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푸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푸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중국 구이저우성에서 발견된 멸종된 해양 파충류의 한 속이다. 탈라토사우루스류에 속하며, 짧은 목과 아래로 굽은 상악골, 튼튼한 이빨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신푸사우루스에는 X. suni, X. bamaolinensis, X. kohi, X. xingyiensis의 4종이 있으며, 콩카비스피나가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제노스밀루스
제노스밀루스는 초기 플라이스토세 시대 북미에 살았던 멸종된 고양이과 동물로, 튼튼한 체격과 독특한 송곳니 형태를 지니며 사회적 동물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2000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레페노마무스
레페노마무스는 백악기 전기에 살았던 세첨치아목 트라이코노돈트 포유류로, 랴오닝성 이셴 층에서 발견되었으며, 특히 R. robustus 화석에서 어린 프시타코사우루스 골격이 발견되어 중생대 포유류가 육식성이었음을 보여준다. - 기룡 - 노토사우루스
노토사우루스는 반 해양성 파충류로, 물개와 유사한 생활 방식을 가졌으며 물고기를 잡아먹고 플레시오사우루스류로 진화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 기룡 - 란타놀라니아
란타놀라니아는 페름기부터 트라이아스기 초기에 생존했던 디아피드 파충류의 멸종된 속으로, 러시아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긴 목과 노와 같은 다리를 가진 기룡으로 바다 생활에 적응했다. - 아시아의 고대 파충류 - 스켈로코무스
스켈로코무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동남아시아 서부 태평양에 서식했던 멸종된 해양 파충류로, 좁고 긴 몸통, 작은 머리, 뾰족한 이빨을 지녔으며 흡입 섭식 방식으로 먹이를 섭취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코부리류 어룡이다. - 아시아의 고대 파충류 - 아토포덴타투스
아토포덴타투스는 특이한 이빨을 가진 2.75~3m 크기의 중생대 초식성 해양 파충류로, 망치 모양 머리에 촘촘한 끌 모양 이빨을 사용하여 해저 조류를 긁어모아 먹었으며 육지 활동 가능성도 시사하는 독특한 골격 구조를 지녔다.
신푸사우루스 | |
---|---|
기본 정보 | |
학명 | Xinpusaurus |
어원 | 새로운 푸안에서 온 도마뱀 |
분류군 순위 | 속 |
화석 범위 | 카니안기, |
![]() | |
명명자 | Yin, 2000 |
하위 분류 | |
종 | X. suni Yin, 2000 (모식종) X. bamaolinensis Cheng, 2003 X. kohi Jiang 외, 2004 X. xingyiensis Li 외, 2016 |
2. 특징
''신푸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해양 파충류 그룹인 탈라토사우루스에 속하며, 이들은 길고 노와 같은 꼬리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짧은 다리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아래로 굽은 상악골을 특징으로 하는 탈라토사우로이데아 그룹의 일원이다. ''신푸사우루스''는 짧은 목, 거대한 방형골을 가지고 있으며, 탈라토사우루스에서 보존된 몇 안 되는 뇌 상자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 이 속의 하악은 치골-상각골 봉합의 두 가지 다른 형태를 보여준다. 즉, 상각골이 측면에서 치골을 파고드는 V자형 봉합(1형) 또는 상각골이 치골 아래에 있는 사선 봉합(2형)이다. ''X. 바마오린시스''는 2형 봉합을, ''X. 코히''는 1형 봉합을 보존하고 있다. ''X. 수니''의 봉합은 표본마다 다르며, ''X. 싱이엔시스''는 2형 봉합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치골은 또한 좁고 주둥이보다 짧으며, 턱 앞부분에는 튼튼하고 뾰족한 이빨이, 턱 뒷부분에는 넓고 으깨는 이빨이 있어 딱딱한 껍질을 가진 먹이를 먹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러한 적응은 짧고 무딘 이빨만을 가진 ''콩카비스피나''만큼 극단적이지는 않다. 이 속은 또한 독특하게 위로 굽은 상악골, 넓은 상완골의 근위단, 볼록한 가쪽 가장자리와 오목한 안쪽 가장자리를 가진 요골을 가지고 있다.
''X. 바마오린시스''와 ''X. 코히''는 특히 길어진 전상악골을 가지고 있어 좁고 뾰족한 코를 형성했다. 그러나 주둥이가 가장 긴 표본은 다른 비율에서 가장 작기 때문에, 이것은 어린 개체의 특징일 수 있으며, 이 종들을 ''X. 수니''와 구별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
''X. 싱이엔시스''는 알려진 종 중 가장 크며, 다른 종과 달리 관골의 후방 돌기가 없고, ''콩카비스피나'' 속과 유사점을 공유하므로 아마도 가장 덜 진화된 종일 것이다.
2. 1. 형태
''신푸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해양 파충류 그룹인 탈라토사우루스에 속하며, 이들은 길고 노와 같은 꼬리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짧은 다리를 가지고 있다.[1] 구체적으로, 아래로 굽은 상악골을 특징으로 하는 탈라토사우로이데아 그룹의 일원이다.[1] ''신푸사우루스''는 짧은 목, 거대한 방형골을 가지고 있으며, 탈라토사우루스에서 보존된 몇 안 되는 뇌 상자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1] 이 속의 하악은 치골-상각골 봉합의 두 가지 다른 형태를 보여준다.[1] 즉, 상각골이 측면에서 치골을 파고드는 V자형 봉합(1형) 또는 상각골이 치골 아래에 있는 사선 봉합(2형)이다.[1] ''X. 바마오린시스''는 2형 봉합을, ''X. 코히''는 1형 봉합을 보존하고 있다.[1] ''X. 수니''의 봉합은 표본마다 다르며, ''X. 싱이엔시스''는 2형 봉합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1] 치골은 또한 좁고 주둥이보다 짧으며, 턱 앞부분에는 튼튼하고 뾰족한 이빨이, 턱 뒷부분에는 넓고 으깨는 이빨이 있어 딱딱한 껍질을 가진 먹이를 먹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러한 적응은 짧고 무딘 이빨만을 가진 ''콩카비스피나''만큼 극단적이지는 않다.[4] 이 속은 또한 독특하게 위로 굽은 상악골, 넓은 상완골의 근위단, 볼록한 가쪽 가장자리와 오목한 안쪽 가장자리를 가진 요골을 가지고 있다.[3]''X. 바마오린시스''와 ''X. 코히''는 특히 길어진 전상악골을 가지고 있어 좁고 뾰족한 코를 형성했다. 그러나 주둥이가 가장 긴 표본은 다른 비율에서 가장 작기 때문에, 이것은 어린 개체의 특징일 수 있으며, 이 종들을 ''X. 수니''와 구별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1]
''X. 싱이엔시스''는 알려진 종 중 가장 크며, 다른 종과 달리 관골의 후방 돌기가 없고, ''콩카비스피나'' 속과 유사점을 공유하므로 아마도 가장 덜 진화된 종일 것이다.[3]
2. 2. 종별 특징
''신푸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 중국 구이저우성 관링에서 발견된 멸종된 해양 파충류인 탈라토사우루스의 한 속이다. 이들은 길고 노와 같은 꼬리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짧은 다리를 가지고 있었다.[1] 구체적으로, 아래로 굽은 전상악골을 특징으로 하는 탈라토사우루스과 그룹의 일원이다.[3]''신푸사우루스''는 짧은 목, 거대한 방형골을 가지고 있으며, 탈라토사우루스에서 보존된 몇 안 되는 뇌 상자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 이 속의 하악은 치골-상각골 봉합의 두 가지 다른 형태를 보여준다.[1] 즉, 상각골이 측면에서 치골을 파고드는 V자형 봉합(1형) 또는 상각골이 치골 아래에 있는 사선 봉합(2형)이다. ''X. 바마오린시스''는 2형 봉합을, ''X. 코히''는 1형 봉합을 보존하고 있다. ''X. 수니''의 봉합은 표본마다 다르며, ''X. 싱이엔시스''는 2형 봉합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1] 치골은 또한 좁고 주둥이보다 짧으며, 턱 앞부분에는 튼튼하고 뾰족한 이빨이, 턱 뒷부분에는 넓고 으깨는 이빨이 있어 딱딱한 껍질을 가진 먹이를 먹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러한 적응은 짧고 무딘 이빨만을 가진 ''콩카비스피나''만큼 극단적이지는 않다.[4] 이 속은 또한 독특하게 위로 굽은 상악골, 넓은 상완골의 근위단, 볼록한 가쪽 가장자리와 오목한 안쪽 가장자리를 가진 요골을 가지고 있다.[3]
''X. 바마오린시스''와 ''X. 코히''는 특히 길어진 전상악골을 가지고 있어 좁고 뾰족한 코를 형성했다. 그러나 주둥이가 가장 긴 표본은 다른 비율에서 가장 작기 때문에, 이것은 어린 개체의 특징일 수 있으며, 이 종들을 ''X. 수니''와 구별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1]
''X. 싱이엔시스''는 알려진 종 중 가장 크며, 다른 종과 달리 관골의 후방 돌기가 없고, ''콩카비스피나'' 속과 유사점을 공유하므로 아마도 가장 덜 진화된 종일 것이다. 먹이로는 당대에 서식했던 물고기, 갑각류, 무척추동물을 주로 잡아먹고 살았을 육식성 포식자로 추정된다.[3]
3. 분류 및 역사
2013년에 발표된 탈라토사우르스의 계통생성학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콩카비스피나가 신푸사우루스와 가장 가까운 친척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래는 그러한 분석에 기초한 클래도그램이다.
- 디압시다
- 간센시스속사우루스칸센시스
- 영이나카펜시스
- 프로라세르타 브로미
- 탈라토사우루스과
- 아스케프토사우루아상과
- 미오덴토사우루스 브레비스
- 엔데나사우루스 아쿠티로스트리스
- 안순사우루스 황구오슈엔시스
- 안순사우루스 우샤엔시스
- 아스케프토사우루스 이탤리쿠스
- 탈라토사우루아상과
- 파랄론테스메리아미
- 콩카비스피나비제리덴스
- 신푸사우루스 수니
- 클라라지아 쉰지
- 헤슐레리아 루에벨리
- 아그키스트로그나투스 캄프벨리
- 헥토사우루스 할리우스
- 탈라토사우루스 알렉산드라
- 탈라토사우루스 보렐리스
; ''신푸사우루스 수니''(X. suni)
''신푸사우루스 수니''(Xinpusaurus suni)는 2000년 Yin 등이 Gmr 010, 011, 012, 013 등 4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처음 기술되었으며, Gmr 010(모식 표본)만이 비공식적인 설명을 받았다.[1] 2001년부터 2002년까지는 GGSr 001 (잘 보존된 두개골과 부분 골격), IVPP V 11860 (분리된 두개골), IVPP V 14372 (분리된 두개골)등이 발견되었다.[1] 이중 IVPP V 12673은 유일하게 잘 기술된 표본이다.[1]
; ''신푸사우루스 바마오린엔시스''(X. bamaolinensis)
''신푸사우루스 바마오린엔시스''(Xinpusaurus bamaolinensis)는 2003년에 SPCV 30015를 바탕으로 기술되었는데, 이는 두 개의 분리된 석판에서 발견된 잘 보존된 두개골과 턱을 가진 완전한 골격이다.[1] 이 석판들이 동일 개체를 나타내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앞쪽 석판만이 이 속(genus)에 안전하게 할당될 수 있다.[1]
이 종에 대한 설명에는 사각관골 보고와 같이 탈라토사우루스류에서 알려지지 않은 특징을 언급하는 등 몇 가지 불일치점이 있어, 진단에 대한 혼란이 발생했다.[2] 따라서 이 종이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면 재기술이 필요하다.[2]
; ''신푸사우루스 코히''(X. kohi)
''신푸사우루스 코히''(Xinpusaurus kohi)는 2004년에 불완전한 골격인 GMPKU 2000/05를 바탕으로 기술되었다.[1] 이 표본은 두 개의 석판에서 발견되었는데, 뒤쪽 석판은 뒷다리 대부분이 없고 앞쪽 석판과 동일 개체에 속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1] 파단 부분 근처 일부 뼈 구조가 조작되었고 골반 물질 대부분이 손실되었다는 증거도 있다.[1] 2013년 분석에서는 ''X. kohi''를 ''X. suni''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많은 특징들이 불완전한 데이터, 오인, 또는 열악한 보존 상태로 인해 부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1] 그러나 2014년 재기술을 통해 추가적인 진단적 특징이 제공되었고, 변경 사항이 비교적 적으며 뒤쪽 석판이 앞쪽 석판과 동일 개체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들어 이 종의 정당성이 회복되었다.[2]
; ''신푸사우루스 싱이엔시스''(X. xingyiensis)
2016년 팔랑 지층의 주간포 층에서 발견된 거의 완전한 연결된 골격인 XNGM WS-53-R3을 바탕으로 신푸사우루스 싱이엔시스(''Xinpusaurus xingyiensis'')가 기술되었다.[1]
3. 1. 신푸사우루스 수니 (X. suni)
''신푸사우루스 수니''(Xinpusaurus suni)는 2000년 Yin 등이 Gmr 010, 011, 012, 013 등 4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처음 기술되었으며, Gmr 010(모식 표본)만이 비공식적인 설명을 받았다.[1] 2001년부터 2002년까지는 GGSr 001 (잘 보존된 두개골과 부분 골격), IVPP V 11860 (분리된 두개골), IVPP V 14372 (분리된 두개골)등이 발견되었다.[1] 이중 IVPP V 12673은 유일하게 잘 기술된 표본이다.[1]3. 2. 신푸사우루스 바마오린엔시스 (X. bamaolinensis)
''신푸사우루스 바마오린엔시스''(Xinpusaurus bamaolinensis)는 2003년에 SPCV 30015를 바탕으로 기술되었는데, 이는 두 개의 분리된 석판에서 발견된 잘 보존된 두개골과 턱을 가진 완전한 골격이다.[1] 이 석판들이 동일 개체를 나타내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앞쪽 석판만이 이 속(genus)에 안전하게 할당될 수 있다.[1]이 종에 대한 설명에는 사각관골 보고와 같이 탈라토사우루스류에서 알려지지 않은 특징을 언급하는 등 몇 가지 불일치점이 있어, 진단에 대한 혼란이 발생했다.[2] 따라서 이 종이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면 재기술이 필요하다.[2]
3. 3. 신푸사우루스 코히 (X. kohi)
''신푸사우루스 코히''(Xinpusaurus kohi)는 2004년에 불완전한 골격인 GMPKU 2000/05를 바탕으로 기술되었다.[1] 이 표본은 두 개의 석판에서 발견되었는데, 뒤쪽 석판은 뒷다리 대부분이 없고 앞쪽 석판과 동일 개체에 속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1] 파단 부분 근처 일부 뼈 구조가 조작되었고 골반 물질 대부분이 손실되었다는 증거도 있다.[1] 2013년 분석에서는 ''X. kohi''를 ''X. suni''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많은 특징들이 불완전한 데이터, 오인, 또는 열악한 보존 상태로 인해 부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1] 그러나 2014년 재기술을 통해 추가적인 진단적 특징이 제공되었고, 변경 사항이 비교적 적으며 뒤쪽 석판이 앞쪽 석판과 동일 개체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들어 이 종의 정당성이 회복되었다.[2]3. 4. 신푸사우루스 싱이엔시스 (X. xingyiensis)
2016년 팔랑 지층의 주간포 층에서 발견된 거의 완전한 연결된 골격인 XNGM WS-53-R3을 바탕으로 신푸사우루스 싱이엔시스(''Xinpusaurus xingyiensis'')가 기술되었다.[1]4. 고생물학
5. 계통 발생
2013년에 발표된 탈라토사우르스의 계통 발생 분석에 따르면 콩카비스피나가 신푸사우루스와 가장 가까운 친척인 것으로 나타났다.[4] 다음은 그러한 분석에 기초한 분기도이다.[4]
- 이궁류
- * ''Petrolacosaurus kansensis''
- * ''영이나카펜시스''
- * ''프로라세르타 브로미''
- * 탈라토사우루스류
- ** 아스케프토사우루스상과
''미오덴토사우루스 브레비스''
''엔데나사우루스 아쿠티로스트리스''
''안순사우루스 황구오슈엔시스''
''안순사우루스 우샤엔시스''
''아스케프토사우루스 이탤리쿠스''
- ** 탈라토사우루스상과
''Paralonectes merriami''
''콩카비스피나비제리덴스''
'''신푸사우루스 수니'''
''클라라지아 쉰지''
''헤슐레리아 루에벨리''
''Agkistrognathus campbelli''
''Nectosaurus halius''
''탈라토사우루스 알렉산드라''
''탈라토사우루스 보렐리스''
5. 1. 분기도
2013년에 발표된 탈라토사우르스의 계통 발생 분석에 따르면 콩카비스피나가 신푸사우루스와 가장 가까운 친척인 것으로 나타났다.[4] 다음은 그러한 분석에 기초한 분기도이다.[4]- 이궁류
- * ''Petrolacosaurus kansensis''
- * ''영이나카펜시스''
- * ''프로라세르타 브로미''
- * 탈라토사우루스류
- ** 아스케프토사우루스상과
''미오덴토사우루스 브레비스''
''엔데나사우루스 아쿠티로스트리스''
''안순사우루스 황구오슈엔시스''
''안순사우루스 우샤엔시스''
''아스케프토사우루스 이탤리쿠스''
- ** 탈라토사우루스상과
''Paralonectes merriami''
''콩카비스피나비제리덴스''
'''신푸사우루스 수니'''
''클라라지아 쉰지''
''헤슐레리아 루에벨리''
''Agkistrognathus campbelli''
''Nectosaurus halius''
''탈라토사우루스 알렉산드라''
''탈라토사우루스 보렐리스''
6. 생존 시기 및 서식지
신푸사우루스는 중생대의 트라이아스기 후기인 2억년 전~1억 8천만년 전에 서식했던 공룡이다.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아시아의 인도양과 서부 태평양에서 주로 서식했다. 화석은 2000년에 중국의 트라이아스기에 형성된 지층에서 중국의 고생물학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되어 새롭게 명명된 종이다.
참조
[1]
논문
On the taxonomy of ''Xinpusaurus'' (Reptilia: Thalattosauria)
http://www.ivpp.cas.[...]
[2]
논문
On the morphology and taxonomic status of ''Xinpusaurus kohi'' JIANG et al., 2004 (Diapsida: Thalattosauria) from the Upper Triassic of China
http://www.palaeodiv[...]
2014
[3]
논문
A new species of Xinpusaurus (Reptilia, Thalattosauria) from the Ladinian (Middle Triassic) of Xingyi, Guizhou, southwestern China
https://www.research[...]
2016-11-01
[4]
논문
Osteology of ''Concavispina biseridens'' (Reptilia, Thalattosauria) from the Xiaowa Formation (Carnian), Guanling, Guizhou, Chi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