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슨: 히트앤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슨: 히트 앤 런은 2003년에 출시된 샌드박스 액션 어드벤처 비디오 게임으로, 심슨 가족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이 게임은 호머, 바트, 리사, 마지, 아푸 등 다섯 명의 캐릭터를 조작하여 스프링필드를 탐험하며, 7개의 레벨을 진행한다. 플레이어는 차량을 운전하거나 도보로 이동하며, 다양한 미션과 수집 요소를 통해 게임을 즐길 수 있다. 게임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2004년 니켈로데온 키즈 초이스 어워드에서 페이버릿 비디오 게임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임큐브 게임 - 페르시아의 왕자: 시간의 모래
페르시아의 왕자: 시간의 모래는 유비소프트가 개발한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페르시아 왕국의 왕자가 되어 시간의 단검과 모래를 이용해 아자드 궁전을 탐험하고 몬스터와 싸우며 위기를 극복하는 내용이며, 3D 환경에서 원작의 느낌을 재현하여 비평적, 상업적 성공을 거두고 시리즈와 게임 산업에 큰 영향을 주었다. - 게임큐브 게임 - 히트맨 2: 사일런트 어쌔신
히트맨 2: 사일런트 어쌔신은 IO 인터랙티브에서 개발하고 에이도스 인터랙티브에서 2002년 발매한 잠입 액션 게임으로, 암살자 에이전트 47이 되어 임무를 수행하며, 시크교 사원 배경 논란이 있었다. - 캐나다의 비디오 게임 - 마블의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스퀘어 에닉스가 제작하고 배급한 액션 어드벤처 게임 마블의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는 우주 해적이 된 피터 퀼이 가모라, 드랙스, 로켓, 그루트와 함께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팀을 결성하여 은하계를 구하는 이야기를 다루며, 플레이어는 스타로드를 조작하여 전투를 벌이고 팀원들에게 기술을 지시하여 협동 공격을 할 수 있고, 1980년대 음악과 오리지널 스코어가 혼합된 사운드트랙과 싱글 플레이 위주의 게임 디자인이 특징이다. - 캐나다의 비디오 게임 - 맨헌트 2
《맨헌트 2》는 록스타 게임즈가 개발하고 테이크투 인터랙티브가 배급한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정신병원에서 탈출한 기억상실증 환자의 이야기를 다루며 잠입과 처형 중심의 잔혹한 게임플레이, 복잡한 스토리, 여러 개의 결말, 그리고 극단적인 폭력성으로 인해 많은 논란과 등급 거부 및 판매 금지 처분을 받았다. - 미국을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히트맨: 앱솔루션
히트맨: 앱솔루션은 암살자 47이 유전자 조작 소녀 빅토리아를 보호하기 위해 ICA와 싸우는 2012년 3인칭 스텔스 액션 게임으로, 자유로운 게임플레이와 '계약' 모드가 특징이지만, 기존 시리즈와의 차별성 및 여성 혐오적 마케팅으로 논란이 있었다. - 미국을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레드 데드 리뎀션 2
《레드 데드 리뎀션 2》는 1899년 미국을 배경으로 몰락해가는 갱단의 일원인 주인공 아서 모건이 되어 오픈 월드에서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는 서부극 테마의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명예 시스템, 데드 아이 시스템, 사실적인 그래픽, 몰입도 높은 스토리텔링이 특징이며 상업적 성공과 함께 게임 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심슨: 히트앤런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액션 어드벤처 운전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멀티플레이어 |
프로듀서 | John Melchior Vlad Ceraldi |
디자이너 | Joe McGinn |
프로그래머 | Cary Brisebois Nigel Brooke Darren Esau |
아티스트 | Yayoi Maruno-Chorney |
작가 | 매트 셀먼 팀 롱 매트 워버턴 |
작곡가 | Marc Baril 제프 티모슈크 Allan Levy |
개발 정보 | |
개발사 | 래디컬 엔터테인먼트 |
배급사 | 비벤디 유니버설 게임즈 |
플랫폼 | 게임큐브 플레이스테이션 2 엑스박스 윈도우 |
출시 정보 | |
게임큐브, 플레이스테이션 2, 엑스박스 | 북미: 2003년 9월 16일 유럽: 2003년 10월 31일 |
윈도우 | 북미: 2003년 11월 11일 유럽: 2003년 11월 21일 |
2. 게임플레이
''심슨: 히트 & 런''은 3인칭 시점의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호머, 바트, 리사, 마지, 아푸 등 심슨 가족 캐릭터를 조작하여 스프링필드의 7개 레벨을 탐험한다.[1][4] 각 레벨에는 미션과 하위 줄거리가 있으며, 레벨마다 정해진 한 명의 캐릭터만 조작할 수 있다.[1]
이 게임은 샌드박스 모드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운전을 강조한다. ''그랜드 테프트 오토 III''에서 영감을 받았다.[31][2]
2. 1. 조작 방식
플레이어는 캐릭터를 도보로 이동시키거나 차량을 운전하여 스프링필드를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다. 도보 이동 시에는 걷기, 달리기, 점프, 그리고 일반 발차기, 점프 발차기, 부수기 동작 등 다양한 타격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4] 차량 운전 시에는 히치하이킹을 하거나 전화 부스를 이용하여 차량을 선택할 수 있으며,[1] 각 레벨에는 몇몇 숨겨진 차량이 있어 발견하면 플레이어가 사용할 수도 있다. 게임의 운전 미션은 다른 차량과의 경주, 아이템 수집, 차량 파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31][2][1][3]2. 2. 수집 요소
각 레벨에는 코인, 버즈 콜라 자동 판매기, 버즈 콜라 상자, 말벌 카메라 등 다양한 수집 요소가 있다. 코인은 새로운 차량과 의상을 구매하는 데 사용되며, 이 중 일부는 게임 진행에 필요하다.[4] 각 레벨에는 7개의 트레이딩 카드가 숨겨져 있으며, 한 레벨에서 7개의 카드를 모두 수집하면 "보너스 게임" 레이싱 미니 게임을 위한 트랙 하나를 잠금 해제한다.[1] 게임 내 49개의 카드를 모두 모으면 특별한 ''이치 & 스크래치 쇼'' 비디오를 볼 수 있다.[1]캐릭터는 죽을 수 없지만, 부상을 당하면 코인을 잃는다.[4] 히트 앤 런 중에 체포되면 50 코인의 벌금이 부과된다.[4]
2. 3. 히트 앤 런 시스템
플레이어가 보행자를 공격하거나 차량을 파괴하는 등 폭력적인 행동을 하면 화면 오른쪽 아래에 있는 "히트 앤 런" 미터가 채워진다.[1] 이 미터는 캐릭터가 사람을 치거나 물건을 파괴할 때 증가하고, 그러한 행동을 멈추면 감소한다. 미터가 가득 차면 여러 대의 경찰차가 플레이어를 추격하며, 히트 앤 런 상황에서 체포되면 50 코인의 벌금을 내야 한다.[4]3. 줄거리
할로윈을 앞둔 어느 날, 스프링필드에 기이한 사건들이 발생한다. 로봇 말벌 떼가 도시에 내려오고, 크러스티 더 클라운은 "새롭고 개선된" 버즈 콜라를 출시하며, 검은색 밴이 마을 주변에 나타난다. 호머는 검은색 밴이 자신의 가족을 감시한다고 의심하여 조사하지만, 번스의 피자 밴으로 밝혀진다.
3. 1. 주요 사건
할로윈을 앞둔 어느 날, 스프링필드에서 기이한 사건들이 발생한다. 로봇 말벌 떼가 나타나고, 크러스티 더 클라운은 새로운 "버즈 콜라"를 출시하며, 검은색 밴이 마을을 감시한다. 바트는 트럭사우루스에게 납치되었다가 풀려난 후 기억 상실 증세를 보인다.[5]마지는 바트를 치료하기 위해 조사하던 중 미스터리 서클이 버즈 콜라 로고와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버즈 콜라가 외계인의 음모와 관련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 바트는 버즈 콜라가 사람들을 정신 이상으로 만드는 외계인의 정신 조절 콜라임을 밝힌다. 마지는 스프링필드에서 콜라를 제거하려 하지만 실패한다.[5]
아푸는 버즈 콜라를 공급하는 콜라 트럭의 주인을 찾기 위해 스네이크의 사회 봉사를 돕는다. 아푸와 바트는 박물관에서 콜라의 근원인 운석을 발견하고 파괴한 후, 외계인 캉과 코도스의 음모를 엿듣게 된다. 캉과 코도스는 버즈 콜라를 물 공급원에 퍼뜨리고 레이저 총을 배포하여 스프링필드를 혼란에 빠뜨리려 한다.[5]
바트는 캉과 코도스의 계획을 막기 위해 크러스티에게 도움을 요청하지만 거절당한다. 바트는 더프 양조장에 설치된 무료 레이저 총 거치대를 파괴하고, 호머에게 외계인의 음모를 알린다. 호머와 바트는 캉과 코도스를 쫓지만, 외계인들은 이미 스프링필드의 물 공급원에 콜라를 퍼뜨린 후였다. 콜라가 땅에 스며들면서 좀비들이 나타나 스프링필드를 침략한다.[5]
호머는 스프링필드 원자력 발전소에서 프링크 교수를 만나 외계인의 약점이 핵 폐기물임을 알게 된다. 호머는 핵 폐기물을 이용하여 외계인의 우주선을 격추시키고 스프링필드를 구한다. 캉과 코도스는 죽고, ''바보 지구인''은 지구에서 최고의 인기를 얻는다.[5]
4. 개발
《심슨 가족: 히트 앤 런》은 래디컬 엔터테인먼트가 개발했으며, 이전 작품인 《심슨: 로드 레이지》의 후속작으로 기획되었다. 래디컬 엔터테인먼트는 《로드 레이지》의 운전 요소는 유지하되, 게임 엔진을 전면 개편하고 탐험 요소를 추가하는 등 새로운 접근 방식을 택했다.[8]
4. 1. 개발 과정
래디컬 엔터테인먼트는 플레이 가능한 프로토타입을 시연한 후 ''심슨 가족'' 프랜차이즈 게임 제작 권리를 받았다. 래디컬은 2001년 첫 번째 ''심슨 가족'' 게임인 ''심슨: 로드 레이지''를 출시했다. ''로드 레이지'' 출시 후, 60명으로 구성된 ''히트 앤 런'' 개발팀은[6] ''로드 레이지''의 직접적인 후속작을 제작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대신 래디컬은 게임 엔진을 완전히 개편하여 프랜차이즈 비디오 게임 시리즈의 방향을 바꾸고 싶어했다. 개발자들은 ''로드 레이지''의 운전 부분만 유지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고, 다른 모든 것에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느꼈다.[8]''히트 앤 런''에서는 향상된 교통 인공지능이 도입되어 컴퓨터가 제어하는 차량이 플레이어의 운전에 더 잘 반응하도록 했다. ''심슨: 히트 앤 런''의 내부 개발명은 게임 실행 파일에서 언급된 것처럼 간단히 "심슨"이었다.[7] 또한 플레이어가 차에서 내려 도보로 지역을 탐험할 수 있도록 게임에 탐험 요소를 추가하여 플레이어가 스프링필드를 더 잘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8] 수석 프로그래머 케리 브리즈보이스는 24MB RAM을 가진 게임큐브 버전을 개발하기 가장 어려웠다고 생각했으며, 오디오 메모리에 애니메이션을 로드하는 등의 기술이 필요했다.[6]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용 이식 버전은 개발에 들어갔지만, 당시 성우들이 출연료 인상을 위해 계약을 재협상하면서 투자 수익률 문제로 인해 출시되지 못했다.[6]
그래픽을 개발할 때 팀은 스프링필드의 랜드마크를 포함하기로 결정했다. 플레이어는 퀵-E-마트, 모의 술집, 스프링필드 초등학교, 안드로이드의 던전 앤 야구 카드 가게를 포함한 일부 랜드마크에 들어갈 수 있다. ''히트 앤 런''의 개발 과정에서, ''심슨 가족''의 제작자인 20세기 폭스, 그레이시 필름스 및 맷 그레이닝은 ''심슨 가족'' 세계를 3D 환경으로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모든 캐릭터의 목소리는 실제 출연진이 담당했으며, 시리즈 작가들은 대사를 포함하여 게임의 전체 스토리를 작성했으며, 총 12,231개의 녹음된 대사가 사용되었다.[8][6] 게임에 원래 사용된 음성 샘플과 쇼의 한 줄 대사를 ''히트 앤 런''에서 들을 수 있다. ''로드 레이지''의 일부 대사가 재사용되었다. 게임 퍼블리셔인 비벤디 게임스의 어소시에이트 프로듀서인 팀 라메이지는 작가들과 ''심슨 가족'' 출연진과 함께 작업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은 것을 행운이라고 생각하며, "품질에 대한 걱정은 전혀 없습니다. 최고의 것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8]
게임의 사운드트랙은 주로 마크 바릴이 작곡했으며, 제프 티모척과 앨런 레비가 추가 작곡했다.[9] 사운드트랙에는 대니 엘프만이 편곡한 오리지널 ''심슨'' 테마의 다양한 편곡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마다 특정 멜로디가 있다. 예를 들어, 바트의 게임 플레이에는 하드 록이, 리사에게는 느긋한 모티프가 사용되었다.[3]
출시 후 래디컬은 즉시 속편 작업에 들어갔지만, 비벤디가 ''심슨 가족'' 라이선스를 다시 획득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취소해야 했다.[6]
4. 2. 음악
게임의 사운드트랙은 마크 바릴이 주로 작곡했으며, 제프 티모척(Jeff Tymoschuk)과 앨런 레비가 추가로 작곡했다.[9] 사운드트랙에는 대니 엘프만(Danny Elfman)이 편곡한 오리지널 ''심슨'' 테마의 다양한 편곡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플레이어 캐릭터마다 특정 멜로디가 있다. 예를 들어, 바트의 게임 플레이에는 하드 록이, 리사에게는 ''GameZone''의 스티븐 호퍼가 비치 파티 영화와 비교한 느긋한 모티프가 사용되었다.[3]5. 평가
《심슨 가족: 히트 앤 런》은 게임 평론가와 팬들로부터 전반적으로 호평을 받았다.
평가 | 점수 |
---|---|
메타크리틱 (NGC) | 79/100[79] |
메타크리틱 (PC) | 82/100[80] |
메타크리틱 (PS2) | 78/100[81] |
메타크리틱 (XBOX) | 81/100[82] |
The Cincinnati Enquirer | [77] |
Entertainment Weekly | B[78] |
EGM | 7.17/10[53] |
Allgame | [54] |
Eurogamer | 5/10[55] |
패미통 | 31/40[56] |
Game Informer | 8.5/10[57],[58] |
GamePro | [59] |
Game Revolution | B[60] |
게임스팟 | 8.3/10[61], 8/10[62] |
게임스파이 | [63], [64], [65], [66] |
GameZone | 8.7/10[67], 8.6/10[68], [69], 9/10[70] |
IGN | 8/10[71], 8.1/10[72] |
Nintendo Power | 3.8/5[73] |
오피셜 엑스박스 매거진 | [74], 8.8/10[75] |
PC Gamer US | 78%[76] |
5. 1. 긍정적 평가
《심슨 가족: 히트 앤 런》은 리뷰 집계 웹사이트 메타크리틱에서 "전반적으로 호평"을 받았으며,[35][36][37][38] 많은 사람들이 지금까지 나온 《심슨》 게임 중 최고라고 평가했다.[39][40][41] 특히 원작 애니메이션의 유머와 분위기를 잘 살렸다는 점과 스프링필드를 3D 환경으로 훌륭하게 구현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에서 영감을 받은 게임플레이가 재미있다는 평가도 받았다.여러 리뷰에서 《심슨》 텔레비전 시리즈를 비디오 게임으로 옮긴 것을 칭찬했다. ''게임 인포머''의 저스틴 리퍼(Justin Leeper)와 ''게임스팟''의 알렉스 나바로(Alex Navarro)는 이 게임이 텔레비전 시리즈의 가상 도시인 스프링필드를 얼마나 잘 묘사했는지에 대해 언급했으며, 게임에 등장한 스프링필드 중 가장 정확한 묘사라고 말했다.[14][19] ''오피셜 엑스박스 매거진''은 이 게임이 쇼의 진가를 보여주었다고 말했고,[31] ''플레이''는 "본질적으로 쇼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느꼈으며, 이 게임을 "진정으로 훌륭한 크로스오버 제품"이라고 평했다.[48] 나바로는 게임이 제공하는 유머에 훌륭한 자기 참조 유머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했으며,[19] ''팀 엑스박스''의 에릭 부시(Eric Bush)는 이 게임이 게이머, 특히 열성적인 ''심슨'' 팬들에게 매우 어필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49] 엔터테인먼트 잡지 ''버라이어티''는 《히트 앤 런》이 텔레비전 시리즈와 비슷한 유머를 포함한 최초의 《심슨》 게임이라고 추측했다.[50]
《히트 앤 런》의 《그랜드 테프트 오토》 패러디에 대한 평가도 좋았다. ''게임스파이''의 잭 메스턴(Zach Meston)은 이 게임이 "《그랜드 테프트 오토 III》를 교묘하게 풍자하면서 거의 그만큼 재미있다"고 생각했고, 즉시 미션 재시작, 우수한 안내 시스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차량 모음 등 《히트 앤 런》이 《그랜드 테프트 오토》에서 차용한 여러 게임 플레이 측면을 개선했다고 제안했다.[22] ''오피셜 엑스박스 매거진''은 《히트 앤 런》이 그 자체로 훌륭한 게임이라고 동의했으며, 이 게임을 "훌륭한" 《그랜드 테프트 오토》의 클론이라고 평가했다.[31] ''심슨'' 세계관과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의 게임 플레이의 조합 또한 ''IGN''의 더글러스 C. 페리(Douglass C. Perry)에 의해 "순수한 훌륭함"으로 칭찬을 받았다.[27]
《히트 앤 런》에 대한 긍정적인 리뷰는 그래픽과 게임 플레이에 초점을 맞췄다. ''플레이''는 이 게임이 제공하는 가상 세계를 높이 평가하며, "광대함과 예술적 표현이 웅장하다"고 묘사했다.[48] 나바로는 게임 플레이가 매우 몰입도가 높다고 생각했다.[19] 메스턴은 이 게임이 "매우 재미있고 웃기다"고 생각했고,[22] 리퍼는 "놀랍다"고 말했다.[14]
비디오 게임 외의 간행물에서도 게임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더 빌리지 보이스''의 닉 카투치(Nick Catucci)는 엑스박스 버전에 10점 만점에 9점을 주며, "이 즐겁고 심오하며 상세한 (하지만 불행히도 만화 스타일의 셀 음영이 아닌)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에 대한 모방은 어떤 교수도 할 수 없는 방식으로 스스로를 비판한다"고 말했다.[51] ''신시내티 인콰이어러''의 마크 솔츠먼(Marc Saltzman)은 이 게임에 5점 만점에 4점을 주며 "독창성이 부족한 부분은 오랫동안 지속된 코미디 팬들에게 어필할 재미있고 따라 하기 쉬운 게임 플레이로 충분히 보완된다"고 말했다.[33] ''엔터테인먼트 위클리''의 제프 키글리(Geoff Keighley)는 B를 주며, "일부 미션이 반복적으로 느껴진다면, 스프링필드의 젊은이들을 타락시키는 특히 폭력적인 비디오 게임(윙크, 윙크) 복사본을 압수하는 것과 같은 다른 미션이 돋보인다"고 말했다.[34] 일본에서 ''패미통''은 엑스박스 버전에 8점 두 개, 7점 하나, 8점 하나를 주어 총 40점 만점에 31점을 받았다.[13]
5. 2. 부정적 평가
''심슨가족: 히트 앤 런''은 대체로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몇몇 게임 플레이 요소와 기술적인 문제점은 비판을 받았다. 게임 내 버그, 불안정한 인공지능, 그리고 특히 카메라 시스템의 문제는 게임 플레이의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로 지적되었다.[49][17]5. 3. 수상 경력
The Simpsons: Hit & Run영어은 2004년 니켈로데온 키즈 초이스 어워드에서 "페이버릿 비디오 게임상"을 수상했다.[47] 또한, 제7회 연례 인터랙티브 업적상에서 "올해의 콘솔 액션/어드벤처 게임" 후보에 올랐다.[52]5. 4. 판매량
2004년 6월 기준으로 100만 장 이상, 2007년 7월 기준으로 3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42][43] 2004년 1월까지 영국에서 50만 장이 판매되었다.[44] 이 게임의 플레이스테이션 2 버전은 엔터테인먼트 및 레저 소프트웨어 퍼블리셔 협회(ELSPA)로부터 "다이아몬드" 판매상을 받았으며,[45] 이는 영국에서 최소 100만 장의 판매량을 나타낸다.[46] 폭스(Fox)의 수석 프로듀서 존 멜키오(John Melchior)에 따르면, ''히트 앤 런''은 생애 동안 800만~1,000만 장이 판매되었다.[6]참조
[1]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and Run Preview
http://www.gamespot.[...]
2003-09-05
[2]
웹사이트
Battle of the ''GTA'' clones (Page 4)
http://www.gamesrada[...]
2007-03-28
[3]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 Run'' - PC - Review"
http://www.gamezone.[...]
2003-12-22
[4]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and Run'' (Preview)"
http://www.ign.com/a[...]
2003-08-28
[5]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 Run'' Guide"
http://guides.ign.co[...]
[6]
Youtube
The Oral History Of The Simpsons: Hit & Run - MinnMax Interview
https://www.youtube.[...]
MinnMax
2023-11-20
[7]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and Run'' (Preview)"
http://www.ugo.com/c[...]
[8]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 Run'' Interview"
http://www.gamershel[...]
[9]
서적
The Simpsons: Hit & Run Instruction Booklet
Vivendi Games
[10]
간행물
"''The Simpsons: Hit & Run'' (GC, PS2, Xbox)"
2003-10
[11]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 Run'' - Review"
http://www.allgame.c[...]
[12]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 Run'' (PS2)"
http://www.eurogamer[...]
2003-10-30
[13]
간행물
"''The Simpsons: Hit & Run'' (Xbox)"
2004-01-01
[14]
간행물
"''Simpsons: Hit and Run'' [sic] (GC)"
http://gameinformer.[...]
2003-11
[15]
간행물
"''Simpsons: Hit and Run'' [sic] (Xbox)"
http://www.gameinfor[...]
2003-10
[16]
간행물
"''The Simpsons: Hit & Run'' Review for PS2 on GamePro.com"
http://www.gamepro.c[...]
2003-09-16
[17]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and Run'' Review [sic] (GC, PS2, Xbox)"
http://www.gamerevol[...]
Game Revolution
2003-10
[18]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 Run'' Review (GC, PS2, Xbox)"
http://www.gamespot.[...]
2003-09-15
[19]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 Run'' Review (PC)"
http://www.gamespot.[...]
2003-11-13
[20]
웹사이트
"GameSpy: ''The Simpsons Hit & Run'' (GCN)"
http://cube.gamespy.[...]
2003-09-24
[21]
웹사이트
"GameSpy: ''The Simpsons Hit & Run'' (PC)"
http://pc.gamespy.co[...]
2003-11-10
[22]
웹사이트
"GameSpy: ''The Simpsons Hit & Run'' (PS2)"
http://ps2.gamespy.c[...]
2003-09-24
[23]
웹사이트
"GameSpy: ''The Simpsons Hit & Run'' (Xbox)"
http://xbox.gamespy.[...]
GameSpy
2003-09-24
[24]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 Run'' - GC - Review"
http://www.gamezone.[...]
2003-09-30
[25]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 Run'' - PS2 - Review"
http://www.gamezone.[...]
2003-10-01
[26]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 Run'' - XB - Review"
http://www.gamezone.[...]
2003-10-05
[27]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 Run'' (GCN, PS2, Xbox)"
http://cube.ign.com/[...]
2003-09-16
[28]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 Run'' (PC)"
http://www.ign.com/a[...]
2003-11-12
[29]
간행물
"''The Simpsons: Hit & Run''"
2003-10
[30]
간행물
"''The Simpsons: Hit & Run''"
2003-09
[31]
간행물
"''The Simpsons: Hit & Run''"
2003-10
[32]
논문
"''The Simpsons Hit & Run''"
http://www.pcgamer.c[...]
2004-01
[33]
뉴스
"''The Simpsons'' meet[s] ''Grand Theft Auto'' (GC, PS2, Xbox)"
http://www.cincinnat[...]
2003-09-23
[34]
간행물
"''The Simpsons Hit & Run'' (GC, PS2, Xbox)"
http://www.ew.com/ar[...]
2003-09-05
[35]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 Run'' for GameCube Reviews"
https://www.metacrit[...]
[36]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 Run'' for PC Reviews"
https://www.metacrit[...]
2016-08-21
[37]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 Run'' for PlayStation 2 Reviews"
https://www.metacrit[...]
2016-08-21
[38]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 Run'' for Xbox Reviews"
https://www.metacrit[...]
2016-08-21
[39]
웹사이트
Ranking Every Simpsons Game From Worst To Best
https://www.thegamer[...]
2018-06-05
[40]
웹사이트
Every Simpsons game ever: from worst to best
https://www.gamesrad[...]
2018-06-05
[41]
웹사이트
Top 10 Simpsons Games
https://www.youtube.[...]
IGN
2018-06-05
[42]
뉴스
Vivendi Game Unit Slashes 350 Jobs as Sales Fall
https://www.latimes.[...]
2008-12-16
[43]
뉴스
Video Game Hits and Misses (Hit: ''Simpsons Hit & Run'')
http://images.busine[...]
2016-08-21
[44]
웹사이트
UK Charts: A month in the top spot for Need for Speed
https://www.gamesind[...]
2021-11-09
[45]
웹사이트
ELSPA Sales Awards: Diamond
http://www.elspa.com[...]
[46]
웹사이트
"ELSPA: ''Wii Fit'', ''Mario Kart'' Reach Diamond Status In UK"
https://www.gamasutr[...]
2008-11-26
[47]
웹사이트
2004 Nickelodeon Kids Choice Awards!
http://kzone.com.au/[...]
2008-12-16
[48]
간행물
"''The Simpsons: Hit & Run'' (GC, PS2, Xbox)"
2003-09-01
[49]
웹사이트
"''The Simpsons Hit & Run'' Review (Xbox)"
http://reviews.teamx[...]
2008-12-16
[50]
잡지
EA signs 'Simpsons'
https://variety.com/[...]
2016-08-21
[51]
뉴스
"Funner Than ''GTA'' Clones, Funnier Than Recent ''Simpsons''"
http://www.villagevo[...]
2016-08-21
[52]
웹사이트
D.I.C.E. Awards By Video Game Details The Simpson: Hit & Run
https://www.interact[...]
Academy of Interactive Arts & Sciences
2023-07-26
[53]
저널
"''The Simpsons: Hit & Run'' (GC, PS2, Xbox)"
2003-10-01
[54]
웹인용
"''The Simpsons: Hit & Run'' - Review"
http://www.allgame.c[...]
2017-03-29
[55]
웹인용
"''The Simpsons Hit & Run'' (PS2)"
http://www.eurogamer[...]
2016-08-21
[56]
저널
"''The Simpsons: Hit & Run'' (Xbox)"
2004-01-01
[57]
저널
"''Simpsons: Hit and Run'' [sic] (GC)"
http://gameinformer.[...]
2016-08-21
[58]
저널
"''Simpsons: Hit and Run'' [sic] (Xbox)"
http://www.gameinfor[...]
2016-08-21
[59]
잡지
"''The Simpsons: Hit & Run'' Review for PS2 on GamePro.com"
http://www.gamepro.c[...]
2016-08-21
[60]
웹인용
"''The Simpsons: Hit and Run'' Review [sic] (GC, PS2, Xbox)"
http://www.gamerevol[...]
Game Revolution
2016-08-21
[61]
웹인용
"''The Simpsons: Hit & Run'' Review (GC, PS2, Xbox)"
http://www.gamespot.[...]
2016-08-21
[62]
웹인용
"''The Simpsons: Hit & Run'' Review (PC)"
http://www.gamespot.[...]
2016-08-21
[63]
웹인용
"GameSpy: ''The Simpsons Hit & Run'' (GCN)"
http://cube.gamespy.[...]
2016-08-21
[64]
웹인용
"GameSpy: ''The Simpsons Hit & Run'' (PC)"
http://pc.gamespy.co[...]
2016-08-21
[65]
웹인용
"GameSpy: ''The Simpsons Hit & Run'' (PS2)"
http://ps2.gamespy.c[...]
2016-08-21
[66]
웹인용
"GameSpy: ''The Simpsons Hit & Run'' (Xbox)"
http://xbox.gamespy.[...]
GameSpy
2016-08-21
[67]
웹인용
"''The Simpsons Hit & Run'' - GC - Review"
http://www.gamezone.[...]
2016-08-21
[68]
웹인용
"''The Simpsons Hit & Run'' - PC - Review"
http://www.gamezone.[...]
2016-08-20
[69]
웹인용
"''The Simpsons Hit & Run'' - PS2 - Review"
http://www.gamezone.[...]
2016-08-21
[70]
웹인용
"''The Simpsons Hit & Run'' - XB - Review"
http://www.gamezone.[...]
2016-08-21
[71]
웹인용
"''The Simpsons: Hit & Run'' (GCN, PS2, Xbox)"
http://cube.ign.com/[...]
2003-09-16
[72]
웹인용
"''The Simpsons: Hit & Run'' (PC)"
http://www.ign.com/a[...]
2003-11-12
[73]
저널
"''The Simpsons: Hit & Run''"
2003-10
[74]
저널
"''The Simpsons: Hit & Run''"
2003-09
[75]
저널
"''The Simpsons: Hit & Run''"
2003-10
[76]
저널
"''The Simpsons Hit & Run''"
http://www.pcgamer.c[...]
2004-01
[77]
뉴스
"''The Simpsons'' meet[s] ''Grand Theft Auto'' (GC, PS2, Xbox)"
http://www.cincinnat[...]
2003-09-23
[78]
저널
"''The Simpsons Hit & Run'' (GC, PS2, Xbox)"
http://www.ew.com/ar[...]
2003-09-05
[79]
웹인용
"''The Simpsons: Hit & Run'' for GameCube Reviews"
http://www.metacriti[...]
[80]
웹인용
"''The Simpsons: Hit & Run'' for PC Reviews"
http://www.metacriti[...]
[81]
웹인용
"''The Simpsons: Hit & Run'' for PlayStation 2 Reviews"
http://www.metacriti[...]
[82]
웹인용
"''The Simpsons: Hit & Run'' for Xbox Reviews"
http://www.metacrit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