싼디먼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싼디먼향은 대만 핑둥 현 북단에 위치한 향이다. 파이완족이 다수를 차지하며, 2024년 2월 기준 7,717명이 거주한다. 파이완어 지명 '셋지무르'를 중국계 정착민들이 '산저모' 또는 '산지문'으로 음역하여 명칭이 유래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산치몬'으로 불렸다. 1945년 이후 '산디멍 향', '산디 향'으로 변경되었다가 1992년 현재의 이름으로 확정되었다. 싼디먼향은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원주민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관광 명소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핑둥현의 행정 구역 - 차오저우진
차오저우진은 중화민국 핑둥 현 서부에 위치한 진으로, 핑둥 평원에 자리 잡고 있으며, 광둥성 차오저우시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21개 마을로 구성되어 있고, 타이완 철로관리국 핑둥 선의 차오저우 역과 국도 3호선, 88번 성도가 지나가며, 바다 삼림 공원, 차오린 사 등이 주요 관광지이고 코코넛, 빈랑, 장어 등이 특산물이다. - 핑둥현의 행정 구역 - 린뤄향
린뤄향은 핑둥 현 북부에 위치하며 핑둥 평원에 자리한 평탄한 지형의 향으로, 린뤄역과 국도 3호선을 통해 교통이 편리하고 개대성왕묘 등의 관광 명소가 있으며 추리엔후이와 천자화와 같은 인물을 배출했다.
싼디먼향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산디먼 향 (三地門鄉) |
별칭 | 해당 없음 |
종류 | 타이완의 산지 원주민 향 |
위치 | 핑둥 현 |
면적 | 196 km² |
인구 (2024년 2월) | 7,717명 |
지리 | |
위치 | 핑둥 현 내 |
특징 | 산지 |
행정 | |
소속 국가 | 중화민국 |
하위 행정 구역 | 10개 촌 82개 린 |
행정 수반 | 귀효혜 (歸曉惠) |
우편 번호 | 901 |
전화 번호 | 08 |
언어 정보 | |
주요 언어 | 파이완어 (Stimur) |
기타 명칭 | 산지문 (山地門), 산지 (三地), 산저문 (山猪門), 스띠모아 (斯笛摩児) |
중문 정보 | |
중국어 간체 | 三地门乡 |
한어 병음 | Sāndìmén Xiāng |
웨이드-자일스 | San¹-ti⁴-men² Hsiang¹ |
민난어 | Sam-tē-mn̂g-hiong |
객가어 | Sâm-thi-mùn |
옛 표기 | 산디먼 (山地門) |
기타 | |
일본어 표기 | 산치몬 (さんちもん), 산치본 (さんちぼん) |
한국어 표기 | 삼지문향 |
2. 지리
싼디먼 향은 핑둥 현 북단에 위치하고, 북쪽은 가오슝 현 마오린 향, 동쪽은 우타이 향, 서쪽은 가오수 향, 남쪽은 네이푸 향, 마자 향과 각각 접하고 있다. 산지와 평원의 경계에 위치하고 향내에는 구릉 지대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해발은 100m~2159m이다. 아이랴오시(隘寮渓)가 향내를 흐르고 있다. 주민은 파이완족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싼디먼 향은 원래 파이완어로 '스티모르'(setjimur|lit=Tjimur 지역의 사람들pwn[2])라고 불렸으나, 복건성에서 온 이주민들에 의해 같은 발음의 호키엔어 한자 지명인 산저모(山豬毛, 멧돼지 털) 또는 산지문(山地門, 산문)[3]으로 불리게 되었다. 1935년 일본 통치 시대에는 '산치몬(Sanchimon)'(山地門)으로 불렸다.[4]
싼디먼향은 파이완어로 '스티모르'라고 불렸지만, 복건에서 온 이주자들에 의해 산저모(山豬毛) 혹은 산지문(山地門)과 같이 발음이 같은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1935년, 일본 제국은 파이완족의 티모르사(Timor), 타라바찰사(Talavatsal), 사라라우사(Saralau)의 3개 부락을 현재의 싼디먼 지역으로 이주시켜 취락을 건설했다.[5] 일제강점기가 끝나고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중화민국 시기에는 가오슝 현 싼디멍 향(三地盟鄉)이었다가 1947년에 싼디 향(三地鄉)으로 개칭되었고, 1950년에 핑둥 현에 귀속되었다. 1992년 8월, 싼디먼 향으로 이름이 바뀌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5]
3. 명칭
1945년 일본으로부터 대만이 중화민국에 이양된 후에는 싼디멍 향(三地盟鄉)이 되었다가, 1947년에 싼디 향(三地鄉)으로 다시 바뀌었지만, 'Soaⁿ-tē-mn̂g'의 타이완식 발음은 계속해서 널리 사용되었다.[4] 1992년 8월에 현재의 이름인 싼디먼 향(三地門鄉)으로 개칭되었다.
4. 역사
4. 1. 일제강점기
싼디먼은 파이완어로 '스티모르'로 불리고 있었지만, 복건에서 온 이주자들에 의해 발음이 같은 산저모(山豬毛) 혹은 산지문(山地門)으로 불리게 되었다. 1935년, 일본 제국은 파이완족의 티모르사(Timor), 타라바찰사(Talavatsal), 사라라우사(Saralau)의 3사를 현재의 싼디먼 지구로 이주시켜 취락을 건설했다. 당시에는 다카오 주 헤이토 군의 관할이며, 산치몬(三地門)으로 불렸다.[5] 일제강점기 시대에 삼지문(三地門)은 현대의 마자향(瑪家鄉)과 우타이향(霧台鄉)과 함께 蕃地|번지일본어로 묶여 타카오 주 핑둥 군의 관할 아래 있었다. 1934년에는 北原白秋가 타이완을 여행하던 중 이곳을 방문하여 “산테이몬(サンテイモン)”이라는 제목의 동요를 작사하였다. 작곡은 弘田龍太郎이다.[5]
4. 2. 중화민국 시기
1935년, 일본 제국 정부는 파이완족의 티무르사(Timor), 타라바찰사(Talavatsal), 사라라우사(Saralau)의 3개 부락을 현재의 싼디먼 지역으로 이주시켜 취락을 건설했다. 당시에는 다카오 주 헤이토 군의 관할이었으며, 산치몬(三地門)으로 불렸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에는 가오슝 현 싼디멍 향(三地盟鄉)이었다가 1947년에 싼디 향(三地鄉)으로 개칭되었고, 1950년에 핑둥 현에 귀속되었다. 1992년 8월에 싼디먼 향으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5]
5. 행정 구역
싼디먼향은 안포(安浦), 달라이(達來), 다셰(大舍), 더원(德溫), 징산(景山), 징예(景業), 커우셰(叩舍), 마니(馬尼), 사이자(賽加), 산더(三德) 등 10개의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1]
촌(村) |
---|
다셰촌(大社村), 더원촌(德文村), 달라이촌(達來村), 산더촌(三地村), 사이자촌(賽嘉村), 마니촌(馬尼村), 안포촌(安坡村), 징산촌(青山村), 징예촌(青葉村), 커우셰촌(口社村) |
6. 교육
- 핑둥현 삼지국민소학교
- 핑둥현 청산국민소학교
- 핑둥현 구사국민소학교
- 핑둥현 싸이자국민소학교
- 핑둥현 다서국민소학교
7. 교통
종류 | 노선 명칭 | 기타 |
---|---|---|
성도 | 대22선 | |
성도 | 대27선 |
8. 관광
- 구추안교(Guchuan Bridge)
- 마오린국가풍경구(Maolin National Scenic Area)
- 타이완 원주민 문화원구
- 덕문팔경
- 달래 현수교
- 다사 폭포
- 다진 폭포
- 자접곡
- 해신궁 계곡
- 무대 계곡교
참조
[1]
웹사이트
Glossary of Names for Administrative Divisions
http://placesearch.m[...]
Ministry of the Interior
2015-04-01
[2]
서적
An Investigation of the Aborigines in Taiwan. Vol VIII. Paiwan
Institute of Ethnology, Academia Sinica
[3]
사전
holodict 40016
[4]
서적
[[Independent Evening Post]]
1994
[5]
웹사이트
【歴史に消えた唱歌06】「エキゾチック」に魅せられた巨匠
https://taiwan-news.[...]
2021-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