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통합정체성장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체통합정체성장애(BID)는 정신적인 신체 이미지와 실제 신체 간의 불일치로 인해, 특정 사지의 절단 또는 마비를 강하게 원하는 드문 질환이다. 환자는 사지, 움직임, 감각 상실과 관련된 성적 흥분을 느끼기도 하며, 보조기구를 사용하거나 스스로 사지를 손상시키려 시도하기도 한다. BID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뇌의 특정 부위 기능 부전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ICD-11에서는 '신체 통합 정체성 장애'로 분류되며, 현재까지 근거 기반 치료법은 확립되지 않았다. 1977년 '아포템노필리아'라는 용어로 처음 기술되었으며, 2004년 마이클 퍼스트에 의해 '신체 통합 정체성 장애'라는 용어가 제안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체성 장애 - 성별 불쾌감
성별 불쾌감은 자신의 성 정체성과 지정 성별 간의 불일치로 인해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느끼는 상태로, 신체적 혐오감, 타 성별에 대한 강한 욕구, 스트레스, 우울증 등을 동반하며,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정체성 장애 - 해리성 정체성 장애
해리성 정체성 장애는 둘 이상의 정체성이 존재하며 행동을 제어하는 정신 질환으로, 외상적 경험이 주요 원인이며, 기억 상실, 정체성 혼란 등의 증상을 보이고, 정신 요법 등의 치료를 통해 통합이나 조화를 목표로 한다. - 절단 (의학) - 오형 (형벌)
오형은 고대 중국의 다섯 가지 형벌로, 사형을 제외한 형벌은 신체에 영구적인 상처를 남겨 사회적 낙인을 찍는 것을 목적으로 했으며, 묵, 의, 월, 궁, 대벽 등이 대표적이다. - 절단 (의학) - 프로크루스테스
프로크루스테스는 그리스 신화 속 악인으로, 자신의 침대에 나그네를 억지로 맞춰 죽이는 잔혹한 행위를 일삼아 임의적 기준을 강요하는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라는 용어의 기원이 되었고, 테세우스에게 같은 방식으로 죽임 당한 후 획일성과 강압의 상징으로 활용된다.
신체통합정체성장애 | |
---|---|
질병 개요 | |
이름 | 신체통합정체성장애 |
다른 이름 | 신체 완전성 동일성 장애 |
진료 분야 | 정신과 임상심리학 |
증상 | 신체적 또는 감각적 장애를 갖고 싶어함, 온전한 신체에 대한 불편함 |
합병증 | 자기 절단 |
발병 시기 | 8~12세 |
위험 요인 | 어릴 때 절단 장애인을 아는 것 |
치료 | 인지 행동 치료 |
약물 | 항우울제 |
영어 명칭 | |
이름 | Body integrity dysphoria |
일본어 명칭 | |
이름 | 신체 완전 동일성 장애 (身体完全同一性障害) |
다른 이름 | 신체 완전성 위화 (身体完全性違和) |
외부 링크 | |
ICD-11 | ICD-11 - 사망 및 질병 통계 |
2. 증상
신체통합정체성장애(BID) 환자는 자신의 신체 일부(주로 팔다리)를 자신의 것이 아니라고 느끼는 강한 이질감을 느낀다. 특정 신체 부위를 절단하거나 마비시키고자 하는 강렬하고 지속적인 욕구를 가지며, 일부는 절단/마비 욕구와 관련된 성적 흥분을 느끼기도 한다.[2]
2014년 기준으로 신체통합정체성장애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았으며,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 중이었다.[15] 그러나 신체 통합 정체성 장애를 겪는 소수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왼쪽 다리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의 MRI 스캔 결과, 상두정소엽의 오른쪽 부분에 회백질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회백질 감소량은 환자가 다리를 절단하고 싶어하는 욕구의 강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8]
WHO의 질병 및 관련 건강 문제의 국제 통계 분류(ICD-11)에서는 "신체적 고통 증상 또는 신체적 체험 증후군"의 하위 항목인 "'''신체 통합 이형성증'''(Body integrity dysphoria)"으로 분류된다.[9] ICD-10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ICD-11에서 신설되었다.[9]
의족, 휠체어 등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일시적인 편안함을 얻으려는 경향을 보인다.[6] 심한 경우, 자해 또는 자가 절단을 시도하기도 한다.[6][10][7]
3. 원인
신체통합정체성장애의 원인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오른쪽 두정엽의 기능 부전으로 인해 일어난다는 설이 있지만[25] 불분명하다. 타인의 손 증후군(alien-hand syndrome) 등과 마찬가지로, 실제 신체 부위와 뇌 내의 신체 지도(body map)와의 불일치, 신체 지도 내의 연결 결함, 신체 지도 자체의 손상 등에 기인하는 장애 중 하나로 보는 견해도 있다.[26]
4. 진단
주요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9]
5. 치료
현재까지 신체통합정체성장애(BID)에 대해 확립된 근거 기반 치료는 없으며, 인지 행동 치료와 항우울제 사용이 보고되었으나 효과는 불확실하다.[10] BID 환자가 원하지 않는 팔다리를 외과적으로 절단하는 것의 의료 윤리는 어렵고 논란의 여지가 있다.[6][11][12]
치료 및 치료를 받지 않았을 때의 경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팔다리를 절단한 후에도 BID가 지속되었다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27]
6. 경과
치료 여부에 따른 장기적인 경과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일부 환자는 절단 수술 후 욕구가 해소되었다고 보고하지만, 모든 경우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10][13] 절단 후에도 신체통합정체성장애 증상이 지속되었다는 보고도 존재한다.
7. 역사
1977년, 심리학자 그레그 퍼스와 존 머니는 "아포템노필리아(apotemnophilia)"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며, 이는 주로 성적 지향으로 간주되었다.[14] 1986년, 머니는 파트너의 절단에 대한 성적 흥분을 의미하는 "절단애(acrotomophilia)"라는 비슷한 상태를 언급했다.[14]
1990년대 후반, 스코틀랜드 외과 의사 로버트 스미스가 건강한 두 사람의 사지를 절단하면서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14]
2004년, 마이클 퍼스트는 52명의 신체통합정체성장애(BIID) 환자를 대상으로 첫 임상 연구를 발표했다. 이 연구에서 환자 중 4분의 1은 절단 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었다. 퍼스트는 이 연구를 바탕으로 "신체 통합 정체성 장애"라는 용어를 제안하고, 이를 성도착증보다는 정체성 장애에 가깝다고 보았다.[15]
퍼스트의 연구 이후, 뇌 영상 기술 등을 이용한 신경학적 연구가 진행 중이다.[2][14] 연구 결과에 따르면, BIID 환자들은 오른쪽 사지보다 왼쪽 사지를 제거하고 싶어하는 경향이 더 높았으며, 이는 오른쪽 두정엽의 외상성 뇌 손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절단 부위 위아래에서 피부 전도 반응이 유의하게 다르며, 원하는 절단 부위는 시간이 지나도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이러한 욕구는 종종 어린 시절에 시작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4] 다만, 이러한 연구 결과가 BIID를 완전히 설명하지는 못하며, 심리 성적 연구도 계속 진행되고 있다.[14][16][17]
참조
[1]
웹사이트
ICD-11 – Mortality and Morbidity Statistics
https://icd.who.int/[...]
2018-07-06
[2]
논문
The bodily self and its disorders: neur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http://www.zora.uzh.[...]
2018-01-13
[3]
논문
Transabled women lost in translation? An introduction to: '"Extreme" transformations: (Re)Thinking solidarities among social movements through the case of voluntary disability acquisition'
2016-04-14
[4]
웹사이트
Desiring disability: What does it mean to be transabled?
http://www.cbc.ca/ra[...]
CBC Radio
2015-06-11
[5]
논문
Morality Work among the Transabled
2014-06-01
[6]
서적
Neuroethics —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Cricket historian, writer, surgeon, spy: the mad world of Major Rowland Bowen
http://www.theguardi[...]
2021-12-29
[8]
논문
Body Image: Neural Basis of 'Negative' Phantom Limbs
2020-06
[9]
웹사이트
ICD-11 for Mortality and Morbidity Statistics
https://icd.who.int/[...]
2021-12-19
[10]
논문
Apotemnophilia or body integrity identity disorder: a case report review.
2012-12
[11]
뉴스
The science and ethics of voluntary amputation {{!}} Mo Costandi
https://www.theguard[...]
2018-01-13
[12]
논문
Apotemnophilia: ethical considerations of amputating a healthy limb.
2010-02
[13]
논문
Body integrity identity disorder
2012
[14]
논문
Merleau-Ponty's sexual schema and the sexual component of body integrity identity disorder.
2013-05
[15]
논문
Apotemnophilia, body integrity identity disorder or xenomelia? Psychiatric and neurologic etiologies face each other.
2014
[16]
논문
Clinical and theoretical parallels between desire for limb amputation and gender identity disorder
http://ai.eecs.umich[...]
2019-09-24
[17]
논문
Erotic target location errors: An underappreciated paraphilic dimension
[18]
웹사이트
ICD-11 - Mortality and Morbidity Statistics
https://icd.who.int/[...]
2018-07-06
[19]
논문
The bodily self and its disorders: neur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http://www.zora.uzh.[...]
2014-12
[20]
서적
Neuroethics —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논문
身体的苦痛症または身体的体験症群
https://journal.jspn[...]
2024-05-28
[22]
논문
Transabled women lost in translation? An introduction to: '"Extreme" transformations: (Re)Thinking solidarities among social movements through the case of voluntary disability acquisition'
2016-04-14
[23]
웹사이트
Desiring disability: What does it mean to be transabled?
http://www.cbc.ca/ra[...]
CBC Radio
2015-06-11
[24]
논문
Morality Work among the Transabled
2014-06-01
[25]
웹사이트
Paul D Mcgeoch「Xenomelia: a new right parietal lobe syndrome.」『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2011)
http://www.ncbi.nlm.[...]
米国国立医学図書館 国立衛生研究所
2014-08-23
[26]
서적
脳の中の身体地図
インターシフト
[27]
논문
Apotemnophilia or body integrity identity disorder: a case report review.
2012-12
[28]
논문
Merleau-Ponty's sexual schema and the sexual component of body integrity identity disorder.
2013-05
[29]
논문
Apotemnophilia, body integrity identity disorder or xenomelia? Psychiatric and neurologic etiologies face each other.
2014
[30]
논문
Clinical and theoretical parallels between desire for limb amputation and gender identity disorder
http://ai.eecs.umich[...]
[31]
논문
Erotic target location errors: An underappreciated paraphilic dimension
[32]
뉴스
“지금이 행복”...스스로 시각장애인이 된 여성의 아픈 사연
http://nownews.seoul[...]
2016-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