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천군은 일제강점기인 1914년 인천부 일부와 부평군을 통합하여 신설된 행정 구역이다. 1936년과 1940년에 인천부에 일부 지역을 편입하고, 1941년 소사면이 소사읍으로 승격하였다. 1962년에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일부 지역이 편입되었으며, 1973년 소사읍이 부천시로 승격되면서 부천군은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부천군 | |
---|---|
지도 | |
기본 정보 | |
행정 구역 명칭 | 부천군 (富川郡) |
영문 명칭 | Bucheon-gun |
설치 | 1914년 4월 1일 |
폐지 | 1988년 1월 1일 |
소속 | 경기도 |
행정 구역 변천 | |
1914년 설치 | 인천부 일부, 양천군 전부, 김포군 일부 통합 |
1940년 | 소사읍 설치 (현재의 부천시 일부 지역) |
1963년 | 오정면 → 오정읍 승격 |
1968년 | 소사읍 → 부천시 승격, 오정읍 → 오정구 승격 및 김포군으로 환원 |
1973년 | 계양면 일부 김포군으로 환원 |
1981년 | 계양면 → 계양읍 승격 |
1983년 | 김포군 계양읍 및 오정면 복귀 |
1988년 | 부천군 폐지, 김포군 잔여 지역 김포시 승격 |
하위 행정 구역 | |
읍 | 소사읍 (1940년 ~ 1968년) 오정읍 (1963년 ~ 1973년) 계양읍 (1981년 ~ 1983년) |
면 | 계양면 오정면 |
교통 | |
철도 | 경인선 |
기타 | |
폐지 당시 면적 | 93.01km² |
2. 행정 구역
wikitable
1914년 | 현재 | ||
---|---|---|---|
면 | 리 | 시·구·면 | 동·리 |
계남면[2] | 고척리, 개봉리, 오류리, 궁리, 온수리, 천왕리, 항리 | 서울특별시 구로구 | 고척동, 개봉동, 오류동, 궁동, 온수동, 천왕동, 항동 |
소사리 일부, 심곡리 일부, 괴안리, 범박리, 구지리 | 부천시 소사구 | 소사본동, 심곡본동, 괴안동, 범박동, 송내동 | |
표절리, 조종리, 벌응절리, 상리, 중리, 소사리 일부, 심곡리 일부 | 부천시 원미구 | 춘의동, 원미동, 역곡동, 상동, 중동, 소사동, 심곡동 | |
오정면[3] | 약대리, 도당리 | 약대동, 도당동 | |
대장리, 삼정리, 내리, 오정리, 원종리, 고강리, 작리, 여월리 | 부천시 오정구 | 대장동, 삼정동, 내동, 오정동, 원종동, 고강동, 작동, 여월동 | |
오쇠리, 오곡리 | 서울특별시 강서구 | 오쇠동, 오곡동 | |
부내면[4] | 후정리, 갈월리, 청천리, 산곡리, 마분리, 항동리, 구산리, 대정리 | 인천광역시 부평구 | 삼산동, 갈산동, 청천동, 산곡동, 부개동, 일신동, 구산동, 부평동 |
부평리, 하리, 도두리, 효성리, 가현리, 신대리, 작전리, 화전리 | 인천광역시 계양구 | 계산동 일부, 계산동 일부, 서운동, 효성동, 작전동 일부 | |
계양면[5] | 박촌리, 병방리, 용종리, 방축리, 임학리, 동양리, 귤현리, 상야리, 하야리, 평리, 노오지리, 선주지리, 장기리, 이화리, 오류리, 갈산리, 다남리, 목상리, 독실리 | 박촌동, 병방동, 용종동, 방축동, 임학동, 동양동, 귤현동, 상야동, 하야동, 평동, 노오지동, 선주지동, 장기동, 이화동, 오류동, 갈현동, 다남동, 목상동, 둑실동 | |
서곶면[6] | 가정리, 신현리, 포리 일부, 고작리, 고잔리 일부, 가좌리, 백석리, 검암리, 시천리, 공촌리, 연희리 일부, 심곡리 | 인천광역시 서구 | 가정동, 신현동, 원창동, 석남동, 경서동, 가좌동, 백석동, 검암동, 시천동, 공촌동, 연희동, 심곡동, 청라동 |
문학면[7] | 도장리, 연수리, 청학리, 옥련리, 동춘리 일부, 동춘리 일부 | 인천광역시 연수구 | 선학동, 연수동, 청학동, 옥련동, 동춘동, 송도동 |
학익리, 관교리, 문학리, 승기리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학익동, 관교동, 문학동, 주안동 일부 | |
다주면[8] | 도화리, 장의리, 용정리, 사충리 | 도화동, 숭의동, 용현동, 주안동 일부 | |
십정리 | 인천광역시 부평구 | 십정동 | |
구월리, 간석리 | 인천광역시 남동구 | 구월동, 간석동 | |
남동면[9] | 논현리, 고잔리, 와우리, 도산리, 발산리, 장수리, 운연리, 서창리, 만수리 | 논현동, 고잔동, 남촌동, 도림동, 수산동, 장수동, 운연동, 서창동, 만수동 | |
소래면[10] | 대야리, 은행리, 신천리, 미산리, 방산리, 포리, 안현리, 매화리, 도창리, 금이리, 무지리, 과림리, 계수리 일부 | 시흥시 | 대야동, 은행동, 신천동, 미산동, 방산동, 포동, 안현동, 매화동, 도창동, 금이동, 무지내동, 과림동, 계수동 |
옥길리 일부, 계수리 일부 | 부천시 | 옥길동, 계수동 | |
옥길리 일부 | 광명시 | 옥길동 | |
영종면 | 운남리, 운북리, 중산리, 운서리 | 인천광역시 중구 | 운남동, 운북동, 중산동, 운서동 |
용유면 | 을왕리, 남북리, 덕교리, 무의리 | 을왕동, 남북동, 덕교동, 무의동 | |
덕적면[11] | 진리, 울도리, 익포리, 우포리, 북리, 소야리, 문갑리, 백아리, 굴업리 |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 진리, 울도리, 서포리 일부, 서포리 일부, 북리, 소야리, 문갑리, 백아리, 굴업리 |
승봉리[12] |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 승봉리 | |
영흥면[13] | 자월리, 이작리[12] | 자월리, 이작리 | |
선재리, 내리, 외리 |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 선재리, 내리, 외리 | |
대부면[14] | 선감리, 풍도리, 동리, 남리, 북리 | 안산시 단원구 | 선감동, 풍도동, 대부동동, 대부남동, 대부북동 |
북도면[15] | 장봉리, 신도리, 모도리, 시도리 | 인천광역시 옹진군 | 장봉리, 신도리, 모도리, 시도리 |
2. 1. 1914년 설치 당시 행정구역
1914년 | 현재 | ||
---|---|---|---|
면 | 리 | 시·구·면 | 동·리 |
계남면(桂南面) [1] | 고척리, 개봉리, 오류리, 궁리, 온수리, 천왕리, 항리 | 서울특별시 구로구 | 고척동, 개봉동, 오류동, 궁동, 온수동, 천왕동, 항동 |
소사리 일부, 심곡리 일부, 괴안리, 범박리, 구지리 | 부천시 소사구 | 소사본동, 심곡본동, 괴안동, 범박동, 송내동 | |
표절리, 조종리, 벌응절리, 상리, 중리, 소사리 일부, 심곡리 일부 | 부천시 원미구 | 춘의동, 원미동, 역곡동, 상동, 중동, 소사동, 심곡동 | |
오정면(吾丁面) [2] | 약대리, 도당리 | 약대동, 도당동 | |
대장리, 삼정리, 내리, 오정리, 원종리, 고강리, 작리, 여월리 | 부천시 오정구 | 대장동, 삼정동, 내동, 오정동, 원종동, 고강동, 작동, 여월동 | |
오쇠리, 오곡리 | 서울특별시 강서구 | 오쇠동, 오곡동 | |
부내면(富內面)[3] | 후정리, 갈월리, 청천리, 산곡리, 마분리, 항동리, 구산리, 대정리 | 인천광역시 부평구 | 삼산동, 갈산동, 청천동, 산곡동, 부개동, 일신동, 구산동, 부평동 |
부평리, 하리, 도두리, 효성리, 가현리, 신대리, 작전리, 화전리 | 인천광역시 계양구 | 계산동 일부, 계산동 일부, 서운동, 효성동, 작전동 일부 | |
계양면(桂陽面) [4] | 박촌리, 병방리, 용종리, 방축리, 임학리, 동양리, 귤현리, 상야리, 하야리, 평리, 노오지리, 선주지리, 장기리, 이화리, 오류리, 갈산리, 다남리, 목상리, 독실리 | 박촌동, 병방동, 용종동, 방축동, 임학동, 동양동, 귤현동, 상야동, 하야동, 평동, 노오지동, 선주지동, 장기동, 이화동, 오류동, 갈현동, 다남동, 목상동, 둑실동 | |
서곶면(西串面) [5] | 가정리, 신현리, 포리 일부, 고작리, 고잔리 일부, 가좌리, 백석리, 검암리, 시천리, 공촌리, 연희리 일부, 심곡리 | 인천광역시 서구 | 가정동, 신현동, 원창동, 석남동, 경서동, 가좌동, 백석동, 검암동, 시천동, 공촌동, 연희동, 심곡동, 청라동 |
문학면(文鶴面) [6] | 도장리, 연수리, 청학리, 옥련리, 동춘리 일부, 동춘리 일부 | 인천광역시 연수구 | 선학동, 연수동, 청학동, 옥련동, 동춘동, 송도동 |
학익리, 관교리, 문학리, 승기리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학익동, 관교동, 문학동, 주안동 일부 | |
다주면(多朱面) [7] | 도화리, 장의리, 용정리, 사충리 | 도화동, 숭의동, 용현동, 주안동 일부 | |
십정리 | 인천광역시 부평구 | 십정동 | |
구월리, 간석리 | 인천광역시 남동구 | 구월동, 간석동 | |
남동면(南洞面) [8] | 논현리, 고잔리, 와우리, 도산리, 발산리, 장수리, 운연리, 서창리, 만수리 | 논현동, 고잔동, 남촌동, 도림동, 수산동, 장수동, 운연동, 서창동, 만수동 | |
소래면(蘇萊面) [9] | 대야리, 은행리, 신천리, 미산리, 방산리, 포리, 안현리, 매화리, 도창리, 금이리, 무지리, 과림리, 계수리 일부 | 시흥시 | 대야동, 은행동, 신천동, 미산동, 방산동, 포동, 안현동, 매화동, 도창동, 금이동, 무지내동, 과림동, 계수동 |
옥길리 일부, 계수리 일부 | 부천시 | 옥길동, 계수동 | |
옥길리 일부 | 광명시 | 옥길동 | |
영종면 | 운남리, 운북리, 중산리, 운서리 | 인천광역시 중구 | 운남동, 운북동, 중산동, 운서동 |
용유면 | 을왕리, 남북리, 덕교리, 무의리 | 을왕동, 남북동, 덕교동, 무의동 | |
덕적면(德積面) [10] | 진리, 울도리, 익포리, 우포리, 북리, 소야리, 문갑리, 백아리, 굴업리 |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 진리, 울도리, 서포리 일부, 서포리 일부, 북리, 소야리, 문갑리, 백아리, 굴업리 |
승봉리[11] |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 승봉리 | |
영흥면(靈興面) [12] | 자월리, 이작리[11] | 자월리, 이작리 | |
선재리, 내리, 외리 |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 선재리, 내리, 외리 | |
대부면(大阜面) [13] | 선감리, 풍도리, 동리, 남리, 북리 | 안산시 단원구 | 선감동, 풍도동, 대부동동, 대부남동, 대부북동 |
북도면(北島面) [14] | 장봉리, 신도리, 모도리, 시도리 | 인천광역시 옹진군 | 장봉리, 신도리, 모도리, 시도리 |
2. 2. 변천 과정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인천부의 일부 지역과 부평군이 통합되어 부천군이 신설되었다.[1]1936년 10월 1일 부천군 다주면(多朱面) 일부가 인천부에 편입되었다. 같은 날, 인천부의 일부는 부천군에 편입되었다.
1940년 4월 1일 부천군 문학면(文鶴面)·남동면(南洞面)·부내면(府內面) 등이 인천부에 편입되었다.
1941년 10월 1일 소사면이 소사읍으로 승격되었다.
1962년 11월 21일에는 소사읍과 오정면의 일부 지역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1일 소사읍이 부천시로 승격되면서 부천군이 폐지되었다. 이와 함께 부천군 소속 나머지 면들은 김포군, 시흥군, 옹진군으로 각각 편입되었다.
1914년 | 현재 | ||
---|---|---|---|
면 | 리 | 시·구·면 | 동·리 |
계남면(桂南面) [2] | 고척리, 개봉리, 오류리, 궁리, 온수리, 천왕리, 항리 | 서울특별시 구로구 | 고척동, 개봉동, 오류동, 궁동, 온수동, 천왕동, 항동 |
소사리 일부, 심곡리 일부, 괴안리, 범박리, 구지리 | 부천시 소사구 | 소사본동, 심곡본동, 괴안동, 범박동, 송내동 | |
표절리, 조종리, 벌응절리, 상리, 중리, 소사리 일부, 심곡리 일부 | 부천시 원미구 | 춘의동, 원미동, 역곡동, 상동, 중동, 소사동, 심곡동 | |
오정면(吾丁面) [3] | 약대리, 도당리 | 약대동, 도당동 | |
대장리, 삼정리, 내리, 오정리, 원종리, 고강리, 작리, 여월리 | 부천시 오정구 | 대장동, 삼정동, 내동, 오정동, 원종동, 고강동, 작동, 여월동 | |
오쇠리, 오곡리 | 서울특별시 강서구 | 오쇠동, 오곡동 | |
부내면(富內面)[4] | 후정리, 갈월리, 청천리, 산곡리, 마분리, 항동리, 구산리, 대정리 | 인천광역시 부평구 | 삼산동, 갈산동, 청천동, 산곡동, 부개동, 일신동, 구산동, 부평동 |
부평리, 하리, 도두리, 효성리, 가현리, 신대리, 작전리, 화전리 | 인천광역시 계양구 | 계산동 일부, 계산동 일부, 서운동, 효성동, 작전동 일부 | |
계양면(桂陽面) [5] | 박촌리, 병방리, 용종리, 방축리, 임학리, 동양리, 귤현리, 상야리, 하야리, 평리, 노오지리, 선주지리, 장기리, 이화리, 오류리, 갈산리, 다남리, 목상리, 독실리 | 박촌동, 병방동, 용종동, 방축동, 임학동, 동양동, 귤현동, 상야동, 하야동, 평동, 노오지동, 선주지동, 장기동, 이화동, 오류동, 갈현동, 다남동, 목상동, 둑실동 | |
서곶면(西串面) [6] | 가정리, 신현리, 포리 일부, 고작리, 고잔리 일부, 가좌리, 백석리, 검암리, 시천리, 공촌리, 연희리 일부, 심곡리 | 인천광역시 서구 | 가정동, 신현동, 원창동, 석남동, 경서동, 가좌동, 백석동, 검암동, 시천동, 공촌동, 연희동, 심곡동, 청라동 |
문학면(文鶴面) [7] | 도장리, 연수리, 청학리, 옥련리, 동춘리 일부, 동춘리 일부 | 인천광역시 연수구 | 선학동, 연수동, 청학동, 옥련동, 동춘동, 송도동 |
학익리, 관교리, 문학리, 승기리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학익동, 관교동, 문학동, 주안동 일부 | |
다주면(多朱面) [8] | 도화리, 장의리, 용정리, 사충리 | 도화동, 숭의동, 용현동, 주안동 일부 | |
십정리 | 인천광역시 부평구 | 십정동 | |
구월리, 간석리 | 인천광역시 남동구 | 구월동, 간석동 | |
남동면(南洞面) [9] | 논현리, 고잔리, 와우리, 도산리, 발산리, 장수리, 운연리, 서창리, 만수리 | 논현동, 고잔동, 남촌동, 도림동, 수산동, 장수동, 운연동, 서창동, 만수동 | |
소래면(蘇萊面) [10] | 대야리, 은행리, 신천리, 미산리, 방산리, 포리, 안현리, 매화리, 도창리, 금이리, 무지리, 과림리, 계수리 일부 | 시흥시 | 대야동, 은행동, 신천동, 미산동, 방산동, 포동, 안현동, 매화동, 도창동, 금이동, 무지내동, 과림동, 계수동 |
옥길리 일부, 계수리 일부 | 부천시 | 옥길동, 계수동 | |
옥길리 일부 | 광명시 | 옥길동 | |
영종면(永宗面) | 운남리, 운북리, 중산리, 운서리 | 인천광역시 중구 | 운남동, 운북동, 중산동, 운서동 |
용유면(龍游面) | 을왕리, 남북리, 덕교리, 무의리 | 을왕동, 남북동, 덕교동, 무의동 | |
덕적면(德積面) [11] | 진리, 울도리, 익포리, 우포리, 북리, 소야리, 문갑리, 백아리, 굴업리 |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 진리, 울도리, 서포리 일부, 서포리 일부, 북리, 소야리, 문갑리, 백아리, 굴업리 |
승봉리[12] |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 승봉리 | |
영흥면(靈興面) [13] | 자월리, 이작리[12] | 자월리, 이작리 | |
선재리, 내리, 외리 |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 선재리, 내리, 외리 | |
대부면(大阜面) [14] | 선감리, 풍도리, 동리, 남리, 북리 | 안산시 단원구 | 선감동, 풍도동, 대부동동, 대부남동, 대부북동 |
북도면(北島面) [15] | 장봉리, 신도리, 모도리, 시도리 | 인천광역시 옹진군 | 장봉리, 신도리, 모도리, 시도리 |
2. 2. 1. 인천부 편입 (1936년, 1940년)
1936년 10월 1일 부천군 다주면(多朱面) 일부가 인천부에 편입되었다. 같은 날, 인천부의 일부는 부천군에 편입되었다.1940년 4월 1일 부천군 문학면(文鶴面)·남동면(南洞面)·부내면(府內面) 등이 인천부에 편입되었다.
2. 2. 2. 소사읍 승격 (1941년)
1941년 10월 1일 소사면이 소사읍으로 승격되었다.2. 2. 3. 서울특별시 편입 (1962년)
1962년 11월 21일에 소사읍과 오정면의 일부 지역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편입되었다.2. 2. 4. 부천군 폐지 (1973년)
1973년 7월 1일 소사읍이 부천시로 승격되면서 부천군이 폐지되었다. 이와 함께 부천군 소속 나머지 면들은 김포군, 시흥군, 옹진군으로 각각 편입되었다.3. 연혁
1914년 4월 1일 인천부 중 항구 주변 도심지를 제외한 지역과 부평군, 강화군의 북도면, 남양군의 영흥면, 대부면을 '''부천군'''으로 개편하였다.[16](15면)
1931년 4월 1일 계남면이 소사면으로 개칭되었다.
1936년 10월 1일 다주면 일원(십정리, 간석리, 구월리 제외)과 문학면의 3개 리가 인천부에 재편입되었다.[17]
1940년 4월 1일에는 본래 인천부였던 문학면, 남동면이 인천부에 재편입되고, 부평군이었던 부내면, 서곶면이 인천부로 이관되었다.[18]
1941년 10월 1일에는 소사면이 소사읍으로 승격하였다.[19] (1읍 9면)
1961년 부천군청을 인천시 율목동에서 소사읍 심곡리로 이전하였다.
1962년 12월 12일에는 소사읍의 7개 리(현 서울 구로구의 안양천 서쪽 지역)와 오정면의 2개 리(현 서울 강서구의 공항동 일부)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편입되었다.[20]
1963년 1월 1일에는 부천군 영종면 운남리 작약도가 인천시에 편입되었다.[21]
1973년 7월 1일 부천군 소사읍이 부천시로 승격하고, 오정면과 계양면이 김포군에, 소래면이 시흥군에, 영종면 등 섬 지역이 옹진군에 각각 편입되어 부천군이 폐지되었다.[22]
3. 1. 일제강점기 (1914년 ~ 1945년)
1914년 4월 1일 인천부 중 항구 주변 도심지를 제외한 지역과 부평군, 강화군의 북도면, 남양군의 영흥면, 대부면을 '''부천군'''으로 개편하였다.[16]1931년 4월 1일 계남면이 소사면으로 개칭되었다. 1936년 10월 1일 다주면 일원(십정리, 간석리, 구월리 제외)과 문학면의 3개 리가 인천부에 재편입되었다.[17] 1940년 4월 1일에는 본래 인천부였던 문학면, 남동면이 인천부에 재편입되고, 부평군이었던 부내면, 서곶면이 인천부로 이관되었다.[18] 1941년 10월 1일에는 소사면이 소사읍으로 승격하였다.[19]
3. 2. 해방 이후 (1945년 ~ 1973년)
1961년 부천군청을 인천시 율목동에서 소사읍 심곡리로 이전하였다.[20] 1962년 12월 12일에는 소사읍의 7개 리(현 서울 구로구의 안양천 서쪽 지역)와 오정면의 2개 리(현 서울 강서구의 공항동 일부)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편입되었다.[20]1963년 1월 1일에는 부천군 영종면 운남리 작약도가 인천시에 편입되었다.[21]
1973년 7월 1일 부천군 소사읍이 부천시로 승격하고, 오정면과 계양면이 김포군에, 소래면이 시흥군에, 영종면 등 섬 지역이 옹진군에 각각 편입되어 부천군이 폐지되었다.[22]
참조
[1]
간행물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2]
서술
[3]
서술
[4]
서술
[5]
서술
[6]
서술
[7]
서술
[8]
서술
[9]
서술
[10]
서술
[11]
서술
[12]
서술
http://mirror.puzzle[...]
[13]
서술
[14]
서술
[15]
서술
[16]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7]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93호
1936-09-26
[18]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40호
1940-03-28
[19]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53호
1941-09-29
[20]
법률
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21]
법률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22]
법률
법률 제2597호 시설치와군의폐치분합에관한법률
1973-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