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 중거리 탄도 미사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형 중거리 탄도 미사일은 미국이 개발 중인 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2019년 INF 협정 종료 이후 개발이 본격화되었다. 2019년 12월 시험 발사를 통해 기술적 진전을 보였으며, 2020년에는 사거리가 3,000~4,000km 수준으로 추정되었다. 이 미사일은 공동 극초음속 활공체(C-HGB)를 탑재하며, 2단 고체 연료 로켓을 사용한다. 미국 육군은 이 미사일을 '다크 이글'로 명명하고 실전 배치를 추진 중이며, 2024년 12월 성공적인 종단 비행 시험을 완료했다. 한국과 일본에도 배치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으며, 북한은 이에 대해 반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미사일 - MGM-52 랜스
MGM-52 랜스는 미국 육군이 1972년부터 1992년까지 운용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핵탄두, 중성자탄, 재래식 탄두를 탑재 가능하며 최대 사거리 125km, 마하 3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었고, 냉전 종식과 함께 퇴역하여 한국에서도 철수되었다. - 미국의 미사일 - 토마호크 (미사일)
토마호크 미사일은 미국에서 개발되어 1983년부터 실전 배치된 장거리 아음속 순항 미사일로, 수상함과 잠수함에서 발사 가능하며 핵탄두 또는 재래식 탄두를 탑재하고 GPS, TERCOM, DSMAC 등 다양한 유도 방식을 사용하여 대지 및 대함 공격 임무를 수행하는 여러 개량형과 변종이 존재하며, 최신형 블록 V는 향상된 정밀도와 통신 기능을 갖추고 있으나 최신 대공 미사일 시스템에 취약하다는 지적도 있다.
신형 중거리 탄도 미사일 | |
---|---|
개요 | |
![]() | |
종류 | 미사일 |
개발 국가 | 미국 |
사용 국가 | 미국 육군 |
계획된 사용 국가 | 미국 해군 |
사용 시작 | 2023년–현재 |
제작사 | 록히드 마틴 |
대당 가격 | 4,100만 달러 |
제원 | |
속도 | 마하 5 |
직경 | 34.5 인치 (0.88 m) (보도에 따르면) |
중량 | 16,300 lb (7,400 kg) |
사거리 | 1,725 마일 (2,776 km) |
개요 | |
명칭 | 영어: Common-Hypersonic Glide Body (C-HGB) 한국어: 공통 극초음속 활공체 |
설명 | |
설명 | 폴라리스를 개조한 STARS 로켓이 사용됨 |
미사일 정보 | |
이름 | Lrhw |
종류 | 해당사항 없음 |
기능 | 해당사항 없음 |
제작자 | 해당사항 없음 |
사용자 | 미국 |
개발 | 해당사항 없음 |
생산 기간 | 해당사항 없음 |
첫 발사 | 해당사항 없음 |
도입 | 2023년~ |
생산 댓수 | 해당사항 없음 |
대당 가격 | 해당사항 없음 |
전 모델 | 해당사항 없음 |
후 모델 | 해당사항 없음 |
엔진 | 캐스터 4B 모터, 진공추력 500 kN |
추진 | 2단 고체연료 |
발사 중량 | 해당사항 없음 |
길이 | 해당사항 없음 |
직경 | 해당사항 없음 |
날개폭 | 해당사항 없음 |
속력 | 마하 17 |
사거리 | 3,000-4,000km |
상승한계 | 해당사항 없음 |
비행고도 | 해당사항 없음 |
탄두 | 해당사항 없음 |
유도 | 해당사항 없음 |
신관 | 해당사항 없음 |
발사대 | 지하 사일로 |
위력 | 해당사항 없음 |
기타 | 해당사항 없음 |
2. 역사
2019년 8월 2일, INF 협정이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미국은 러시아와 중화인민공화국이 극초음속 활공체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상황에 대응하여 극초음속 무기 개발을 진행했다. 2017년 10월 30일, 중거리 재래식 신속 타격 비행 실험-1의 첫 번째 시험이 실시되었다. ''오하이오''급 탄도 미사일 잠수함의 발사관에 장착 가능한 미사일이 하와이에서 마셜 제도까지 2,000해리 이상을 극초음속으로 비행했다.[21] 2020년 3월에는 공통-극초음속 활공체(C-HGB) 시험이 진행되었다.[9][10]
2019년 12월 12일, 미국은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지상 발사형 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시험 발사했다. 미군은 이번 중거리 탄도 미사일의 사거리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3,000~4,000km 수준이라는 관측이 제기되었다.[55] 인터넷에 공개된 반덴버그 발사 사진을 보면, 퍼싱-2 미사일처럼, 탄두 부분에 카나드가 달려있고, 2단 고체연료 로켓으로 보였다. 전체를 흰색으로 칠했다. 퍼싱-2는 뚱뚱한데, 반덴버그 사진은 길고 날씬한 것을 보면, 퍼싱-2의 1단 연료통을 더욱 길게 늘린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2020년 3월, 펜타곤 관리는 이동식 지상 발사형 순항 미사일 사거리는 1,000km 정도며, 지상 발사형 탄도 미사일 사거리는 3,000-4,000km 라고 말했다.
2020년 7월 28일, 청와대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은 브리핑을 통해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으로 우주 발사체에 대한 고체연료 사용 제한이 해제됐다"고 밝혔다.
2020년 8월 16일, 마셜 빌링즐리 미 대통령 군축담당 특사는 니혼게이자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개발 중인 중거리 미사일에 대해 "일본 등이 장래에 정말로 원하고 필요로 할 방위 능력"이라고 말했다. 신형 미사일의 사거리는 1,000km 안팎으로 추정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미사일을) 미국령 괌에 배치해도 중국을 사정권에 두지 못하기 때문에 아시아에 배치하려면 일본과 한국이 중요하다”고 분석했다.[56] 일본 본토에서 중국 베이징 까지는 1,500km 떨어져 있다.
2020년 9월 27일, 마셜 빌링슬리 미국 국무부 군비통제 대통령 특사가 방한했다. 그는 중국을 '핵 깡패'(nuclear bully)로 규정하며 우리 정부에 중국 견제에 동참해야 한다는 의중을 드러냈다. 그는 "중국은 중거리핵전력조약(INF)의 구애를 받지 않아 지난 30년간 1,000~2,000기의 순항·탄도미사일을 개발해 배치했다"며 "작년에 225발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했고 올 들어 8월까지 70차례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런 내용과 핵 운반 수단에 대해서도 한국에 얘기를 했다"라며 "이런 사안의 심각성을 한국이 이해해서 기쁘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빌링슬리 특사는 미국 전략사령부의 토머스 부셰 부사령관(공군 중장)과 함께 방한했다. 그가 언급한 '중국의 핵전력 비밀 정보 공유'는 부셰 중장이 맡았다. 전략사령부는 미국의 핵전력을 운용하는 곳이다. 빌링슬리 특사는 "미국은 최근 중거리 미사일 개발을 시작했고, 중국을 곧 따라잡을 것”이라며 "미국은 중거리 미사일을 핵미사일로 만들 계획은 없다"라고 말했다.
그의 방한은 중국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이 동북아에 중거리 미사일을 배치하려는 과정의 첫발을 뗐다는 해석이 나온다. 물론 중국은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57]
미국은 신형 중거리 탄도 미사일에 핵탄두를 넣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미국 전략사령부가 이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미국, 러시아, 중국 등 전 세계 핵무장국들이 전략 사령부가 있고, 북한에도 창설되어 있는데, 전략 사령부는 재래식 탄두를 사용하는 부대가 아니다.
3. 개발 및 시험
2024년 6월 28일, 미 국방부는 육군의 장거리 극초음속 무기(LRHW) 전체 발사체(AUR)와 해군의 재래식 신속 타격(CPS)의 성공적인 최종 시험을 발표했다. 이 미사일은 하와이 카우아이 태평양 미사일 시험장에서 발사되어 2000마일 이상 떨어진 마셜 제도에 착탄했다.[24][25] 2024년 12월 2일 케이프커내버럴에서 배터리 작전 센터를 사용하여 수송 발사대(TEL)에서 전체 발사체(AUR)를 발사하는 시험도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11]
캐스터 4B 고체연료 모터를 사용했으며, 진공추력은 500 kN이다.[27] 이는 퍼싱-2 1단의 추력(172 kN)보다 훨씬 강력하여, 신형 미사일이 퍼싱-2보다 대형임을 알 수 있다.
2020년 5월 27일, 1단계 고체 로켓 모터 시험이 진행되었다.[27] 2021년에는 미사일 부스터의 양 단계와 추력 벡터 제어 시스템 시험이 이루어졌다.[28][29] 2021년 10월 29일, 장거리 극초음속 무기(LRHW)용 부스터 로켓이 유타에서 정적 시험에 성공했으며, 1단계 추력 벡터 제어 시스템 시험도 포함되었다.[30]
2022년 6월, 하와이에서 일반 신속 타격(CPS) 발사 실패가 발생했다.[32] 2단계 부스터를 사용하는 완전 조립된 CPS 무기 시험[33]은 C-HGB 점화 전에 실패했다.[34] 그러나 2024년 12월 12일, 일반 신속 타격은 성공적으로 시험되었다.[11]
3. 1. 공동 극초음속 활공체 (C-HGB)
2018년, 미 해군은 육군의 신속 역량 및 핵심 기술 사무소와 협력하여 공동 극초음속 활공체(C-HGB) 설계를 주도했다.[15]
C-HGB는 샌디아 국립 연구소가 개발한 대체 재진입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이 시스템은 1979년부터 1985년까지 개발된 샌디아 유익 고에너지 재진입체 실험(SWERVE) 기술을 바탕으로 한다.
러시아와 중화인민공화국이 극초음속 활공체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미국 국방부는 기존의 FALCON 계획 대신 육군의 첨단 극초음속 무기(AHW) 계획을 우선순위로 격상시켰다. 해군은 AHW를 기반으로 잠수함 발사형 모델을 개발하여 2017년 10월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 2018년, 미 국방부는 AHW 계획을 육해공군 공통 극초음속 활공체로 지정하고 2020년대 초반까지 배치할 것을 발표했다.
초기에는 육군의 장거리 극초음속 무기(LRHW), 해군의 잠수함 발사 재래식 즉시 타격(CPS), 공군의 극초음속 재래식 탄두형 공격 시스템(HCSW)에 C-HGB를 채택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공군의 HCSW는 2021년 예산 요구에서 취소되었고, 공군은 AGM-183 ARRW 개발에 집중하며 HTV-2에서 파생된 TBG를 탑재할 예정이다.
3. 1. 1. 설계
C-HGB는 샌디아 국립 연구소에서 개발한 SWERVE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20] 다이네틱스(Dynetics)에서 프로토타입 및 시험 유닛 제작을 담당한다. C-HGB는 샌디아 국립 연구소가 육군을 위해 개발한 대체 재진입 시스템(Alternate Re-Entry System영어)을 기반으로 하지만, 기술적으로는 1979년부터 1985년까지 개발한 샌디아 유익 고에너지 재진입체 실험(Sandia Winged Energetic Reentry Vehicle Experiment, SWERVE영어)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SWERVE는 전체 길이 약 약 254.00cm로 최고 속도 마하 12에 달했고, 이후 1분 동안 마하 8을 유지하면서 활공할 수 있었다. SWERVE와 C-HGB의 차이점은 SWERVE는 탄두의 각도가 선단에서 후단까지 변하지 않는 반면, C-HGB는 2단계로 변화한다는 것이다.[48]
3. 1. 2. 시험
2017년 10월 30일, 중거리 재래식 신속 타격 비행 실험-1의 첫 번째 시험이 실시되었다. ''오하이오''급 탄도 미사일 잠수함의 발사관에 장착 가능한 미사일이 하와이에서 마셜 제도까지 2,000해리 이상을 극초음속으로 비행했다.[21] 2020년 3월에는 공통-극초음속 활공체(C-HGB) 시험이 진행되었다.[9][10]
2024년 6월 28일, 미국 국방부는 미국 육군의 장거리 극초음속 무기(LRHW) 전체 발사체(AUR)와 미국 해군의 재래식 신속 타격(CPS)의 성공적인 최종 시험을 발표했다. 이 미사일은 하와이, 카우아이, 태평양 미사일 시험장에서 발사되어 2000마일 이상 떨어진 마셜 제도에 착탄했다.[24][25] 2024년 두 번째 시험에서는 지상 발사대[26]가 12월 2일 케이프커내버럴에서 배터리 작전 센터를 사용하여 수송 발사대(TEL)에서 전체 발사체(AUR)를 발사했으며, 이는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11]
3. 2. 부스터
캐스터 4B 고체연료 모터를 사용했으며, 진공추력은 500 kN이다.[27] 이는 퍼싱-2 1단의 추력(172 kN)보다 훨씬 강력하여, 신형 미사일이 퍼싱-2보다 대형임을 알 수 있다.
2020년 5월 27일, 1단계 고체 로켓 모터 시험이 진행되었다.[27] 2021년에는 미사일 부스터의 양 단계와 추력 벡터 제어 시스템 시험이 이루어졌다.[28][29] 2021년 10월 29일, 장거리 극초음속 무기(LRHW)용 부스터 로켓이 유타에서 정적 시험에 성공했으며, 1단계 추력 벡터 제어 시스템 시험도 포함되었다.[30]
2022년 6월, 하와이에서 일반 신속 타격(CPS) 발사 실패가 발생했다.[32] 2단계 부스터를 사용하는 완전 조립된 CPS 무기 시험[33]은 C-HGB 점화 전에 실패했다.[34] 그러나 2024년 12월 12일, 일반 신속 타격은 성공적으로 시험되었다.[11]
4. 실전 배치
미국 육군은 4대의 M983 트럭과 각 2기의 미사일을 발사 용기에 담아 운반하는 트레일러, 지휘 차량을 포함하는 8기 미사일 포대에 장거리 극초음속 무기(LRHW)를 배치할 예정이다.[9][10] LRHW는 미국 육군에 의해 ''다크 이글''(Dark Eagle)로 명명되었다.[35][36][37]
2023년 2월, 제3야전포병연대 제5대대(5-3 LRFB, 제1 MDTF의 장거리 사격 대대)는 워싱턴주 조인트 베이스 루이스-맥코드에서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로 LRHW를 배치했다. 첫 번째 미사일 포대는 2023년 9월 말까지 배치될 예정이었다.[38]
2023년 9월 7일, LRHW 시스템의 시험 발사가 비행 전 점검의 특정되지 않은 결함으로 인해 취소되었다.[39][40][41] 미국 육군 획득, 물류 및 기술 차관보인 더글러스 R. 부시는 발사기에 "기계 공학 문제"가 있었으며, 이를 수정하고 테스트하기 위한 새로운 계획이 수립되었다고 밝혔다.[42][43][44] LRHW 완전 조립탄은 2024년 6월 28일 이전에 성공적으로 테스트되었다.[24]
2024년 12월 12일, 육군과 해군은 다크 이글이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 기지에서 성공적인 종단 비행 시험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11][45]
5. 구성
LRHW는 2단 고체 연료 로켓과 극초음속 활공체(C-HGB)로 구성된다.[49] 1단 로켓은 캐스터 4B 모터를 사용하며, 진공 추력 500kN을 제공한다.[49] 캐스터 4B는 과거 맥서스 로켓에 사용했던 엔진이다. 참고로, 퍼싱-2 1단의 추력은 172kN이었다.
다음은 LRHW의 주요 제원이다.
항목 | 내용 |
---|---|
용도 | IRBM |
단수 | 2단 고체연료 |
1단 | 캐스터 4B 모터, 진공추력 500 kN |
사거리 | 3,000-4,000km |
속도 | 마하 17 이상 |
외양 | 퍼싱-2와 비슷하게 생김, 탄두에 카나드 |
미사일 부분은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사와 노스롭 그러먼(Northrop Grumman)사가 개발하고 있다.[49] 해군의 34.5인치형 부스터를 사용한 2단식 부스터를 채용하고 있으며, C-HGB를 장착했을 경우, 해·육군 올 업 라운드 + 캐니스터(All Up Round plus Canister|올 업 라운드 + 캐니스터영어)라고 칭한다.[49]
6. 한반도에의 영향
2020년 9월, 마셜 빌링슬리 미국 국무부 군비통제 대통령 특사가 방한하여 중국중국어의 핵 위협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미국의 중거리 미사일 개발에 대한 협력을 요청했다.
북한은 사거리 4,000km의 무수단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어, 미국의 중거리 미사일 배치에 대해 강력하게 반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6. 1. 대한민국의 입장
2020년 9월, 마셜 빌링슬리 미국 국무부 군비통제 대통령 특사가 방한하여 중국의 핵 위협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미국의 중거리 미사일 개발에 대한 협력을 요청했다.[57] 빌링슬리 특사는 중국이 중거리핵전력조약(INF)의 제약 없이 다량의 미사일을 개발 및 배치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상황의 심각성에 대해 한국이 이해하고 있다고 언급했다.대한민국은 미국의 중거리 미사일 배치 가능성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일본과의 배치에 있어서의 형평성 문제와 중국과의 관계 악화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빌링슬리 특사의 방한은 중국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이 동북아에 중거리 미사일을 배치하려는 과정의 첫 단계로 해석될 수 있다.[57] 미국은 신형 중거리 탄도 미사일에 핵탄두를 탑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미국 전략사령부가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6. 2. 북한의 반응
북한은 사거리 4,000km의 무수단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러시아 R-27U를 모방한 것으로 추정된다.[1] 액체 연료를 사용한다.[1] 따라서 북한은 미국의 중거리 미사일 배치에 대해 강력하게 반발할 것으로 예상된다.R-27U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1]
항목 | 내용 |
---|---|
중량 | 14,200 kg |
직경 | 1.5m |
길이 | 8.89m |
날개폭 | 1.5m |
탄두 중량 | 650 kg |
탄두 | 200 Kt 급 핵탄두 3개 |
사거리 | 3,000 km |
CEP | 1.3km |
발사대 | project 667AU 잠수함 |
7. 일본 배치 논의
2023년 2월 4일, 산케이 신문은 미국 정부가 장거리 극초음속 무기(LRHW)나 MRC 타이폰 등 중거리 미사일의 일본 배치를 타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52] 미국은 아베 신조 정권 말기인 3~4년 전부터 자위대와 미군 실무자급 협의에서 일본 배치를 제안해 왔다. 같은 해 1월 미일 정상 회담 및 외무·방위 담당 각료 간 안전 보장 협의 위원회(2+2)에서는 의제로 다루어지지 않았으나, 일본은 미군의 중거리 미사일 배치를 수용하는 방향으로 협의를 진행할 방침이었다.[52] 그러나 2023년 1월 23일, 요미우리 신문은 미국 정부가 LRHW의 주일미군 배치를 보류하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52]
7. 1. 일본의 입장
2023년 2월 4일, 산케이 신문은 미국 정부가 장거리 극초음속 무기(LRHW)나 MRC 타이폰 등 중거리 미사일의 일본 배치를 타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52] 미국은 아베 신조 정권 말기인 3~4년 전부터 자위대와 미군 실무자급 협의에서 일본 배치를 제안해왔다. 같은 해 1월 미일 정상 회담 및 외무·방위 담당 각료 간 안전 보장 협의 위원회(2+2)에서는 의제로 다루어지지 않았으나, 일본은 미군의 중거리 미사일 배치를 수용하는 방향으로 협의를 진행할 방침이다.[52]이는 중국의 중거리 미사일에 대한 억지력 강화를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그러나 2023년 1월 23일, 요미우리 신문은 미국 정부가 LRHW의 주일미군 배치를 보류하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52] 일본의 반격 능력 도입으로 중국 중거리 미사일에 대한 억지력이 강화되었고, 기지 주변 등 일본 내 여론의 이해를 얻기 어렵다는 점이 보류 이유로 제시되었다.
8. 제원
- '''용도:''' IRBM
- '''단수:''' 2단 고체연료
- '''1단:''' 캐스터 4B 모터, 진공추력 500 kN
- '''사거리:''' 3,000-4,000 km
- '''속도:''' 마하 17 이상
- '''발사대:''' 지하 사일로
참조
[1]
웹사이트
US Army Deploys First Long-Range Hypersonic Weapon in Florida
https://www.thedefen[...]
2023-04-03
[2]
간행물
CBO Estimates $15-18 Million Cost Per ARRW Hypersonic Missile
https://www.airandsp[...]
Air & Space Forces Magazine
2023-02-01
[3]
웹사이트
CBO Estimates $15-18 Million Cost Per ARRW Hypersonic Missile
https://www.airandsp[...]
2023-02-01
[4]
웹사이트
1st Multi-Domain Task Force deploys the Army's first Long-Range Hypersonic Weapon system
https://www.army.mil[...]
2023-03-30
[5]
웹사이트
Two new missile programs deliver enhanced capabilities to thwart emerging threats and bolster joint force effectiveness
https://www.army.mil[...]
2024-07-10
[6]
웹사이트
Navy Wants Triple-Packed Hypersonic Missile Modules On Its Stealthy Zumwalt Destroyers
https://www.thedrive[...]
2021-03-19
[7]
뉴스
Army Discloses Hypersonic LRHW Range Of 1,725 Miles; Watch Out China
https://breakingdefe[...]
Sydney J. Freedberg Jr.
2021-05-12
[8]
웹사이트
The Pentagon Plans to Deploy an Arsenal of Hypersonic Weapons in the 2020s
https://www.forbes.c[...]
2021-05-15
[9]
웹사이트
Hypersonics: Army, Navy Test Common Glide Body
https://breakingdefe[...]
2020-03-20
[10]
웹사이트
Department of Defense tests hypersonic glide body
https://www.army.mil[...]
2020-03-20
[11]
웹사이트
Army and Navy Successfully Test Conventional Hypersonic Missile
https://www.defense.[...]
2024-12-14
[12]
뉴스
Navy awards Lockheed Martin $1.2B contract for hypersonic missiles
https://www.defensen[...]
Megan Eckstein
2023-02-18
[13]
웹사이트
CNO: Hypersonic Weapons at Sea to Premiere on Zumwalt Destroyers in 2025
https://news.usni.or[...]
USNI News
2021-05-15
[14]
간행물
Hypersonic Weapons on Track to Deploy on Attack Submarines in 2028
https://news.usni.or[...]
USNI News
2021-11-18
[15]
웹사이트
Hypersonics by 2023
https://www.army.mil[...]
2021-05-15
[16]
뉴스
US Army's Long-Range Hypersonic Weapon Battery integrates in Exercise Bamboo Eagle
https://www.army.mil[...]
Capt. Ryan DeBooy
2024-08-30
[17]
문서
Weber-Rumford Statement
https://armedservice[...]
House Armed Services Committee
2024-03-12
[18]
웹사이트
Hypersonic Weapons: 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https://s3.documentc[...]
2019-07-11
[19]
웹사이트
Hypersonic Weapons: 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https://sgp.fas.org/[...]
2023-02-13
[20]
웹사이트
Here's What The Army's First Ever Operational Hypersonic Missile Unit Will Look Like
https://www.thedrive[...]
2021-05-15
[21]
웹사이트
Conventional Prompt Global Strike and Long-Range Ballistic Missiles: Background and Issues
https://crsreports.c[...]
2021-05-15
[22]
웹사이트
The Military's Network Warfare Experiment Scaled Up This Year
https://www.defenseo[...]
2022-10-21
[23]
웹사이트
US Navy touts hypersonic missile progress ahead of 2025 fielding
https://www.defensen[...]
2022-11-02
[24]
문서
DOD Completes Flight Test of Hypersonic Missile
https://www.defense.[...]
US Department of Defense
2024-06-28
[25]
문서
The U.S. Army’s Long-Range Hypersonic Weapon (LRHW):Dark Eagle
https://crsreports.c[...]
Andrew Feickert,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24-07-02
[26]
뉴스
US Army aiming for one more hypersonic weapon test by year’s end
https://www.armytime[...]
Judson, Jen
2024-09-06
[27]
웹사이트
US Navy conducts first live-fire test of hypersonic missile motor
https://www.defensen[...]
2021-05-27
[28]
웹사이트
Navy Successfully Tests Solid Rocket Motor For Hypersonic Weapon
https://breakingdefe[...]
2021-08-26
[29]
웹사이트
US Navy tests second-stage rocket motor for hypersonic weapon
https://www.defensen[...]
2021-08-26
[30]
웹사이트
U.S. successfully tests hypersonic booster motor in Utah
https://www.reuters.[...]
2021-10-29
[31]
웹사이트
Army delivers first hypersonics ground equipment
https://www.army.mil[...]
2021-10-17
[32]
뉴스
Hypersonic missile test fails off Hawaii in fresh setback for program
https://www.staradve[...]
2022-06-29
[33]
웹사이트
Russia Reacts to U.S. Hypersonic Missile Failure
https://www.newsweek[...]
2022-07-01
[34]
웹사이트
Latest US hypersonic test fails after 'anomaly' during first full flight test
https://edition.cnn.[...]
2024-01-09
[35]
웹사이트
'Confident' Of 2023 Fielding Goal, Army Dubs Hypersonic Weapon 'Dark Eagle'
https://breakingdefe[...]
2021-08-11
[36]
웹사이트
Mysterious Launch Out Of Cape Canaveral Appears Imminent (Updated)
https://www.thedrive[...]
2023-03-05
[37]
웹사이트
Department of Defense scrubs hypersonic missile test at Cape Canaveral Space Force Station
https://eu.floridato[...]
2023-03-06
[38]
웹사이트
1st Multi-Domain Task Force Deploys the Army's First Long-Range Hypersonic Weapon System
https://www.army.mil[...]
2023-09-16
[39]
웹사이트
US Army cancels flight test of Long Range Hypersonic Weapon
https://www.bloomber[...]
2023-09-08
[40]
웹사이트
US Army Faces Facts: Its Hypersonic Weapon To Miss a Deadline
https://www.bloomber[...]
2023-09-14
[41]
웹사이트
Hypersonic Missiles Are Game-Changers, and America Doesn't Have Them
https://www.wsj.com/[...]
2023-09-18
[42]
웹사이트
Army has a revised hypersonic test plan to address launcher 'problem': Official
https://breakingdefe[...]
2023-12-03
[43]
웹사이트
Army anticipates another delay in fielding Dark Eagle hypersonic weapon after detecting 'problem'
https://defensescoop[...]
2023-11-07
[44]
웹사이트
Army hopes to field Dark Eagle hypersonic missile in summer 2024 after resolving problems with launcher
https://defensescoop[...]
2023-12-03
[45]
웹사이트
Army, Navy complete highly anticipated hypersonic missile test
https://defensescoop[...]
2024-12-14
[46]
간행물
The Latest US Test Flight of a Hypersonic Weapon: the Common Hypersonic Glide Body
https://blog.ucsusa.[...]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2020-05-08
[47]
간행물
Common-Hypersonic Glide Body (C-HGB) - Gliding toward weapon modernization
https://www.dynetics[...]
2022-12-09
[48]
간행물
アメリカ軍が極超音速滑空体C-HGBの飛行試験に成功
https://news.yahoo.c[...]
2020-03-21
[49]
간행물
米陸軍の新しい中距離ミサイル「LRHW」は射程2775km以上と判明。日本の九州が配備先の最有力候補
https://news.yahoo.c[...]
2021-05-15
[50]
웹사이트
令和4年版防衛白書
https://www.mod.go.j[...]
防衛省・自衛隊
2023-04-02
[51]
웹사이트
U.S. Army to Field First Long Range Hypersonic Weapon Battery This Fall, Wormuth Says
https://www.defensed[...]
2023-04-02
[52]
웹사이트
<独自>米が中距離ミサイル配備打診 対中バランス改善
https://www.sankei.c[...]
2023-04-02
[53]
웹사이트
ロッキード・マーチン、米海軍に極超音速ミサイル供給 ズムウォルト級にCPS
https://www.aviation[...]
2023-04-02
[54]
웹사이트
米ズムウォルト級DDGに極超音速ミサイル搭載へ
https://www.ships-ne[...]
2023-04-02
[55]
뉴스
美 중거리 탄도미사일, 사드보다 더한 후폭풍 가능성
뉴시스
2019-12-21
[56]
뉴스
美군축특사 "美 중거리미사일, 日서 필요할 것"
동아일보
2020-08-17
[57]
뉴스
"美, 중국의 핵 비밀 정보 공유했고 한국도 이해했다"
중앙일보
2020-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