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평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평구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 있는 구로, 선사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해왔다. 역사적으로는 부평도호부, 부평군, 부천군 등의 행정 구역으로 변천을 겪었으며, 1995년 북구에서 분리되어 현재의 부평구가 되었다. 현재 22개의 행정동과 9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구는 51만 명 이상이다. 주요 교육 기관으로는 고등학교와 도서관 등이 있으며, 철도와 도로를 통해 교통망이 구축되어 있다. 주요 기업으로는 동서식품, 한국지엠 등이 있으며, 신지, 구혜선 등 다양한 분야의 출신 인물을 배출했다.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구 - 연수구
    연수구는 1995년 인천광역시에서 분리되어 설치되었으며, 약 38만 5천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고, 인천대학교,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등의 교육기관이 있으며, 인천 도시철도 등을 포함한 교통망을 갖춘 구이다.
  • 인천광역시의 구 - 남동구
    인천광역시 남동구는 1988년 남구에서 분리되어 설치된 자치구로, 약 50만 명이 거주하며 주요 교통망과 시설, 교육기관 등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다.
  • 인천 부평구의 행정 구역 - 일신동
    인천광역시 부평구 동쪽에 위치한 일신동은 해방 후 새롭게 시작하는 동네라는 의미를 가지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송내 나들목과 여러 교육 및 주요 기관이 위치한 지역이다.
  • 인천 부평구의 행정 구역 - 삼산동 (인천)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은 영선산, 갈산, 금산 등 세 산줄기 아래 분지 지형으로, 7호선 굴포천역과 삼산체육관역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며, 삼산농산물도매시장, 삼산월드체육관, 롯데마트, 다수의 학교가 있는 지역이다.
  • 인천 부평구 - 삼산월드체육관
    삼산월드체육관은 스포츠 경기뿐만 아니라 e스포츠 대회, 방송 촬영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는 다목적 체육관으로, 특히 굵직한 e스포츠 대회와 LCK 결승전이 여러 차례 개최되어 e스포츠 팬들의 성지로 여겨지며, 아이돌 오디션 프로그램 촬영 장소로도 활용되었다.
  • 인천 부평구 - 청천도서관
    청천도서관은 어린이, 유아를 위한 공간과 자료실, 다목적실, 쉼터 등을 갖추고 있으며, 평일과 주말에 운영하고 매주 월요일과 공휴일은 휴관한다.
부평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부평구
한자 표기富平區
로마자 표기Bupyeong-gu
맥큔-라이샤워 표기Pup'yŏng-gu
위치대한민국 수도권 인천
면적32.00 km²
인구 (2024년 9월)493,253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방언서울 방언
웹사이트부평구청
부평구 깃발
깃발
부평구 전경
부평구
부평공원
부평공원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22개
법정동9개
행정동22개
정치
구청장차준택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갑)노종면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을)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상징
구목은행나무
구화국화
구조비둘기
기타
구청 소재지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168 (부평4동 879)

2. 역사

부평은 황해한강을 사이에 둔 지역으로 선사시대부터 인류의 활동이 있었다. 인근의 인천과 김포에서 고인돌과 같은 유적이나 돌도끼 등의 유물이 출토되어 이 지역에 청동기 문화가 자리잡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다만, 부평구 지역에서 직접 발견된 고인돌은 없다.[8] 부평에서 발견된 선사시대 유물로는 1950년대에 발견된[9] 간돌도끼가 있다.[10]

행정구역 개편 이전의 부평의 역사적 영역은 지금의 부평구를 비롯하여 인천 서구, 계양구, 부천시를 포괄하는 지역이였으며 중심지는 오늘날 계양구의 부평도호부관아 부근이었다.[11] 1996년 주민에 의해 우연히 발견되어 발굴조사가 이어지고 있는 고강선사유적공원에서는 청동기 후기에서 철기 초기에 이르는 다양한 선사 유적과 함께 신라 하대 시기의 주거 유적이 발굴되어 이 지역에 오랫동안 사람들이 읍락을 이루고 살았음을 보여준다.[12] 원삼국시대 부평지역은 마한의 영역에 속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1930년대 이병도는 언어적 유추로 마한에 속한 소국이었던 우휴모탁국의 위치를 부평 및 부천 지역으로 비정하기도 하였다. 이병도의 유추는 다른 견해들에 비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13]

세종실록 지리지 부평도호부 조에 부평의 옛이름이 주부토군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4] 삼국사기는 주부토군이 고구려의 영토였으며 신라 경덕왕 시기 이름을 장제군으로 고쳤다고 기록하고 있다.[15] 한강 하류를 끼고 있는 지금의 부평, 부천시, 고양시 인근은 삼국시대 전략 요충지로 삼국의 각축전이 일어났던 곳으로 원래 백제의 영토였던 것을 475년 장수왕이 남진하며 개로왕의 백제군을 물리치고 고구려의 영토로 삼았고[16] 부평 지역의 주부토군이란 이름은 이 때 붙여진 것이다. 오랫동안 문헌으로만 알려져 있던 주부토란 이름은 2009년 계양산성 발굴 조사에서 주부토로 추정되는 글씨가 세겨진 기와가 출토되어 기록을 입증하는 것으로 평가되지만[17] 글자들이 부분적으로만 남아있어 판독하기 어렵기 때문에 단정짓기 힘들다는 견해도 있다.[18]

백제는 빼앗긴 영토를 되찾기 위해 신라와 동맹을 맺고 고구려로 부터 한강 하류 지역을 탈환하였으나 신라가 이 지역을 점령하여 신라의 영토가 되었다. 이후 경덕왕은 한강 하류 지역에 새로 6주를 세우며 부평지역을 장제군이라 하였다.[15] 장제군의 행정 중심지는 지금의 계양구 계산동계양동 부근이었다.[19] 하위 행정지역으로 술성현(戌城縣), 김포현(金浦縣), 동성현(童城縣), 분진현(分津縣) 등이 있었다.[20]

고려를 개국한 태조 왕건은 지명 개편과 함께 행정구역을 정비하면서 옛 장제군을 수주로 바꾸었다. 수주 밑으로 수안현, 김포현, 동성현, 통진현을 두었는데[21] 이 가운데 동성현은 훗날 통진현에 통합되었고[22], 김포와 통진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당시의 지명을 사용하고 있다. 태조 당시 수안현으로 묶인 곳이 오늘날 인천시의 부평구와 계양구 및 경기도의 부천시를 아우르는 곳이다.[21] 고려 시기 이 지역은 의종 4년(1150년)에 안남도호부가 설치되었고 고종 2년(1215년)에는 계양도호부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충렬왕 34년에 길주목이 되었다. 부평이란 이름은 충선왕 2년(1313년)에 붙여져 이후 계속하여 같은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21]

조선 시대에 들어 태종 13년(1413년) 부평도호부를 설치하였다.[14] 세종 20년(1438년) 병의 치료를 위해 전국의 온천을 찾던 세종은 부평부의 백성들이 온천의 위치를 숨기고 알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부평부를 현으로 강등하였다가[23] 8년뒤인 1446년 도호부로 복구하였다.[24] 연산군 때와 숙종 시기에도 현으로 강등되었다 부로 복구되는 일이 있었다.[25] 조선시기 부평부는 종3품의 부사(府使)와 종6품의 교수(敎授) 각 1명이 있었다. 부사는 행정을 담당하는 수령이었고 교수는 부평향교의 교육 책임자이다.[25]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부평의 경계를 "동쪽으로 금천현(衿川縣) 경계까지 34리, 양천현(陽川縣) 경계까지 15리, 남쪽으로 안산군(安山郡) 경계까지 48리, 인천부(仁川府) 경계까지 15리, 서쪽으로 큰 바다까지 14리, 북쪽으로 김포현(金浦縣) 경계까지 17리, 통진현(通津縣) 경계까지 36리, 서울까지 55리이다."라고 밝히고 있다.[26] 김정호대동여지도 역시 신증동국여지승람이 밝히는 경계와 같은 구역으로 부평도호부를 표기하고 있다.

대동여지도의 부평도호부 부근 지도


1895년(고종 32년) 조선은 이십삼부제로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기존의 부평부를 인천부 산하의 부평군으로 개편하였고[27] 다시 1896년 십삼도제로 개편하면서 경기도 산하로 변경하였다. 당시 부평군은 오늘날 인천 서구에서 계양구, 부평구와 경기도의 부천시, 서울의 구로구 일부에 이르는 지역이었다.[28]

일제강점기이던 1914년 조선총독부는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항구 부분을 제외한 인천의 나머지 지역과 당시 부평군을 병합하여 부천군을 신설하였다.[29] 부천이라는 명칭은 부평과 인천을 아우르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 가운데 오늘날의 부평구에 해당하는 지역은 옛 조선시대의 4개 면을 통합한 부내면 지역이었다. 조선총독부는 면 아래의 행정구역을 기존의 리에서 정(町, "쵸" 또는 "마치"로 읽는다)으로 바꾸었다.[21] 한편 1940년 총독부는 소사면을 비롯한 고척, 개봉, 오류, 천왕. 궁, 항, 온수 등 서울과 가까운 지역을 부천군으로 남기고 부내면, 계양면 등은 다시 인천부 관할로 두어 조선시대 하나의 행정단위였던 부평은 둘로 나뉘게 되었다.[30]

1945년 광복을 맞으며 최하위 행정구역이 다시 리로 환원되었다.[21] 1968년 1월 1일 인천시에 제도가 도입되어 중구, 남구, 동구, 북구가 설치되었다.[31] 이때 지금의 부평구 지역은 북구 관할이 되었다. 1981년 인천이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북구 역시 직할시의 구가 되었다. 1988년 1월 1일 북구의 일부였던 검암동, 연희동 등을 서구로 분구하였고,[32] 1989년 1월 1일 경기도 김포군계양면이 북구에 편입되었다.[33] 1995년 직할시의 명칭이 광역시로 바뀐 뒤 북구가 부평구와 계양구로 분리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34] 이로서 잠시 사라졌던 부평이라는 지명이 다시 쓰이게 되었다.[21]

부평사거리를 접촉하고 있는 국도 제46호선


2. 1. 부평의 기원과 고대

부평은 황해한강을 사이에 둔 지역으로 선사시대부터 인류의 활동이 있었다. 인근의 인천과 김포에서 고인돌과 같은 유적이나 돌도끼 등의 유물이 출토되어 이 지역에 청동기 문화가 자리잡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다만, 부평구 지역에서 직접 발견된 고인돌은 없다.[8] 부평에서 발견된 선사시대 유물로는 1950년대에 발견된[9] 간돌도끼가 있다.[10]

1996년 주민에 의해 우연히 발견되어 발굴조사가 이어지고 있는 고강선사유적공원에서는 청동기 후기에서 철기 초기에 이르는 다양한 선사 유적과 함께 신라 하대 시기의 주거 유적이 발굴되어 이 지역에 오랫동안 사람들이 읍락을 이루고 살았음을 보여준다.[12] 행정구역 개편 이전의 부평의 역사적 영역은 지금의 부평구를 비롯하여 인천 서구, 계양구, 부천시를 포괄하는 지역이였으며 중심지는 오늘날 계양구의 부평도호부관아 부근이었다.[11] 원삼국시대 부평지역은 마한의 영역에 속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1930년대 이병도는 언어적 유추로 마한에 속한 소국이었던 우휴모탁국의 위치를 부평 및 부천 지역으로 비정하기도 하였다. 이병도의 유추는 다른 견해들에 비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13]

세종실록 지리지 부평도호부 조에 부평의 옛이름이 주부토군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4] 삼국사기는 주부토군이 고구려의 영토였으며 신라 경덕왕 시기 이름을 장제군으로 고쳤다고 기록하고 있다.[15] 한강 하류를 끼고 있는 지금의 부평, 부천시, 고양시 인근은 삼국시대 전략 요충지로 삼국의 각축전이 일어났던 곳으로 원래 백제의 영토였던 것을 475년 장수왕이 남진하며 개로왕의 백제군을 물리치고 고구려의 영토로 삼았고[16] 부평 지역의 주부토군이란 이름은 이 때 붙여진 것이다. 오랫동안 문헌으로만 알려져 있던 주부토란 이름은 2009년 계양산성 발굴 조사에서 주부토로 추정되는 글씨가 세겨진 기와가 출토되어 기록을 입증하는 것으로 평가되지만[17] 글자들이 부분적으로만 남아있어 판독하기 어렵기 때문에 단정짓기 힘들다는 견해도 있다.[18]

백제는 빼앗긴 영토를 되찾기 위해 신라와 동맹을 맺고 고구려로 부터 한강 하류 지역을 탈환하였으나 신라가 이 지역을 점령하여 신라의 영토가 되었다. 이후 경덕왕은 한강 하류 지역에 새로 6주를 세우며 부평지역을 장제군이라 하였다.[15] 장제군의 행정 중심지는 지금의 계양구 계산동계양동 부근이었다.[19] 하위 행정지역으로 술성현(戌城縣), 김포현(金浦縣), 동성현(童城縣), 분진현(分津縣) 등이 있었다.[20]

고려를 개국한 태조 왕건은 지명 개편과 함께 행정구역을 정비하면서 옛 장제군을 수주로 바꾸었다. 수주 밑으로 수안현, 김포현, 동성현, 통진현을 두었는데[21] 이 가운데 동성현은 훗날 통진현에 통합되었고[22], 김포와 통진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당시의 지명을 사용하고 있다. 태조 당시 수안현으로 묶인 곳이 오늘날 인천시의 부평구와 계양구 및 경기도의 부천시를 아우르는 곳이다.[21] 고려 시기 이 지역은 의종 4년(1150년)에 안남도호부가 설치되었고 고종 2년(1215년)에는 계양도호부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충렬왕 34년에 길주목이 되었다. 부평이란 이름은 충선왕 2년(1313년)에 붙여져 이후 계속하여 같은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21]

조선 시대에 들어 태종 13년(1413년) 부평도호부를 설치하였다.[14] 세종 20년(1438년) 병의 치료를 위해 전국의 온천을 찾던 세종은 부평부의 백성들이 온천의 위치를 숨기고 알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부평부를 현으로 강등하였다가[23] 8년뒤인 1446년 도호부로 복구하였다.[24] 연산군 때와 숙종 시기에도 현으로 강등되었다 부로 복구되는 일이 있었다.[25] 조선시기 부평부는 종3품의 부사(府使)와 종6품의 교수(敎授) 각 1명이 있었다. 부사는 행정을 담당하는 수령이었고 교수는 부평향교의 교육 책임자이다.[25]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부평의 경계를 "동쪽으로 금천현(衿川縣) 경계까지 34리, 양천현(陽川縣) 경계까지 15리, 남쪽으로 안산군(安山郡) 경계까지 48리, 인천부(仁川府) 경계까지 15리, 서쪽으로 큰 바다까지 14리, 북쪽으로 김포현(金浦縣) 경계까지 17리, 통진현(通津縣) 경계까지 36리, 서울까지 55리이다."라고 밝히고 있다.[26] 김정호대동여지도 역시 신증동국여지승람이 밝히는 경계와 같은 구역으로 부평도호부를 표기하고 있다.

1895년(고종 32년) 조선은 이십삼부제로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기존의 부평부를 인천부 산하의 부평군으로 개편하였고[27] 다시 1896년 십삼도제로 개편하면서 경기도 산하로 변경하였다. 당시 부평군은 오늘날 인천 서구에서 계양구, 부평구와 경기도의 부천시, 서울의 구로구 일부에 이르는 지역이었다.[28]

일제강점기이던 1914년 조선총독부는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항구 부분을 제외한 인천의 나머지 지역과 당시 부평군을 병합하여 부천군을 신설하였다.[29] 부천이라는 명칭은 부평과 인천을 아우르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 가운데 오늘날의 부평구에 해당하는 지역은 옛 조선시대의 4개 면을 통합한 부내면 지역이었다. 조선총독부는 면 아래의 행정구역을 기존의 리에서 정(町, "쵸" 또는 "마치"로 읽는다)으로 바꾸었다.[21] 한편 1940년 총독부는 소사면을 비롯한 고척, 개봉, 오류, 천왕. 궁, 항, 온수 등 서울과 가까운 지역을 부천군으로 남기고 부내면, 계양면 등은 다시 인천부 관할로 두어 조선시대 하나의 행정단위였던 부평은 둘로 나뉘게 되었다.[30]

1945년 해방을 맞으며 최하위 행정구역이 다시 리로 환원되었다.[21] 1968년 1월 1일자로 인천시에 제도가 도입되어 중구, 남구, 동구, 북구가 설치되었다.[31] 이 구분에 따라 오늘날의 부평구를 비롯한 지역은 북구의 관할이 되었다. 1981년 인천이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북구 역시 직할시의 구로서 자리잡게 되었다.

이후의 행정구역 변천은 하위 섹션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2. 2.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

부평은 황해한강을 사이에 둔 지역으로 선사시대부터 인류의 활동이 있었다. 인근의 인천과 김포에서 고인돌과 같은 유적이나 돌도끼 등의 유물이 출토되어 이 지역에 청동기 문화가 자리잡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다만, 부평구 지역에서 직접 발견된 고인돌은 없다.[8] 부평에서 발견된 선사시대 유물로는 1950년대에 발견된[9] 간돌도끼가 있다.[10]

원삼국시대 부평지역은 마한의 영역에 속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1930년대 이병도는 언어적 유추로 마한에 속한 소국이었던 우휴모탁국의 위치를 부평 및 부천 지역으로 비정하기도 하였다. 이병도의 유추는 다른 견해들에 비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13]

세종실록 지리지 부평도호부 조에 부평의 옛이름이 주부토군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4] 삼국사기는 주부토군이 고구려의 영토였으며 신라 경덕왕 시기 이름을 장제군으로 고쳤다고 기록하고 있다.[15] 한강 하류를 끼고 있는 지금의 부평, 부천시, 고양시 인근은 삼국시대 전략 요충지로 삼국의 각축전이 일어났던 곳으로 원래 백제의 영토였던 것을 475년 장수왕이 남진하며 개로왕의 백제군을 물리치고 고구려의 영토로 삼았고[16] 부평 지역의 주부토군이란 이름은 이 때 붙여진 것이다. 오랫동안 문헌으로만 알려져 있던 주부토란 이름은 2009년 계양산성 발굴 조사에서 주부토로 추정되는 글씨가 세겨진 기와가 출토되어 기록을 입증하는 것으로 평가되지만[17] 글자들이 부분적으로만 남아있어 판독하기 어렵기 때문에 단정짓기 힘들다는 견해도 있다.[18]

백제는 빼앗긴 영토를 되찾기 위해 신라와 동맹을 맺고 고구려로 부터 한강 하류 지역을 탈환하였으나 신라가 이 지역을 점령하여 신라의 영토가 되었다. 이후 경덕왕은 한강 하류 지역에 새로 6주를 세우며 부평지역을 장제군이라 하였다.[15] 장제군의 행정 중심지는 지금의 계양구 계산동계양동 부근이었다.[19]

고려를 개국한 태조 왕건은 지명 개편과 함께 행정구역을 정비하면서 옛 장제군을 수주로 바꾸었다. 태조 당시 수안현으로 묶인 곳이 오늘날 인천시의 부평구와 계양구 및 경기도의 부천시를 아우르는 곳이다.[21] 고려 시기 이 지역은 의종 4년(1150년)에 안남도호부가 설치되었고 고종 2년(1215년)에는 계양도호부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충렬왕 34년에 길주목이 되었다. 부평이란 이름은 충선왕 2년(1313년)에 붙여져 이후 계속하여 같은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21]

2. 3. 조선 시대와 일제강점기

부평은 황해한강을 사이에 둔 지역으로 선사시대부터 인류의 활동이 있었다. 인근의 인천과 김포에서 고인돌과 같은 유적이나 돌도끼 등의 유물이 출토되어 이 지역에 청동기 문화가 자리잡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다만, 부평구 지역에서 직접 발견된 고인돌은 없다.[8] 부평에서 발견된 선사시대 유물로는 1950년대에 발견된[9] 간돌도끼가 있다.[10]

행정구역 개편 이전의 부평의 역사적 영역은 지금의 부평구를 비롯하여 인천 서구, 계양구, 부천시를 포괄하는 지역이었으며 중심지는 오늘날 계양구의 부평도호부관아 부근이었다.[11] 1996년 주민에 의해 우연히 발견되어 발굴조사가 이어지고 있는 고강선사유적공원에서는 청동기 후기에서 철기 초기에 이르는 다양한 선사 유적과 함께 신라 하대 시기의 주거 유적이 발굴되어 이 지역에 오랫동안 사람들이 읍락을 이루고 살았음을 보여준다.[12] 원삼국시대 부평지역은 마한의 영역에 속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1930년대 이병도는 언어적 유추로 마한에 속한 소국이었던 우휴모탁국의 위치를 부평 및 부천 지역으로 비정하기도 하였다. 이병도의 유추는 다른 견해들에 비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13]

세종실록 지리지 부평도호부 조에 부평의 옛이름이 주부토군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4] 삼국사기는 주부토군이 고구려의 영토였으며 신라 경덕왕 시기 이름을 장제군으로 고쳤다고 기록하고 있다.[15] 한강 하류를 끼고 있는 지금의 부평, 부천시, 고양시 인근은 삼국시대 전략 요충지로 삼국의 각축전이 일어났던 곳으로 원래 백제의 영토였던 것을 475년 장수왕이 남진하며 개로왕의 백제군을 물리치고 고구려의 영토로 삼았고[16] 부평 지역의 주부토군이란 이름은 이 때 붙여진 것이다. 오랫동안 문헌으로만 알려져 있던 주부토란 이름은 2009년 계양산성 발굴 조사에서 주부토로 추정되는 글씨가 세겨진 기와가 출토되어 기록을 입증하는 것으로 평가되지만[17] 글자들이 부분적으로만 남아있어 판독하기 어렵기 때문에 단정짓기 힘들다는 견해도 있다.[18]

백제는 빼앗긴 영토를 되찾기 위해 신라와 동맹을 맺고 고구려로 부터 한강 하류 지역을 탈환하였으나 신라가 이 지역을 점령하여 신라의 영토가 되었다. 이후 경덕왕은 한강 하류 지역에 새로 6주를 세우며 부평지역을 장제군이라 하였다.[15] 장제군의 행정 중심지는 지금의 계양구 계산동계양동 부근이었다.[19] 하위 행정지역으로 술성현(戌城縣), 김포현(金浦縣), 동성현(童城縣), 분진현(分津縣) 등이 있었다.[20]

고려를 개국한 태조 왕건은 지명 개편과 함께 행정구역을 정비하면서 옛 장제군을 수주로 바꾸었다. 수주 밑으로 수안현, 김포현, 동성현, 통진현을 두었는데[21] 이 가운데 동성현은 훗날 통진현에 통합되었고[22], 김포와 통진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당시의 지명을 사용하고 있다. 태조 당시 수안현으로 묶인 곳이 오늘날 인천시의 부평구와 계양구 및 경기도의 부천시를 아우르는 곳이다.[21] 고려 시기 이 지역은 의종 4년(1150년)에 안남도호부가 설치되었고 고종 2년(1215년)에는 계양도호부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충렬왕 34년에 길주목이 되었다. 부평이란 이름은 충선왕 2년(1313년)에 붙여져 이후 계속하여 같은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21]

조선 시대에 들어 태종 13년(1413년) 부평도호부를 설치하였다.[14] 세종 20년(1438년) 병의 치료를 위해 전국의 온천을 찾던 세종은 부평부의 백성들이 온천의 위치를 숨기고 알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부평부를 현으로 강등하였다가[23] 8년뒤인 1446년 도호부로 복구하였다.[24] 연산군 때와 숙종 시기에도 현으로 강등되었다 부로 복구되는 일이 있었다.[25] 조선시기 부평부는 종3품의 부사(府使)와 종6품의 교수(敎授) 각 1명이 있었다. 부사는 행정을 담당하는 수령이었고 교수는 부평향교의 교육 책임자이다.[25]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부평의 경계를 "동쪽으로 금천현(衿川縣) 경계까지 34리, 양천현(陽川縣) 경계까지 15리, 남쪽으로 안산군(安山郡) 경계까지 48리, 인천부(仁川府) 경계까지 15리, 서쪽으로 큰 바다까지 14리, 북쪽으로 김포현(金浦縣) 경계까지 17리, 통진현(通津縣) 경계까지 36리, 서울까지 55리이다."라고 밝히고 있다.[26] 김정호대동여지도 역시 신증동국여지승람이 밝히는 경계와 같은 구역으로 부평도호부를 표기하고 있다.

1895년(고종 32년) 조선은 이십삼부제로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기존의 부평부를 인천부 산하의 부평군으로 개편하였고[27] 다시 1896년 십삼도제로 개편하면서 경기도 산하로 변경하였다. 당시 부평군은 오늘날 인천 서구에서 계양구, 부평구와 경기도의 부천시, 서울의 구로구 일부에 이르는 지역이었다.[28]

일제강점기이던 1914년 조선총독부는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항구 부분을 제외한 인천의 나머지 지역과 당시 부평군을 병합하여 부천군을 신설하였다.[29] 부천이라는 명칭은 부평과 인천을 아우르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 가운데 오늘날의 부평구에 해당하는 지역은 옛 조선시대의 4개 면을 통합한 부내면 지역이었다. 조선총독부는 면 아래의 행정구역을 기존의 리에서 정(町, "쵸" 또는 "마치"로 읽는다)으로 바꾸었다.[21] 한편 1940년 총독부는 소사면을 비롯한 고척, 개봉, 오류, 천왕. 궁, 항, 온수 등 서울과 가까운 지역을 부천군으로 남기고 부내면, 계양면 등은 다시 인천부 관할로 두어 조선시대 하나의 행정단위였던 부평은 둘로 나뉘게 되었다.[30]

1945년 해방을 맞으며 최하위 행정구역이 다시 리로 환원되었다.[21]

2. 4. 해방 이후와 현재

1945년 광복을 맞으며 최하위 행정구역이 다시 리로 환원되었다.[21] 1968년 1월 1일 인천시에 제도가 도입되어 중구, 남구, 동구, 북구가 설치되었다.[31] 이때 지금의 부평구 지역은 북구 관할이 되었다. 1981년 인천이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북구 역시 직할시의 구가 되었다. 1988년 1월 1일 북구의 일부였던 검암동, 연희동 등을 서구로 분구하였고,[32] 1989년 1월 1일 경기도 김포군계양면이 북구에 편입되었다.[33] 1995년 직할시의 명칭이 광역시로 바뀐 뒤 북구가 부평구와 계양구로 분리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34] 이로서 잠시 사라졌던 부평이라는 지명이 다시 쓰이게 되었다.[21]

3. 행정 구역

부평구의 행정 구역은 22개 행정동(637통, 4,197개반)과 9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35] 부평구의 면적은 31.98 km2로 인천시의 약 3.09%를 차지하며, 2019년 7월 기준으로 인구는 517,029명으로 인천시의 약 17.5%를 차지한다.[35]

부평구의 행정 구역


한자면적(km2)세대인구 (명)
부평1동富平1洞1.1015,90437,584
부평2동富平2洞2.289,17419,829
부평3동富平3洞1.006,47913,728
부평4동富平4洞1.0417,27937,530
부평5동富平5洞0.8315,68634,622
부평6동富平6洞0.767,19515,369
산곡1동山谷1洞2.076,12313,783
산곡2동山谷2洞0.9211,07632,993
산곡3동山谷3洞1.438,70123,474
산곡4동山谷4洞0.766,58618,695
청천1동淸川1洞2.164,0658,379
청천2동淸川2洞2.7813,72435,277
갈산1동葛山1洞1.077,19217,233
갈산2동葛山2洞0.668,27620,287
삼산1동三山1洞2.1314,45336,630
삼산2동三山2洞1.2610,26130,452
부개1동富開1洞0.957,79617,547
부개2동富開2洞0.757,15218,272
부개3동富開3洞0.8612,53333,554
일신동日新洞4.305,20513,395
십정1동十井1洞1.795,87313,487
십정2동十井2洞1.0911,62324,909
부평구富平區31.99212,356517,029



각 행정동은 법정동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부평1동, 부평4동 등은 부평동을, 산곡2동, 청천1동 등은 산곡동과 청천동을 포함하는 형태이다.

3. 1. 행정동별 정보

부평구의 행정 구역은 22개 행정동(637통, 4,197개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9개의 법정동을 포함한다.[35] 부평구의 면적은 31.98 km2로 인천시의 약 3.09%를 차지하며, 2019년 7월 기준으로 인구는 517,029명으로 인천시의 약 17.5%를 차지한다.[35]

한자면적(km2)세대인구 (명)
부평1동富平1洞1.1015,90437,584
부평2동富平2洞2.289,17419,829
부평3동富平3洞1.006,47913,728
부평4동富平4洞1.0417,27937,530
부평5동富平5洞0.8315,68634,622
부평6동富平6洞0.767,19515,369
산곡1동山谷1洞2.076,12313,783
산곡2동山谷2洞0.9211,07632,993
산곡3동山谷3洞1.438,70123,474
산곡4동山谷4洞0.766,58618,695
청천1동淸川1洞2.164,0658,379
청천2동淸川2洞2.7813,72435,277
갈산1동葛山1洞1.077,19217,233
갈산2동葛山2洞0.668,27620,287
삼산1동三山1洞2.1314,45336,630
삼산2동三山2洞1.2610,26130,452
부개1동富開1洞0.957,79617,547
부개2동富開2洞0.757,15218,272
부개3동富開3洞0.8612,53333,554
일신동日新洞4.305,20513,395
십정1동十井1洞1.795,87313,487
십정2동十井2洞1.0911,62324,909
부평구富平區31.99212,356517,029



각 행정동은 법정동을 포함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부평1동, 부평4동 등은 부평동을, 산곡2동, 청천1동 등은 산곡동과 청천동을 포함하는 형태이다.

4. 인구

연도총인구비고
1985년538,894명
1990년616,658명
1995년488,663명
2000년528,403명
2005년546,321명
2010년542,433명
2015년548,461명
2019년517,029명


5. 구청

현재 부평구청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에 위치해 있다.

6. 교육 기관



==== 대학교 ====

부평구에는 대학교가 없다.

==== 고등학교 ====



==== 특수학교 ====

인천성동학교, 인천예림학교, 인천혜광학교, 인천은광학교가 있다.

==== 도서관 ====

6. 1. 대학교

부평구에는 대학교가 없다.

6. 2. 고등학교

6. 3. 특수학교

인천성동학교, 인천예림학교, 인천혜광학교, 인천은광학교가 있다.

6. 4. 도서관

7. 교통

부평구의 주요 도로와 철도


=== 철도 ===

한국철도공사 경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부평구를 지나며, 부개역, 부평역, 백운역, 동암역이 있다. 부평역은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의 환승역이며, 급행 정차역이다. 동암역도 급행 정차역이다.

인천교통공사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이 부평구를 지나며, 갈산역, 부평구청역, 부평시장역, 부평역, 동수역, 부평삼거리역이 있다. 부평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의 환승역이며, 부평구청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과의 환승역이다.

서울 지하철 7호선이 부평구를 지나며, 삼산체육관역, 굴포천역, 부평구청역, 산곡역이 있다. 부평구청역은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의 환승역이다.

=== 도로 ===

한국도로공사 관할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 경인고속도로 : 부평 나들목 - 서운 분기점 (계양구와의 경계를 이룬다)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계양구, 부천시와 인접해 있음.


일반 국도는 다음과 같다.

  • 국도 제46호선 : 전 구간 경인로로 지정된 상태


기타 도로로는 다음과 같은 도로들이 있다.

  • 부평대로
  • 장제로
  • 마장로
  • 안남로
  • 무네미로
  • 주부토로
  • 경원대로
  • 부흥로
  • 원적로
  • 장고개로 (장고개로는 가좌동 - 산곡동 사이의 구간은 공사하지 못한 상태)


=== 버스 ===

부평역시외버스정류장에서는 시외버스 R737번과 청주행 시외버스 등을 운행한다. 다만 다른 시외버스 노선이나 고속버스 등은 인천종합버스터미널이나 부천터미널 소풍까지 나가서 승차해야 한다. 안양역 시외버스 정류장이나 케이티엑스 광명역을 이용하려면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이용하거나 부천버스 소속 88번을 이용하여 송내역에 내린 뒤 소신여객의 G8808번 직행좌석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7. 1. 철도



한국철도공사 경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부평구를 지나며, 부개역, 부평역, 백운역, 동암역이 있다. 부평역은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의 환승역이며, 급행 정차역이다. 동암역도 급행 정차역이다.

인천교통공사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이 부평구를 지나며, 갈산역, 부평구청역, 부평시장역, 부평역, 동수역, 부평삼거리역이 있다. 부평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의 환승역이며, 부평구청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과의 환승역이다.

서울 지하철 7호선이 부평구를 지나며, 삼산체육관역, 굴포천역, 부평구청역, 산곡역이 있다. 부평구청역은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의 환승역이다.

7. 2. 도로



한국도로공사 관할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 경인고속도로 : 부평 나들목 - 서운 분기점 (계양구와의 경계를 이룬다)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계양구, 부천시와 인접해 있음.


일반 국도는 다음과 같다.

  • 국도 제46호선 : 전 구간 경인로로 지정된 상태


기타 도로로는 다음과 같은 도로들이 있다.

  • 부평대로
  • 장제로
  • 마장로
  • 안남로
  • 무네미로
  • 주부토로
  • 경원대로
  • 부흥로
  • 원적로
  • 장고개로 (장고개로는 가좌동 - 산곡동 사이의 구간은 공사하지 못한 상태)

7. 3. 버스



부평역시외버스정류장에서는 시외버스 R737번과 청주행 시외버스 등을 운행한다. 다만 다른 시외버스 노선이나 고속버스 등은 인천종합버스터미널이나 부천터미널 소풍까지 나가서 승차해야 한다. 안양역 시외버스 정류장이나 케이티엑스 광명역을 이용하려면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이용하거나 부천버스 소속 88번을 이용하여 송내역에 내린 뒤 소신여객의 G8808번 직행좌석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8. 경제

부평구에는 동서식품, 한국지엠 등의 기업이 위치해 있다.

9. 문화

10. 출신 인물

11. 자매 결연 도시

부평구의 자매 결연 도시
지역 & 국가도시
25px
강원특별자치도
25px
평창군
25px
경상남도
25px
고성군
25px
경상북도
25px
군위군
25px
광주광역시
25px
북구
25px
대구광역시
25px
남구
25px
대전광역시
25px
유성구
25px
울산광역시
25px
북구
25px
전라남도
25px
완도군
25px
전라북도
25px
무주군
25px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25px
충청남도
25px
금산군
25px
충청북도
25px
충주시
25px
오리건주
잭슨군
우돔사이주우돔폰시


11. 1. 국내

'''Do not move this image''' to Wikimedia Commons.}}}}

|분류=||-|-sysop|move|}}}}}

|준보호

|semi

|autoconfirmed=|sysop|}}

|이동

|move=

|보호

|관리자

|administrator

|extendedconfirmed

|full

|sysop

|#default=}}}}||

|준보호

|semi

|autoconfirmed=준보호

|보호

|관리자

|administrator

|extendedconfirmed

|full

|sysop

|#default=보호}} 중인 파일|부평구]]}}}}}}}





}}}}







|| align="center"| 강원특별자치도 || align="center"| 평창군

|-

| align="center"| 경상남도|| align="center"| 고성군

|-

| align="center"| 경상북도 || align="center"| 군위군

|-

| align="center"| 광주광역시 || align="center"| 북구

|-

| align="center"| 대구광역시 || align="center"| 남구

|-

| align="center"| 대전광역시 || align="center"| 유성구

|-

| align="center"| 울산광역시 || align="center"| 북구

|-

| align="center"| 전라남도 || align="center"| 완도군

|-

| align="center"| 전라북도 || align="center"| 무주군

|-

| align="center"| 제주특별자치도 || align="center"|서귀포시

|-

| align="center"| 충청남도 || align="center"| 금산군

|-

| align="center"| 충청북도 || align="center"| 충주시

|-

| align="center"|




|| align="center"| 오리건주 || align="center"|잭슨군

|-

| align="center"|

|| align="center"|우돔사이주 || align="center"|우돔폰시

|}




  • 대구 남구
  • 광주광역시
  • 대전 유성구
  • 울산광역시
  • 강원도 평창군
  • 충청북도 충주시
  • 충청남도 금산군
  • 경상북도 군위군
  • 경상남도 고성군
  • 전라북도 무주군
  • 전라남도 완도군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flag template documentation|United States|USA|USA|USA|header=

}}

미국 오리건주 잭슨군



우돔폰,

11. 2. 국외

지역 & 국가도시
오리건주잭슨군
우돔사이주우돔폰시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null https://www.icbp.go.[...]
[3] 웹사이트 Welcome to Bupyeong-gu office | Origin and history http://www.icbp.go.k[...]
[4] 웹사이트 MotorTrend: New Cars - Car News and Expert Reviews http://wot.motortren[...]
[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6]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7]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8] 간행물 청동기시대 http://www.grandcult[...]
[9] 간행물 부평구 https://encykorea.ak[...]
[10] 간행물 돌도끼, 부평역사 699 https://www.emuseum.[...]
[11] 간행물 부평도호부 http://bucheon.grand[...]
[12] 간행물 부천 고강동 선사유적 제7차 발굴조사 보고서 https://memory.libra[...] 2005-01-01
[13] 논문 우휴모탁국과 부천 https://www.kci.go.k[...]
[14] 간행물 경기 부평도호부 https://sillok.histo[...]
[15] 간행물 장제군 https://db.history.g[...]
[16] 논문 한강하류 고대 교통로에 대한 검토 http://gyeore.or.kr/[...] 2013-01-01
[17] 뉴스 ‘주부토’ 새겨진 기와 계양산성 대거 발굴 http://www.kyeonggi.[...] 경기일보 2009-08-31
[18] 뉴스 주부토 확정 근거 미약하다 http://www.incheonne[...] 인천일보 2009-08-31
[19] 서적 역주 삼국사기 4 주석편(하) http://www.riss.kr/s[...]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 간행물 장제군 http://bucheon.grand[...]
[21] 뉴스 정명(定名) 700주년, ‘부평’을 말하다 https://www.incheont[...] 인천투데이 2010-04-09
[22] 간행물 동성 https://encykorea.ak[...]
[23] 간행물 부평부를 현으로 강등하다 https://sillok.histo[...] null
[24] 간행물 경기의 부평현을 도호부로 삼았다 https://sillok.histo[...] null
[25] 간행물 부평부 http://dh.aks.ac.kr/[...]
[26] 간행물 부평도호부 https://db.itkc.or.k[...]
[27] 법률 개국 504년 칙령 제98호 null
[28] 간행물 부평군 수탄면 http://www.grandcult[...]
[29] 법률 다이쇼 2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null
[30] 간행물 부천군 http://bucheon.grand[...]
[31] 간행물 관보 제4611호 http://theme.archive[...] 대한민국 공보부 1967-03-30
[32] 법률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null 1987-12-31
[33] 법률 법률 제4051호 부산직할시강서구설치및시·도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null 1988-12-31
[34] 법률 서울특별시 광진구 등 9개 자치구 설치 및 특별시·광역시·도간 관할구역 변경 등에 관한 법률 http://www.law.go.kr[...] 1994-12-22
[35] 웹인용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2016-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