 대조하여 명확히 했다.[18]
3. 1. 정의에 있어서의 쟁점들
사회 자본에 대한 정확한 정의와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진행 중이다. 사회 자본이 공익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사익을 위한 것인지에 대한 논쟁도 존재한다.초기 사회 자본 정의는 자원으로서의 사회 자본이 공익 또는 개인의 이익 중 어느 쪽에 기여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로버트 D. 퍼트넘은 사회 자본이 지역 사회와 국가의 협력 및 상호 보완적 관계를 촉진하며, 범죄와 같은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29] 반면, 다른 학자들은 개인이 사회적 관계망을 통해 얻는 사적 이익에 주목했다.[29] 난 린은 사회 자본을 "시장에서 기대되는 수익을 가진 사회적 관계에 대한 투자"로 정의했다.[30] 이는 부르디외, 플랩, 에릭손 등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뉴턴(1997)은 사회 자본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와 태도에 의해 형성되는 주관적인 현상으로 보았다.[31] 나하피엣과 고샬(1998)은 지식 자본 창출에서 사회 자본의 역할을 검토하면서, 사회 자본을 구조적, 관계적, 인지적 세 가지 관점에서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52]
많은 학자들은 사회 자본의 정확한 정의가 부족하다는 점을 우려해 왔다. 포테스(2000)는 이 용어가 주류 언론을 포함하여 매우 널리 사용되어 "사회 자본이 어떤 뚜렷한 의미를 상실할 정도로 많은 사건들과 다양한 맥락에서 적용되기 시작하는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고 언급했다.[32] '자본'이라는 용어는 다른 형태의 경제 자본과의 유추를 통해 사용되는데, 사회 자본은 유사한 (측정하기는 더 어렵지만) 이점을 가진다고 주장된다. 그러나 금융 자본과 달리 사회 자본은 사용으로 고갈되지 않고, 오히려 사용하지 않으면 고갈된다("쓰든지 잃든지")는 점에서 이러한 유추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33] 이러한 점에서 사회 자본은 인적 자본과 유사하다.
로비슨, 슈미드, 실레스(2002)는 사회 자본의 다양한 정의를 검토한 결과, 많은 정의가 형식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결론지었다.[34] 이들은 정의가 A=B 형태여야 하지만, 많은 사회 자본 정의가 그것이 무엇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지, 어디에 있는지, 어떻게 만들어질 수 있는지, 그리고 무엇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설명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들은 제시된 많은 사회 자본 정의가 자본의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사회 자본을 '동정심'으로 정의할 것을 제안했는데, 즉 다른 사람의 동정심 대상은 사회 자본을 가지며, 다른 사람에게 동정심을 가진 사람은 사회 자본을 제공한다는 것이다.[34]
3. 2. 자본의 형태 (부르디외)
피에르 부르디외는 1972년 저서 《실천 이론 개요》의 '자본의 형태'에서 경제 자본, 문화 자본, 사회 자본의 세 가지 형태로 자본을 구분하였다.[175] 그는 사회 자본을 "상호 간의 친분과 인식을 제도화한 관계의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소유함으로써 얻게 되는 실제적 또는 잠재적 자원의 총합"으로 정의한다.[36]부르디외는 사회 자본 소유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과 이러한 자원을 만들기 위한 "'사교성의 의도적인 구축'"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었다.[37] 로버트 퍼트넘이 사회 자본에 대해 긍정적인 관점을 제시한 것과는 반대로, 부르디외는 사회 자본이 불평등을 세대 간에 재생산하는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고 보았다. 그는 부유하고 권력 있는 사람들이 자신과 자신의 사회 계층, 그리고 자녀들의 이점을 유지하기 위해 "구 인맥(old boy network)"과 같은 사회적 자본을 활용한다고 지적한다.
3. 3. 신뢰와 상호주의 규범 (샌더, 퍼트남, 콜먼)
토머스 샌더는 사회적 자본을 "모든 소셜 네트워크의 집합적 가치와 이러한 네트워크에서 서로를 위해 무언가를 하려는 경향(상호성의 규범)"으로 정의한다.[39] 이러한 관점에서 사회 자본은 사회적 네트워크와 관련된 "신뢰, 상호성, 정보, 그리고 협력으로부터 흘러나오는 특정한 이익"을 강조하며, "연결된 사람들과 외부인 모두에게 가치를 창출한다."[39] 한편, 부정적인 상호성 규범은 해로운 행동과 폭력적인 행동에 대한 유인을 감소시킨다.[40][41]제임스 콜먼은 사회 자본을 기능적으로 "두 가지 요소를 공통적으로 가진 다양한 실체, 즉 모두 사회 구조의 어떤 측면으로 구성되며, 구조 내에서 행위자의 특정 행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정의한다.[42] 즉, 사회 자본은 관계, 상호성, 신뢰 및 사회적 규범의 네트워크에 의해 생성되는 개인 또는 집단 행동을 용이하게 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37] 콜먼의 개념에서 사회 자본은 어떤 종류의 행동도 용이하게 하는 중립적인 자원이지만, 사회가 그 결과로 더 나아지는지는 전적으로 그것이 사용되는 개별적인 용도에 달려 있다.[43]
로버트 D. 퍼트넘에 따르면, "사회 자본"은 "개인 간의 연결 – 사회적 네트워크와 그로부터 발생하는 상호성과 신뢰성의 규범"을 의미한다.[44] 퍼트넘과 그의 추종자들의 견해에서 사회 자본은 민주주의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3. 4. 시민회 (후쿠야마)
정치경제학자 프랜시스 후쿠야마는 사회적 자본을 "사람들이 협력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규칙"으로 정의한다.[179] 예를 들어 상호호혜 규범이나 기독교 같은 종교 교리가 이에 해당한다. 그는 사회적 자본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복되는 상호작용으로 형성되며, 발전을 위해 중요하지만 공공정책을 통해 창출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경제 발전을 위한 사회 자본의 중요성은 이러한 행동 규범이 법적 계약이나 정부 규제 등 거래 비용을 절감한다는 점이다. 후쿠야마는 사회 자본이 발전에 이롭지만, 비단체 구성원에게도 비용을 부과하여 일반 복지에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한다.후쿠야마는 알렉시 드 토크빌의 저서 ''미국의 민주주의''를 언급하며, 그가 미국인의 시민 협회 성향을 묘사한 '결사의 기술'을 통해 사회 자본이 시민 사회를 만든다고 주장한다. 시민 참여는 민주주의와 발전에 중요하지만, 후쿠야마는 "한 사람의 시민 참여는 다른 사람의 렌트 추구"가 된다고 지적한다. 즉, 사회 자본은 거래 비용을 줄여 생산성을 높이고 경제 발전을 촉진하지만, 시민 연합회가 특혜를 얻도록 특별 이익을 허용하면 민주주의를 왜곡할 수 있다. 그러나 후쿠야마는 사회 자본이 너무 많은 것보다 부족하여 공공재와 복지 증진을 위한 조직을 할 수 없는 것이 더 나쁘다고 주장한다.
3. 5. 사회적 유대
사회적 자본은 약한 유대와 강한 유대로 구분될 수 있다. 약한 유대는 새로운 정보와 기회에 접근하는 데 유용하며, 강한 유대는 정서적 지지와 안정감을 제공한다.[47]카를로스 가르시아 티몬(Carlos García Timón)은 사회 자본의 구조적 차원이 개인이 시스템 내에서 다른 사람들과 약한 유대와 강한 유대를 맺는 능력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한다. 이 차원은 개인 또는 집단 행위자 네트워크의 구성으로부터 얻어지는 이점에 초점을 둔다. '약한' 유대와 '강한' 유대의 차이는 그라노베터(Granovetter, 1973)에 의해 설명된다. 연결형 사회 자본(Bridging social capital)은 이질적인, 제한된 상호 작용을 하는 개인들이 형성하는 약한 유대를 의미하며, 귀중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할 가능성이 더 높다(Moshkovitz와 Hayat, 2021). 다른 이들은 약한 유대와 강한 유대 관계를 결합형(Bonding) 사회 자본과 연결형(Bridging) 사회 자본으로 설명한다. 결합형 사회 자본은 강한 유대, 즉 사람들이 친밀하게 느끼고 신뢰하는 긴밀한 관계를 의미한다. 관계적 차원은 개인 간 연결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며, 다른 사람들에 대한 신뢰와 그들의 협력, 그리고 개인이 네트워크 내에서 가지는 정체성을 통해 가장 잘 특징지어진다.[48] 헤이즐턴(Hazleton)과 케넌(Kennan, 2000)은 의사소통이라는 세 번째 측면을 추가했다.[49] 의사소통은 정보 교환, 문제와 해결책 파악, 갈등 관리를 통해 사회 자본에 접근하고 활용하는 데 필요하다.
보이소(1995)[50]와 볼랜드(Boland) & 텐카시(Tenkasi, 1995)[51]에 따르면, 의미있는 의사소통은 그러한 교환 당사자들 사이에 어느 정도의 공유된 맥락이 있어야 한다. 인지적 차원은 개인이나 집단이 서로 가지고 있는 공유된 의미, 표상 및 해석에 초점을 맞춘다.[52]
4. 긍정적 결과와 부정적 결과
사회적 자본은 항상 긍정적인 결과만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로버트 D. 퍼트넘은 저서 ''Bowling Alone''에서 사회적 자본이 최근 미국의 정치 참여 감소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178] 피에르 부르디외는 사회적 자본이 불평등을 만들거나 재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는데, 예를 들어 사람들이 사회적 연결망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권력 있는 위치에 접근하는 방식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175][180]
레스터, 마헤슈와리, 매케인(Lester, Maheshwari, and McLain, 2013년)은 마이너스 수익률과 부정적 사회 자본을 동일시했다. 부정적 사회 자본의 예로는 집단 내 관계 강화(결속적 사회 자본)를 통해 조장되는 폭력이나 범죄 조직 활동이 있다. 사회적 자본의 부정적 결과는 종종 "가교적"(bridging) 사회 자본이 아닌 "결속적"(bonding) 사회 자본과 관련이 있다.[57][58]
"가교적" 사회 자본이 없으면, "결속적" 집단은 사회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고립될 수 있으며, 특히 사회 자본의 "증가"를 위해 가교가 필요한 집단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결속적 사회 자본은 더 강한 형태의 가교적 사회 자본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전제 조건이다.[59] 결속적 사회 자본과 가교적 사회 자본은 균형을 이루면 생산적으로 협력할 수 있지만, 서로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 사회적 자본의 결속이 강해지고 동질적인 집단이 형성될수록 가교적 사회 자본의 가능성은 낮아진다. 결속적 사회 자본은 특정 집단의 감정을 영속시켜 공통의 급진적인 이상을 가진 개인들을 결속시킬 수 있다. 고립된 유대감의 강화는 민족적 소외나 사회적 고립과 같은 다양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서로 다른 집단 간의 관계가 매우 부정적이면 인종 청소가 발생할 수 있다. 경미한 경우에는 결속적 사회 자본과 사람들이 가교적 사회 자본을 형성하는 장소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지 않는다는 사실 때문에 도시의 교외와 같은 특정 지역 사회를 고립시킬 수 있다.
4. 1. 긍정적 결과
마하르 아레피(Mahyar Arefi)는 2003년 연구에서 합의 형성을 사회 자본의 직접적인 긍정적 지표로 파악했다.[72] 합의는 다양한 행위자와 이해관계자 간의 "공유된 관심"과 합의를 의미하며, 이는 집단 행동을 유도한다. 따라서 집단 행동은 사회 자본 증가의 지표로 볼 수 있다.로스 기텔(Ross Gittell)과 아비스 비달(Avis Vidal)은 사회 자본을 두 가지 주요 개념으로 설명했다.
- 사회적 자본의 유대: 동질적인 집단들 사이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할당된 가치
- 사회적 자본의 연결: 사회적으로 이질적인 그룹들 사이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할당된 가치
예를 들어 범죄 조직은 사회 자본을 결합하는 형태로, 합창단과 볼링 클럽은 사회 자본을 연결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구분은 사회 자본이 사회 전체에 항상 유익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지역사회의 생산성과 결속력을 높이는 개별 시민과 집단의 수평적 네트워크는 긍정적인 사회 자본 자산으로 간주되는 반면, 사회적 이익에 반하는 목적으로 운영되는 이기적인 배타적 조직과 계층적 후원 시스템은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회 자본으로 여겨질 수 있다.
다니엘 P. 알드리치(Daniel P. Aldrich)는 사회 자본의 세 가지 메커니즘을 제시했다.
- 자본의 유대: 친구나 가족과의 관계로, 사회 자본의 가장 강력한 형태이다.
- 자본의 연결: 친구 간의 관계로, 자본의 유대보다는 약한 형태이다.
- 자본의 관계: 개인과 공무원 또는 기타 선출된 지도자와의 관계
알드리치는 사회 자본의 개념을 재해 복구의 기본 원리에 적용하여, 피해 범위, 인구 밀도, 정부 및 원조의 품질 등 복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논의한다. 그의 저서 "빌딩 복원력: 재해 발생 후 복구에 필요한 사회 자본(Building Resilience: Social Capital in Post-Disaster Recovery)"에서는 주로 2011년 후쿠시마 원전 붕괴 이후 일본의 복구 상황을 조사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소셜 네트워크와 커뮤니티를 통한 사회적 자본의 존재는 건강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사회적 자본은 지원, 사회적 신뢰, 정보 및 규범이 풍부한 네트워크나 커뮤니티에 속한 개인이 건강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얻을 수 있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암 환자는 치료와 회복에 필요한 정보, 자금, 정서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신뢰와 참여를 장려하여 흡연, 과음과 같은 위험한 건강 행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웃의 사회 자본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건강 불평등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웃 간의 화합, 사회적 지지, 종교 단체 구성원 간의 유대감과 같은 사회 자본 지표는 재정적, 사회 경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더 나은 건강 상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불이익 상황에서 건강 완충 역할을 하는 사회 자본의 기능은 소수 민족의 건강 연구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동일한 민족 그룹에 속하는 거주자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소수 민족이 유지하는 관계와 네트워크는 개인 및 이웃의 특성에 따라 예상되는 것보다 더 나은 건강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은 영국, 뉴질랜드, 미국에서 연구되었다.
반대로 사회 자본이 부족하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스웨덴의 13세에서 18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낮은 사회적 자본과 낮은 사회적 신뢰는 심리적 증상, 근골격계 통증, 우울증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또한 부정적인 사회 자본은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범죄화된 인구 집단에서 사회 자본을 평가하는 연구는 드물지만, 사회 자본이 붕괴된 지역사회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가 있다. 일탈 행위는 네트워크 기반 규범이 제공하는 유리한 정의와 학습 기회를 통해 일탈적인 동료들에 의해 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사회에서 긍정적인 역할 모델로 대체되는 규범 조정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구자들은 개인이나 공동체가 이용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자원에 따라 사회 자본의 건강상의 이점이 달라진다는 가설을 제시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사회 자본은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사람들에게만 건강을 증진시키거나, 저소득층보다 고소득층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자본이 상호 의존적이라는 부르디외의 견해에 기반한다.
4. 2. 부정적인 사회 자본
사회적 자본은 긍정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버트 퍼트넘은 그의 저서 ''Bowling Alone''에서 사회적 자본이 최근 미국 정치 참여 감소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178] 피에르 부르디외의 연구는 사회적 자본이 불평등을 생산하거나 재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사회적 연결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권력 있는 위치에 접근하는 방식이 그러하다.[175][180]레스터, 마헤슈와리, 매케인(Lester, Maheshwari, and McLain, 2013년)은 마이너스 수익률과 부정적 사회 자본을 동일시했다. 부정적 사회 자본의 예로는 집단 내 관계 강화(결속적 사회 자본)를 통해 조장되는 폭력이나 범죄 조직 활동이 있다. 사회적 자본의 부정적 결과는 "가교적"(bridging) 사회 자본이 아닌 "결속적"(bonding) 사회 자본과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다.[57][58]
"가교적" 사회 자본이 없으면, "결속적" 집단은 사회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고립될 수 있다. 특히 사회 자본의 "증가"를 위해 가교가 필요한 집단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결속적 사회 자본은 더 강한 형태의 가교적 사회 자본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전제 조건이다.[59] 결속적 사회 자본과 가교적 사회 자본은 균형을 이루면 생산적으로 협력할 수 있지만, 서로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 사회적 자본의 결속이 강해지고 동질적인 집단이 형성될수록 가교적 사회 자본의 가능성은 낮아진다. 결속적 사회 자본은 특정 집단의 감정을 영속시켜 공통의 급진적인 이상을 가진 개인들을 결속시킬 수 있다. 고립된 유대감의 강화는 민족적 소외나 사회적 고립과 같은 다양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극단적인 경우, 서로 다른 집단 간의 관계가 매우 부정적이면 인종 청소가 발생할 수 있다. 경미한 경우에는 결속적 사회 자본과 사람들이 가교적 사회 자본을 형성하는 장소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지 않는다는 사실 때문에 도시의 교외와 같은 특정 지역 사회를 고립시킬 수 있다.
포르테스(Portes, 1998)는 사회 자본의 네 가지 부정적 결과를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37]
- 외부인 배제
- 집단 구성원에 대한 과도한 요구
- 개인의 자유 제약
- 하향 평준화 규범
5. 접근성
사회 자본은 다른 형태의 자본처럼 모든 사람에게 동등하게 접근 가능하지 않다. 지리적 고립이나 사회적 고립은 사회 자본에 대한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37]
6. 정치 제도에서
로버트 D. 퍼트넘의 저서 ''Bowling Alone]]''[178]에서 나타난 것처럼, 사회적 자본은 민주주의의 성공과 정치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피에르 부르디외[175]의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연결을 통해 강력한 위치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180]
사회적 자본은 폭력이나 범죄 조직 활동이 집단 내 관계 강화(결합)를 통해 조장되는 경우처럼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사회적 자본의 부정적 결과는 종종 직접 연결(''bonding'' vis-à-vis ''bridging'')과 관련이 있다.
로버트 퍼트넘의 연구에 따르면, 특정 국가의 정치 제도와 민주주의가 충분히 강력하지 못하면 사회 자본 집단에 의해 나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민 사회와 바이마르 공화국의 붕괴"는 "빌헬름 시대와 바이마르 시대 동안 독일의 주요 문제는 약한 시민 사회가 아니라 약한 정치 제도화였다"는 점을 시사한다.[60] 바이마르 공화국의 붕괴는 약한 정치 제도로 인해 사람들이 다른 출구를 찾았고, 히틀러의 집권을 용이하게 했다는 것이다. 히틀러는 독일을 세계 정치의 정상에 올려놓겠다는 공통의 목표 아래 이러한 고도로 유대된 집단을 단결시킴으로써 권력을 장악할 수 있었다.
마이클 신들러는 그의 에세이 「퍼트넘의 사회자본론에 대한 비판」[61]에서 민주주의를 발전시키지 않은 국가에서, 소비에트 이전 동유럽과 같이 비민주적 이데올로기와 정치적으로 연합한다면, 개인보다 연대를 강조하는 문화를 가진 집단, 심지어 "수평적"으로 구조화된 집단도 민주주의를 낳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다.[62]
7. 인종과 민족성에 있어서
레스터, 마헤슈와리, 맥라인(2013)은 집단(조직이나 기업 클러스터 등)의 사회 자본을 특징짓기 위한 네트워크 기반 개념을 사용하여, 소수 기업과 다수 기업 간의 불리한 차이의 원인이 부정적 사회 자본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63]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족 기업과 유럽계 미국인 가족 기업 간의 규범을 연구하면서,[64] 레스터 등은 회사 소유주가 기업 이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 사회적 행동에 참여하도록 압력을 받을 때 부정적 사회 자본이 생성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로버트 파트넘은 그의 후속 연구에서도 사회 자본과 관련된 사회적 신뢰의 증가가 이민과 지역 사회의 인종적 다문화주의 증가에 의해 저해된다고 제안한다.[65] 이 문제에 대한 파트넘의 연구는 동질성이 부족한 미국 지역에서 일부 개인이 결합적 또는 연결적 사회 자본에 참여하지 않았다는 점을 주장했다. 이민이 많은 사회(미국) 또는 민족적 이질성이 높은 사회(동유럽)에서 시민들은 두 가지 유형의 사회 자본 모두 부족했으며, 동질적인 지역 사회 구성원보다 다른 사람들을 훨씬 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질성 부족으로 인해 사람들은 가장 가까운 집단과 관계에서도 철회하여 응집력 있는 공동체가 아닌 원자화된 사회를 만들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양성에 대한 노출이 민족 간의 사회적 격차를 해소하거나 내부 집단의 유대감을 강화함으로써 사회 자본을 강화한다는 기존의 믿음에 도전한다. 이민자로부터 인지되는 사회경제적 위협 수준을 정책 입안자들이 모니터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민자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통합을 어렵게 만들고 사회 자본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66]
바르쉬니(2001)는 인도의 민족 간 폭력에 대한 민족 간 네트워크(''연결'')와 민족 내 네트워크(''결합'')의 존재 사이의 상관관계를 연구했다.[67][68] 그는 민족 간 네트워크가 다리를 놓고 긴장을 관리함으로써 평화의 주체가 된다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공동체가 민족 내 선만 따라 조직되어 있고 다른 공동체와의 상호 연결이 매우 약하거나 심지어 존재하지 않는다면 민족 폭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공동체 간 유대의 세 가지 주요 의미는 그 가치를 설명한다.[67]
민족 간 유대의 주요 의미 |
---|
민족 간의 지역 사회에서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한다. |
허위 소문을 진압한다. |
행정부가 직무, 특히 평화, 안보 및 정의를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
이는 유용한 구분이지만, 사회 자본에 대한 그 함의는 후자의 개념에 대한 구조 기능주의적 이해를 받아들일 때만 받아들일 수 있다. 실제로 민족 간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민족 내 네트워크도 사회 자본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다양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사실 바르쉬니 자신도 민족 내 경찰 활동(피어런과 레이틴(1996)이 제안한 "자치 경찰 활동" 메커니즘과 동등함)[69]이 민족 간 참여와 같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8. 사회적 불평등
피에르 부르디외와 제임스 콜먼은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았다.[180] 콜먼은 사회적 자본이 미래 세대를 위한 인적 자본의 창출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42] 인적 자본은 이전 세대가 사회적 자본을 통해 축적한 것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존 필드는 이러한 과정이 사회적 자본이 해결하고자 하는 바로 그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70]
부르디외에 따르면, 하비투스(Habitus)는 사회적 행위자가 사회화되는 사회적 맥락을 의미한다. 개인이 사회적 지위를 개선하기 위해 사회적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그 집단의 규범을 준수함으로써 사회 자본을 축적하여, 나중에 사회적 관계와 같은 자원에 접근할 수 있다. 만약 그가 교육에서 이러한 자원을 사용하여 교육 성과를 향상시켜 사회적 이동성을 확보한다면, 그는 사회 자본이 전체 시스템을 완화하는 데 거의 기여하지 못했기 때문에 사회의 계층화를 반복하고 재생산하는 데 기여한 것이다.
9. 사회자본의 측정
사회 자본 측정 방법에 대한 널리 받아들여지는 합의는 없으며, 이는 그 자체로 논쟁거리이다.[101] 일반적으로 주어진 관계에서 사회 자본의 수준이나 양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는 있지만, 이를 수치화하는 것은 복잡하며, 서로 다른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들이 사용된다.
사회학자 칼 L. 뱅크스톤(Carl L. Bankston)과 저우 민(Min Zhou)은 사회 자본이 측정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로, 이것이 개인이나 집단 수준의 현상이 아니라 개인이 집단에 참여하면서 여러 분석 수준에 걸쳐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82] 그들은 개인이 소유하는 자원인 금융 자본과 달리, 사회 조직 형태의 이점은 행위자가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잘 조직된 집단에 행위자가 참여함으로써 얻어지는 결과라는 점에서 "자본"이라는 비유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말한다.[182]
9. 1. 이름 생성기
이름 생성기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사회 자본 수준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83] 이러한 네트워크는 참가자들에게 "지난 6개월 동안 중요한 문제에 대해 이야기한 모든 사람의 이름을 말해주세요."와 같이 상호 작용하는 사람들의 이름을 묻는 방식으로 구성된다.[83] 이름 생성기는 종종 약한 유대 관계보다는 긴밀한 유대 관계의 핵심 토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유용하다.9. 2. 사회 자본 규모
많은 연구가 "다른 사람들을 신뢰하십니까?"라는 질문을 통해 사회적 자본을 측정한다. 다른 연구는 자발적 협회나 시민 활동 참여를 분석한다.[183]사회 자본과 관련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회적 유대감 측정의 방법론적 잠재력을 확장하기 위해, 사회적 연결을 사회적 결속보다 정서적으로 덜 긴밀한 관계의 형태로 구분하는 사회 자본 측정 매트릭스가 제시되었다. 결속(bonding) 및 연결(bridging) 하위 척도가 제안되었으며, 300편이 넘는 학술 논문에서 채택되었다.[84]
Lin, Peng, Kim, Kim & LaRose (2012)는 미국 외 지역 출신의 국제 거주민을 측정함으로써 이 척도의 주목할 만한 적용 사례를 제시한다. 이 연구는 페이스북(Facebook)과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사회 자본 증진의 기회를 제공하지만, 주로 외향적인 사람들에게 그렇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내향적인 소셜 미디어 사용자는 미국에 도착하기 전에 미국인들과 연결하고, 미국에 도착한 후 고향의 오랜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고 사회 자본을 구축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결과는 사회 자본이 측정 가능하며, 온라인 참여를 통한 다문화적 몰입에 대처하기 위한 전략을 이해하는 데 조작화될 수 있는 개념임을 나타낸다.[183]
9. 3. 응집력 측정
집단의 응집력 수준은 사회 자본에 영향을 미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85][86] 그러나 응집력 수준을 결정하는 정량적인 방법은 하나 없고, 오히려 연구자들이 수십 년 동안 사회 자본을 조작적으로 정의하는 데 사용해 온 사회 네트워크 모델들의 집합이 존재한다. 주요 방법 중 하나는 로널드 버트(Ronald Burt)의 제약 측정(constraint measure)으로, 유대 강도와 집단 응집력의 역할을 파악한다. 또 다른 네트워크 기반 모델은 네트워크 전이성(network transitivity)이다.9. 4. 경제 조치
낵과 키퍼(Knack and Keefer, 1996)는 다수의 국가에서 경제 성장과 신뢰와 시민 협력 규범 사이의 계량경제학적 상관관계를 측정했다.[1] 그들은 신뢰와 시민 협력이 경제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고, 불평등과 인종차이의 관점에서 볼 때 덜 양극화된 사회에서는 사회 자본이 더 크다는 것을 발견했다.[1]나라얀과 프리쳇(Narayan and Pritchet, 1997)는 탄자니아의 시골집에서의 연관성 정도와 경제적 성과를 연구했다.[2] 그들은 높은 빈곤 지수에서도 소득 수준이 높은 가정들이 집단 조직에 더 많이 참여한다는 것을 관찰했다.[2] 이러한 참여로 인해 축적된 사회 자본은 그들에게 개별적인 혜택을 주었고, 다른 경로를 통해 집단적 이익을 창출했다.[2] 예를 들어, 참여하지 않은 가족보다 농약, 비료, 씨앗에 대한 정보가 더 많아 농업 관행이 더 좋았고, 시장에 대한 정보가 더 많았다.[2] 또한, 사회 네트워크의 일원이라는 안전감 때문에 더 많은 위험을 감수할 준비가 되어 있었으며, 공공 서비스 개선에 영향을 미쳤고, 학교 참여 수준이 더 높았으며, 도시 수준에서 더 많이 협력했다.[2]
9. 5. 그룹 구성원 자격 기반
정치적 사회 자본을 측정할 때, 사회 구성원들의 집단 가입 수를 합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당과 같이 회원 수가 많은 집단은 회원 수가 적은 집단보다 자본 규모에 더 많이 기여하지만, 지역 사회와 같이 회원 수가 적은 많은 집단들도 상당한 양을 더한다. 이것이 인구에 의해 제한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사람들이 여러 집단에 가입하기 때문에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양키 시티에서 실시한 연구[87]에 따르면, 1만 7천 명의 주민으로 이루어진 지역 사회에서 2만 2천 개가 넘는 다양한 집단이 발견되었다.집단이 사회의 나머지 부분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도 사회 자본에 영향을 미치지만,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미친다. 강력한 내부 유대는 어떤 경우에는 범죄, 불신, 불관용, 폭력 또는 타인에 대한 증오를 조장하는 집단과 같이, 일반 대중의 눈에 그 집단의 인식된 자본을 약화시킬 수 있다. 쿠 클럭스 클랜이 이러한 유형의 조직의 예이다.[184]
9. 6. 사회적 행동 기반
포스키와 라우리올라(Fosschi and Lauriola)는 사회 자본의 대용물로서 사교성을 측정하는 척도를 제시했다. 이들은 사교성이 일반적인 성격 특성과 시민 참여 및 정치 참여의 척도 사이에서 사회 자본의 예측 변수로서 정치 행동의 전체론적 모델로 중재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88]세계 사회 자본 모니터는 유엔 지속가능발전그룹이 시민사회 활동가들과 협력하여 만든 사회적 재화와 사회 자본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이 프로젝트는 신뢰, 연대, 도움, 친절함, 환대와 같은 사회적 가치를 찾아내고, 익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공공재에 자금을 대려는 의지를 확인한다. 이 조사는 2016년에 시작되었다.[89]
10. 연구 분야에서
사회자본 개념은 19세기부터 존재했으며, 존 듀이가 1899년 저서 『학교와 사회』에서 이 용어를 사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166] 1961년 제인 제이콥스가 논문에서 이 용어를 네트워크 가치에 대한 용어로 사용했지만, 명확한 정의는 없었다.
1972년 피에르 부르디외는 처음으로 체계적인 설명을 제시했다. 그는 인간이 가진 자본을 문화자본, 경제자본, 사회관계자본 세 가지로 분류하고, 사회관계자본을 인맥으로 정의했다. 그는 사회적 지위 재생산 논의에서 이러한 자본을 많이 가질수록 진학이나 취업에서 유리하며 높은 사회적 지위에 오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제임스 콜먼은 글렌 로리의 1977년 정의를 사용하여 1988년과 1990년 문헌에서 이 개념을 발전시켜 유명하게 했다.[167][168] 콜먼은 사회자본을 인적 자본과 대응하는 개념으로 설명하며, 인적 자본은 개인이 가지는 것이지만, 사회자본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 존재한다고 보았다. 그는 사회자본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신뢰, 교류 등 인간관계, 중간 집단(개인과 사회 사이에 있는 지역 공동체 조직이나 자원봉사 단체 등) 세 가지를 포함했다.
1993년 로버트 퍼트넘은 『Making Democracy Work』(번역: 『철학하는 민주주의』)에서 이탈리아 북부와 남부에서 주 정부 통치 효과에 차이가 있는 것은 사회자본 축적 차이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사회자본을 "사람들의 협동 행동을 활발하게 함으로써 사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신뢰', '규범', '네트워크'와 같은 사회적 메커니즘 특징"이라고 정의했다.
사회자본 개념은 "사회 문제에 관여하는 자발적인 단체의 다양성", "사회 전체의 인간관계 풍부함", 지역 역량, 사회 결속력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오늘날 이 개념은 국제기구와 유럽, 미국을 비롯한 일본 등에서도 널리 주목받고 있으며, 다양한 개념 규정과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OECD는 이 개념을 "그룹 내부 또는 그룹 간의 협력을 용이하게 하는 공통된 규범이나 가치관, 이해를 수반한 네트워크"로 정의하고 있다.
파트남은 사회자본을 측정하는 지표로 지역 조직이나 단체에서의 활동 빈도, 투표율, 자원봉사 활동, 친구나 지인과의 관계, 사회에 대한 신뢰도를 들고 있다. 그는 사회자본이 풍부한 지역은 정치적 헌신 확대, 아동 교육 성과 향상, 인근 치안 향상, 지역 경제 발전, 지역 주민 건강 상태 향상 등 경제적,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효과를 가져온다고 지적했다.
일본에서도 사회자본은 정부와 지방 분권형 사회 형성을 추진하고 있는 많은 도도부현과 시정촌에서 시민의 자발적인 행정 참여와 시민 단체와 행정에 의한 협력 마을 만들기를 추진하기 위한 원동력이 되는 지역 역량 기초를 이루는 개념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그 부흥 과정에서 사회자본 중요성이 지적되었고, 야마우치 나오토(오사카대) 연구에서 부흥 속도, 충실도 등에서 효율적인 것이 실증되었다.
한국에서 사회자본 정의화를 시도한 것으로는, 이나바 요우지의 "마음의 외부성을 수반한 사회에서의 신뢰·규범·네트워크"와 복지 영역을 시야에 넣은 야마무라 야스히코의 "사람들과 공동체에 내재하는 신뢰와 유대, 커뮤니케이션 등을 높이는 자원이며, 그것이 기능함으로써 지역 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것" 등이 있다.
일본의 주요 사회자본 연구자로는 시카모리 에리코(도쿄대), 야마우치 나오토(오사카대), 이나바 요우지(일본대), 콘도 카츠노리(일본복지대), 미야가와 키미오(전 이치하시대), 오오마모리 타카시(내각부 정책 참여), 카네미츠 준(교토산업대), 사카모토 하루야(간사이대), 니시데 유코(도호쿠대), 타테나가 요시카즈(오사카상업대), 미야타 카쿠코(메이지가쿠인대), 야마무라 야스히코(구루메대), 우에노 신야(쿠마모토대)가 있다.
'소셜 캐피털'을 직역하면 '사회 자본'이지만, 이는 전기, 상하수도, 도로와 같은 도시 기반 시설을 의미하는 단어로 일본어에서 사용되고 있어, 콜먼이나 퍼트넘이 말하는 '소셜 캐피털' 의미와 다르다. 따라서 '사회 관계 자본'이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된다.
10. 1. 지리학
사회적 자본은 공간, 장소, 영토의 관점에서 연구될 수 있다. 지리학의 원리는 가족, 공동체, 소셜 네트워크의 사용에 있어서 사회 자본의 개념과 관련이 있다.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학자인 로버트 퍼트남은 사회적 자본을 지리학적 주제로 보는 것을 가장 강력하게 주장하였다. 그가 사회 자본을 지리학적 개념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주된 근거는 사람들의 관계가 그들이 사는 지역에 의해 형성되고 만들어진다는 것이다.[155]1984년, 앤서니 기든스는 사회 구조와 그것이 만들어내는 행위를 연결하는 이론을 개발했다. 그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조의 개별 참여자를 보는 것이 아니라, 구조와 그 구조에서 비롯되는 사회적 연결이 공간에 어떻게 확산되는지를 살펴본다.[156] 이러한 경우, 사회 구조의 지속적인 변화는 사회 자본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공동체 분위기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어떤 지역이 갱단과 같이 사회규범에 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회 조직의 만연으로 어려움을 겪는다면, 그 지역에 부정적인 사회 자본을 야기하여 해당 조직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여 그들의 긍정적인 사회 자본을 부정적인 공간과 다른 공간으로 가져갈 수 있다.
지리학에서 사회 자본을 연구 영역으로 볼 수 있는 또 다른 영역은 자원봉사 참여 분석과 여러 정부의 지원을 통해서이다. 이와 관련하여 살펴볼 수 있는 한 가지 영역은 사회 조직에 참여하는 사람들이다. 참여하는 사람들은 인종, 연령, 경제적 지위가 다양하다.[157]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다양한 인구 통계적 특징이 공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지역 간 참여에 차이를 야기할 수 있다. 둘째, 경제적 상황에 따라 지역별로 다른 사회 프로그램이 있다. 정부 기관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제한적인 공동체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부유한 지역에 복지 센터를 설치하지 않을 것이다. 셋째, 사회 자본은 특정 지역의 개인 참여에 따라 그곳에 설치된 기관의 유형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모한(Mohan)은 그의 논문 "멕시코의 분권화와 농촌 개발"에서 "지방 정부의 구조는 풀뿌리 공동체가 사회 투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역량에 영향을 미친다"고 명시한 J. 폭스(J. Fox)의 주장을 근거로 이를 뒷받침한다.[158] 이 이론에 따르면, 특정 지역에 대한 정부의 개입이 사회 조직 및/또는 공동체에 대한 개인의 참여를 증가시킨다면, 이는 그 지역의 사회 자본을 증가시킬 것이다. 모든 지역이 다르기 때문에 정부는 이를 고려하여 각 지역의 요구에 맞는 기관을 제공하며, 따라서 각 지역의 사회 자본 변화는 다를 것이다.
10. 2. 레저학
여가 연구의 맥락에서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관계에 대한 투자 및 함양에 따른 결과로 보여지며, 그렇지 않으면 이용할 수 없는 자원에 대한 개인의 접근을 허용한다. 여가와 관련된 사회적 자본의 개념은 인간 활동과 인간 목표의 분리성보다는 상호 연결성을 강조하는 관점에 기초하고 있다. 여가 활동과 민주적 사회 자본 사이에는 중요한 연관성이 있다.[185] 특정한 형태의 여가 활동은 민주주의와 민주 시민권에 중심이 되는 사회 자본의 발전에 기여한다. 개인이 사회 활동에 더 많이 참여할수록, 더 많은 자율성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것은 개인의 능력과 기술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개인이 경험하는 사회 자본의 축적량이 많을수록, 개인적인 사회적 역할, 관계, 그리고 사회 구조 내의 다른 역할뿐만 아니라 다른 여가 활동으로 옮겨갈 수 있다.[160]10. 3. 사회자본, 결혼, 연애
키슬레프(Kislev, 2019)는 현대 사회에서 독신자들의 결혼 지위 변화가 커지면서, 이들이 더 높은 사회적 자본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186] 또한, 이들은 결혼한 사람들에 비해 같은 수준의 사회적 자본에서 더 큰 행복을 얻는다. 이후 키슬레프(2020)의 연구에서는 낭만적인 관계에 대한 욕망과 단조로운 관계 간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 따르면 낮은 수준의 관계 욕구는 친구의 상대적 중요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더불어, 친구의 상대적 중요성과 높은 사회적 만족도는 모두 관계 욕망과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다.[162]11. 비공식 경제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은 비공식 경제(특히 개발도상국)에서 비공식 신용에 대한 접근 감소와 관련이 있다. 뫈지와 오우머(Mwangi and Ouma, 2012)는 케냐의 금융 포용성에 대한 사회 자본의 영향에 관해 금융 접근 국가 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양변량 프로빗 모델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특정 집단에 속해 있으면 비공식 대출을 받을 확률이 1.45% 증가하며, 여러 집단에 속할수록 비공식 대출 접근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했다.
사르커(Sarker)가 방글라데시에서 실시한 단면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187] 여성 기업가 정신에서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연구자들도 있다. 에포(Epo, 2013)는 사회적 자본과 소액 금융이 카메룬 여성 기업가 정신의 가능성을 높인다는 주장을 제시하며, 소액 금융 접근성 유무에 따른 기업가들의 복지 수준 비교를 통해 이를 뒷받침했다. 그러나 사회 자본과 소액 금융 간의 긍정적 상관관계에 동의하지 않는 연구자들도 있다. 카낙과 이구니는 사회 자본 형성이 주로 소액 금융 기관의 전략에 달려있다고 주장하며, 방글라데시의 한 시골 마을에서 사회 자본 형성을 조사하면서 이러한 결론을 내렸다.
12. 인터넷의 영향
인터넷 사용은 개인의 사회 자본 수준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인터넷을 정보를 얻는 데 사용하는 것은 사회 자본 형성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사회적 오락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부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183] 예를 들어, 매사추세츠 주에서 피터 머랜시는 통근 열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블로그(통근 열차의 찰리)를 만들었다. 그의 블로그는 열차역의 열악한 환경, 혼잡한 열차, 그리고 열차 차장의 비효율성을 폭로하여 교통 시스템의 변화를 이끌어냈다.
페이스북이나 마이스페이스와 같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SNS)의 빠른 성장은 개인들이 가상 네트워크를 통해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터넷을 통해 사람들은 즉시 다른 사람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특정 관심사와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페이스북은 다른 사람들과 강하거나 약한 유대감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사회적 윤활유 역할을 하는 등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사회 자본과 인터넷 사이의 긍정적인 연관성을 보여주는 증거가 많지만, 논쟁은 여전히 존재한다. 인터넷이 강력한 유대 관계를 온라인상의 약한 관계로 대체하거나, 기술 자체와의 사회적으로 공허한 상호작용으로 대체한다는 비판도 있다. 또한 인터넷이 "유사성의 나르시시즘"을 만들어 이념, 인종, 성별 면에서 비슷한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만 남게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은 인터넷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불규칙적으로 사용하거나 전혀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보다 더 넓은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터넷 사용자들은 더 많은 수의 친구 및 친척들과 연락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인터넷 사용자와 비사용자가 동일한 수의 사람들과 똑같이 가깝게 느낀다는 연구 결과로 뒷받침된다. 또한 인터넷 사용자들은 "어느 정도 가깝게 느끼는" 사람이 20% 더 많다.
다른 연구들은 젊은이들이 직접 대면하는 접촉 대신 인터넷 통신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소통을 위한 보조 매체로 인터넷을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인터넷 통신이 사회 자본의 발전을 방해하지 않고 사람들을 더 외롭게 만들지 않는다는 견해를 뒷받침한다.
엘리슨, 스타인필드 & 램프(Ellison, Steinfield & Lampe, 2007)는 온라인에서 행사되는 사회 자본은 오프라인에서 형성된 관계의 결과이며, 관계 유지를 통해 연결 자본이 활성화된다고 제안한다. 이 연구에 따르면, 온라인 전용으로 구축된 사회 자본은 약한 유대 관계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강한 사회적 유대를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 가능성은 낮다.[183]
13.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
로버트 퍼트넘은 그의 저서 ''Bowling Alone]]''에서 "아동 발달은 사회 자본에 의해 강력하게 형성된다"라고 언급했고, "사회 자본의 존재는 특히 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긍정적인 결과와 연결되어왔다"라고 하였다.[19] 사회 자본이 높은 주에서는 교육 성과도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부모들이 자녀 교육에 더 많이 관여하기 때문이다.[19]
사회 자본은 교육 환경에서 평생 학습과 지역사회 개발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유용한 틀로 사용될 수 있다.[146] 특히 학교가 '기능하는 공동체'를 만들도록 설계되어 부모와 학교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는데, 이러한 상호 작용이 없으면 지역 사회의 사회 자본이 불리해진다.[142]
마조리뱅크스와 곽(1998)은 홍콩 중학교 14세 학생 38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사회 자본이 성별에 따라 교육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150]
탕 헤이항 헤이즈(Hei Hang Hayes Tang)는 2002년 논문에서 적응이 (문화적, 사회적) 자본의 활성화 및 축적 과정이라고 주장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지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적응 경로를 구분하는 핵심 요인이며, 사회 자본의 한 형태인 지지 네트워크는 신입생이 가지고 있는 문화 자본을 활성화하는 데 필요하다.[151]
저우 민(Min Zhou)과 칼 L. 뱅크스톤(Carl L. Bankston)은 1998년 뉴올리언스의 베트남계 공동체 연구에서 전통적인 민족적 가치를 유지하는 것이 이민자들이 사회적으로 통합되고 민족 공동체 내에서 연대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152]
13. 1. 가톨릭 학교(콜만과 호퍼)
콜먼과 호퍼는 1980년부터 1987년까지 7년 동안 미국의 공립, 가톨릭 및 기타 사립 고등학교 총 1,015곳의 학생 28,000명의 정량적 데이터를 수집했다. 이 종적 연구에서 학생들의 가족과 지역 사회의 사회 자본이 가톨릭 학교의 중퇴율이 공립학교에 비해 훨씬 낮은 이유라고 밝혔다.[142]티치먼(Teachman) 외 연구진(1996)은 콜먼이 제안한 가족 구조 지표를 추가로 개발했다. 그들은 가족 내에 존재하는 부모의 수만을 사용한 콜먼이 의붓부모와 다른 한부모 가정과 같은 보다 별개의 차원에 의한 보이지 않는 효과를 무시했다고 비판했다. 그들은 두 명의 친부모나 의붓부모 가정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한부모 가정 (어머니 전용, 아버지 전용, 결혼하지 않은 가족 등)의 유형도 세밀하게 고려했다. 또한 부모와 자녀가 학교 관련 활동을 얼마나 자주 논의하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부모와 자식 간의 상호작용을 측정함으로써 문헌에 기여했다.[143]
모건과 소렌센(1999년)은 콜먼이 왜 가톨릭 학교 학생들이 표준화된 성취도 시험에서 공립 학교 학생들보다 성적이 더 좋은지 설명할 수 있는 명백한 메커니즘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가톨릭 학교와 공립 학교의 학생들을 다시 연구하면서, 그들은 수학 학습에 대한 사회 자본 효과의 비교 가능한 두 가지 모델을 제안했다. 하나는 일반 학교로서 가톨릭 학교이고, 다른 하나는 공립 학교의 수평 확장 학교이다. 사회 자본은 정규 학교 내에서 기능적 공동체를 유지하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과도한 감시라는 부정적인 결과도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창의성과 탁월한 성취는 억제될 것이다. 수평 확장 학교에서, 사회적 폐쇄는 학생들의 수학 성취에 부정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학교들은 부모와 다른 어른들의 확장된 사회 네트워크에서의 기회에 대한 정보와 같은 다른 형태의 사회 자본을 탐구한다. 그 결과, 일반 가톨릭 학교 학생들보다 더 많은 학습이 이루어진다. 요컨대, 모건과 소렌센의 연구는 사회 자본이 상황에 따라 다르고, 한 종류의 사회 자본이 어떤 환경에서는 긍정적일 수 있지만, 다른 환경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145]
13. 2. 커뮤니티 개발
킬패트릭, 존스, 멀포드(2010)는 교육 환경에서 "사회 자본은 평생 학습과 지역사회 개발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유용한 틀이다"라고 말한다.[146] 사회 자본은 교육 측면에서 특히 중요하다. 또한 "학교가 '기능하는 공동체'를 만들도록 설계되어 부모와 학교 간의 유대감을 강화한다"는 점을 언급하며, 이러한 상호 작용이 없으면 지역 사회의 사회 자본이 불리해지고, 사회 자본이 교육에서 주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142]13. 3. 부모의 관여
로버트 퍼트넘은 그의 저서 ''Bowling Alone]]''에서 "아동 발달은 사회 자본에 의해 강력하게 형성된다"고 언급했고, "사회 자본의 존재는 특히 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긍정적인 결과와 연결되어왔다"라고 하였다.[19] 그의 저서에 따르면 이런 긍정적인 결과는 부모의 사회 자본의 결과라고 한다. 높은 사회 자본이 있는 주에서는 높은 교육 성과도 있다.[19] 이러한 주들의 유사점은 부모들이 자녀들의 교육과 더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교사들은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교육과 학교 생활에 더 많이 참여할 때, 학교에 무기를 가지고 오거나, 신체적 폭력에 관여하거나, 무단 결석을 하거나, 일반적으로 교육에 대해 무관심해지는 것과 같은 잘못된 행동의 수준이 낮아진다고 보고했다.[19] 퍼트넘의 책에서 콜먼의 인용구를 빌리자면, 콜먼은 "가장 가까운 어른들, 첫째 그리고 가장 두드러진 가족, 둘째, 주변 어른들의 공동체에 젊은이들의 내재성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할 수 없다"고 말한 적이 있다.[19]교육, 교사, 그리고 학생들의 학습에 책임을 지는 부모들의 사회적 자본이 없다면, 자녀들의 학업 학습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이러한 요소들에 의존할 수 있다. 부모의 자녀 교육에 대한 기여 없이, 부모들에게 학생들의 삶에 대한 기회와 참여를 덜 준다. 교육에서 사회적 자본의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자녀의 학업 발전에 기여하는 부모에 초점을 맞춘다. 테딘과 웨이어(Tedin and Weaher, 2010)가 말했듯이, "학생의 성공을 촉진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부모의 적극적인 자녀 교육 참여이다." 학부모들이 학교 활동 및 모임에도 참여하기 때문에 학부모들은 다른 학부모들과 교직원들과 더 많은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학부모 참여는 학교 커뮤니티에 더 많이 참여하게 되고 참여는 학교를 지속적이고 운영하기 쉬운 커뮤니티로 만든다.
13. 4. 남성과 여성의 차이
사회 자본은 남성과 여성에게 다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투표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 고용, 시민적 기술, 시간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요인들을 신중하게 평가하면 여성의 투표율이 남성과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여성과 남성의 투표율 격차는 줄어들고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여성의 투표율이 남성보다 높아지고 있다. 최근 사회 자본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제시되고 있다.[115]사회 자본은 정치 참여를 촉진하는 풍부한 자원과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사회 자본은 어떤 유형의 공동체에서든 쉽게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교육, 고용, 시민 기술 등 전통적인 정치 참여 요인들을 능가할 수 있다.
여성은 독특한 방식으로 조직된다. 이러한 남성과의 차이점은 사회 자본을 여성에게 더욱 개인적이고 인상적으로 만들어 정치 참여에 있어 더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게 한다. 이러한 특징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 여성의 비공식적 및 공식적 네트워크는 종종 비정치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돌봄 활동으로 이어진다.[116]
- 여성은 전통적인 국가 정치 중심 포럼보다 지역 정치 및 사회 운동 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높다.[117]
- 여성은 계층 구조가 덜 발달된 방식으로 조직하고 합의를 도출하는 데 중점을 둘 가능성이 더 높다.[116]
여성 사회 자본의 비공식적인 성격은 여성이 남성적인 기준에 맞추지 않고 비정치적인 환경을 정치화할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활동의 공개적인 프로필을 낮게 유지한다. 이러한 차이점은 정치 참여 담론 내에서 인식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회 자본이 최근까지 여성의 정치 참여를 위한 도구로 간주되지 않았던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115]
마조리뱅크스와 곽(1998)은 사회 자본을 주요 분석 도구로 사용하여 사회 자본이 성별에 따라 교육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홍콩 중학교 14세 학생 38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150] 이 연구에서는 사회 자본이 성별에 따라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 5. 적응 및 민족적 가치
탕 헤이항 헤이즈(Hei Hang Hayes Tang)는 2002년 논문 "홍콩의 신입생: 적응과 학교 성적"에서 적응이 (문화적, 사회적) 자본의 활성화 및 축적 과정이라고 주장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지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적응 경로를 구분하는 핵심 요인이다. 사회 자본의 한 형태인 지지 네트워크는 신입생이 가지고 있는 문화 자본을 활성화하는 데 필요하다. 축적된 자본의 양은 지속적인 적응 과정에서의 추가적인 발전과도 관련이 있다.[151]저우 민(Min Zhou)과 칼 L. 뱅크스톤(Carl L. Bankston)은 1998년 뉴올리언스의 베트남계 공동체 연구에서 전통적인 민족적 가치를 유지하는 것이 이민자들이 사회적으로 통합되고 민족 공동체 내에서 연대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152] 특히 이민자들이 새롭게 사회에 도착하는 상황에서 민족적 연대는 매우 중요하다. 저우는 논문 "차이나타운의 사회 자본"에서 젊은 중국계 미국인들의 적응 과정이 공동체, 이민자 가정, 그리고 젊은 세대 간의 유형적인 사회적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조사했다.[153] 차이나타운은 이민자 자녀들이 기대되는 방향으로 적응하도록 돕는 사회 자본의 기반으로 기능한다. 민족적 지원은 학업적 성공을 촉진한다. 또한 모국어 읽기 능력 유지는 학업 성취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사회 자본의 한 형태를 제공한다. 스탠턴-살라자르(Stanton-Salazar)와 돈부시(Dornbusch)는[154] 이중 언어 사용 학생들이 학교 성적과 삶의 기회를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제도적 지원을 얻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14. 한국 사회와 사회적 자본
한국 사회는 급격한 경제 성장과 민주화를 거치면서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사회 자본은 사회 구성원 간의 신뢰, 규범,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사회의 효율성을 높이고 협력을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
일본에서는 한신 아와지 대지진 이후 부흥 과정에서 사회 자본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야마우치 나오토(山内直人)의 연구에 따르면 사회 자본이 부흥의 속도와 충실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66] 도야호 온천의 유스산 분화 재해 사례에서는 주민 그룹이 오카다 히로시(岡田弘) 등 학식 경험자를 고문으로 한 유스산 분화 재생 주민회를 결성하여 워크숍 등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관광 자원 창출 등의 계획을 입안하여 홋카이도의 협력으로 일찍 재생을 이루었다. 이는 사회 자본이 재난 극복과 지역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국내에서는 이나바 요우지(稲葉陽二)가 사회 자본을 "마음의 외부성을 수반한 사회에서의 신뢰·규범·네트워크"로 정의하였고, 야마무라 야스히코(山村靖彦)는 "사람들과 공동체에 내재하는 신뢰와 유대, 커뮤니케이션 등을 높이는 자원이며, 그것이 기능함으로써 지역 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사회 자본에 관한 일본의 주요 연구자로는 시카모리 에리코(鹿毛利枝子)(도쿄대), 야마우치 나오토(山内直人)(오사카대), 이나바 요우지(稲葉陽二)(일본대), 콘도 카츠노리(近藤克則)(일본복지대), 미야가와 키미오(宮川公男)(전 이치하시대), 오오마모리 타카시(大守隆)(내각부 정책 참여), 카네미츠 준(金光淳)(교토산업대), 사카모토 하루야(坂本治也)(간사이대), 니시데 유코(西出優子)(도호쿠대), 타테나가 요시카즈(柗永佳甫)(오사카상업대), 미야타 카쿠코(宮田加久子)(메이지가쿠인대), 야마무라 야스히코(山村靖彦)(구루메대), 우에노 신야(上野眞也)(쿠마모토대)가 있다.
사회 자본은 흔히 '사회 관계 자본'으로 번역되는데, 이는 인간 관계의 풍요로움을 사회의 자본으로 보는 개념이다. 사회 자본은 사회적 인프라를 의미하는 '사회 자본'과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
참조
[1]
웹사이트
Social Capital Definition of Social Capital by Oxford Dictionary on Lexico.com also meaning of Social Capital
https://www.lexico.c[...]
[2]
웹사이트
Social Capital Definition of Social Capital by Investopedia
https://www.investop[...]
[3]
웹사이트
Google Ngram Viewer
https://books.google[...]
[4]
서적
Community and Association
Routledge and Kegan Paul
[5]
서적
De la Division du Travail
Les Classiques de Science Sociale
[6]
서적
The Metropolis and Mental Life
Appleton-Century-Crofts
[7]
서적
The Protestant Sects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Social Networks, Informal Care and Public Policy
Policy Studies Institute
[9]
논문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Governance
[10]
논문
The rural school community center
[11]
서적
The Community Center
Silver Burdett
[12]
서적
America as a Mass Society
Collier Books
[13]
서적
The Quest for Community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The Eclipse of Community: an Interpretation of American Stud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
서적
The Organization Man
Simon & Schuster
[16]
서적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17]
서적
Outline of a Theory of Practice
[18]
서적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Routledge and Kegan Paul
[19]
논문
Different Strokes from Different Folks: Community Ties and Social Support
[20]
서적
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s
Lexington Books
[21]
서적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Simon & Schuster
[22]
논문
Community Citizenship and the Third Way
[23]
서적
Social Capital
Polity Press
[24]
논문
Structural vs. Relational embeddedness: Social capital and managerial performance
[25]
논문
Social capital of entrepreneurs and small firm performance: A meta-analysis of contextual and methodological moderators
[26]
문서
Evans and Carson 2005
[27]
문서
Koka and Prescott 2002
[28]
문서
McGrath and Sparks 2005
[29]
문서
Uzzi and Dunlap 2005
[30]
서적
Social Capit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논문
Social Capital and Democracy
[32]
서적
Knowledge and Social Capital: Foundations and Applications
Elsevier
[33]
간행물
The Cornucopia of the Commons
http://www.yesmagazi[...]
yes! magazine
2001-06-30
[34]
논문
Is Social Capital Really Capital?
[35]
웹사이트
The Forms of Capital
http://www.marxists.[...]
Marxists.org
[36]
서적
Ökonomisches Kapital, kulturelles Kapital, soziales Kapital
Otto Schartz & Co
[37]
논문
Social Capital: Its Origins and Applications in Modern Sociology
[38]
웹사이트
Tom Sander
http://www.hks.harva[...]
2015-12-02
[39]
웹사이트
About Social Capital
http://www.hks.harva[...]
John F. Kennedy School of Government at Harvard University
2015-12-02
[40]
논문
To whom do positive norm and negative norm of reciprocity apply? Effects of inequitable offer, relationship, and relational-self orientation
2009-01-01
[41]
웹사이트
What is Social Capital?
https://web.archive.[...]
Reputation Trojan
2016-02-06
[42]
논문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43]
문서
Escape from politics?
[44]
서적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45]
논문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http://revistas.ucm.[...]
2018-09-18
[46]
논문
On and off the 'Net: Scales for Social Capital in an Online Era
[47]
논문
The Strength of Weak Ties
[48]
논문
Carbon neutrality vs. neutralité carbone: A comparative study on French and English users’ perceptions and social capital on Twitter
[49]
논문
Social capital: reconceptualizing the bottom line
[50]
서적
Information Space: A framework for learning in organizations, institutions and culture
Routledge
[51]
문서
[52]
논문
Social capital, intellectual capital and the organizational advantage
[53]
논문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https://web.archive.[...]
2010-02-22
[54]
논문
Civil Society and the Collapse of the Weimar Republic
https://www.jstor.or[...]
2021-06-07
[55]
논문
Civic Associations and Authoritarian Regimes in Interwar Europe: Italy and Spain in Comparative Perspective
2005-01-01
[56]
논문
Bowling for Fascism: Social Capital and the Rise of the Nazi Party
https://www.journals[...]
2017-01-01
[57]
논문
Street Social Capital in the Liquid City
http://openaccess.ci[...]
2019-02-01
[58]
논문
Community Psychology Perspectives on Social Capital Theory and Community Development Practice
https://my.vanderbil[...]
2011-12-21
[59]
논문
Bonding and Bridging: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Civic Action
[60]
논문
[61]
웹사이트
A Criticism of Putnam's Theory of Social Capital
https://web.archive.[...]
2015-04-06
[62]
웹사이트
A Criticism of Putnam's Theory of Social Capital
https://web.archive.[...]
2015-04-06
[63]
논문
Social Capital of Economic Clusters: Towards a Network-Based Conception of Social Resources
https://eprints.soto[...]
2019-10-31
[64]
논문
Family Firms and Negative Social Capital: A Property Rights Theory Approach
https://web.archive.[...]
2015-10-25
[65]
서적
E Pluribus Unim: Diversity and Commun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Nordic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66]
논문
Construction, Robustness Assessment and Application of an Index of Perceived Level of Socio-economic Threat from Immigrants: A Study of 47 European Countries and Regions
[67]
논문
Ethnic Conflict and Civil Society: India and Beyond
[68]
웹사이트
Ashutosh Varshney: Home
https://web.archive.[...]
2012-10-10
[69]
논문
Explaining Inter-Ethnic Cooperation
[70]
서적
Social Capital
[71]
서적
Is Civil Society an Adequate Theory?
[72]
논문
Revisiting the Los Angeles Neighborhood Initiative (LANI): Lessons for Planners
[73]
서적
Encyclopedia of Political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74]
서적
Building resilience: Social capital in post-disaster recove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5]
논문
[76]
문서
[77]
문서
[78]
문서
[79]
웹사이트
Capital Volume II, Part III: The Re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the Aggregate Social Capital, Chapter 18: Introduction I. The Subject Investigated
https://www.marxists[...]
2017-03-24
[80]
문서
[81]
서적
Religijny kapitał społeczny
Bezkresy Wiedzy
[82]
논문
Social Capital as Process: The Meanings and Problems of a Theoretical Metaphor?
[83]
논문
Core Discussion Networks of Americans
[84]
웹사이트
Google Scholar
https://scholar.goog[...]
2015-02-28
[85]
서적
Public Brainpower: Civil Society and Natural Resource Management
https://www.research[...]
2018-04-05
[86]
웹사이트
Neighborhood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A multi-level analysis
https://my.vanderbil[...]
2014-04-20
[87]
서적
Yankee City
Yale University Press
[88]
논문
Does sociability predict civic involvemen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89]
웹사이트
World Social Capital Monitor – United Nations Partnerships for SDGs platform
https://sustainabled[...]
2019-10-16
[90]
논문
Unravelling from Above
[91]
논문
A Nation of Organisers: The institutional Origins of Civic Voluntarism in the United States
http://nrs.harvard.e[...]
2018-09-18
[92]
논문
The Theory that Won't Die: From Mass Society to the Decline of Social Capital
[93]
논문
Does Social Capital Have an Economic Pay-Off ? A Cross Country Investigation
[94]
논문
Understanding the American Decline in Social Capital, 1952–1998
[95]
논문
Anti 'Social Capital': Civic Values versus Economic Equality in the EU
[96]
논문
Usi e Abusi del Passato. Le Radici dell'Italia di Putnam
[97]
논문
Kicking in Groups
[98]
논문
Making Social Science Work across Space and Time: A Critical Reflection on Robert Putnam's Making Democracy Work
[99]
서적
Racial Diversity and Social Capital: Equality and Community in Americ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0]
논문
Social Capital, Ethnicity and Support for Democracy in the Post-Communist States
[101]
논문
The myth of social capital in community development
[102]
논문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lfishness and social capital motives
[103]
문서
in Alessandrini (2002)
[104]
문서
in Alessandrini (2002)
[105]
문서
[106]
서적
Third Sector
[107]
문서
Onyx
[108]
서적
Social Capital versus Social Theory: Political Economy and Social Science at the Turn of the Millennium
Routledge
[109]
서적
Depoliticizing Development: The World Bank and Social Capital
Leftword / Anthem / Stylus
[110]
학술지
Social Capital, Ethnicity and Support for Democracy in the Post-Communist States
[111]
서적
The World Bank
University of KwaZulu-Natal Press
[112]
웹사이트
corporatealliance.net
http://www.corporate[...]
corporatealliance.net
2014-04-20
[113]
웹사이트
xentrum.org
http://www.xentrum.o[...]
xentrum.org
2014-04-20
[114]
웹사이트
Camara Latinoamericana > Home
https://web.archive.[...]
2014-04-20
[115]
문서
Equal Participation but Separate Paths?: Women's Social Capital and Turnout
[116]
서적
Avoiding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7]
서적
Reinventing Political Science: A Feminist Approach
Fernwood
[118]
서적
Building a network theory of social capital
Aldine de Gruyter
[119]
문서
Investments in social capital implications of social interactions for the production of health
[120]
학술지
Does neighbourhood social capital aid in levelling the social gradient in the health and well-be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 literature review
[121]
학술지
The Role of Social Capital in Risk-Sharing: Lessons from Andhra Pradesh
[122]
학술지
A systematic review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apital and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a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the psychosocial pathway of health inequalities
[123]
학술지
Is ethnic density associated with health in a context of social disadvantage? Findings from the Born in Bradford cohort
https://bradscholars[...]
2019-09-24
[124]
학술지
Ethnic density and area deprivation: Neighbourhood effects on Māori health and racial discrimination in Aotearoa/New Zealand
[125]
학술지
Ethnic density effects on physical morbidity, mortality, and health behavior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126]
학술지
Social capital in relation to depression, musculoskeletal pain, and psychosomatic symptoms: a cross-sectional study of a large population-based cohort of Swedish adolescents
[127]
서적
Criminology
J. B. Lippincott & Co.
[128]
학술지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with civic life: Patterns of Internet use and the production of social capital
[129]
서적
Networked Creators
MIT Press
[130]
학술지
Bowling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Social Capital within the Organization
[131]
서적
Social Informatic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0-11-22
[132]
학술지
The quality of online social relationships
[133]
학술지
Soci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e Internet: Reconciling conflicting findings
[134]
서적
The individual within the collective: Virtual ideology and the realization of collective principles
Sage
[135]
서적
Personal Relationships: On and Off the Interne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6]
간행물
The Strength of Internet Ties
Pew Internet and American Life Project
[137]
학술지
Social Connectivity in America: Changes in Adult Friendship Network Size from 2002 to 2007
[138]
학술지
Internet and Community
[139]
학술지
Do Internet Users Have More Social Ties? A Call for Differentiated Analyses of Internet Use
[140]
학술지
Social isolation in America: Changes in core discussion networks over two decades
[141]
논문
[142]
서적
High School and Beyond
[143]
논문
[144]
논문
[145]
논문
[146]
서적
Social capita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leadership
Elsevier Science
[147]
저널
General Social Capital, Education-Related Social Capital, and Choosing Charter Schools
[148]
저널
Beyond social capital: Spatial dynamics of collective efficacy for children
1999-10-01
[149]
논문
[150]
논문
[151]
논문
New Arrival Students in Hong Kong: Adaptation and School Performance
[152]
서적
Growing Up American: How Vietnamese Children Adapt to Life in the United States
Russell Sage Foundation
[153]
논문
[154]
논문
[155]
서적
[156]
서적
[157]
서적
[158]
서적
[159]
저널
Association, sociability, and civic culture: The democratic effect of community gardening
[160]
저널
Leisure, social capital, and democratic citizenship
http://www.jhemingwa[...]
2019-09-25
[161]
저널
Social Capital, Happiness, and the Unmarried: a Multilevel Analysis of 32 European Countries
https://link.springe[...]
2020-10-31
[162]
저널
How do relationship desire and sociability relate to each other among singles?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Pairfam survey
https://journals.sag[...]
2020-10-31
[163]
저널
Social capital and access to credit in Kenya
[164]
웹사이트
Social Capital and Access to Microcredit: Evidence from Rural Bangladesh
https://www.semantic[...]
2019-02-27
[165]
웹사이트
Implications of Access to Microcredit and Social Capital for Female Entrepreneurship in Cameroon
https://www.africapo[...]
2019-02-27
[166]
서적
The School and Society. Being Three Lectures by John Dewey, Supplemented by a Statement of the University Elementary School
http://www.scienzep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7]
서적
リーディングス ネットワーク論-家族・コミュニティ・社会関係資本
勁草書房
[168]
서적
社会理論の基礎
青木書店
[169]
웹사이트
사회적 자본
https://terms.naver.[...]
2020-12-19
[170]
서적
Community and Association
Routledge and Kegan Paul
[171]
서적
De la Division du Travail
[172]
서적
The Metropolis and Mental Life
Appleton-Century-Crofts
[173]
서적
The Protestant Sects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174]
저널
The Rural School Community Center
http://dx.doi.org/10[...]
1916-09-01
[175]
서적
Outline of a Theory of Practice
[176]
저널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https://www.journals[...]
1988
[177]
저널
Different Strokes from Different Folks: Community Ties and Social Support
http://dx.doi.org/10[...]
1990-11
[178]
서적
Robert D. Putnam: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Simon and Schuster 2000, 541 S
http://dx.doi.org/10[...]
Springer Fachmedien Wiesbaden
2016
[179]
서적
사회 연결망 이론
2010
[180]
논문
부르디외, 콜만, 퍼트남의 사회적 자본 개념 비판
2004
[181]
웹인용
자유방임된 자본주의는 없었다
http://www.hani.co.k[...]
2020-12-19
[182]
저널
Social Capital as Process: The Meanings and Problems of a Theoretical Metaphor
https://onlinelibrar[...]
2002-01
[183]
웹인용
Google 학술 검색
https://scholar.goog[...]
2020-12-19
[184]
웹인용
고개드는 KKK, 백인우월주의 부활하나 - 미주 한국일보
http://www.koreatime[...]
한국일보
2020-12-19
[185]
저널
Leisure, Social Capital, and Democratic Citizenship
https://www.tandfonl[...]
1999-06
[186]
웹인용
- R&D분야 보고서 -
http://webcache.goog[...]
2020-12-19
[187]
저널
Social Capit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 Case Study from Rural Bangladesh
http://dx.doi.org/10[...]
2017-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