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씨 (일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씨(氏)는 고대 일본에서 남계 혈연 집단을 가리키는 용어였다. 씨는 씨족의 가장인 '우지노카미'가 씨인(씨족 구성원)을 통솔하고, 부민과 노비 등을 지배했다. 씨는 조정 내 직무, 거주지 지명에서 유래했으며, 카바네(姓)에 따라 정치적 지위가 결정되었다.

중세 이후에는 씨가 성(姓)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무사들은 지명을 사용하여 가명이나 묘자를 칭했다. 메이지 시대에는 평민에게도 성씨 사용이 허용되었고, 1875년에는 의무화되었다. 현대 일본 법에서는 씨가 이름과 함께 씨명을 구성하며, 호적법에 따라 호적에 기재된다. 씨의 법적 성격에 대해서는 개인 호칭설이 통설이나, 가족 공동 생활을 하는 개인에게 공통되는 호칭으로서의 성격도 함께 가진다는 견해가 유력하다. 씨는 출생, 혼인, 양자 입양, 그리고 예외적인 사유로 인해 변경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씨 (일본) - 신찬성씨록
    신찬성씨록은 일본 헤이안 시대에 편찬된 씨족 계보서로, 수도와 주변 지역의 1,182개 씨족의 계보를 황별, 신별, 제번으로 분류하여 기록하고 있으며, 제번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 등 한반도계 씨족이 포함되어 있다.
  • 씨 (일본) - 기요하라씨 (히로스미류)
    기요하라씨 (히로스미류)는 명경박사 기요하라 히로스미를 시조로 하는 일본 씨족으로, 그의 후손들은 명경도를 가업으로 삼아 번성했으며, 가마쿠라 막부를 섬기고 공경의 지위에 오르기도 했고, 국학, 유학 연구에 업적을 남겼으며, 에도 시대 초기에는 분가하기도 했다.
  • 경어 - 높임말
    높임말은 상대를 존중하는 언어적 표현으로, 존경어, 겸양어, 정중어, 미화어 등으로 나뉘며, 언어 유형론적으로는 대상, 상대, 방관자 높임말로 분류된다.
  • 경어 - Ms.
    Ms.는 여성의 결혼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영어 호칭으로, 17세기에 처음 사용된 후 20세기 페미니즘 운동과 함께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 영어권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호칭이다.
씨 (일본)
개요
씨 (우지)일본의 고훈 시대(3세기 말 ~ 7세기)에 존재했던 씨족 제도
씨 (우지)씨(氏)는 고훈 시대의 사회 구조를 형성하는 기본 단위였으며, 정치적, 사회적 권력을 행사한 귀족 가문 집단이었다.
카바네 (姓)각 씨(氏)의 정치적 지위와 역할을 나타내는 칭호.
우지노카미 (氏上)씨(氏)의 우두머리. 씨족 구성원을 통솔하고 제사를 주관했다.
우지비토 (氏人)씨(氏)에 소속된 사람들을 의미하며, 씨족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역사적 배경
성립 시기야요이 시대 후기 ~ 고분 시대 초기에 걸쳐 형성되기 시작했다.
발전고분 시대에 이르러 강력한 정치 세력으로 성장했다.
영향력야마토 정권의 지배 체제 강화에 기여했다.
구조와 특징
혈연 중심공동의 조상을 모시는 혈연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사회적 계층씨(氏)의 구성원은 각자의 신분에 따라 역할이 분담되었다.
카바네 (姓)씨(氏)의 사회적 지위와 권위를 나타내는 칭호 (예: 오미(臣), 무라지(連), 스쿠네(宿禰) 등).
경제 기반토지를 소유하고 농업 생산을 통해 경제력을 유지했다.
주요 씨족 (우지)
소가 씨 (蘇我氏)불교 수용에 적극적이었으며, 6세기 아스카 시대에 강력한 권력을 행사했다.
모노노베 씨 (物部氏)군사력을 바탕으로 야마토 정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후지와라 씨 (藤原氏)나라 시대 이후 섭관 정치를 통해 권력을 장악했다.
미나모토 씨 (源氏)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가마쿠라 막부를 열어 무사 정권 시대를 열었다.
다이라 씨 (平氏)헤이안 시대 말기에 권력을 잡았으나, 미나모토 씨와의 겐페이 전쟁에서 패배했다.
역할과 기능
정치적 기능야마토 정권의 의사 결정에 참여하고 관직을 독점했다.
군사적 기능각 씨(氏)는 자체적인 군사력을 보유하여 전쟁에 참여했다.
제사 기능씨(氏)의 조상을 모시는 제사를 주관하고 종교 의례를 담당했다.
사회적 기능씨(氏)의 구성원을 보호하고 사회 질서를 유지했다.
쇠퇴와 변화
율령 체제 도입7세기 후반, 율령 체제가 도입되면서 씨(氏)의 권한이 약화되었다.
귀족 세력 변화새로운 귀족 세력이 등장하면서 씨(氏)의 영향력이 축소되었다.
가바네 (姓) 제도 폐지씨(氏)와 카바네(姓) 제도가 폐지되고 새로운 관위제가 시행되었다.
참고 문헌

2. 고대 씨족

고대 일본에서 '''씨'''(氏, 우지)는 남계 조상을 같이하는 동족 혈연 집단, 즉 씨족을 가리킨다.[12] 씨는 분권화된 통치 구조를 형성했으며, 각 씨족은 족장 또는 군벌이 통치하고 고유한 우지가미(氏神)를 숭배했다.

중국 기록에 따르면, 도시가 성장하면서 분화된 씨족들은 야마토 평원(현재의 나라오사카 사이 지역)을 점유하고, 이러한 독립적인 영토의 보호와 세금을 담당했다. 고훈 시대(300~552년) 초기의 중국 기록인 ''위지''에서는 강력한 야마토 씨족의 일원인 여왕이 여러 씨족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7] 고대 일본에는 중앙 집권 정부, 공용어, 성문법이 없었기 때문에, 신토 종교적 신념이 씨 구성원의 세습적 혈통을 결정했다.[8]

6세기 후반과 7세기 초, 야마토 씨족(황실)은 권력을 강화했으며, 쇼토쿠 태자는 604년에 17조 헌법을 제정하여 대 씨족의 정치적 지배를 약화시키려는 시도를 했다.[9]

씨와 카바네(성)은 구분되었으며, 조정의 공식 문서에서는 근세(에도 시대)까지 이어졌다. 예를 들어, 아시카가 다카우지는 "미나모토노 아손 다카우지"라고 표기했는데, "미나모토"가 씨(우지)이고, "아손"이 성(카바네)이다. 다른 계통이라도 같은 "씨"의 이름을 가지는 경우가 있었다 (예: 겐지).

2. 1. 고대 씨족의 구조

씨는 가장인 "우지노카미(氏の上)"가 주요 구성원인 "우지비토(氏人)"를 통솔하고, 피지배 계층인 "베노타미(部民)"나 "누히(奴婢)"를 예속시켰다.[12] 씨는 부민, 전장(田荘), (川) 등의 공유 재산을 관리하고, 우지가미(氏神)를 공동으로 섬겼다.[12] 씨의 이름은 조정 내 직무나 근거지, 거주지의 지명에서 유래하며, 많은 경우 씨성 제도에 따라 지위에 따라 주어진 카바네(姓)를 가지고, 정치적 지위는 카바네에 의해 질서 지워졌다.[12]

씨의 이름은 다음과 같이 유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유래씨의 예
국명 (고쿠조)이즈모 씨(이즈모 국조), 오와리 씨(오와리 국조), 기 씨(기 국조), 스와 씨(스와 국조), 기비 씨(기비 제국조), 가쓰라기 씨(가쓰라기 국조), 게노 씨(조게노 국조・시모게노 국조)
원시성와니 씨, 호즈미 씨, 소가 씨, 아즈미 씨, 구메 씨
조정 내 직무(시나베)모노노베 씨, 오토모 씨, 하타라베 씨, 누카타베 씨, 젠 씨, 아마베 씨, 이소베 씨, 아즈미 이누카이 씨, 토리이 씨, 사카이베 씨
미야고하세베 씨, 오하세베 씨, 카네사시 씨, 타다 씨
황족 (나이다이)타케베 씨, 오사카베 씨, 히시카베 씨
천황에게 성을 하사받아 새롭게 명명된 씨후지와라 씨, 타치바나 씨, 겐지, 헤이시, 도요토미 씨



타 씨, 아베 씨와 같이, 지명 기원인지 직무명 기원인지 논의가 있는 씨도 있다. 우지 뒤에는 (고대에는) 격조사 "'''노'''"를 넣어 읽는다. 이 "'''노'''"는 귀속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소가'''노'''우마코"라면 소가 씨 "의(에 속하는)" 우마코를,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라면 겐지 "의" 요리토모를 의미한다.

또한, 씨의 호칭은 남계 조상을 같이하는 혈연 집단을 기반으로 칭하는 것으로, 결혼으로 인해 원래 소속된 가족 집단과 다른 씨에 속하는 가족 집단으로 옮겨가도 바꿀 수 없었다. 다만 양자 입양의 경우에는 사례에 따라 달랐다. 미나모토노 모로후사가 후지와라노 요리미치의 양자가 되어도 "후지와라노 모로후사"라고 칭하지 않았지만, 미나모토노 요시이에의 넷째 아들 코레요리가 타카시나 씨에게 양자로 갔을 때는 타카시나 씨로 개칭했다. 후지와라노 기요히라와 같이, 원래 데릴사위 형태로 기요하라 씨를 칭하던 사람이 후지와라 성으로 돌아간 경우도 있다.

2. 2. 고대 씨족의 종류


  • 국조에서 유래하는 씨 - 이즈모 씨(이즈모 국조), 오와리 씨(오와리 국조), 기 씨(기 국조), 스와 씨(스와 국조), 기비 씨(기비 제국조), 가쓰라기 씨(가쓰라기 국조), 게노 씨(조게노 국조・시모게노 국조) 등.
  • 원시성에 유래하는 씨 - 와니 씨, 호즈미 씨, 소가 씨, 아즈미 씨, 구메 씨 등.
  • 조정 내의 직무(시나베)에 유래하는 씨 - 모노노베 씨, 오토모 씨, 하타라베 씨, 누카타베 씨, 젠 씨, 아마베 씨, 이소베 씨, 아즈미 이누카이 씨, 토리이 씨, 사카이베 씨 등.
  • 미야고에 유래하는 씨 - 하세베 씨, 오하세베 씨, 카네사시 씨, 타다 씨 등.
  • 황족(나이다이)에 유래하는 씨 - 타케베 씨, 오사카베 씨, 히시카베 씨 등.
  • 천황에게 성을 하사받아 새롭게 명명된 씨 - 후지와라 씨, 타치바나 씨, 겐지, 헤이시, 도요토미 씨 등.

2. 3. 고대 씨족과 야마토 정권

''씨''(氏)는 분권화된 통치 구조를 형성했다.

중국 기록에 따르면, 도시가 성장하면서 분화된 씨족들은 야마토 평원(현재의 나라오사카 사이 지역)을 점유했다. 씨족들은 이러한 독립적인 영토의 보호와 세금을 담당했다. 각 씨족은 족장 또는 군벌이 통치했으며, 고유한 ''우지카미''(氏神) 또는 씨족 정신을 숭배했다. ''씨''(氏) 씨족 체제에 대한 가장 상세한 고대 기록은 고훈 시대(300~552년) 초기의 중국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7]

''위지''에서 지적했듯이, 강력한 야마토 씨족의 일원인 여왕이 여러 씨족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하는 한, "왜인" 사이에는 평화가 유지되었다. 고전 이전의 일본에는 중앙 집권 정부, 공용어 및 성문법이 없었기 때문에, 신토 종교적 신념이 ''씨''(氏) 구성원의 세습적 혈통을 결정했다.[8]

강력한 야마토 씨족(황실)은 6세기 후반과 7세기 초에 권력을 강화했으며, 쇼토쿠 태자는 서기 604년에 17조 헌법을 제정했다. 이 헌법은 공식적인 법적 텍스트는 아니었지만, 대 씨족의 정치적 지배를 약화시키기 위한 관료제를 만들려는 시도였다.[9]

3. 중세 이후 씨의 변화

헤이안 시대부터 씨(氏)는 성(姓)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귀족이나 무사들은 혈연 집단에서 갈라져 나온 새로운 가족 집단을 구별하기 위해 지명을 사용한 가명 또는 묘자(성씨)를 사용했다.[16]

3. 1. 씨와 가명/묘자

헤이안 시대부터 일반적으로 성(姓)은 씨(氏)를 가리키며 같은 의미가 되었다(예를 들어, 겐(源)성은 겐씨(源氏)를 의미한다).

귀족이나 무사들은 혈연 집단(같은 씨에 속하는)에서 갈라져 나온 새로운 가족 집단을 구별하기 위해 지명을 사용하여 가명 또는 묘자(성씨)를 스스로 칭하게 되었고, 그것이 일반적으로 통용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아시카가 다카우지는 씨(氏)의 "겐(源)"을 사용한 경우에는 "겐 다카우지(源尊氏)"인 데 반해, 묘자(苗字)의 "아시카가(足利)"를 사용한 경우에는 "아시카가 다카우지"이다.[16]

다른 씨족이라도 같은 묘자를 가질 수 있었다(예를 들어, 겐(源)성을 가진 아시카가 씨와 후지(藤)성을 가진 아시카가 씨).

4. 근대 씨 제도

메이지 시대에는 1870년 평민에게도 성씨 사용을 허용하는 평민 성씨 허용령이 내려져, 신분적 특권이었던 성씨를 평민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17]

1872년 임신호적 편찬 시 호적에 등록할 씨가 정해졌다. 이때 많은 호주가 호적에 성씨 가명을 등록했다. 예를 들어 오치 스쿠네 히로후미는 이토 히로부미로, 스가와라 아손 시게노부는 오쿠마 시게노부로 등록했다. 이후 국가가 공적인 장면에서 전통적인 씨성(우지카바네) 제도 용법을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어졌다. 임신호적을 통해 전통적인 씨성 제도의 용법은 사실상 거의 사라졌다고 할 수 있다.[17]

1875년에는 모든 국민에게 성씨 사용을 의무화하는 평민 성씨 필칭 의무령이 내려졌다. 1876년 태정관 지령에서는 아내가 친정의 성씨를 칭해야 한다고 했으나,[18] 1890년 구민법에서는 부부 동성 제도가 확립되었다. 이는 민법전 논쟁으로 시행이 연기되었지만, "호주 및 가족은 그 집의 씨를 칭한다"라는 조항은 그대로 계승되었다(구민법 인사편 243조 2항, 메이지 민법 746조).[20]

5. 현대 일본법에서의 씨

씨는 이름과 함께 씨명을 구성한다. 현행 호적법에 따르면, 호적에는 호적 내 각 개인에 대해 씨명을 기재하도록 되어 있다(호적법 제13조 제1호).[1]

5. 1. 씨의 법적 성격

1947년(쇼와 22년) 민법 개정 후 현행법 하에서 '씨'의 법적 성격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다. 혈연이나 가족을 배경으로 보는 혈연 단체 명칭설이나 가족 공동체 명칭설이 있는 반면, 어떤 집단을 예정해야 할 근거가 없다는 개인 호칭설이나 다원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다원적 성격설 등이 있어 씨의 법적 성격에 대한 견해가 나뉘고 있다.[1][2] 민법학상 통설은 개인 호칭설이지만, 최근에는 가족 공동 생활을 하는 개인에게 공통되는 호칭으로서의 성격을 함께 가지고 있다는 견해가 유력해지고 있다.[3]

현행법상 씨의 법적 성격에 관한 견해는 다음과 같다.

  • '''개인 호칭설''': 씨는 순수하게 각 개인의 동일성을 식별하기 위한 개인의 호칭이라는 견해이다.
  • '''혈연 단체 명칭설'''(혈통명설): 씨는 각 개인이 속한 혈연 단체(혈연)의 명칭이라는 견해이다.
  • '''가족 공동체 명칭설'''(가족 공동태 명설): 씨는 각 개인이 속한 가족(가족 공동체·가족 공동태)의 명칭이라는 견해이다.
  • '''동적자 집단 명칭설'''(동적자명설): 씨는 호적 편제의 기준이 되는 동적자 집단의 명칭이라는 견해이다.
  • '''다원적 성격설''': 씨의 법적 성격을 다원적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이 중 개인 호칭설이 현재 민법학상의 통설로 여겨진다. 그러나 최근에는 씨가 사람의 동일성을 명확히 함과 동시에, 현실의 가족 공동 생활을 하는 개인에게 공통되는 호칭으로서의 성격을 함께 가지고 있다는 견해가 유력해지고 있다.[3]

현행법상, 씨가 달라지는 것은 원칙적으로 실체적 권리 관계를 수반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예외적으로 제사 재산의 승계와 호적의 편제에 관해서는 씨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3]

5. 2. 씨의 취득과 변동


  • 출생 시에는 부모의 씨를 따르는 것이 원칙이다(부자 동씨의 원칙[4]). 다만, 혼인 외 출생자(비적출자)는 어머니의 씨를 따른다(민법 790조 제2항).[5]
  • 혼인 시에는 부부가 합의하여 남편 또는 아내의 씨를 따른다(민법 750조, 부부 동성 원칙[6]). 다만, 일본인이 외국인과 결혼하는 경우에는 부부 동성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7]
  • 양자 입양 시에는 양자는 양부모의 씨를 따른다(민법 810조 본문). 다만, 혼인으로 씨를 바꾼 사람은 혼인 시 정한 씨를 따라야 하는 동안은 혼인으로 인한 씨를 우선한다(혼인 씨 우선의 원칙, 민법 810조 단서).
  • 이혼 또는 혼인 취소 시에는 혼인 전의 씨로 되돌아가는 것이 원칙이다(민법 767조 제1항・민법 771조・민법 749조. 복성 원칙[9]). 다만, 이혼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고하면 이혼 시 칭하고 있던 씨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민법 767조 제2항・민법 771조・민법 749조. 혼씨 속칭[10]).
  • 부부 중 한쪽이 사망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복성되지 않는다.[12] 다만, 생존 배우자는 신고를 통해 혼인 전의 씨로 돌아갈 수 있다(생존 배우자의 복성, 민법 751조, 호적법 제95조).
  • 양자는 이혼으로 인해 원칙적으로 입양 전의 씨로 돌아간다(민법 816조 제1항 본문. 복성의 원칙[15]).
  • 어쩔 수 없는 사유가 있는 경우, 가정법원의 허가를 얻어 씨를 변경할 수 있다(호적법 제107조 제1항).[17]

참조

[1] 웹사이트 Uji clans, titles and the organization of production and trade http://heritageofjap[...] 2013-05-12
[2] 서적 Uji https://books.google[...] 2005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https://books.google[...] 1988
[4] 문서 Ryūzōji http://www.unterstei[...] 2013-05-12
[5] 서적 On understanding Japanese religion https://books.google[...] 1987
[6] 간행물 36. Uji no kami https://www.persee.f[...] 1995
[7] 서적 Japan: A Documentary History The Dawn of History to the Late Tokugawa Period 1997
[8] 문서 Shinwa kara Rekishi e 1965
[9] 문서 Nikon Shoki 1967
[10] 문서 氏(うじ)」、「氏族(しぞく)」
[11] 문서 氏(うじ)
[12] 문서 氏(うじ)
[13] 문서 皇位継承の伝統 https://kogakkan.rep[...]
[14] 문서 皇位継承の伝統 https://kogakkan.rep[...]
[15] 서적 日本史辞典 角川書店 1996-11-20
[16] 문서
[17] 문서
[18] 웹사이트 法令全書明治九年1453頁 https://dl.ndl.go.jp[...]
[19] 서적 苗字と名前の歴史 吉川弘文館 2006
[20] 서적 夫婦別姓 その歴史と背景 世界思想社 2003
[21] 웹사이트 Uji clans, titles and the organization of production and trade http://heritageofjap[...] 2013-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