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해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해탈은 모든 번뇌로부터의 해방, 즉 열반을 증득하는 것과 탐욕과 애착으로부터 벗어나는 것,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첫 번째 의미에서 심해탈은 번뇌장과 소지장, 두 가지 장애에서 벗어난 상태를 의미하며, 두 번째 의미는 탐욕과 애착에서 벗어나는 것을 뜻한다. 또한 심해탈은 혜해탈과 함께 구해탈을 이루는 요소이며, 8해탈과도 연관된다. 8해탈은 유루의 해탈로, 선정의 결과이며, 내유색상관외색해탈 등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심해탈
심해탈
팔리어cetovimutti
산스크리트어caitovimukti
의미마음의 해탈, 생각의 해탈
관련 어구구경해탈
설명마음이 탐욕, 성냄, 어리석음에서 완전히 해방된 상태를 의미함.
심해탈은 완전한 자유와 평화를 얻는 것을 목표로 함.
이는 불교 수행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임.
마음의 해탈불교에서 마음의 해탈은 탐욕, 성냄, 어리석음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함.
이는 명상과 수행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완전한 자유와 평화를 가져다줌.
생각의 해탈심해탈은 생각의 해탈이라고도 불림.
이는 잘못된 생각과 집착에서 벗어나 진실을 깨닫는 것을 의미함.
올바른 이해와 지혜를 통해 얻을 수 있으며, 고통에서 벗어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2. 심해탈의 두 가지 의미

심해탈은 크게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된다.


  • '''첫 번째 의미: 모든 번뇌로부터의 해방'''


심해탈은 마음이 모든 번뇌에서 완전히 벗어난 상태, 즉 열반(涅槃)을 증득한 것을 의미한다.[6][7]

《잡아함경》의 〈가전연경〉에서는 고타마 붓다가 산타가전연에게 정견(正見)에 대해 설법하자, 그 자리에서 산타가전연이 해탈하여 아라한이 된 이야기가 나온다. 고타마 붓다는 정견이 상견과 단견의 두 극단을 떠난 중도에서 연기법에 따른 발생과 소멸을 있는 그대로 아는 것이라 설하였고, 이에 산타가전연은 모든 번뇌를 일으키지 않고 마음이 해탈하여 아라한이 되었다.[6][7] 이는 중도를 통해 번뇌를 끊고 해탈에 이르는 과정을 보여준다.

유가사지론》에서는 심해탈이 번뇌장(煩惱障)과 소지장(所知障) 두 가지 장애에서 벗어난 상태라고 설명한다.[8][9] 이미 상분(上分)의 결(結)을 영원히 끊었기 때문에 두 가지 장애에 대해 마음이 잘 해탈하며, 이를 통해 여래(如來)의 응정등각(應正等覺)을 성취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 '''두 번째 의미: 탐욕과 애착으로부터의 해방'''


심해탈(心解脫)은 탐욕과 애착, 즉 해탈장(解脫障)에서 벗어난 것을 의미한다.[14]

아비달마대비바사론》제101권에서는 아라한시해탈(時解脫) '''·''' 불시해탈(不時解脫)로 나누고, 각각에 심해탈과 혜해탈(慧解脫)의 구분이 있다고 설명한다.[10][11][12] 여기서 심해탈은 2해탈(二解脫) 중 하나로서, 탐애(貪愛)를 여읜 상태를 말한다.[13][14]

아비달마구사론》제25권에 따르면, 시해탈은 뛰어난 인연을 만나야 선정(禪定, 특히 멸진정)에 들 수 있는 아라한으로, 아직 해탈장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상태이다. 반면 불시해탈은 언제든지 선정에 들 수 있는 아라한으로, 해탈장을 완전히 벗어난 상태를 의미한다.[17][18] 즉, 심해탈은 해탈장에 대한 극복 여부와 관련이 있다.

구해탈(俱解脫)은 심해탈과 혜해탈을 모두 성취한 상태, 혹은 8해탈(八解脫)과 혜해탈을 모두 성취한 상태를 의미한다.디가 니까야》 제2권 제15경 〈대인연경〉 제36경에서는 구해탈(양면해탈)을 한 비구는 8해탈을 자유자재로 증득하고, 번뇌가 없는 심해탈과 혜해탈을 실현한다고 설명한다.

만약 구해탈이 "심해탈 + 혜해탈"과 "8해탈 + 혜해탈"이 동일하다면, 심해탈은 8해탈과 같다고 할 수 있다. 8해탈은 유루해탈로서, 사선(四禪), 4무색정, 멸진정의 9차제정(九次第定)과 사실상 동의어이며, 선정을 선하게 작용한 결과이다. 8해탈에는 내유색상관외색해탈, 내무색상관외색해탈, 정해탈신작증구족주, 공무변처해탈, 식무변처해탈, 무소유처해탈, 비상비비상처해탈, 멸수상정해탈이 있다.

2. 1. 첫 번째 의미: 모든 번뇌로부터의 해방

심해탈은 마음이 모든 번뇌에서 완전히 벗어난 상태, 즉 열반(涅槃)을 증득한 것을 의미한다.[6][7]

《잡아함경》의 〈가전연경〉에서는 고타마 붓다가 산타가전연에게 정견(正見)에 대해 설법하자, 그 자리에서 산타가전연이 해탈하여 아라한이 된 이야기가 나온다. 고타마 붓다는 정견이 상견과 단견의 두 극단을 떠난 중도에서 연기법에 따른 발생과 소멸을 있는 그대로 아는 것이라 설하였고, 이에 산타가전연은 모든 번뇌를 일으키지 않고 마음이 해탈하여 아라한이 되었다.[6][7] 이는 중도를 통해 번뇌를 끊고 해탈에 이르는 과정을 보여준다.

유가사지론》에서는 심해탈이 번뇌장(煩惱障)과 소지장(所知障) 두 가지 장애에서 벗어난 상태라고 설명한다.[8][9] 이미 상분(上分)의 결(結)을 영원히 끊었기 때문에 두 가지 장애에 대해 마음이 잘 해탈하며, 이를 통해 여래(如來)의 응정등각(應正等覺)을 성취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2. 2. 두 번째 의미: 탐욕과 애착으로부터의 해방

심해탈(心解脫)은 탐욕과 애착, 즉 해탈장(解脫障)에서 벗어난 것을 의미한다.[14]

《아비달마대비바사론》제101권에서는 아라한을 시해탈(時解脫)과 불시해탈(不時解脫)로 나누고, 각각에 심해탈과 혜해탈(慧解脫)의 구분이 있다고 설명한다.[10][11][12] 여기서 심해탈은 2해탈(二解脫) 중 하나로서, 탐애(貪愛)를 여읜 상태를 말한다.[13][14]

《아비달마구사론》제25권에 따르면, 시해탈은 뛰어난 인연을 만나야 선정(禪定, 특히 멸진정)에 들 수 있는 아라한으로, 아직 해탈장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상태이다. 반면 불시해탈은 언제든지 선정에 들 수 있는 아라한으로, 해탈장을 완전히 벗어난 상태를 의미한다.[17][18] 즉, 심해탈은 해탈장에 대한 극복 여부와 관련이 있다.

구해탈(俱解脫)은 심해탈과 혜해탈을 모두 성취한 상태, 혹은 8해탈(八解脫)과 혜해탈을 모두 성취한 상태를 의미한다. 《디가 니까야》 제2권 제15경 〈대인연경〉 제36경에서는 구해탈(양면해탈)을 한 비구는 8해탈을 자유자재로 증득하고, 번뇌가 없는 심해탈과 혜해탈을 실현한다고 설명한다.

만약 구해탈이 "심해탈 + 혜해탈"과 "8해탈 + 혜해탈"이 동일하다면, 심해탈은 8해탈과 같다고 할 수 있다. 8해탈은 유루(有漏)의 해탈로서, 사선(四禪), 4무색정, 멸진정의 9차제정(九次第定)과 사실상 동의어이며, 선정을 선하게 작용한 결과이다. 8해탈에는 내유색상관외색해탈, 내무색상관외색해탈, 정해탈신작증구족주, 공무변처해탈, 식무변처해탈, 무소유처해탈, 비상비비상처해탈, 멸수상정해탈이 있다.

3. 8해탈 (八解脫)

3. 1. 8해탈의 종류

3. 1. 1. 내유색상관외색해탈(內有色想觀外色解脫)

요약(summary)과 원본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어, 내유색상관외색해탈(內有色想觀外色解脫) 섹션의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내용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생성해 드리겠습니다.

3. 1. 2. 내무색상관외색해탈(內無色想觀外色解脫)

요약(summary)이 비어있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3. 1. 3. 정해탈신작증구족주(淨解脫身作證具足住)

요약(summary)이 비어있으므로, 원본 소스(source) 또한 비어있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1. 4. 공무변처해탈(空無邊處解脫)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3. 1. 5. 식무변처해탈(識無邊處解脫)

(내용 없음)

3. 1. 6. 무소유처해탈(無所有處解脫)

요약이 비어있고, 원본 소스도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1. 7. 비상비비상처해탈(非想非非想處解脫)

요약이 비어있으므로, 원본 소스를 바탕으로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3. 1. 8. 멸수상정해탈(滅受想定解脫)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모두 비어있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summary`와 `source`에 내용을 채워주세요.

4. 한국 불교와 심해탈

참조

[1] DDB 心解脫 2022-08-24
[2] 서적 心解脫 2022-08-24
[3] 서적 二解脫 2022-08-24
[4] 간행물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CBETA 2022-08-24
[5]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24
[6] 간행물 잡아함경 http://tripitaka.cbe[...] CBETA 2022-08-24
[7] 서적 장아함경 https://kabc.dongguk[...] 2022-08-24
[8] 간행물 유가사지론 http://tripitaka.cbe[...] CBETA 2022-08-24
[9] 서적 유가사지론 https://kabc.dongguk[...] 2022-08-24
[10] 서적 심해탈(心解脫) 2022-08-24
[11] 서적 이해탈(二解脫) 2022-08-24
[12] 서적 심해탈[心解脫] 2022-08-24
[13] 간행물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tripitaka.cbe[...] CBETA 2022-08-24
[14] 서적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24
[15] 간행물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CBETA 2022-08-25
[16]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25
[17] 간행물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CBETA 2022-08-25
[18]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