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십정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십정동은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속하는 행정 구역이다. 1883년 인천부 주안면 십정리에서 유래되었으며, 우물이 열 개가 있었다는 의미에서 '열우물' 또는 십정(十井)으로 불렸다. 일제강점기에는 '대도정'으로 이름이 변경되기도 했으나, 광복 이후 본래의 이름을 되찾았다. 십정초등학교, 상정중학교 등 교육 시설이 위치하며, 십정시장과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동암역과 백운역이 지나가며, 경인로, 경원대로 등 주요 도로가 통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부평구의 행정 구역 - 일신동
    인천광역시 부평구 동쪽에 위치한 일신동은 해방 후 새롭게 시작하는 동네라는 의미를 가지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송내 나들목과 여러 교육 및 주요 기관이 위치한 지역이다.
  • 인천 부평구의 행정 구역 - 삼산동 (인천)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은 영선산, 갈산, 금산 등 세 산줄기 아래 분지 지형으로, 7호선 굴포천역과 삼산체육관역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며, 삼산농산물도매시장, 삼산월드체육관, 롯데마트, 다수의 학교가 있는 지역이다.
  • 인천 부평구의 법정동 - 일신동
    인천광역시 부평구 동쪽에 위치한 일신동은 해방 후 새롭게 시작하는 동네라는 의미를 가지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송내 나들목과 여러 교육 및 주요 기관이 위치한 지역이다.
  • 인천 부평구의 법정동 - 삼산동 (인천)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은 영선산, 갈산, 금산 등 세 산줄기 아래 분지 지형으로, 7호선 굴포천역과 삼산체육관역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며, 삼산농산물도매시장, 삼산월드체육관, 롯데마트, 다수의 학교가 있는 지역이다.
  • 1985년 폐지 - 삼성동 (강남구)
    삼성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봉은사, 선정릉, 코엑스 등의 주요 시설과 여러 지하철 노선 및 교육 시설을 갖추고 있다.
  • 1985년 폐지 - 역곡동
    역곡동은 부천시에 있는 행정동으로, 조선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지며 역곡역 신설과 함께 발전하여 현재는 3개의 동으로 나뉘었고, 교육기관이 많으며 역원 또는 벌판 끝자락 마을에서 유래한 지명을 가지고 있다.
십정동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십정1동
한자 표기十井1洞
영문 표기Sipjeong 1(il)-dong
광역시도인천광역시
시군구부평구
십정1동 주민센터
십정1동 주민센터
면적1.79
세대5,851
세대 조사2020. 12. 31
인구13,903
인구 조사2022년 2월
법정동십정동
37
231
동 주민센터인천광역시 부평구 열우물로 103
홈페이지십정1동 주민센터
기본 정보
이름십정2동
한자 표기十井2洞
영문 표기Sipjeong 2(i)-dong
광역시도인천광역시
시군구부평구
면적1.09
세대11,566
세대 조사2020. 12. 31.
인구22,834
인구 조사2022년 2월
법정동십정동
36
239
동 주민센터인천광역시 부평구 동암산로33번길 6-7
홈페이지십정2동 주민센터

2. 유래

십정동은 구한말 인천부 주안면 십정리 지역으로, 우물 10개가 있어 '열우물' 또는 십정(十井), 십정리라고 불렸다.[1] 다른 설에 따르면, 현재 상정초등학교 위치에 물량이 많고 따뜻한 열(熱)이 많이 나는 큰 대동우물이 있었다고 한다.[1] 백운역에서 동암역 사이는 '열우물고개'라고 불리며, 이 고개 너머 산중턱에 있는 마을을 '열우물'이라고 부른다.[1]

'열우물'은 다른 마을과 달리 혼자서도 몇 시간이면 우물을 팔 수 있어서, 몇 집 안 되는 마을 사람들이 너도 나도 우물을 파 한 마을에 우물이 열 개도 넘는다는 데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1] 십정이나 십정리는 '열우물'을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1]

십정(十丁)의 오기로 십정리(十丁里)는 이곳에서 산맥이 십(十)자로 교차되어 생긴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1] 즉, 소래산 산맥이 서쪽으로 흘러 주안산에 이르러 크게 꺾여 계양산 남쪽 줄기인 원적산 줄기와 교차되어 대정(大丁)도 생기고 십정(十丁)도 생겼다는 것이다.[1]

3. 연혁

연도내용
1883년인천부 주안면 상십정1동
1914년부천군 다주면 십정리
1936년부천군 문학면 십정리
1940년인천부 대도정(大島町) (인천부 재편입)
1946년인천부 십정동
1949년인천시 십정동
1975년 4월 5일동청사 신축
1981년 7월 1일인천직할시 승격[2]
1985년 1월 5일십정 1, 2동 분동[3]
1995년 1월 1일인천광역시로 명칭 변경[4]
1995년 3월 1일부평구로 명칭 변경[5]


4. 행정 구역 변천


  • 1883년 인천부 주안면 상십정1동이었다.
  • 1914년 부천군 다주면 십정리가 되었다.
  • 1936년 부천군 문학면 십정리가 되었다.
  • 1940년 일제 강점기에 인천부 대도정(大島町)으로 인천부에 재편입되었다.
  • 1946년 광복 이후 인천부 십정동으로 원래 지명을 회복하였다.
  • 1949년 인천시 십정동이 되었다.
  • 1975년 4월 5일 동 청사를 신축하였다. (1층 : 54.6평)
  • 1981년 7월 1일 인천직할시로 승격되었다.[2]
  • 1985년 1월 5일 십정 1, 2동으로 분동되었다.[3]
  • 1995년 1월 1일 인천광역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4]
  • 1995년 3월 1일 부평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5]

4. 1. 일제강점기

1940년 일제강점기 인천부에 재편입되면서 '대도정(大島町)'이라는 일본식 지명으로 바뀌었다.[2] 이는 일제가 식민 통치 정책의 일환으로 한국 고유의 지명을 없애고 일본식 지명을 강요한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이다.

4. 2. 광복 이후

1946년, 일제강점기가 끝나고 광복을 맞이하면서 십정동은 본래의 이름을 되찾았다.[2] 이는 일제 잔재를 청산하는 중요한 과정이었으며, 십정동 주민들에게는 민족적 자긍심을 회복하는 계기가 되었다. 1949년에는 인천시 십정동이 되었고, 1981년 7월 1일에는 인천직할시로 승격되었으며,[2] 1995년 1월 1일에는 인천광역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4] 이후 1995년 3월 1일에는 부평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5]

1985년 1월 5일에는 인구 증가와 행정 효율성을 위해 십정1동과 십정2동으로 분동되었다.[3]

5. 교육

6. 문화

십정시장은 지역 주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재래시장으로, 다양한 물품을 판매하고 있다.

7. 아파트

단지명주소시행사건설사입주비고
부평 금호어울림금호산업대한토지신탁㈜경원대로1110번길 202008년 6월
부평 힐스테이트현대건설경원대로 11922023년 6월
동암신동아신동아건설신동아건설㈜
창보종합건설㈜
백영건설㈜
아트센터로 1182000년 9월
더샵 부평센트럴시티포스코건설인천도시공사열우물로 902022년 5월십정2구역 주거환경개선사업을 통해 건설되었다.
십정뜨란채㈜효동종합건설대한주택공사이규보로 792005년 7월


8. 교통

십정동은 경인선 철도가 지나가고, 경인로, 경원대로, 백범로 등 주요 도로가 교차하는 교통의 요지이다. 동암역백운역이 있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8. 1. 철도

동암역백운역이 있다.

8. 2. 도로

참조

[1] 웹사이트 십정동의 유래 http://www.icbp.go.k[...] 2012-08-02
[2] 법률 법률 제3424호
[3] 조례 시조례 제 1095호
[4] 법률 법률 제4789호
[5] 법률 법률 제4802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