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도니람 저드슨 고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도니람 저드슨 고든은 1836년 뉴햄프셔 주 뉴햄프턴에서 태어난 침례교 목사이자, 작가, 교육자이다. 그는 브라운 대학교와 뉴턴 신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매사추세츠 주 록스버리의 자메이카 플레인 침례교회와 보스턴의 클라렌던 스트리트 침례교회에서 목회했으며, 드와이트 L. 무디의 노스필드 컨벤션에서 연사로 활동했다. 고든은 고든 성경 연구원을 설립하여 초대 원장을 지냈으며, 찬송가를 편집하고 "나의 예수, 당신을 사랑합니다"를 포함한 찬송가 멜로디를 작곡했다. 그의 저서 『치유 사역』은 신성한 치유에 대한 중요한 저서로 평가받았다. 고든은 독감과 기관지염으로 1895년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은 아버지의 전기를 출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미국 소설가 - 존 뮤어
    존 뮤어는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시에라네바다 산맥 지형 형성 연구 등 지질학적 업적을 남기고 요세미티 국립공원 설립에 기여했으며 자연 보호 운동을 이끈 자연주의자, 작가, 환경운동가이다.
  • 19세기 미국 소설가 - 존 켄드릭 뱅스
    존 켄드릭 뱅스는 미국의 작가이자 편집자로, 풍자와 해학이 넘치는 초자연적 허구를 바탕으로 한 '뱅스 판타지' 스타일의 작품들을 발표하며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했고, 뉴욕 주 요커스 시장 선거 출마, 교육위원회 위원 활동, 제1차 세계 대전 중 YMCA와 연합군을 위한 강연 활동 등 공직 활동 및 사회 활동에도 참여했다.
  • 1895년 사망 - 루이 파스퇴르
    루이 파스퇴르는 1822년에 태어나 1895년에 사망한 프랑스의 생물학자이자 화학자로서, 분자 키랄성을 입증하고 생물 속생설을 확립했으며, 저온 살균법과 백신 개발을 통해 과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1895년 사망 - 전봉준
    전봉준은 조선 말기 동학 농민 혁명의 지도자로, 부패한 관리 처벌과 일본 세력 축출 등을 주장하며 농민 운동을 이끌었으나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 후 처형되었고, 그의 혁명 정신은 민주주의 운동의 기반이 되었다.
  • 1836년 출생 - 사카모토 료마
    사카모토 료마는 막말 시대에 삿초 동맹을 성사시키고 대정봉환에 기여하는 등 메이지 유신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일본의 사무라이이자 혁명가이며, 그의 혁신적인 사상과 행동은 일본 근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36년 출생 - 이노우에 가오루
    이노우에 가오루는 조슈번 출신으로,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활약하며 일본의 근대화와 불평등 조약 개정에 힘썼고, 겐로로서 정계에 영향력을 행사하다 사망했다.
아도니람 저드슨 고든
기본 정보
아도니람 저드슨 고든
아도니람 저드슨 고든
출생1836년 4월 19일
사망1895년 2월 2일 (향년 58세)
출생지미국 뉴햄프셔주
사망지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국적미국
직업목사, 찬송가 작가, 작가
종교침례교
교육
모교브라운 대학교
신학교뉴턴 신학교
가족
배우자마리아 윌먼 고든
자녀조지 A. 고든
앨리스 고든
헬렌 고든
경력
교회클레어몬트 침례 교회
교회 위치매사추세츠주 클레어몬트
교회보든 스퀘어 침례 교회
교회 위치매사추세츠주 보스턴
신학적 입장
신학근본주의

2. 생애

아도니람 저드슨 고든은 1836년 4월 19일 뉴햄프셔 주 뉴햄프턴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인 침례교 집사 존 캘빈 고든은 존 칼빈의 이름을 딴 칼뱅주의자였다. 그의 어머니는 샐리 로빈슨 고든이었다. A.J. 고든은 최근 미얀마어 성경 번역을 마친 미얀마 선교사 아도니람 저드슨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

고든은 15세에 기독교 개종을 경험했고 그 이후 목사가 되려고 했다. 그는 1860년 브라운 대학교 (당시 침례교 관련 학교)와 1863년 뉴턴 신학 대학원을 졸업했다. 1863년, 그는 마리아 헤일과 결혼하여 매사추세츠 주 록스버리의 자메이카 플레인 침례교회 목사가 되었다. 1869년, 그는 비교적 부유한 교회인 보스턴의 클라렌던 스트리트 침례교회 목사가 되었다. 고든의 지도력 아래, 클라렌던 스트리트 교회는 "미국에서 가장 영적이고 적극적인 교회 중 하나"로 묘사되었다.[2] 이 교회는 더 이상 운영되지 않는다. 고든은 부흥사 드와이트 L. 무디의 노스필드 컨벤션에서 선호되는 연사가 되었다.[3] 매년 여름 고든은 뉴햄프셔에 있는 고향으로 돌아와 데이나 회관에서 설교를 자주 했다.[4]

고든은 갑자기 독감과 기관지염에 걸려 1895년 2월 2일 5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포레스트 힐스 묘지에 묻혔다.[5] 아들 어니스트 배런 고든은 1896년에 그의 아버지의 전기인 ''아도니람 저드슨 고든, 미발표 또는 수집되지 않은 설교와 연설에서 발췌한 편지와 삽화를 포함한 전기''를 출판했으며, 이 책은 아직도 절판되지 않았다.[6]

2. 1. 초기 생애

아도니람 저드슨 고든은 1836년 4월 19일 뉴햄프셔주 뉴햄프턴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 존 캘빈 고든은 존 칼빈의 이름을 딴 침례교 집사였으며, 어머니는 샐리 로빈슨 고든이었다.[1] 아도니람 저드슨 고든이라는 이름은 미얀마 선교사 아도니람 저드슨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 고든은 15세에 기독교 개종을 경험하고 목사가 되려고 했다.[2]

2. 2. 신앙 및 교육

2. 3. 목회 활동

2. 4. 사망

고든은 갑자기 독감과 기관지염에 걸려 1895년 2월 2일 5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 그는 포레스트 힐스 묘지에 묻혔다.[5] 아들 어니스트 배런 고든은 1896년에 그의 아버지의 전기인 ''아도니람 저드슨 고든, 미발표 또는 수집되지 않은 설교와 연설에서 발췌한 편지와 삽화를 포함한 전기''를 출판했으며, 이 책은 아직도 절판되지 않았다.[6]

3. 고든 성경 연구원 (현 고든 칼리지 & 고든 콘웰 신학교)

1889년, 클라렌던 스트리트 교회의 도움과 지원을 받아 고든은 고든 성경 연구원(Gordon Bible Institute)을 설립하고 초대 원장으로 재임했다.[7] 그의 아내 마리아 헤일은 1908년까지 비서 겸 재무를 맡았다. 고든의 학교는 주로 선교사콩고에서 사역하도록 훈련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7] 고든 성경 연구원은 이후 고든 칼리지와 고든 콘웰 신학교로 발전하였다.

4. 저술 및 신학 사상

고든은 두 권의 찬송가를 편집했으며, "나의 예수, 당신을 사랑합니다(My Jesus, I Love Thee)"를 포함하여 최소 15개의 찬송가 멜로디를 작곡했다.[8] 이 찬송가는 1876년부터 현재까지 출판된 거의 모든 복음주의 찬송가에 포함되었다. 그의 저서 『성령의 사역』에서 "신자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한 것처럼, 의식적이고 명확한 믿음의 행위를 통해 성령을 받는 것이 여전히 믿는 자들의 의무이자 특권이라는 것이다"(참고: 성령 세례)라고 기록했다.[8]

그의 가장 기억에 남는 작품은 아마도 육체적, 정신적, 영적인 신성한 치유에 대한 매우 존경받는 저서인 『치유 사역』[1][9]일 것이다. 고든은 치유를 그리스도의 속죄 안에 위치시켰으며, 이는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보편적으로 가능함을 의미했다. 그는 개인적으로 병든 사람들을 위해 기도했지만, 치유를 자신의 정규 교회 사역에 통합하지는 않았다. 『치유 사역』은 초기 오순절 신자들 사이에서 표준적인 저서가 되었다.[10]

4. 1. 저술 활동

고든은 두 권의 찬송가를 편집했으며, "나의 예수, 당신을 사랑합니다(My Jesus, I Love Thee)"를 포함하여 최소 15개의 찬송가 멜로디를 작곡했다.[8] 이 찬송가는 1876년부터 현재까지 출판된 거의 모든 복음주의 찬송가에 포함되었다. 그의 저서 『성령의 사역』에서 "신자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한 것처럼, 의식적이고 명확한 믿음의 행위를 통해 성령을 받는 것이 여전히 믿는 자들의 의무이자 특권이라는 것이다"(참고: 성령 세례)라고 기록했다.[8]

그의 가장 기억에 남는 작품은 아마도 육체적, 정신적, 영적인 신성한 치유에 대한 매우 존경받는 저서인 『치유 사역』[1][9]일 것이다. 고든은 치유를 그리스도의 속죄 안에 위치시켰으며, 이는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보편적으로 가능함을 의미했다. 그는 개인적으로 병든 사람들을 위해 기도했지만, 치유를 자신의 정규 교회 사역에 통합하지는 않았다. 『치유 사역』은 초기 오순절 신자들 사이에서 표준적인 저서가 되었다.[10]

4. 2. 신학 사상

고든은 찬송가를 편집하고 찬송가 멜로디를 작곡했으며, 특히 "나의 예수, 당신을 사랑합니다(My Jesus, I Love Thee)"는 1876년부터 현재까지 출판된 거의 모든 복음주의 찬송가에 포함되었다.[8] 그는 저서 『성령의 사역』에서 신자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한 것처럼, 의식적이고 명확한 믿음의 행위를 통해 성령 세례를 받는 것이 믿는 자들의 의무이자 특권이라고 주장했다.[8]

그의 저서 『치유 사역』[1]은 육체적, 정신적, 영적인 신성한 치유에 대한 저서이다.[9] 고든은 치유가 그리스도의 속죄 안에 있으며,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보편적으로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는 개인적으로 병든 사람들을 위해 기도했지만, 치유를 자신의 정규 교회 사역에 통합하지는 않았다. 『치유 사역』은 초기 오순절 신자들 사이에서 표준적인 저서가 되었다.[10]

5. 한국 개신교와의 관계

6. 출판된 작품


  • ''아도니람 저드슨 고든: 전기''(Adoniram Judson Gordon: A Biography)
  • ''교회 예배''(Congregational Worship)
  • ''보라, 그가 오신다''(Ecce Venit: Behold He Cometh)
  • ''충실했던 과거; 기대되는 미래''(A Faithful Past; An Expectant Future)
  •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 또는 믿음의 우선순위''(The First Thing in the World, or, The Primacy of Faith)
  • ''선교에서의 성령''(The Holy Spirit in Missions)
  • ''그리스도는 어떻게 교회에 오셨는가''(How Christ Came to Church)
  • ''그리스도 안에서, 또는, 주님과의 신자의 연합''(In Christ, or, The Believer's Union with His Lord)
  • ''우리의 여정 일지''(Journal of Our Journey)
  • ''치유의 사역, 또는, 모든 시대의 기적적인 치료''(The Ministry of Healing, or, Miracles of Cure in All Ages)
  • ''성령의 사역''(The Ministry of the Spirit)
  • ''여성의 사역''(The Ministry of Women)
  • ''그리스도의 학교''(A School of Christ)
  • ''유산 형성''(Shaping A Heritage)
  • ''이중적인 삶, 또는, 우리를 위한 그리스도의 사역과 우리 안에서의 그리스도의 사역''(The Twofold Life, or, Christ's Work for Us and Christ's Work in Us)
  • ''아직도 말하다: 강연 모음''(Yet Speaking: A Collection of Addresses)

7.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The Granite Monthly: A New Hampshire Magazine Devoted to History, Biography, Literature, and State Progress, Volume 29 http://www.gordon.ed[...] Gordon College 2007-02-12
[2] 서적 Great Preaching on Heaven https://books.google[...] Sword of the Lord Publishers 2000
[3] 서적 Adoniram J. Gordon: A Biography with Letters and Illustrative Extracts Drawn from Unpublished or Uncollected Sermons and Addresses Fleming H. Revell Co.
[4] 간행물 The Granite Monthly: A New Hampshire Magazine Devoted to History, Biography, Literature, and State Progress, Volume 29 https://books.google[...] 2012-12-10
[5] 서적 Adoniram J. Gordon: A Biography...
[6] 서적 Adoniram Judson Gordon https://books.google[...] Garland 2013-09-25
[7] 서적 American universities and colleges: a dictionary of name chang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8] 웹사이트 The Ministry of the Spirit http://glorifyhisnam[...] 2007-02-14
[9] 웹사이트 Dr. R. A. Torrey http://www.withchris[...] 2007-01-09
[10] 서적 The Assemblies of God: A Chapter in the Story of American Pentecostalism Volume 1—To 1941 Gospel Publishing Hou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