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돌프 부테난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돌프 부테난트는 독일의 생화학자이다. 그는 에스트론, 프로게스테론, 테스토스테론과 같은 여성 성호르몬을 발견한 공로로 1939년 레오폴드 루지치카와 함께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부테난트는 괴팅겐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단치히 공과대학교와 카이저 빌헬름 생화학 연구소에서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나치 정권과의 연루와 관련된 논란을 겪었으며, 막스 플랑크 연구소의 소장과 막스 플랑크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레머하펜 출신 - 랄레 안데르센
독일 가수이자 배우인 랄레 안데르센은 "릴리 마를레네"를 불러 유명해졌으며, 카바레 무대에서 활동하다 나치 정권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전후 성공적인 가수 활동을 재개했고, 저술 활동 또한 활발히 펼치다 간암으로 사망했다. - 브레머하펜 출신 - 하이노 페르히
하이노 페르히는 1963년 브레머하펜에서 태어난 독일 배우로, 연극, 영화, TV에서 활약하며 《롤라 런》, 《몰락》 등의 영화와 《마다가스카의 펭귄》, 《코코》 같은 애니메이션 더빙에 참여했다. - 독일의 생화학자 - 요한 다이젠호퍼
요한 다이젠호퍼는 독일의 생화학자이며, 미헬, 후버와 함께 광합성 세균의 단백질 복합체의 3차원 구조를 규명하여 1988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 독일의 생화학자 - 로베르트 후버
로베르트 후버는 막 단백질 구조 규명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독일 화학자로, 단백질 결정학 방법론 개발에 기여하며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서 활동했고 다양한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 1급 전공십자장 수훈자 - 쿠르트 발트하임
오스트리아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인 쿠르트 발트하임은 제4대 유엔 사무총장과 오스트리아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 복무 이력으로 인해 나치 범죄 연루 의혹인 "발트하임 사건"에 휘말려 국제적인 논란을 야기했다. - 1급 전공십자장 수훈자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는 제3제국의 고위 SS 지도자이자 국가보안본부 국장으로서, 홀로코스트 계획을 주도하고 보헤미아-모라비아 보호령의 부총독으로 잔혹한 통치를 펼쳤으나 체코 레지스탕스에 의해 암살당했다.
아돌프 부테난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아돌프 부테난트 |
출생일 | 1903년 3월 24일 |
출생지 | 독일 제국 프로이센 왕국 하노버 주 레헤 (현재 독일 브레멘 주 브레머하펜) |
국적 | 독일 |
사망일 | 1995년 1월 18일 |
사망지 | 독일 뮌헨 |
분야 | 유기화학 및 생화학 |
직장 | 카이저 빌헬름 연구소 / 막스 플랑크 생화학 연구소 단치히 공과대학교 |
모교 |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대학교 괴팅겐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데리스 엘립티카의 생리 활성 성분인 로테논에 대한 연구) |
박사 학위 논문 년도 | 1928년 |
박사 학위 논문 URL | 박사 학위 논문 |
박사 지도 교수 | 아돌프 빈다우스 |
수상 | 노벨 화학상 (1939년) 전쟁 공로 십자 훈장 (1942년) |
로마자 표기 | |
이름 (독일어) | Adolf Butenandt |
수상 내역 | |
노벨상 수상 연도 | 1939년 |
노벨상 수상 분야 | 노벨 화학상 |
노벨상 수상 이유 | 성호르몬 연구 |
기타 | |
사망 정보 | 아돌프 부테난트 씨(부고) |
신문 | 朝日新聞夕刊 |
신문 발행일 | 1995년 1월 19일 |
2. 생애 및 교육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카이저 빌헬름 연구소는 막스 플랑크 연구소로 개편되었고, 부테난트가 속했던 생화학 연구소는 막스 플랑크 생화학 연구소가 되었다. 그는 이곳에서 연구를 계속했으며, 1960년부터 1971년까지는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또한 연구소가 위치한 뮌헨의 명예 시민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1995년 1월 18일 뮌헨에서 9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으며,[31] 사인은 공개되지 않았다.[31]
2. 1. 초기 생애
브레머하펜 근처 레에(Lehe)에서 태어나 브레머하펜(Bremerhaven)과 베페어슈테트(Vegesack)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학업을 시작했으며, 이후 괴팅겐 대학교로 옮겨 노벨상 수상자인 아돌프 빈다우스의 지도 아래 화학을 공부했다. 그는 빈다우스의 연구팀에 합류하여 콩과 식물인 데리스속(''Derris'', 특히 데리스 엘립티카) 뿌리에서 발견되는 살충 성분 로테논의 화학 구조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고, 이를 분리하고 특성을 규명하여 1927년 화학 Ph.D.를 취득했다.하빌리타치온을 통과한 후 1931년 괴팅겐 대학교에서 강사가 되었으며, 같은 해부터 여성 호르몬 연구를 시작하여 유기화학 및 생화학 연구실의 지도자가 되었다. 1933년에는 단치히 공과대학교(Danziger Technische Hochschule, 현 그단스크 공과대학교) 교수로 임명되었다. 1935년 하버드 대학교를 방문하여 시찰하였고, 1936년에는 베를린 다렘(Dahlem)에 있는 카이저 빌헬름 연구소 생화학부 부장이 되었다. 나치 독일 시대에는 사람의 간을 이용한 항생 작용 연구를 수행하여 현재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31] 1938년에는 훔볼트 베를린 대학교의 명예교수가 되었다.
2. 2. 대학교 교육
브레머하펜 근처 레에(Lehe)에서 태어난 그는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학업을 시작했다. 이후 괴팅겐 대학교로 옮겨 노벨상 수상자인 아돌프 빈다우스의 연구팀에 합류하였다. 빈다우스의 지도 아래, 콩과 식물인 더리스 엘립티카 뿌리에서 발견되는 살충 독소, 즉 로테논의 화학 구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1927년 괴팅겐 대학교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그의 박사 연구는 이 독성 물질을 분리하고 그 특성을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하빌리타치온 과정을 마친 후, 1931년 괴팅겐에서 강사가 되었다.3. 연구 경력
괴팅겐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부테난트는 1931년부터 여성 호르몬 연구를 시작했다. 1933년부터 1936년까지 단치히 기술대학교에서 정교수로 재직했으며,[8] 이 시기 성호르몬 연구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그는 셰링(Schering AG)의 아돌프 빈다우스와 발터 셸러의 조언에 따라 난소 추출 호르몬 연구를 진행하여, 수천 리터의 소변에서 에스트론 및 다른 주요 여성 성호르몬을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6][7] 단치히 재직 중이던 1934년에는 프로게스테론을, 이듬해에는 테스토스테론을 분리했다.[8] 이러한 성호르몬 연구 결과는 레오폴드 루지치카의 스테로이드 합성과 함께 1939년 노벨 화학상 수상의 주요 근거가 되었다.[8]
1933년, 부테난트는 "독일 대학교 및 고등학교 교수들의 아돌프 히틀러와 국가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충성 서약"에 서명했으며, 1936년 5월 1일에는 나치당에 입당(당원 번호 3716562)했다.[5] 같은 해 그는 베를린-달렘의 카이저 빌헬름 생화학 연구소(Kaiser Wilhelm Institut, 후의 막스 플랑크 생화학 연구소) 소장직을 맡게 되었는데,[5] 이는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해임된 칼 노이베르크의 후임 자리였다. 나치 정권 하에서 그의 초기 로테논 연구는 군사적으로 유용하게 평가받았으며, 그는 전쟁 수행에 중요하다고 분류된 연구(“크리그스비히티히”, kriegswichtig|크리그스비히티히de)에 정부 자금을 신청하기도 했다. 여기에는 고고도 폭격기 조종사의 산소 흡수율 개선과 같은 군사 프로젝트도 포함되었다.[9] 1940년에는 크리그스마리네(독일 해군) 잠수함 승조원의 장기 항해를 돕기 위한 호르몬 치료 연구에도 참여했다.[9]
부테난트의 나치 정권과의 연루 및 일부 연구 주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지속적인 비판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의 정확한 정치적 입장에 대한 논란은 사후에도 계속되고 있다.[9]
전후인 1945년, 연구소가 튀빙겐으로 이전하면서 그는 튀빙겐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1948년 바젤 대학교의 교수직 제안을 받았으나,[10] 독일 화학 산업계의 설득으로 독일에 남았다.[10] 1956년 연구소가 뮌헨 근교 마르틴스리트로 이전하자 뮌헨 대학교 교수가 되었으며, 1960년부터 1972년까지 오토 한의 뒤를 이어 막스 플랑크 과학진흥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1959년에는 누에나방의 페로몬인 봄빅콜을 발견하고 명명하는 업적을 남겼다.
부테난트는 1995년 뮌헨에서 9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1] 그의 아내 에리카 부테난트(Erika Butenandt, 1906년생) 역시 같은 해 88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12] 부부 사이에는 일곱 명의 자녀가 있었다.[13]
3. 1. 초기 연구 활동 (괴팅겐 시절)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학업을 시작했으며, 이후 괴팅겐 대학교로 옮겨 노벨상 수상자인 아돌프 빈다우스의 연구팀에 합류하여 화학을 공부했다. 그는 데리스속 식물의 뿌리에서 발견되는 살충 성분인 로테논의 화학 구조에 대한 연구로 1927년 괴팅겐 대학교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취득 후 하빌리타치온 과정을 거쳐 1931년 괴팅겐 대학교의 강사가 되었으며, 같은 해부터 여성 호르몬 연구를 시작하여 유기화학 및 생화학 연구실의 지도자가 되었다.[31]3. 2. 단치히 공과대학교 교수 시절
1933년부터 1936년까지 단치히 기술대학교(Technical University of Danzig)에서 정교수로 재직했다.[8] 재직 중이던 1933년, 부테난트는 "독일 대학교 및 고등학교 교수들의 아돌프 히틀러와 국가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충성 서약"에 서명하며 나치 정권에 협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1936년 5월 1일에는 나치당에 입당(당원 번호 3716562)했다.[5] 그의 로테논 연구는 참호 속 병사들의 이를 제거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나치 지도부에 의해 유용하게 여겨졌다. 또한 그는 주요 연구소 책임자로서 "크리그스비히티히"(kriegswichtig, 전쟁에 중요한)로 분류된 연구에 정부 자금을 신청했는데, 여기에는 고고도 폭격기 조종사의 산소 흡수율 개선과 같은 군사 프로젝트도 포함되어 있었다.[9]thumb
단치히 기술대학교 재직 시절, 부테난트는 셰링(Schering AG)의 아돌프 빈다우스와 발터 셸러의 조언에 따라 난소에서 추출한 호르몬 연구를 시작했다. 이 연구를 통해 수천 리터의 소변에서 에스트론 및 다른 주요 여성 성호르몬을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6][7] 그는 화학 연구소 교수로 재직하며 호르몬 연구를 지속하여 1934년에는 프로게스테론을, 이듬해인 1935년에는 테스토스테론을 추출했다.[8] 이러한 성호르몬 연구 결과는 레오폴드 루지치카의 스테로이드 합성과 함께 1939년 노벨 위원회로부터 수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받았다.[8]
단치히를 떠난 후에도 그는 나치 정권 하에서 연구 활동을 이어갔으며, 1940년에는 크리그스마리네(독일 해군) 잠수함 승조원의 장기 항해를 돕기 위한 호르몬 치료 연구에도 참여했다.[9] 이러한 나치 정권과의 연관성 및 일부 연구 주제는 전후 비판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의 정확한 정치적 입장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남아있다.[9]
3. 3. 카이저 빌헬름 연구소 (KWI) 및 막스 플랑크 연구소 (MPI) 시절
1933년부터 1936년까지 단치히 기술대학교에서 정교수로 재직했으며,[8] 1933년에는 "독일 대학교 및 고등학교 교수들의 아돌프 히틀러와 국가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충성 서약"에 서명했다. 1936년, 그는 베를린-달렘에 있는 카이저 빌헬름 생화학 연구소(Kaiser Wilhelm Institut, KWI, 후의 막스 플랑크 생화학 연구소) 소장직을 지원했고,[5] 같은 해 5월 1일 나치당(NSDAP)에 입당했다(당원 번호 3716562). 당시 유대인이었던 전임 소장 칼 노이베르크는 나치 정권에 의해 해임된 상태였다. 부테난트는 1936년 다렘의 카이저 빌헬름 연구소 생화학부 부장이 되었다.나치 정권 하에서 그의 연구는 정권에 의해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로테논에 관한 연구는 참호 속 병사들의 이를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나치 지도부에 의해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 그는 주요 연구소 책임자로서 "크리그스비히티히"(kriegswichtig, 전쟁에 중요한)로 분류된 연구에 대한 정부 자금을 신청했는데, 여기에는 고고도 폭격기 조종사의 산소 흡수율 개선과 같은 군사 프로젝트도 포함되었다.[9] 또한, 나치 시대에 사람의 간을 이용한 항생 작용 연구를 수행한 사실은 현재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 1940년에는 크리그스마리네(독일 해군) 잠수함 승조원의 장기 항해를 돕기 위한 호르몬 치료 연구에도 참여했다.[9]
연구 면에서는 셰링(Schering AG)의 아돌프 빈다우스와 발터 셸러의 조언에 따라 난소에서 추출한 호르몬 연구를 계속했다. 이 연구를 통해 수천 리터의 소변에서 에스트론 및 기타 주요 여성 성호르몬을 분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6][7] 단치히 교수 시절 시작된 호르몬 연구는 KWI에서도 이어져 1934년 프로게스테론, 1935년 테스토스테론을 추출하는 데 성공했다. 이러한 성호르몬 연구는 레오폴드 루지치카의 스테로이드 합성과 함께 1939년 노벨 화학상 수상의 근거가 되었다.[8] 1938년에는 훔볼트 베를린 대학교 명예교수가 되었다.
부테난트의 나치 정권과의 연관성 및 일부 연구 주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지속적인 비판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의 정확한 정치적 입장에 대한 논란은 사후에도 계속되고 있다.[9]
1945년 KWI가 튀빙겐으로 이전하자 그는 튀빙겐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이후 연구소가 막스 플랑크 생화학 연구소(Max-Planck-Institut für Biochemie)로 개편되고 1956년 뮌헨 근교 마르틴스리트로 다시 이전했을 때, 부테난트는 뮌헨 대학교 교수가 되어 연구를 계속했다. 그는 1960년부터 1972년까지 오토 한의 뒤를 이어 막스 플랑크 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뮌헨의 명예 시민이 되기도 했다. 연구소 소장직은 1971년까지 맡았다. 또한, 1959년에는 누에 나방의 페로몬인 봄빅콜을 발견하고 명명하는 업적을 남겼다.
3. 4. 성 호르몬 연구와 노벨상
셰링(Schering AG)의 아돌프 빈다우스와 발터 셸러는 부테난트에게 난소에서 추출한 호르몬 연구를 조언했다.[6][7] 이 연구는 수천 리터의 소변에서 에스트론 및 다른 주요 여성 성호르몬을 분리하는 성과로 이어졌다.[6][7]단치히(Danzig)의 화학 연구소(Chemisches Institut) 교수로 재직하는 동안, 그는 호르몬 연구를 계속하여 1934년 프로게스테론을 분리했고, 이듬해에는 테스토스테론을 분리했다.[8] 이러한 성 호르몬에 대한 연구 결과는 레오폴드 루지치카의 스테로이드 합성과 함께 중요한 업적으로 인정받아, 1939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선정되는 계기가 되었다.[8]
3. 5. 기타 연구
thumb1933년부터 1936년까지 단치히 기술대학교에서 정교수로 재직했다.[8] 1933년, 그는 "독일 대학교 및 고등학교 교수들의 아돌프 히틀러와 국가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충성 서약"에 서명했다.
셰링(Schering AG)의 아돌프 빈다우스와 발터 셸러의 조언에 따라 난소에서 추출한 호르몬 연구를 시작했다. 이 연구를 통해 수천 리터의 소변에서 에스트론 및 기타 주요 여성 성호르몬을 발견했다.[6][7] 단치히의 화학 연구소 교수로 재직하던 중, 1934년에는 프로게스테론을, 이듬해에는 테스토스테론을 추출하는 등 호르몬 연구를 이어갔다. 이 성과는 레오폴드 루지치카의 스테로이드 합성과 함께 1939년 노벨 위원회로부터 수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받았다.[8]
1936년, 베를린-달렘에 있는 카이저 빌헬름 생화학 연구소(후의 막스 플랑크 생화학 연구소) 소장직을 지원했으며,[5] 같은 해 5월 1일 나치당(NSDAP)에 입당했다(당원 번호 3716562). 이전 소장이었던 유대인 칼 노이베르크는 해임된 상태였다. 그의 로테논 연구는 참호 속 병사들의 이를 제거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나치 지도부에 의해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 그는 주요 연구소 책임자로서 "크리그스비히티히"(kriegswichtig|크리그스비히티히de, 전쟁에 중요)로 분류된 연구에 대한 정부 자금을 신청했는데, 이 중 일부는 고고도 폭격기 조종사의 산소 흡수율 개선과 같은 군사 프로젝트에 초점을 맞추었다.[9] 1940년에는 크리그스마리네(독일 해군) 잠수함 승조원의 장기 항해를 돕기 위한 호르몬 치료 연구에도 참여했다.[9]
부테난트의 나치 정권과의 연관성 및 일부 연구 주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비판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의 정확한 정치적 성향은 사후에도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다.[9] 1945년 연구소가 튀빙겐으로 이전하면서 튀빙겐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1948년에는 바젤 대학교로부터 생리의학 교수직을 제안받았으나,[10] 화학 산업계의 설득으로 독일에 남았다.[10] 1956년 연구소가 뮌헨 교외의 마르틴스리트로 이전하자 뮌헨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또한 1960년부터 1972년까지 오토 한의 뒤를 이어 막스 플랑크 과학진흥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1959년에는 누에나방의 페로몬인 봄빅콜을 발견하고 명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부테난트는 1995년 뮌헨에서 9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1] 그의 아내 에리카 부테난트(Erika Butenandt, 1906년생) 역시 같은 해 8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2] 부부 사이에는 일곱 명의 자녀가 있었다.[13]
4. 나치 정권과의 관계 및 논란
1933년 단치히 기술대학교 정교수로 재직 중 "독일 대학교 및 고등학교 교수들의 아돌프 히틀러와 국가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충성 서약"에 서명했다.[8] 1936년에는 카이저 빌헬름 생화학 연구소(Kaiser Wilhelm Institut, 후의 막스 플랑크 생화학 연구소) 소장직을 지원했으며,[5] 같은 해 5월 1일 나치당(NSDAP)에 입당했다(당원 번호 3716562). 이 연구소의 이전 소장은 유대인이었던 칼 노이베르크였는데, 그는 나치에 의해 해임되었다.
나치 정권 하에서 부테난트의 연구는 정권에 의해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그의 로테논에 관한 연구는 참호 속 병사들의 이를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나치 지도부의 관심을 끌었다. 그는 주요 연구소의 책임자로서 "kriegswichtig|크릭스비히티히de" (전쟁에 중요한)로 분류된 연구에 대한 정부 자금을 신청했는데, 이 연구 중 일부는 고고도 폭격기 조종사의 산소 흡수율 개선과 같은 군사 프로젝트에 중점을 두었다.[9] 1940년에는 크릭스마리네(독일 해군) 잠수함 승조원의 장기 잠수함 항해를 더 편안하게 만들기 위한 호르몬 치료 연구에도 참여했다.[9] 또한, 나치 독일 시대에 사람의 간을 이용한 항생 작용 연구를 수행했다는 사실은 현재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
부테난트의 나치 정권과의 연루 및 일부 연구 주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비판의 대상이 되었으며, 사후에도 나치 시대 그의 정확한 정치적 성향은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다.[9]
5. 말년 및 죽음
1960년부터 1971년까지 막스 플랑크 생화학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고, 연구소가 위치한 뮌헨의 명예 시민이 되었다. 1995년 1월 18일 뮌헨에서 9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31] 사인은 공개되지 않았다.[31]
6. 수상 및 영예
연도 | 수상 및 영예 | 비고 |
---|---|---|
1939 | 노벨 화학상 | 레오폴트 루지치카와 공동 수상[14] |
1942 | 전쟁 공훈 훈장 | 2등급 (독일) |
1942 | 아우구스트 빌헬름 폰 호프만 메달 | 독일 화학회 수여 |
1943 | 전쟁 공훈 훈장 | 1등급 (독일) |
1953 | 폴 에를리히와 루트비히 다름슈테터 상 | [15] |
1959/1964 | 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훈장 | 사령관 십자장 및 대십자장[16] |
1960 | 브레머하펜 명예 시민 | [17] |
1960 | 막스 플랑크 협회 회장 | [18] |
1961 | 빌헬름 노르만 메달 | 독일 지방 연구 협회 수여 |
1962 | 바이에른 공로 훈장 | |
1962 | 푸르르 르 메리트 | [19] |
1964 | 오스트리아 과학 예술 훈장 | [20] |
1967 | 뮌헨 시 문화 명예상 | [21] |
1969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사령관 (프랑스) |
1972 | 팔메 아카데미크 훈장 | |
1981 | 바이에른 과학 예술 막스밀리안 훈장 | [22] |
1985 | 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훈장 | 1등급 대십자장[23] |
1985 | 뮌헨 명예 시민 | [24] |
1994 | 오스트리아 공화국 봉사 대금장 | [25] |
6. 1. 명예 박사 학위
부테난트는 총 14개의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주요 수여 기관 및 연도는 다음과 같다.[28][29][30]
참조
[1]
서적
Science in the Third Reich (German Historical Perspectives)
Berg Publishers
[2]
논문
Adolf Friedrich Johann Butenandt. 24 March 1903-18 January 1995
[3]
논문
Adolf Butenandt (1903–1995)
[4]
논문
Adolf Butenandt: 24. 3. 1903 - 18. 1. 1995
[5]
논문
Nur"Zweite Wahl" oder Die Berufung Adolf Butenandts zum Direktor des KWI für Biochemie
[6]
논문
Über "Progynon" ein krystallisiertes weibliches Sexualhormon
[7]
논문
Über die chemische Untersuchung der Sexualhormone
[8]
논문
Adolf Butenandt und sein Wirken an der Technischen Hochschule Danzig
[9]
논문
Biochemistry in Wartime: The Life and Lessons of Adolf Butenandt, 1936–1946
[10]
웹사이트
Aus der Geschichte der Universität Basel
https://schwabe.ch/p[...]
Schwabe Verlag
2023-04-20
[11]
웹사이트
Beileid zum tode von adolf butenandt
https://www.bundesre[...]
2023-12-13
[12]
웹사이트
Familie Adolf Butenandt
https://www.archivpo[...]
2023-12-13
[13]
웹사이트
Der ehemalige Präsident der Max-Planck-Gesellschaft, Adolf Butenandt, wusste viel und sagte nichts: Ein Normalfall im Dritten Reich
https://www.berliner[...]
2023-12-13
[14]
웹사이트
MAX PLANCK GESELLSCHAFT
https://www.nobel.mp[...]
2023-12-13
[15]
웹사이트
70 Years Paul Ehrlich und Ludwig Darmstaedter-Prize
https://www.goethe-u[...]
2023-12-13
[16]
웹사이트
BR Retro: Bundesverdienstkreuz-Verleihung 1959
https://www.ardmedia[...]
2023-12-13
[17]
웹사이트
Adolf Butenandt – Bremerhaven.de
https://www.bremerha[...]
2023-12-13
[18]
웹사이트
The Max Planck Society and Harnack House
https://www.harnackh[...]
2023-12-13
[19]
웹사이트
Butenandt
https://www.orden-po[...]
2023-12-13
[20]
웹사이트
Reply to a parliamentary question
http://www.parlament[...]
2012-12-10
[21]
웹사이트
Kultureller Ehrenpreis
https://stadt.muench[...]
2024-11-26
[22]
웹사이트
Auszeichnungen und zivile Orden (nach 1945)
https://www.historis[...]
2023-12-13
[23]
간행물
Chronik University of Munich, p.166
https://epub.ub.uni-[...]
[24]
웹사이트
Adolf Butenandt: Der Jäger der Sexualhormone
https://www.br.de/fe[...]
2023-12-13
[25]
웹사이트
Reply to a parliamentary question
http://www.parlament[...]
2012-12-10
[26]
웹사이트
Prof. Dr. Adolf Friedrich Johann Butenandt
https://mediatheque.[...]
2023-12-13
[27]
웹사이트
Wirtschafts-Nobelpreisträger in Lindau
https://www.sueddeut[...]
2023-12-13
[28]
간행물
University of Marburg
https://www.uni-marb[...]
[29]
웹사이트
Doktor Honoris Causa der Technischen Hochschule Danzig
https://dspace.uni.l[...]
Wydawnictwo Uniwersytetu Łódzkiego
2023-12-13
[30]
웹사이트
Prof. Adolf Butenandt
https://pg.edu.pl/uc[...]
2023-12-13
[31]
뉴스
アドルフ・ブーテナント氏(訃報欄)
朝日新聞社
1995-01-1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