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씹기근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씹기근육은 머리뼈에서 시작하여 아래턱뼈에 부착되어 턱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근육으로, 깨물근, 관자근, 안쪽날개근, 가쪽날개근의 네 종류가 있다. 이들은 삼차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발생학적으로는 첫 번째 인두굽이에서 유래한다. 씹기근육은 아래턱뼈를 움직여 씹는 행위를 가능하게 하며, 턱관절 장애나 이갈이와 같은 임상적 문제와 관련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경부 근육 - 빗모뿔근
    빗모뿔근은 목소리를 내는 데 중요한 후두 내재근으로, 윤상연골에 부착되어 서로 교차하며, 혈액과 신경 공급을 받아 후두 입구를 보호하는 괄약근 역할을 한다.
  • 두경부 근육 - 얼굴근육
    얼굴근육은 표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뇌졸중, 벨 마비 등으로 손상되어 얼굴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씹기근육
개요
삼차신경의 가지인 아래턱신경
아래턱신경의 가지
라틴어 이름musculi masticatorii
영어 이름masticatory muscle
신경아래턱신경
기능
작용씹는 것을 도움
대항근해당 정보 없음
상세 정보
기원해당 정보 없음
삽입해당 정보 없음
혈액 공급해당 정보 없음

2. 구조

씹기근육에는 깨물근, 관자근, 안쪽날개근, 가쪽날개근이 있다.

사람의 아래턱뼈턱관절을 통해 머리뼈의 일부인 관자뼈와 연결되어 있으며, 턱관절은 모든 각도로 움직임이 가능한 매우 복잡한 관절이다. 씹기근육은 모두 머리뼈에서 일어나 아래턱뼈에 닿으며, 수축했을 때 턱이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든다.[1]

네 종류의 씹기근육은 모두 아래턱뼈 좌우에 각각 한 개씩, 한 쌍으로 존재한다.[1]

2. 1. 깨물근

깨물근은 얕은갈래와 깊은갈래로 구성되어 있다.[1] 씹기근육은 모두 머리뼈에서 일어나 아래턱뼈에 닿으며, 수축했을 때 턱이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든다.[1] 씹기 근육은 아래턱뼈 좌우에 각각 한 개씩, 한 쌍이 있다.[1]

2. 2. 관자근

아래턱뼈턱관절을 통해 머리뼈의 일부인 관자뼈와 연결되어 있다. 턱관절은 모든 각도로 움직임이 가능한 매우 복잡한 구조의 관절이다. 씹기근육은 모두 머리뼈에서 일어나 아래턱뼈에 닿으며, 따라서 수축했을 때 턱이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든다. 관자근은 씹기 근육 중 하나이며, 나비아래턱근을 관자근의 일부로 보는 경우도 있고, 별개의 근육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2. 3. 안쪽날개근

안쪽날개근은 가쪽날개근과 함께 씹기근육을 구성하는 근육 중 하나이다. 사람의 아래턱뼈턱관절을 통해 머리뼈의 일부인 관자뼈와 연결되어 있는데, 턱관절은 모든 각도로 움직임이 가능한 매우 복잡한 관절이다. 씹기근육은 모두 머리뼈에서 일어나 아래턱뼈에 닿으며, 수축했을 때 턱이 움직이도록 만든다. 안쪽날개근은 아래턱뼈 좌우에 각각 한 개씩, 한 쌍이 있다.

2. 4. 가쪽날개근

가쪽날개근은 머리뼈에서 일어나 아래턱뼈에 닿는 씹기근육 중 하나이다. 좌우에 각각 한 개씩, 한 쌍이 있다. 사람의 아래턱뼈턱관절을 통해 머리뼈의 일부인 관자뼈와 연결되어 있으며, 턱관절은 모든 각도로 움직임이 가능한 매우 복잡한 관절이다.

2. 5. 신경 분포

얼굴신경(제7뇌신경)의 지배를 받는 다른 대부분의 얼굴근육들과 달리, 씹기근육은 삼차신경(제5뇌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좀 더 정확하게는 삼차신경의 가지인 아래턱신경이 씹기근육에 분포한다. 아래턱신경은 감각과 운동 정보를 모두 전달한다.[1]

3. 발생

모든 씹기근육이 같은 신경의 지배를 받는 것은 이들이 모두 첫째 인두굽이에서 발생한다는 증거이다. 반면 얼굴의 표정을 만드는 데에 사용하는 표정근은 둘째 인두굽이에서 발생한다.[1] 배아 발생 시기에 씹기 근육은 모두 첫 번째 인두궁에서 유래한다.[1]

4. 기능

아래턱뼈는 무언가를 씹는 동안 움직이는 유일한 뼈이다. 말할 때와 같이 다른 활동을 할 때에도 아래턱뼈가 움직인다. 씹기를 담당하는 주된 근육은 아래 네 종류의 근육이다.[1] [2]

주동근운동이는곳(기시)닿는곳(부착)
교근아래턱뼈를 올림 (입을 닫고 씹는 것을 도움)관골궁아래턱뼈 (근돌기 및 하악지)
측두근아래턱뼈를 올리고 뒤로 당김 (입을 닫음; 아래턱을 안/뒤로 당김)측두골아래턱뼈 (근돌기와 하악지)
외측 익돌근아래턱뼈를 내림, 전진, 측면으로 움직임 (입을 엶; 아래턱을 밖/앞으로 밀어냄; 아래턱을 좌우로 움직임)위머리: 접형골 큰 날개의 아래관자면
아래머리: 접형골의 외측 익돌판
아래턱뼈; 측두하악관절
내측 익돌근아래턱뼈를 올리고, 전진시키고, 측면으로 움직임 (입을 닫음; 아래턱을 밖/앞으로 밀어냄; 아래턱을 좌우로 움직임)깊은머리: 외측 익돌판과 구개골의 내측면
얕은머리: 상악골의 결절
아래턱뼈 (하악공 아래의 내측 하악지)



이 네 개의 근육이 씹기의 주요 참여자이지만, 혀와 뺨의 근육과 같이 다른 근육도 이 과정을 돕는다.

5. 임상적 중요성

턱관절 장애는 씹기근육과 턱관절의 기능 이상과 통증을 뜻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이갈이는 이를 악물고 비정상적으로 가는 행동을 뜻하며, 전체 인구의 8 ~ 31%에서 나타난다.[8]

5. 1. 턱관절 장애

턱관절 장애는 씹기근육과 턱관절의 기능 이상과 통증을 뜻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턱관절 장애로 인해 아래턱뼈의 움직임이 제한되며 통증이 나타난다.[4] 통증은 무언가를 씹거나 이를 악물 때, 하품할 때 등 턱관절과 씹기근육을 사용할 때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5][6] 씹기근육에서 오는 통증은 비정상적인 근육의 기능이나 과활성에 의한 것이다. 통증은 대개 낮에 이를 악물거나 밤에 이갈이를 하는 것과 연관되어 나타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7]

  • 측두하악 장애
  • 이갈이

5. 2. 이갈이

이갈이는 턱을 악다물어 이를 비정상적으로 가는 것을 말하며, 전체 인구의 8 ~ 31%에서 나타나는 흔한 행동이다.[8] 이를 갈지 않는 사람들의 경우 깨어 있을 때 턱은 대개 휴식 중이다. 위아래 이빨이 맞닿는 시간은 하루에 20분 이하로 추정되며, 이 시간은 대부분 말하거나 무언가를 삼키고 씹을 때이다. 정상적으로 수면을 취할 때는 생리적인 운동 마비로 인해 수의근은 비활성 상태이며 턱은 거의 열려 있는 상태이다.[9] 이갈이는 이런 정상 기능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 비정상적인 상태로,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10][11][12]

참조

[1] 서적 Anatomy & Physiology https://openstax.org[...] OpenStax CNX 2023-06-28
[2] 서적 HEAD AND NECK http://dx.doi.org/10[...] Elsevier 2010
[3] 문서 中塚
[4] 저널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pain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2010-10
[5] 서적 Oral & maxillofacial pathology https://archive.org/[...] W.B. Saunders
[6] 웹인용 Classification of Chronic Pain, Part II, B. Relatively Localized Syndromes of the Head and Neck; Group III: Craniofacial pain of musculoskeletal origin http://www.iasp-pain[...] IASP 2013-05-07
[7] 문서 Contemporary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2008
[8] 저널 Epidemiology of bruxism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9] 저널 Topical review: sleep bruxism and the role of peripheral sensory influences
[10] 서적 Cawsonś essentials of oral pathology and oral medicine. Churchill Livingstone
[11] 저널 Bruxism: a literature review 2010-09
[12] 저널 Bruxism is mainly regulated centrally, not peripherally 20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