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머하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레머하펜은 독일 북해와 접한 베저 강 하구에 위치한 도시로, 1827년 브레멘 시가 하노버 왕국으로부터 매입한 영토에 브레멘 상선을 위한 항구로 건설되었다. 1939년 베저뮌데에 합병되었다가 1947년 브레멘 자유한자도시의 일부가 되면서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 주요 산업은 세계 16위, 유럽 4위 규모의 컨테이너 항만, 조선업, 수산업, 풍력 에너지 산업이며, 관광 산업도 발달했다. 브레머하펜은 다양한 박물관과 축제, 해양성 기후를 특징으로 하며, 2개의 구와 24개의 지역으로 행정 구역이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레멘주 - 2011년 브레멘 주의회 선거
2011년 브레멘 주의회 선거는 사민당과 녹색당 연립 정부가 집권하는 상황에서 치러졌으며, 선거 제도 변화와 정당별 득표율 변화 속에서 사민당이 1당을 유지하고 녹색당이 약진하여 연립정부를 유지했다. - 독일의 항구 도시 -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은 독일 헤센주에 있는 세계적인 금융 중심지이자 유럽중앙은행을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의 본거지이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을 거쳐 유럽 최대의 고층빌딩 도시이자 국제적인 교통 허브로 성장한 다문화 도시이다. - 독일의 항구 도시 - 함부르크
함부르크는 독일 북부의 자유 한자 도시이자 연방 주로, 중세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도시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럽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 월경지 - 달성군
대구광역시의 군인 달성군은 1914년 대구부와 현풍군이 통합되어 형성되었고, 1995년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었으며, 2010년대 이후 인구 증가와 함께 2021년 26만 명을 넘어 6읍 3면으로 구성, 비슬산맥과 낙동강을 중심으로 지형이 나뉜다. - 월경지 - 젤레노그라드
젤레노그라드는 1958년 모스크바 북서쪽에 건설된 계획 도시로, 전자 공학 기술 개발을 위해 조성되었으며, 러시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고, 현재는 기술 혁신을 지원하는 특별 경제 구역이다.
브레머하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독일어 이름 | Bremerhaven |
저지 독일어 이름 | Stemmert |
위치 | 브레멘 |
면적 | 93.82 제곱킬로미터 |
우편 번호 | 27568-27580 |
지역 번호 | 0471 |
차량 번호판 | HB (1개의 문자와 4개의 숫자) |
행정 구역 코드 | 04 0 12 000 |
하위 행정 구역 | 2개 자치구, 9개 지구 |
웹사이트 | bremerhaven.de |
설립 년도 | 1827년 |
지리 정보 | |
고도 | 2 미터 |
좌표 | 북위 53도 33분, 동경 8도 35분 |
행정 정보 | |
주 | 브레멘 |
행정 구역 | 군 독립시 |
시장 | 메르프 그란츠 |
시장 직함 | 상급시장 |
소속 정당 | SPD |
집권 정당 | SPD CDU FDP |
인구 정보 | |
인구 | 113,141명 |
인구 년도 | 2012년 |
인구 밀도 | 1,431명/제곱킬로미터 |
기타 정보 | |
관련 도시권 | 브레멘/올덴부르크 대도시권 |
특징적인 등대 | 브레머하펜 등대 |
박물관 | 독일 해양 박물관 독일 이민자 박물관 기후관 브레머하펜 |
이미지 | |
![]() | |
![]() | |
![]() | |
![]() | |
![]() |
2. 역사
브레머하펜이 위치한 지역은 1139년 문헌에 게슈텐도르프(Geestendorf)나 불스도르프(Wulsdorf)와 같은 중세 마을이 언급될 정도로 오랜 정착 역사를 가지고 있다.[1][38] 1275년 기록된 레(Lehe)는 지역 중심지 역할을 했다.[38] 1381년부터 브레멘 시의 영향력 아래 놓였으나,[1] 17세기 중반에는 스웨덴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1][38] 스웨덴은 이곳에 요새 도시 칼스부르크 건설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1][38]
현대적인 도시 브레머하펜은 1827년 브레멘 시가 하노버 왕국으로부터 베저강 하구의 영토를 매입하면서 시작되었다.[1][38] 당시 브레멘 시장 요한 슈미트(Johann Smidt)는 베저강의 토사 퇴적으로 기존 항구 기능이 약화되자, 해외 무역 거점을 확보하기 위해 새로운 외항(外港) 건설을 추진했다.[1][38] '브레멘의 항구'라는 뜻의 브레머하펜은 북미 무역과 이민의 중심지로 빠르게 성장했다.[1] 이에 하노버 왕국은 1845년 경쟁 도시로 게스테뮌데(Geestemünde)를 건설했다.[1][38] 이후 브레머하펜, 게스테뮌데, 레는 각자 발전하다가 1924년 게스테뮌데와 레가 통합하여 베저뮌데(Wesermünde)가 되었고, 1939년에는 브레머하펜(해외 항구 제외)마저 베저뮌데에 편입되어 프로이센 왕국 하노버 주 소속이 되었다.[1][38]
제2차 세계 대전 중 브레머하펜은 나치 독일 해군(크리그스마리네)의 중요 기지로서 연합군의 폭격으로 크게 파괴되었다.[1][3] 종전 후 미국 점령 지역으로 관리되었으며, 1947년 브레멘 자유한자도시에 편입되면서 도시 이름이 베저뮌데에서 브레머하펜으로 다시 변경되었다.[1][38] 오늘날 브레머하펜은 브레멘 시와 함께 브레멘 주를 구성하는 독립시이며, 항만, 조선, 연구, 문화의 중심지로 기능하고 있다. 브레멘 시는 여전히 브레머하펜 내의 해외 항구 지역(Überseehafen)을 직접 소유하고 관리하는 독특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1][4][32]
2. 1. 초기 역사


현재의 브레머하펜 지역에는 오랜 정착의 역사가 있다. 2019년 레에(Lehe) 지역 발굴 조사에서는 철기 시대 주거지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저장 구덩이, 토기 조각, 기원전 1세기의 우물 등은 이 지역의 초기 정착 증거를 보여준다.[37]
중세 시대에는 이 지역에 여러 마을이 존재했다. 게슈텐도르프(Geestendorf)와 불스도르프(Wulsdorf), 시프돌퍼담(Schiffdorferdamm)은 1139년 문헌에 처음 언급되었으며[1], 1275년 문헌에 처음 등장하는 레에(Lehe)에는 관청과 시장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 작은 마을들은 베저강 하구 습지대의 작은 섬들에 세워졌다. 1381년 브레멘시는 베저강 하류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권을 확립했고, 이후 레는 브레머레(Bremerlehe)라고 불리게 되었다.
1653년 초, 스웨덴 군대가 브레멘-페르덴 공국의 일부로써 브레머레를 무력으로 점령했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3세는 당시 브레멘-페르덴의 통치자였던 스웨덴 여왕 크리스티나에게 브레머레를 브레멘에 반환하라고 명령했으나, 스웨덴은 이를 거부하고 제1차 브레멘 전쟁(1654년)을 일으켰다. 전쟁 후 체결된 슈타데 조약(1654년 11월)에 따라 브레멘은 브레머레와 그 주변 지역을 스웨덴령 브레멘-페르덴에 할양해야 했다. 스웨덴은 이곳에 요새화된 도시를 건설할 계획을 세웠고, 1672년 스웨덴의 칼 11세 통치 아래, 브레멘으로 향하는 선박을 통제하기 위해 칼스부르크(Carlsburg, Weser) 성 건설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1827년, 시장 요한 슈미트(Johann Smidt)의 주도로 브레멘시는 하노버 왕국으로부터 베저강 어귀의 영토를 매입하여 새로운 항구 도시를 건설했다. 이는 베저강의 지속적인 토사 퇴적으로 브레멘의 기존 내륙 항구 기능이 약화되자 독일의 해외 무역 거점을 유지하기 위한 결정이었다. 이렇게 설립된 브레머하펜('브레멘의 항구'라는 뜻)은 브레멘시에서 하류로 약 50km 떨어져 있음에도 브레멘의 중요한 외항(外港)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특히 북미와의 무역과 이민이 활발해지면서 항구와 도시는 빠르게 성장했으며, 유럽의 주요 이민 항구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2] 1848년에는 칼 루돌프 브롬미 제독 지휘 아래 독일 연방 해군(라이히스플로테)의 모항이 되기도 했다.
브레머하펜의 성장에 자극받은 하노버 왕국은 1845년 바로 인접한 곳에 경쟁 도시인 게스테뮌데(Geestemünde)를 건설했다. 두 도시는 무역, 조선, 어업을 중심으로 함께 발전했다. 이후 여러 차례의 협상을 통해 브레머하펜의 경계는 하노버 영토를 편입하면서 확장되었다. 1924년 게스테뮌데와 인근의 레에가 합병되어 새로운 도시 베저뮌데(Wesermünde)가 되었고, 1939년에는 브레머하펜(해외 항구 지역 제외)이 브레멘시의 관할에서 벗어나 프로이센 하노버 주 소속의 베저뮌데시에 통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브레머하펜은 나치 독일 해군(크리그스마리네)의 북해 지역 중요 기지였기 때문에 연합군의 대규모 공습 목표가 되었다(브레멘 폭격). 도시의 약 79%가 파괴되었으나[3] 항만 시설의 주요 부분은 전후 연합군의 보급항으로 활용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파괴를 피했다. 전쟁 후 베저뮌데 전역은 독일 북부의 영국 점령 지역 내에서 별도의 미국 점령 지역으로 관리되었다. 미군은 칼 슐츠 카제르네(Carl Schurz Kaserne) 등에 주둔했으며, 미군 방송 AFN 브레머하펜은 48년간 운영되다가 1993년 미군 철수와 함께 종료되었다.
1947년 베저뮌데는 브레멘 자유한자도시의 일부가 되었고, 도시 이름은 다시 브레머하펜으로 변경되었다. 오늘날 브레머하펜은 브레멘주에 속한 독립시이지만, 브레멘시가 직접 소유하고 관리하는 항구 지역(슈타트브레미슈, stadtbremisch)이 존재하는 등 브레멘시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4]
명칭 | 내용 | 연도 |
---|---|---|
베델바르덴(Veddelwarden) | 문헌 첫 기록 | 1091년 |
게슈텐도르프(Geestendorf) | 문헌 첫 기록 | 1139년 |
시프돌퍼담(Schiffdorferdamm) | 문헌 첫 기록 | 1139년 |
불스도르프(Wulsdorf) | 문헌 첫 기록 | 1139년 |
레에(Lehe) | 문헌 첫 기록 | 1275년 |
알터 하펜(Alter Hafen, 구항) | 개항 | 1830년 |
게스테뮌데(Geestemünde) | 도시 설립 (하노버 왕국) | 1845년 |
레어하이데(Leherheide) | 최초 이주민 정착 | 1846년 |
슈페켄뷔텔(Speckenbüttel) | 공원 시설 설치 시작 | 19세기 중반 |
노이어 하펜(Neuer Hafen, 신항) | 개항 | 1852년 |
피셰라이하펜(Fischereihafen, 어항) | 개항 | 1896년 |
카이저 수문(Kaiserschleuse) | 가동 시작 | 1897년 |
베저뮌데(Wesermünde) | 도시 설립 (게스테뮌데 + 레에) | 1924년 |
콜룸부스 방조제(Columbuskaje) | 개설 | 1927년 |
노르트슐로이제(Nordschleuse, 북수문) | 가동 시작 | 1931년 |
슈타트브레미셰스 위버제하펜게비트 브레머하펜 (Stadtbremisches Überseehafengebiet Bremerhaven) | 브레멘시로 이관 | 1938년 |
컨테이너 터미널 브레머하펜 (Containerterminal Bremerhaven) | 개설 | 1968년 |
2. 2. 도시 건설과 발전
현재 브레머하펜이 위치한 지역에는 중세 시대부터 여러 정착지가 존재했다. 베데발덴(Veddelwarden)은 1091년, 게슈텐도르프(Geestendorf)와 불스도르프(Wulsdorf)는 1139년 문헌에 처음 언급되었다.[38] 1275년 기록에 처음 등장하는 레(Lehe)는 관청과 시장이 있는 등 인근에서 중요한 마을이었다.[38] 이 작은 마을들은 베저강 하구 습지대의 작은 섬들에 세워졌다.[1]
1381년, 브레멘시는 레를 포함한 베저강 하류 지역에 대한 사실상의 지배권을 확립했고, 이후 레는 브레머레(Bremerlehe)라고 불리게 되었다.[1][38] 그러나 이 지역의 지배권을 두고 브레멘 대주교구와 브레멘 시 사이에 오랫동안 다툼이 있었다.[38] 1648년/1654년 이후 이 지역은 스웨덴의 지배하에 들어갔다.[38] 1653년 초, 스웨덴 브레멘-페르덴 군대가 브레머레를 무력으로 점령했다.[1]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3세는 당시 브레멘-페르덴의 여공작이었던 스웨덴 여왕 크리스티나에게 브레머레를 브레멘에 반환하라고 명령했으나, 스웨덴은 이를 거부하고 제1차 브레멘 전쟁(1654년 3월~7월)을 일으켰다.[1] 전쟁 후 체결된 슈타데 조약(1654년 11월)에 따라 브레멘은 브레머레와 그 주변 지역을 스웨덴 브레멘-페르덴에 할양해야 했다.[1] 1672년, 스웨덴의 칼 11세 통치하에 스웨덴은 이곳에 칼스부르크라는 요새 도시 건설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1][38] 이후 1719년에는 잠시 덴마크 영토였다가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선제후령이 되었고, 1814년부터는 하노버 왕국의 영토가 되었다.[38]

베저강의 모래 퇴적이 심화되면서 브레멘의 기존 내륙 항구 기능이 위협받자, 브레멘 시는 해외 무역을 위한 새로운 항구가 필요하게 되었다.[1][38] 1827년, 시장 요한 슈미트(Johann Smidt)의 주도로 브레멘 시는 하노버 왕국으로부터 베저강 어귀, 게스테강(Geeste) 하구 북쪽에 위치한 미완성 상태의 옛 칼스부르크 요새 부지와 간석지를 매입했다.[1][38] 1827년 5월 1일 토지가 인계되었고, 이 새로운 항구 도시는 브레머하펜(Bremerhaven, '브레멘의 항구'라는 의미)으로 명명되었다.[1][38] 알터 하펜(Alter Hafen, 구항)은 1830년까지 완공되었고,[38] 1847년부터 1852년까지 노이어 하펜(Neuer Hafen, 신항)이 건설되었다.[38] 브레머하펜은 브레멘 시에서 약 50km 떨어져 있었지만 브레멘의 외항 역할을 수행하며 북미와의 무역과 이민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했다.[1] 1854년에는 유럽 최대의 이민 출발항이 되었다.[38] 1848년에는 독일 연방 해군(라이히스플로테)의 모항이 되기도 했다.[1] 브레머하펜은 1851년에 시(Stadt) 권한을 얻었다.[38]
1845년, 하노버 왕국은 브레머하펜 남쪽에 경쟁 도시인 게스테뮌데(Geestemünde)를 건설했다.[1][38] 게스테뮌데는 1850년에 란트게마인데(Landgemeinde, 지방 자치체)가 되었다.[38] 두 도시는 무역, 조선, 어업을 중심으로 함께 성장했다.[1] 1866년 레에와 게스테뮌데는 프로이센 왕국 영토가 되었다.[38] 1889년 게스텐도르프가 게스테뮌데에 합병되었다.[38]
1857년 북독일 로이드(Norddeutscher Lloyd, NDL)가 설립되어 브레멘/브레머하펜의 해운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38] 항만 시설도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1873년부터 1876년까지 카이저하펜 I(Kaiserhafen I), 1897년 카이저 수문(Kaiserschleuse), 1907년/1909년 카이저하펜 II/III가 건설되었다.[38] 1896년에는 피셰라이하펜(Fischereihafen, 어항)이 개항했다.[38]
1913년 게스테뮌데가, 1920년 레에가 각각 독립시(Stadtkreis)가 되었다.[38] 1920년 불스도르프가 게스테뮌데에 합병되었다.[38] 1924년 11월 1일, 레에와 게스테뮌데 시가 통합되어 새로운 도시 베저뮌데(Wesermünde)가 탄생했다.[1][38] 1927년에는 베데발덴, 시프돌퍼담, 슈페켄뷔텔이 베저뮌데에 합병되었다.[38] 같은 해 콜룸부스 방조제(Columbuskaje)와 "바닷가 역(Bahnhof am Meer)"이라는 별칭을 가진 콜룸부스 역(Columbusbahnhof)이 완공되었다.[38] 1931년에는 노르트슐로이제(Nordschleuse, 북수문)가 가동을 시작했다.[38]
1938년 4월 1일, 브레머하펜 시에 속해 있던 해외 항구 지역(Überseehafengebiet)이 브레멘 시의 월경지로 편입되었다.[38][32] 1939년에는 해외 항구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브레머하펜 시역 전체가 프로이센 하노버 주 소속의 베저뮌데 시에 통합되었다.[1][38]
제2차 세계 대전 중 브레머하펜은 크리그스마리네(독일 전쟁해군)의 중요한 북해 기지였기 때문에 연합군의 주요 폭격 목표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브레멘 폭격으로 도시의 79%가 파괴되었으나,[3] 항구의 주요 시설은 전후 연합군의 보급항으로 사용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보존되었다.[1] 종전 후 베저뮌데(브레머하펜 포함)는 독일 북부의 영국 점령 지역 내에 위치했지만, 미국 점령 지역의 일부로 관리되는 특별한 지위를 가졌다.[1] 미군은 칼 슐츠 카제르네(Carl Schurz Kaserne) 등에 주둔했으며, 특히 미군 라디오 및 TV 방송국인 AFN 브레머하펜은 48년간 방송했다. 미군은 1993년 철수했다.[1]
1947년, 베저뮌데는 브레멘 자유한자도시의 일부가 되었고, 이름도 브레머하펜으로 변경되었다.[1][38] 오늘날 브레머하펜은 독립된 도시(kreisfreie Stadt)이지만, 브레멘 시와 함께 브레멘 주를 구성하는 두 도시 중 하나이다.[1] 브레멘 시는 1927년부터 브레머하펜 내의 해외 항구(Überseehafen)를 소유하고 있으며(슈타트브레미슈, stadtbremisch), 두 도시 간의 조약에 따라 브레머하펜 시가 이 지역의 행정 관리를 대행하고 있다.[1][4][32][33][34]

전후 브레머하펜은 지속적으로 발전했다. 1962년 여객 시설 II가 신설되었고, 오래된 시설은 철거되었다.[38] 1968년부터 컨테이너 터미널이 설치되기 시작하여 1978년부터 확장되었으며, 현재 약 5km 길이의 호안 둑과 14개의 컨테이너선 계류 시설을 갖추고 있다.[38] 1971년에는 도시 행정 구역이 2개의 관리구(Verwaltungsbezirk), 9개의 시구(Stadtteil), 23개의 지역(Ortsteil)으로 개편되었다.[38]
주요 공공 시설 및 문화 시설도 꾸준히 확충되었다. 1854년 브레머하펜 등대가, 1855년 부르거마이스터 슈미트 기념 교회가 건설되었다.[38] 1881년 마차 철도가 운행을 시작했고, 1908년에는 완전히 전철화된 노면 전차로 대체되었다.[38] 1914년 게스테뮌데 역과 레에 역이 개업했다.[38] 1972년/1975년에는 한스 샤룬이 설계한 독일 선박 박물관이 개관하여 독일에서 가장 중요한 해양 박물관 중 하나가 되었다.[38] 1975년 브레머하펜 응용과학대학교(Hochschule Bremerhaven)가 설립되었고, 중앙 건물은 고트프리트 뵈름이 설계했다.[38] 1977년에는 건축가 페터 베버의 설계를 바탕으로 콜럼버스 센터(Columbus-Center)가 완공되었다.[38] 1980년 오스발트 마티아스 운거스의 설계로 알프레트 베게너 극지 및 해양 연구소(AWI)가 설립되었다.[38] 1991년에는 모르겐슈테른 박물관을 모체로 하는 역사 박물관 신관이 건설되었다.[38] 2005년 독일 이민자 하우스, 2009년 기후 하우스 브레머하펜 등 새로운 명소들이 문을 열었다.[38]

2010년에는 이전까지 니더작센주에 속해 있던 루네플라테(Luneplate) 지역이 브레머하펜 피셰라이하펜 시구의 24번째 지역으로 편입되면서 니더작센주와의 주 경계가 정리되었다.[38]
년 | 브레머하펜 | 레에 | 게스트뮌데 |
---|---|---|---|
1275 | 레에(Lehe)가 최초로 문헌에 기록됨 | ||
1827 | 브레머하펜(Bremerhaven) 설립 | 레에 | |
1845 | 브레머하펜 | 레에 | 게스트뮌데(Geestemünde) 설립 |
1889 | 브레머하펜 | 레에 | 게스트도르프(Geestendorf) 합병 |
1913 | 브레머하펜 | 레에 | 게스트뮌데가 군 독립시가 됨 |
1920 | 브레머하펜 | 레에가 군 독립시가 됨 | 불프스도르프(Wulfsdorf) 합병 |
1924 | 브레머하펜 | 레에와 게스트뮌데가 합병하여 군 독립시 베저뮌데(Wesermünde)가 됨 | |
1927 | 브레머하펜 | 베데발덴(Weddewarden), 지프돌퍼담(Siffdorferdam), 슈페켄뷔텔(Spekkensbütel) 합병 | |
1938 | 위버제하펜게비테(Überseehafengebiete)를 브레멘 시로 분리 | 베저뮌데 | |
1939 | 위버제하펜게비테를 제외하고 베저뮌데에 통합 | ||
1947 | 자유한자도시 브레멘(브레멘주)에 편입, 브레머하펜으로 개명 | ||
2010 | 루네플라테(Luneplate) 합병, 니더작센주와의 주 경계 정리 |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전후
브레머하펜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해군인 크리그스마리네의 중요한 북해 기지 중 하나였다. 이로 인해 연합군의 공습 목표가 되어 도시의 79%가 파괴되었다.[3] 하지만 항구의 주요 시설은 전후 연합군의 보급항으로 사용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파괴되지 않았다.전쟁 후, 당시 베저뮌데로 불렸던 브레머하펜 지역은 미국 점령 지역에 속하게 되었다. 이곳은 주변의 영국 점령 지역 내에 위치한 고립된 미군 관리 지역이었다. 대부분의 미군 부대와 관련 인력은 시내의 칼 슐츠 카제르네(Carl Schurz Kaserne)에 주둔했다. 이곳에는 미군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국인 AFN 브레머하펜(AFN Bremerhaven, Amerikanischer Soldatensender|아메리카니셔 졸다텐젠더deu)이 48년간 운영되기도 했다. 1993년 미군이 철수하면서 카제르네는 독일 정부에 반환되었다.
1947년, 베저뮌데는 브레멘 자유한자도시의 일부가 되면서 이름도 현재의 브레머하펜으로 변경되었다. 오늘날 브레머하펜은 브레멘주에 속한 독립시(kreisfreie Stadt)이다. 브레멘주는 브레멘과 브레머하펜, 두 개의 시로 이루어진 도시주(Stadtstaat)이다. 또한 브레멘시는 1927년부터 브레머하펜 내의 '해외 항구'(Überseehafen) 지역을 소유하고 있다. 브레멘시 소유 지역은 슈타트브레미슈(stadtbremisch, 브레멘시 구역)로 불리며, 두 도시 간의 조약에 따라 브레머하펜시가 이 지역의 행정 관리를 담당한다.[4]
2. 4. 현대
현재의 브레머하펜 시는 1827년에 세워졌다. 비록 레(Lehe)와 같은 인근 정착지는 12세기부터 존재했고, 게스텐도르프(Geestendorf)는 9세기 문헌에도 언급되지만[1], 현대적인 도시 브레머하펜의 역사는 19세기 초에 시작된다.
1827년, 시장(Bürgermeister) 요한 슈미트가 이끄는 브레멘 시는 하노버 왕국으로부터 베저강 어귀의 영토를 매입하여 새로운 항구 도시를 건설했다. 브레멘은 베저강의 토사 퇴적으로 기존 내륙 항구의 기능이 약화되자, 독일의 해외 무역 거점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항구가 필요했다. 이렇게 건설된 브레머하펜(Bremerhaven|브레머하펜deu, 문자 그대로 '브레멘의 항구'라는 뜻)은 브레멘에서 하류로 약 50km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브레멘의 중요한 외항(外港) 역할을 하게 되었다. 특히 북미와의 무역 및 이민자 수송이 활발해지면서 항구와 도시는 빠르게 성장했다. 1848년에는 칼 루돌프 브롬미 지휘 아래 독일 연방 해군(라이히스플로테)의 모항이 되기도 했다.
브레머하펜의 성장에 자극받은 하노버 왕국은 1845년 바로 옆에 경쟁 도시인 게스테뮌데(Geestemünde|게스테뮌데deu)를 건설했다. 두 도시는 무역, 조선, 어업을 중심으로 함께 발전했다. 이후 여러 차례의 협상을 통해 브레머하펜은 하노버 영토 일부를 편입하며 경계를 확장했다. 1924년에는 게스테뮌데와 인근의 레(Lehe) 시가 통합되어 새로운 도시인 베저뮌데(Wesermünde|베저뮌데deu)가 되었다. 1939년에는 브레머하펜(해외 항구 지역 제외)이 브레멘 시의 관할에서 벗어나 베저뮌데에 편입되었고, 이 지역은 프로이센 하노버 주(Provinz Hannover|하노버 주deu)의 일부가 되었다.
브레머하펜은 유럽의 주요 이민 항구 중 하나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2]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브레머하펜은 나치 독일 해군(크릭스마리네)(Kriegsmarine|크릭스마리네deu)의 북해 지역 중요 기지 중 하나였다. 이로 인해 연합군의 대대적인 폭격 대상이 되어 도시의 79%가 파괴되었다.[3] 그러나 항구의 주요 시설은 전후 연합군의 보급 기지로 활용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파괴를 면했다. 종전 후 베저뮌데 전역(과거 브레머하펜 지역 포함)은 독일 북부의 영국 점령 지역 내에서 별도의 미국 점령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미군은 도시의 칼 슐츠 카제르네(Carl Schurz Kaserne)에 주둔했으며, 이곳에는 미군 라디오 및 TV 방송국인 AFN 브레머하펜이 48년간 운영되기도 했다. 1993년 미군이 철수하면서 카제르네는 독일 정부에 반환되었다.
1947년 이 도시는 브레멘 자유한자도시(Freie Hansestadt Bremen|브레멘 자유한자도시deu)에 속하게 되면서 이름도 베저뮌데에서 다시 브레머하펜으로 변경되었다. 오늘날 브레머하펜은 브레멘 주의 일부를 구성하는 독립시(kreisfreie Stadt)이다. 브레멘 주는 브레멘 시와 브레머하펜 시, 이렇게 두 개의 도시로 이루어진 독특한 형태의 주이다. 또한 1927년부터 브레머하펜 내의 해외 항구(Überseehafen) 지역은 브레멘 시가 직접 소유하고 있다. 브레멘 시가 소유한 브레머하펜 내의 이러한 지역들은 슈타트브레미슈(stadtbremisch|슈타트브레미슈deu, '브레멘 시 소속'이라는 의미)라고 불린다. 두 도시 간의 조약에 따라 브레머하펜 시는 브레멘 시가 소유한 이 지역들에 대한 행정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4]
3. 지리
브레머하펜은 베저강 하구가 북해로 흘러드는 지점에 위치하며, 니더작센주에 둘러싸여 브레멘과는 지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북해의 영향을 받아 온화한 해양성 기후를 나타낸다. 극심한 추위나 30°C 이상의 더위는 드문 편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약 742mm 수준으로 여름철에 비가 다소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125] 도시의 구체적인 지형적 특징과 주요 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지형
브레머하펜은 베저강 하구에서 북해와 접하고 있으며, 니더작센주에 둘러싸여 브레멘과 분리되어 있다.
브레머하펜은 베저강이 북해로 흘러드는 하구와 게스테강(Geeste)이 베저강과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시의 남북 길이는 최대 15.4km, 동서 너비는 최대 11.1km이다. 브레머하펜은 브레멘 시의 외딴 지역인 슈타트브레미셔스 ユー버제하펜게비트 브레머하펜(직역: 브레멘 시의 브레머하펜 외항 지역)과 함께 브레멘 주의 외딴 지역을 형성한다.[26] 또한, 브레머하펜 시 북동부에 위치한 페어르모어(Fehrmoor) 지역의 일부는 좁은 니더작센주 토지에 의해 분리된 브레머하펜 시의 외딴 지역으로, 브레멘 주의 또 다른 외딴 지역이 된다.
공식적으로 브레머하펜은 베저강 연안에 위치하며 바다에 직접 면해 있지는 않다. 내륙 수로에서 해양 수로로 전환되는 지점은 브레머하펜에서 북쪽으로 수 킬로미터 떨어진 곳이다.[27]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저강 하구 부근의 넓은 지역이 마치 바다에 직접 면한 듯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 "북해 연안 유일의 독일 대도시" 또는 "해양 도시"라고 불리기도 한다.
브레머하펜은 북쪽으로 게스트란트(Geestland), 동쪽으로 시프돌프(Schiffdorf), 남쪽으로 록스슈테트(Loxstedt)와 접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브레멘의 외딴 지역과 접한다. 베저 강 건너편에는 노르덴함(Nordenham) 시의 브렉센(Blexen) 지역이 있으며, 브레머하펜과 베저페리로 연결되어 있다.
이 도시는 대체로 해발 0.2m에서 2m 사이에 위치한다.[28] 가장 높은 지점은 레이어하이데(Leherheide) 시구에 있는 11.4m 높이의 구릉(데프슈테터 벡/브루넨 거리)이다. 이 구릉은 도시 북부를 브레머하펜과 쿠크스하펜 사이로 뻗어 있는 게스트(Geest) 지형[29]인 '호에 리트'(Hohe Lieth)의 일부이다. 게스트 남쪽에 위치하는 대응 지형은 '베베슈테터 모어게스트'(Beverstedter Moorgeest)라 불리며, 두 지형 모두 베저뮌더 게스트(Wesermünder Geest)에 속한다.[30] 현재 브레머하펜에 속하는 구시가지의 많은 부분, 즉 레이에(Lehe), 게스텐도르프(Geestendorf), 훌스도르프(Wulsdorf)는 높은 파도로부터 보호받는 게스트 위에 자리 잡고 있다. 베저 강 제방은 베데발덴(Weddewarden)에서 노이어 루네질(Neuer Lunesiel) 사이 구간에서 높이가 6.2m에서 8.3m에 달한다.[28]
브레머하펜의 또 다른 주요 지형은 마르슈(Marsch, 늪지)이다. 베저-마르슈(Weser-Marsch)의 일부인 게스트 북쪽의 훌스터 마르슈(Wulsdorfer Marsch)와 남쪽의 뷔르데너 마르슈(Würdener Marsch) 외에도 게스테-마르슈(Geeste-Marsch), 롤-마르슈(Rohr-Marsch) 등이 있다. 베데발덴의 구 시가지와 (알트-)브레머하펜 역시 마르슈 지형 위에 형성되었다. 베저 강 안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바덴해의 일부인 작은 갯벌이 있다.
베저 강, 게스테 강, 롤 강(Rohr), 루네 강(Lune), 아우에 강(Aue)이 시내를 흐르거나 시 경계를 따라 흐른다.
3. 2. 강
브레머하펜은 베저강 하구에서 북해와 접하고 있으며, 니더작센주에 둘러싸여 브레멘과 분리되어 있다.[26]이 도시는 베저강이 북해로 흘러드는 하구와 게스테 강( Geeste|게스테de )이 베저강과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해 있다. 도시 근처를 흐르는 주요 강으로는 베저강(Weser), 게스테 강(Geste), 로어 강(Rohr), 루네 강(Lune), 아우에 강(Aue)이 있다.
브레머하펜은 공식적으로는 베저강 연안에 위치하며 바다에 직접 면해 있지는 않지만,[27] 베저강 하구의 넓은 모습 때문에 종종 "해양 도시"로 불리기도 한다. 베저 강 건너편에는 노르덴함(Nordenham) 시의 브렉센(Blexen) 지역이 있으며, 브레머하펜과 베저페리로 연결되어 있다.
베저 강 제방은 베데발덴에서 노이어 루네질 사이 구간에서 높이가 6.2m에서 8.3m에 달한다.[28] 또한 베저 강 안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작은 갯벌(바덴해의 일부)이 있다.
3. 3. 기후
북해에 인접한 브레머하펜은 온화한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125][7][35] 따라서 극심한 추위나 30°C 이상의 폭염은 드문 편이다.[125][7][35] 연평균 강수량은 약 751mm이며, 주로 여름철인 6월부터 8월 사이에 강수량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125][7] 반면 늦겨울과 초봄에는 비교적 건조한 시기를 보인다.[7][35] 겨울과 초봄, 드물게는 늦가을에 눈이 내리기도 하지만, 보통 오래 쌓여있지는 않는다.[7][35]기록된 최고 기온은 2022년 7월 20일의 35.9°C이고, 최저 기온 기록은 1956년 2월 25일의 -18.6°C이다.[7][35]
4. 인구
연도 | 인구 |
---|---|
1845 | 3,000 |
1875 | 12,296 |
1900 | 20,315 |
1925 | 23,896 |
1933 | 25,779 |
1950 | 114,070 |
1956 | 130,492 |
1961 | 141,849 |
1970 | 143,918 |
1980 | 138,728 |
1990 | 130,446 |
2000 | 120,822 |
2010 | 113,366 |
2015 | 114,025 |
2019 | 117,746 |
1827년 브레머하펜에는 19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인구는 1871년까지 1만 명을 넘어섰고, 1900년에는 그 두 배인 약 2만 명으로 증가했다. 1939년, 인구 26,790명의 브레머하펜과 86,041명의 베저뮌데가 합병하여 인구 약 11만 3천 명의 대도시 베저뮌데가 새롭게 설립되었다.
1968년 인구는 최고치인 148,931명에 달했다. 그 후 인구는 감소를 거듭하여 2012년 최저치인 108,323명을 기록했다. 2012년 이후 인구는 소폭 증가하고 있다.[39] 2017년 말 기준 브레머하펜 시의 인구는 113,026명이다.[39]
5. 행정 구역
브레머하펜시는 2개의 구(독: Stadtbezirk)와 이에 속한 9개의 시가지(독: Stadtteil)로 구성된다. 시가지는 다시 24개의 지역(독: Ortsteil)으로 나뉜다.
아래 표는 관리구(구) 정보를 보여준다. (2017년 9월 30일 기준)[31]
관리구 (키 번호) | 시구 | 면적 | 인구 | 인구밀도 | 지도 |
---|---|---|---|---|---|
노르트(북) 1 | 44.72km2 | 67,954 | 1,519.54 명/km2 | ||
쥐트(남) 2 | 49.07km2 | 50,742 | 1,034.07 명/km2 |
아래 표는 시가지(Stadtteil) 정보를 보여준다. 시구의 정렬은 키 번호에 따라 이루어진다. 키 번호는 계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 공식적으로는 4자리이다. 첫 번째 자리는 관리구, 두 번째 자리는 시구, 세 번째 자리는 지역이며, 네 번째 자리는 모두 "0"이다. (2017년 9월 30일 기준)[31]
시구 (키 번호) | 지역 (키 번호) | 면적 | 인구 | 인구밀도 | 지도 |
---|---|---|---|---|---|
베데바르덴 11 | 13.57km2 | 553 | 40.76 명/km2 | ||
레어하이데 12 | 6.46km2 | 16,469 | 2,550.25 명/km2 | ||
레어 13 | 16.37km2 | 38,207 | 2,334.49 명/km2 | ||
미테 14 | 8.32km2 | 12,725 | 1,529.52 명/km2 | ||
게스테뮌데 21 | 10.98km2 | 33,625 | 3,063.22 명/km2 | ||
쉬프도르퍼담 22 | 4.53km2 | 2,598 | 574.08 명/km2 | ||
주르하이데 23 | 3.01km2 | 2,956 | 983.23 명/km2 | ||
훌스도르프 24 | 5.61km2 | 11,351 | 2,022.19 명/km2 | ||
피셔라이하펜 25 | 24.94km2 | 212 | 8.50 명/km2 |
=== 행정 구역 변천사 ===
년 | 브레머하펜 | 레에 | 게스트뮌데 |
---|---|---|---|
1275 | 레에(Lehe)가 최초로 문헌에 기록됨 | ||
1827 | 브레머하펜(Bremerhaven) 설립 | 레에 | |
1845 | 브레머하펜 | 레에 | 게스트뮌데(Geestemünde) 설립 |
1889 | 브레머하펜 | 레에 | 게스트도르프(Geestendorf) 합병 |
1913 | 브레머하펜 | 레에 | 게스트뮌데가 군 독립시가 됨 |
1920 | 브레머하펜 | 레에가 군 독립시가 됨 | 불프스도르프(Wulfsdorf) 합병 |
1924 | 브레머하펜 | 레에와 게스트뮌데가 합병하여 군 독립시 베저뮌데(Wesermünde)가 됨 | |
1927 | 브레머하펜 | 베데발덴(Weddewarden), 지프돌퍼담(Siffdorferdam), 슈페켄뷔텔(Spekkensbütel) 합병 | |
1938 | 위버제하펜게비테(Überseehafengebiete)를 브레멘 시로 분리 | 베저뮌데 | |
1939 | 위버제하펜게비테를 제외하고 베저뮌데에 통합 | ||
1947 | 자유한자도시 브레멘에 편입, 브레머하펜으로 개명 | ||
2010 | 루네플라테(Luneplate) 합병, 니더작센주와의 주 경계 정리 | ||
=== 행정 조직 ===
1827년 브레머하펜(Bremerhaven) 설립 초기에는 브레멘 시의회(독: Bremen Stadtverordnetenversammlung)에서 파견된 암트만(독: Amtmann, 대관)이 시 행정을 담당했다.[43] 1851년 도시 선언과 함께 시의원과 도시 지도자로 구성된 위원회가 설치되었으나, 하급 재판권이나 경찰권 등 주요 기능은 여전히 암트만 아래 있었다.[45][46] 1879년 새로운 도시법으로 전임 슈타트디렉터(독: Stadtdirektor, 도시 감독)가 대표가 되고 암트만의 직무가 시 당국으로 이관되면서 시의회가 독립적인 지위를 얻었다.[47][48]
프로이센에 속했던 인근 도시 게스테뮌데(Geestemünde)는 1913년 군 독립시가 되었고, 시장(독: Bürgermeister)은 1917년 빌헬름 2세에 의해 상급 시장(독: Oberbürgermeister)으로 승격되었다.[49] 레에(Lehe)는 1920년 군 독립시가 되면서 행정 최고 책임자는 상급 시장이 되었다.[50]
브레머하펜은 1922년 새로운 도시법을 제정하여 선거권을 확대하고 도시 대표 회의의 권한을 강화했으며, 슈타트디렉터 직책을 프로이센 도시들과 맞춰 상급 시장으로 변경했다.[50]
나치당 집권 이후 1939년, 브레머하펜은 항만 지역을 제외하고 프로이센의 도시 베저뮌데(Wesermünde)에 합병되었다.[51]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5년, 군정은 상급 시장과 부시장(독: Bürgermeister)을 지명했다. 1946년, 군정은 베저뮌데를 니더작센주에서 분리하여 브레멘에 편입시키고 미국 관리 지역으로 결정했다. 1947년 베저뮌데 도시 대표 회의는 도시명을 브레머하펜으로 개칭하고 시 의회 제도를 폐지했다.[52]
현재 브레머하펜 시의 행정은 브레머하펜 시법(독: VerfBrhv)[53]에 따라 도시 대표 회의(독: Stadtverordnetenversammlung)와 마기스트라트(독: Magistrat)를 행정 조직으로 두고 있다.
==== 시의회 ====
브레머하펜 시의회는 4년마다 시민 선거로 선출된 48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시의회는 시의 모든 사안을 결정하고 시 당국의 직무 수행을 감독한다. 의원 중에서 의장(독: Stadtverordnetenvorsteher)과 부의장들을 선출하며, 임기 중 마기스트라트 명예위원을 선출한다. 또한 임기 6년의 마기스트라트 상임위원을 선출한다.[53]
==== 마기스트라트 ====
브레머하펜의 마기스트라트(독: Magistrat)는 상임 위원들(상급 시장, 부시장, 기타 전임 위원)과 명예직 위원들로 구성된다. 마기스트라트는 시의 행정 기관으로서 도시 대표 회의의 결정에 따라 행정을 집행하고 보고한다.[53] 상급 시장(독: Oberbürgermeister)은 행정의 지도자이며, 긴급 상황 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고, 법에 위반되는 마기스트라트 결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53]
6. 경제
브레머하펜의 경제는 도시 설립 초기부터 항구와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발전해왔다. 현재까지도 항만 관련 경제 분야(컨테이너 터미널, 조선소, 자동차 선적, 수산 가공업 등)가 도시 경제 구조의 핵심을 이룬다. 특히 해상 운송 화물의 환적업은 브레머하펜의 주요 부가가치 창출원이며, 제조 가공업보다는 서비스업으로서의 환적업 비중이 높다. 해상 화물 환적량은 꾸준히 증가하여 1955년 130만 톤에서 2011년에는 6,700만 톤 이상으로 늘어났고, 2018년에는 5,116만 톤을 기록했다.[87] 과거 유럽 최대 어항으로 번성했던 어업은 주요 어장 상실로 쇠퇴했으나, 도이체 제(Deutsche See), 프로스타(Frosta), 노르트제(Nordsee) 등 수산 가공업체들을 중심으로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항만업, 수산업, 조선업의 구조조정과 미군 철수에 따른 구매력 감소는 1990년대 후반 브레머하펜의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 1998년에는 실업률이 22.3%까지 치솟아 서독 지역 최고 수준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후 컨테이너 및 자동차 환적 물동량이 회복되고, 관광업과 해상 풍력 발전 분야에서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면서 도시는 점차 회복세를 보였다.
2016년 브레머하펜의 지역총생산(GRDP)은 394.8억유로였으며, 1인당 총생산은 34771EUR(브레멘주는 47482EUR, 독일 전체는 38180EUR)로 독일 평균보다 낮았다.[85] 2019년 6월 기준 실업률은 12.0%로, 브레멘 시(9.6%)보다 높고 독일 내에서도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85][86] 같은 해 미래 아틀라스(Zukunftsatlas) 연구에서는 브레머하펜을 401개 지역 중 383위로 평가하며 "위험이 높은" 도시로 분류하기도 했다.[88] 이는 브레머하펜이 여전히 구조적인 경제 문제에 직면해 있음을 보여준다.
6. 1. 항만 산업
브레머하펜은 세계에서 16번째, 유럽에서는 4번째로 큰 컨테이너 항구이다.[5][6] 2007년에는 490만 TEU[5], 2015년에는 550만 TEU[6]의 화물을 처리했다. 컨테이너 터미널은 북해로 이어지는 베저 강변에 위치하며, 약 5km 길이의 호안 둑과 총 14개의 계류 시설을 갖추고 있다.

특히 자동차 무역항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2014년에는 230만 대의 자동차를 수출입하며 네덜란드 로테르담 항구를 제외하고 유럽 최대 물동량을 기록했다.[90] 18개의 자동차 전용선 부두와 14개의 트레인 사이딩스(기차 환적 설비)를 통해 폭스바겐 볼프스부르크 공장 등 독일 내륙에서 생산된 자동차가 기차로 운송되어 수출된다. 유럽 주요 자동차 운송 기업인 BLG 로지스틱스 그룹은 브레머하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총면적 300만m2에 12만 대의 자동차를 수용할 수 있는 터미널을 운영한다.[89] 독일 시장으로 수입되는 자동차의 대부분도 브레머하펜을 거친다.
자동차 외에도 롤온/롤오프(Ro-Ro) 선박을 통해 연간 약 100만 톤의 대형 화물과 중량물이 처리된다. 여기에는 건설기계, 농업기계, 트럭, 기관차 등이 포함되며, 과거 암트랙용 ICE 시험 차량이나 중국으로 수출된 트란스라피트도 이곳을 통해 선적되었다.
항구의 주요 시설 중 하나인 수문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897년 건설된 카이저슐로이제(Kaiserschleuse|카이저슐로이제de, "황제 수문")는 당시 세계 최대 규모였으나, 선박 대형화 추세에 맞춰 2011년 파나맥스급의 새로운 수문으로 교체되었다. 이 외에도 두 개의 대형 수문을 통해 내항으로 접근할 수 있다.
브레머하펜의 경제는 설립 초기부터 항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왔다. 해상 화물 환적은 도시의 주요 부가가치 창출원이며, 환적량은 꾸준히 증가하여 1955년 130만 톤에서 2011년 6,700만 톤 이상으로 늘어났고, 2018년에는 5,116만 톤을 기록했다.[87]
과거 브레머하펜은 어업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1896년 피셔라이하펜(Fischereihafen, 어항)이 건설된 이후, 1930년대에는 215척의 어선과 7,000명의 관련 종사자를 거느리며 유럽 최대의 어항으로 번성했다. 그러나 아이슬란드와 노르웨이의 어업 수역 확장으로 인해 1980년대 이후 급격히 쇠퇴하여 현재는 소수의 어선만이 남아있다. 수산 가공업은 여전히 일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항만 관련 산업에는 조선소도 포함된다. 로이드 베르프트 등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항만 산업은 브레머하펜 경제의 핵심이지만, 도시 전체의 경제 상황은 녹록지 않은 편이다. 2019년 기준 실업률은 12.0%로 브레멘 주의 다른 지역(브레멘 시 9.6%)보다 높았으며[85][86], 독일 내에서 상대적으로 빈곤한 도시 중 하나로 평가받기도 한다.[88]
6. 2. 조선업
테크렌보르크(Tecklenborgger), 릭마스(Rickmersger), Schichau Seebeckger(SSW), 지크홀트(Siegholdger) 등 브레머하펜의 전통 있는 조선업체들은 세계적인 조선업 불황으로 인해 문을 닫았다. 살아남은 기업들도 일감 부족으로 인해 직원 수를 대폭 줄여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이드 베르프트와 페트럼 그룹(Petram Gruppeger)에 속했던 수리 전문 조선소인 "저먼 드라이 독스"(German Dry Docksger)(모토렌베르케 브레머하펜(Motorenwerke Bremerhavenger)과 릭마스-로이드(Rickmers-Lloydger)의 도크 부문이 합병하여 설립됨) 및 브레도(Bredoger) 등을 통해 브레머하펜은 여전히 중요한 조선 도시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신규 선박 건조 감소로 인한 부가가치 창출 저하는 수리 사업 분야의 부품 공급업체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2019년 7월, 페트럼 그룹은 브레머하펜의 조선 사업 부문(브레도와 저먼 드라이 독스)을 하인리히 레너 그룹(Heinrich Rönner Gruppeger)에 매각했다.[91]6. 3. 수산업
1885년 브레멘에서 건조된 자기타호(Sagitta)가 독일 최초의 원양어업선으로 사용되면서 원양어업이 본격화되었다. 1896년에는 당시 게스테뮌데(Geestemünde)에 피셔라이하펜 I(Fischereihafen I)이 건설되었고, 이후 피셔라이하펜 II도 완공되었다. 이미 1895년에 28척의 선박으로 구성된 게스테뮌데 원양 항해 선단이 형성되었으며, 피셔라이하펜 I 건설 후 1914년까지 어선 수는 93척으로 늘어났다.1930년대 브레머하펜의 수산업은 215척의 선박, 21개의 원양 어업 회사, 7,000명의 직원을 거느리며 전성기를 맞이했다. 이 시기 브레머하펜은 1960년까지 유럽 최대의 어항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아이슬란드와 노르웨이가 자국 연안의 어장을 200해리까지 확장하면서 브레머하펜 어선단은 주요 조업 구역을 상실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1984년까지 원양 어업 분야에서 2,000명 이상, 수산 가공업 분야에서 약 4,000명의 일자리가 사라지는 등 쇠퇴기를 맞았다. 현재 브레머하펜에는 단 3척의 어선만이 남아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레머하펜은 현재까지도 독일에서 가장 중요한 어항 중 하나로 꼽힌다. 도시의 별칭이 "피시타운(Fischtown)"이며, 주민들은 "피시케페(Fischkep)"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지역 아이스하키 클럽인 REV 브레머하펜 역시 "피시타운 펭귄스(Fischtown Pinguins)"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다.
항만 업무와 연계된 식품산업, 특히 수산물 가공과 냉동식품 산업은 여전히 브레머하펜 경제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도이체 제(Deutsche See), 프로스타(Frosta), 노르트제(Nordsee 레스토랑 체인), 프로즌 피시 인터내셔널(Frozen Fish International) 등이 있다. 과거에는 신선한 생선 하역이 주를 이루었으나, 소비 습관 변화에 따라 현재는 주로 외부에서 공급된 냉동 생선을 가공하거나, 생선, 채소, 즉석식품 등을 활용한 고도로 산업화된 식품산업 부문이 생산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바나나를 비롯한 열대 과일의 하역, 숙성, 저장 시설도 항만 구역 내에 자리 잡고 있다.
6. 4. 풍력 에너지 산업

브레머하펜은 독일의 해상 풍력 발전 산업에서 중요한 도시 중 하나이다. 2010년대 후반 들어 기계 제조업의 일부는 해안 지역(해상)에 설치하는 대형 풍력 발전기 생산으로 성장했다. 도시 남쪽에는 오라노의 자회사인 아레바 윈트 GmbH(Adwen, 구 멀티브리드), 젠비온(Senvion), 파워 브레이즈 GmbH, 베저윈트 GmbH 등의 제조업체가 위치한 공업 지구가 있으며, 이곳은 북해 해상 풍력 발전 시설 건설을 위한 기지 역할을 한다.
베저 강을 따라서는 게스테 강 합류점 상류에 해상 터미널(OTB) 건설을 위한 풍력 발전기 환적 항만 건설이 계획되었다.[92] 총 비용 2억유로가 투입될 이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해상 운영의 불안정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93][94] 그러나 2015년 중반 기준으로, 해상 시설용 풍력 발전기 환적에 ABC 반도(BLG)[95] 와 컨테이너 터미널 I(유로게이트)가 이용되기 시작하면서 OTB의 필요성은 줄어들었다. 현재 OTB 부지는 다른 해상 풍력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에 활용될 가능성이 검토되고 있다.[96]
6. 5. 관광 산업

브레머하펜은 역사적인 건물이 많지 않고, 번화가와 시내 중심부는 대부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건설되었다. 그러나 20세기 말부터 "항구의 분위기"와 해양 관련 박물관을 중심으로 관광업이 도시의 새로운 경제 기반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한때 "회색 쥐"로 불리던 도시 이미지를 벗고 매력적인 박물관과 고급 음식점을 갖춘 활기찬 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주요 관광 명소는 하펜벨텐(Havenwelten)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 클리마하우스 브레머하펜 8° 오스트 (Klimahaus Bremerhaven 8° Ostde): 2009년 개장한 기후 변화 테마 명소로, 경도 8도 동경선을 따라가는 가상 여행을 통해 기후 문제를 다룬다.
- 독일 이민 센터 (Deutsches Auswandererhausde): 2005년 8월 8일 개장했으며, 독일 이민 역사를 다룬다. 2007년 유럽 올해의 박물관 상을 수상했고[97], 2012년 확장되었다.
- 독일 해양 박물관 (Deutsches Schiffahrtsmuseumde): 1975년 건축가 한스 샤라운이 설계했다. 1380년대 브레멘에서 발굴된 고대 코그선인 한제코게( Hansekoggede)와 역사적인 항구(Museumshafen|무제움스하펜de)에 정박된 여러 박물관 선박을 전시한다. 대표적으로 Type XXI U-boat 잠수함 ''빌헬름 바우어''(Wilhelm Bauer)와 1924년 건조된 구난 예인선 ''Seefalke|제팔케de''가 있다.
- 브레머하펜 동물원: 장기간의 개조 공사 후 2004년 3월 27일 재개장했다. 육상과 해양의 북극 야생 동물을 주로 전시한다.
- 전망대: 아틀란틱 호텔 세일 시티와 라다르 타워 꼭대기에 전망대가 있다.
- 피셔라이하펜 (Fischereihafen|어항de): 게스테뮌데(Geestemünde) 지역에 위치하며, 아틀란티쿰(Atlanticumde) 수족관을 포함한다.
- 로이드 베르프트 조선소: 노르웨이호(Norway)와 같은 대형 크루즈 선박을 건조하고 개조하는 것으로 유명하여 도시의 해양 이미지를 강화한다.
5년마다 열리는 브레머하펜 세일링 축제 (Sail Bremerhavende)는 전 세계에서 온 많은 범선을 유치하는 대규모 항해 행사이다. 마지막 행사는 2015년에 열렸으며, 270척 이상의 선박과 3,500명 이상의 승무원이 참가했다.[18] 2011년에는 327척의 선박으로 사상 최대 규모의 보트 퍼레이드 기록을 세웠으나, 이 기록은 2012년 템스 강 다이아몬드 주빌리 퍼레이드에서 1,000척의 보트로 깨졌다.[19]
1927년 베저 강변에 건설된 여객 터미널 콜럼버스카제(Columbuskajede)는 현재 콜럼버스 크루즈 센터 브레머하펜(CCCB)으로 운영되며, 북해와 발트해 크루즈의 중요한 출발지이자 종착지 역할을 한다. 이곳은 역사적으로 유럽 대륙의 주요 이민 항구였으며, 1970년대까지 대서양 횡단 여객선의 중요한 독일 항구 중 하나였다.[98][99] 또한 브레머하펜에는 3개의 마리나가 있으며, 가장 최근에 개장한 마리나는 Neuer Hafen|노이어 하펜de(신항)의 새로운 갑문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2010년부터 브레머하펜은 배의 요정 전설인 클라바우터만(Klabautermannde)과 연계하여 독일 동화길의 종착점이 되었다.
이러한 관광 산업의 발전은 항만업, 수산업, 조선업의 구조조정과 미군 철수로 인해 1990년대 후반 서독 최고 수준(1998년 22.3%)까지 치솟았던 실업률을 완화하는 데 기여했다. 컨테이너 및 자동차 환적 개선과 더불어 관광업 및 해상풍력발전 분야에서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면서 도시는 점차 회복세를 보였다. 2019년 6월 브레머하펜시의 실업률은 12.0%였다.[85]
7. 교통
브레머하펜은 도로, 철도, 버스, 해상 등 다양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A27호선과 여러 연방도로가 도시를 연결하며, 특히 항만 물동량 처리를 위한 도로 교통의 중요성이 크다. 철도 교통은 브레머하펜 중앙역을 중심으로 브레멘 S반, 지역 열차, 인터시티 등이 운행되며, 여객 운송뿐 아니라 항만 화물 운송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시내 및 지역 대중교통은 주로 BREMERHAVEN BUS가 운영하는 버스 노선망을 통해 이루어지며, 플릭스버스와 같은 광역 버스도 운행된다. 과거에는 트램(1881년~1982년)[15]과 트롤리버스(1947년~1958년)[102][103]도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해상 교통은 브레머하펜의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세계적인 규모의 컨테이너 터미널과 자동차 수출입 항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브레멘포르츠(Bremenports)가 주요 항만 시설을 관리한다. 노르덴함으로 가는 페리가 운항 중이며, 과거에는 영국 등지로 가는 국제 페리 노선도 있었다.
항공 교통의 경우, 과거 헬골란트행 정기편이 운항되던 루네오르트 비행장(Verkehrslandeplatz Bremerhaven-Luneortde)이 있었으나 2016년 폐쇄되고 부지는 산업용으로 전환되었다. 현재 가장 가까운 공항은 약 30km 북쪽에 위치한 노르트홀츠 공군기지이다.
7. 1. 도로 교통
브레머하펜은 지리적 특성상 교통망 구축에 몇 가지 어려움이 있다. 1970년대 후반부터 독일 고속도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었으며, A27호선이 도시 동쪽을 남북으로 지나며 브레머하펜을 브레멘 및 쿠크스하펜과 연결한다. 그러나 함부르크 방면 연결은 상대적으로 미흡하여, B71호선과 지방도가 많은 트럭 교통량을 소화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쿠스텐아우토반"(Küstenautobahn|연안 고속도로de)이라 불리는 A22호선 건설이 제안되었다. 이 도로는 브레머하펜을 함부르크 및 빌헬름스하펜/올덴부르크(베저터널 이용)와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항만으로 이어지는 도로는 화물 운송량 증가로 자주 정체를 빚고 있으며, 시 정부와 관련 기관들은 도로 용량 확대를 위한 방안을 논의 중이다.
브레머하펜은 유럽의 주요 자동차 환적 항만 중 하나이다. 1877년 설립된 브레머 라거하우스-게젤샤프트 AG(Bremer Lagerhaus-Gesellschaft AGde)에서 유래한 BLG 로지스틱스 그룹(BLG Logistics Groupde)은 약 6,000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총면적 300만m2에 12만 대의 자동차를 수용할 수 있는 터미널을 운영한다. 2011년에는 200만 대 이상의 자동차를 처리했고[89], 2014년에는 230만 대의 자동차를 환적하며 유럽 내 선두적인 위치를 확보했다.[90] 독일로 수입되는 자동차의 상당수가 브레머하펜 항구를 거친다.
자동차 외에도 건설기계, 농업기계, 트럭 등 약 100만 톤의 다양한 화물이 RO-RO선을 통해 처리된다. 미국의 암트랙용 ICE 시험 차량과 중국으로 수출된 트란스라피드 역시 브레머하펜을 통해 선적되었다.
브레머하펜 시 동쪽으로는 A27호선(쿠크스하펜 - 브레머하펜 - 브레멘 - 발스로데 구간)이 지나간다. 또한 연방도로인 구 B6호선, B71호선, B212호선이 시내를 통과한다. 스칸디나비아/폴란드에서 함부르크와 브레머하펜을 거쳐 네덜란드로 이어지는 "해안 고속도로" A20/A22호선 건설이 계획 중이지만, 노선에 포함된 엘베 강 횡단 교량 건설에 최소 20억유로의 막대한 비용이 예상되어 논란이 있다.
시내 도로망은 A27호선을 동쪽 경계로, B6호선을 서쪽 경계로 하는 남북 방향 구조를 띤다. B6호선은 에르빙거 광장에서 하펜란트 거리와 미텔악세(B6호선)로 나뉜다.
주요 동서 횡단 도로는 다음과 같다.
지역 | 주요 도로 | 비고 |
---|---|---|
훌스도르프 | B71호선 (구 린덴알레) | 남부를 스치고 지나감 |
게스테뮌데 | 안 데어 뮬레 거리, 시프돌퍼 쇼세 | 함부르거 거리와 폴리 거리를 경유하여 고속도로 직접 연결 계획 중 |
미테 | B212호선 (그림스비 거리) | 고속도로(브레머하펜 미테 나들목)와 게스테뮌데의 브렉센행 페리 선착장 연결. B6호선 나들목부터 고속도로까지 약 2km 구간은 중앙 차선 가변차로제 운영. |
레이에 및 레이어하이데 | 쉘부르거 거리 | 뤼베르제하펜 지역과 고속도로 연결. 새로운 터널로 기능 이전 예정 (2015년 착공). |
7. 2. 철도 교통

브레머하펜에는 세 개의 여객 철도역이 운영 중이다. 시내 중심부에는 브레머하펜 중앙역이 있고, 중심부 북쪽에는 브레머하펜-레에역, 시 남부에는 브레머하펜-불스도르프역이 있다. 이 세 역에는 모두 브레멘 S반 '''RS 2''' 노선 열차가 매시간 운행되며, 쿠크스하펜 및 붸크스테후데 방면으로 가는 '''RB 33''' 노선 지역 열차도 이용할 수 있다.
브레머하펜 중앙역에는 하노버행('''RE 8''') 및 오스나브뤼크행('''RE 9''') 지역 급행 열차도 정차한다. 또한, 약 20년 만인 2021년 말부터 독일철도의 인터시티 네트워크에 다시 연결되어 장거리 철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졌다.[12]
과거 랑겐과의 경계 근처에 있던 네 번째 역인 브레머하펜-슈페켄뷔텔역은 1988년 이후 운영되지 않고 있다.
브레머하펜의 철도는 여객 운송 외에도 항구를 오가는 화물 운송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주로 신차, 컨테이너, 식품 등이 운송되며, 특히 환적된 컨테이너 화물과 자동차의 철도 수송은 항만 교통의 핵심이다. 이러한 대규모 화물 수송을 아우토반을 이용한 도로 교통만으로 처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항만 지역의 광범위한 철도망은 브레멘 주 소유이며, 독일철도에서 운영하고 있다.
브레머하펜의 철도 역사는 1862년에 시작되었다. 당시 하노버 왕국의 화물 운송을 위해 왕립 하노버 국유 철도가 브레멘과 브레머하펜 사이에 복선 철도를 개통했으며, 이 노선은 1866년부터 프로이센 국유철도의 일부가 되었다.
브레머하펜 중앙역은 브레멘에서 쿠크스하펜으로 가는 노선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브레머펠데를 경유하여 부크스테후데로 가는 니더엘베 철도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2007년 12월부터 이 노선을 따라 함부르크 S반이 슈타데까지 운행하고 있다. 이 외에도 브레머하펜 중앙역에서는 콜럼버스역/콜럼버스 크루즈 센터(Columbusbahnhof/Columbus Cruise Center)까지 임시 열차(특별열차, 화물열차 포함)와 베더케제행 보존 철도가 운행되기도 한다.
7. 3. 버스 교통
2020년 기준 브레머하펜에는 BREMERHAVEN BUS(브레머하펜 버스)가 운영하는 19개의 버스 노선망이 있으며, 이 중 2개는 주말 심야 노선이다. 일부 정류장만 정차하는 급행 노선 'Schnellbus-Line S'도 운행된다.[13] 운영 주체는 VGB(브레머하펜 교통회사 AG)이며, 최대 87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14] VGB는 2001년부터 '브레머하펜 버스'라는 브랜드명으로 노선을 운영해 왔으며, 2019년 2월 기준으로는 주간 12개, 야간 2개, 수요응답형 버스(ALT) 4개를 포함한 총 18개 노선을 운영했다. ALT 교통을 포함한 VGB 버스 노선의 운영권은 2017년부터 브레머하펜 공급·교통 GmbH(BVV)가 소유하고 있다.[105]브레머하펜 중앙역에서는 다른 회사들이 운영하는 지역 버스들이 바트 베더케사, 베퍼스테트, 하겐(Hagen im Bremischen), 노르트홀츠, 오터른도르프 등 인근 지역으로 운행한다. 또한 브레멘 주변 지역으로는 쿠크스하펜(Cuxhaven), 바트 베더케제(Bad Bederkesa), 빌헬름스하펜, 올덴부르크 등으로 향하는 13개의 지역 버스 노선이 추가로 운행된다. 광역 버스 회사인 플릭스버스는 브레머하펜에서 슈타데(Stade)와 함부르크를 경유하여 베를린까지 노선을 운행한다.
과거 브레머하펜에는 트롤리버스가 운행되었다. 1947년 12월 중앙역에서 시프돌프(Schiffdorf)까지 (I) 노선이 개통되었고, 1949년에는 중앙역에서 Lehe-Stresemannstraße|레이에 슈트레만 거리de까지 (II) 노선이 추가되었다.[102] 트롤리버스 운행은 1958년 7월 1일에 중단되었다.[103]
VGB는 1961년 1월 8일 시 경계에 인접한 랑겐(Langen)에서 시내버스 영업소를 개설했으며, 1965년 12월 13일에는 첫 관절버스를 도입했다.[104] 1980년 6월 1일, VGB 시내버스 영업소는 Zur Hexenbrücke|차 헤크센브뤼케de 거리 소방서 근처로 이전했다.
7. 4. 해상 교통
브레머하펜은 세계에서 16번째, 유럽에서는 4번째로 규모가 큰 컨테이너 항구이다. 또한 매년 많은 자동차가 브레머하펜 항을 통해 수출입되는데, 2014년 기준 230만 대의 자동차를 처리하며 유럽 1위의 자동차 무역항으로 자리 잡았다.[90] 이는 네덜란드 로테르담 항구를 제외하면 유럽 최대 물량이다. 18개의 자동차 전용선 부두와 14개의 기차 화물 적하역 시설(Train sidings)을 갖추고 있어, 폭스바겐 볼프스부르크 공장에서 생산된 자동차가 기차로 운송되어 수출된다.
항구의 역사는 1827년 브레멘 시장 요한 슈미트(Johann Smidt)가 베저 강 하구 북쪽에 위치한 미완성 스웨덴 요새 도시 카를스부르크(Karlsburg)의 토지를 하노버 왕국으로부터 매입하면서 시작되었다.[38] 이듬해 5월 1일 토지가 인계되어 '브레머하펜(Bremerhaven)'이라 명명되었고, 1830년 알터 하펜(Alter Hafen, 구항)이 완공되었다. 1847년부터 1852년까지 노이어 하펜(Neuer Hafen, 신항)이 건설되었으며, 브레머하펜은 1854년까지 유럽 최대의 이민 출발항으로 성장했다. 경쟁 항구였던 게스테뮌데(Geestemünde)는 1845년 하노버에 의해 건설되었다. 1873년부터 1876년까지 카이저하펜 I(Kaiserhafen I)이, 1907년/1909년에는 카이저하펜 II/III(Kaiserhafen II/III)이 건설되었다. 1896년에는 피셰라이하펜(Fischereihafen, 어항)이 개항했다.
1897년에는 당시 세계 최대 규모의 수문인 카이저슐로이제(Kaiserschleuse, 황제수문)가 건설되었으며, 이 수문은 2011년 파나맥스 급의 새로운 수문으로 교체되었다. 1931년에는 노르트슈로이제(Nordschleuse, 북수문)가 가동을 시작했다. 1927년에는 콜룸부스 호안 둑(Columbuskaje)과 '바닷가 역(Bahnhof am Meer)'이라는 별칭의 콜룸부스 역(Columbusbahnhof)이 완공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파괴된 여객 시설은 점차 복구되어 1962년 새로운 여객 시설 II가 신설되었다. 1968년부터 설치된 컨테이너 터미널은 1978년부터 확장되어 현재 약 5km 길이의 호안 둑과 총 14개의 계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선박의 출항과 입항은 브레머하펜에 항상 중요한 의미를 지녀왔다. 1827년 스웨덴 범선 "Lyk good"이 처음 입항했으며, 1830년 알터 하펜 완공 후에는 미국 스쿠너 "드레이퍼"(Draper)가 처음으로 입항했다. 1847년에는 외륜선 "워싱턴"(Washington)이 입항했고, 1849년부터 1853년까지 카를 루돌프 브론미 제독(Admiral Karl Rudolf Brommy)의 함대가 정박했다. 1854년 한 해에만 76,875명의 이민자가 브레머하펜을 통해 유럽을 떠났다. 1857년 설립된 북독일 로이드(Norddeutscher Lloyd, NDL)는 "브레멘 1"(Bremen 1)을 시작으로 뉴욕과 볼티모어행 정기 항로를 운항했으며, 1881년에는 세계 최대 해운 회사로 성장했다. NDL의 유명 선박으로는 1897년 블루 리본 상을 수상한 "카이저 빌헬름 데어 그로세"(Kaiser Wilhelm der Grosse), 1902년 취역한 "크론프린츠 빌헬름"(Kronprinz Wilhelm), 1929년 취역한 "브레멘"(Bremen)과 "오이로파"(Europa) 등이 있다.
1885년에는 독일 최초의 원양 어선 "자기타"(Sagitta)가 취역했고, 같은 해 세계 최초의 해외 수출용 탱커 "안드로메다"(Andromeda)가 게스테뮌데에서 뉴욕으로 출항했다. 이는 선주 리데만(Riedemann)과 스탠더드 오일(Standard Oil, 이후 엑손모빌)의 협력으로 이루어진 독일 석유 수송의 중요한 시작이었다. 1886년에는 최초의 제국 우편선이 동아시아로 출항했다. 1936년부터는 가공선 "얀 벨렘"(Jan Willem)의 활동으로 포경이 중요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5년부터는 미군의 군수선 시대가 시작되어 95척의 선박이 수천 번 항구에 접안했다. 1949년부터는 약 500척의 냉장선이 약 5,000번에 걸쳐 바나나를 수송했으며, 1958년에는 엘비스 프레슬리가 브레머하펜에 도착하기도 했다. 1950년 "그립스홀름"(Gripsholm)을 시작으로 여객 수송이 재개되었고, "아메리카"(America, 1951년), 블루 리본 상 수상 선박 "유나이티드 스테이츠"(United States, 1953년), "세븐 시즈"(Seven Seas, 1955년) 등이 뒤를 이었다.
1957년에는 항공모함 "포레스터"(Forrestal)가 입항했으며, 이후 여객선 "브레멘"(Bremen, 1959년), "오이로파"(Europa, 1966년) 등이 취항했다. 1966년에는 페리 "프린스 햄릿"(Prince Hamlet)이 하리치로, "로란트 폰 브레멘"(Roland von Bremen)이 헬골란트 섬으로 운항을 시작했다. 1970년에는 여객선 프랑스(France), 1987년에는 크루즈 여객선 "퀸 엘리자베스 2"(Queen Elizabeth 2)가 입항했다. 2000년대 들어서는 당시 세계 최대급 컨테이너선 중 하나였던 "엠마 머스크"(Emma Mærsk, 2006년), 크루즈선 "퀸 빅토리아"(Queen Victoria, 2009년), 컨테이너선 "CMA CGM 마르코 폴로"(CMA CGM Marco Polo, 2012년) 등이 브레머하펜을 찾았다. 2011년에는 세계 최대 자동차 운반선 "파우스트"(Faust)가 입항했다. 1986년부터는 윈드재머 퍼레이드를 포함하는 주요 행사인 자일(Sail)이 정기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자동차 외에도 연간 약 100만 톤의 대형화물, 소형화물, 최대 200톤의 중량물이 RO-RO선을 통해 환적된다. 주요 품목으로는 건설기계, 농업기계, 트럭, 기관차 등이 있으며, 미국의 암트랙(Amtrak)용 ICE 시험 차량과 중국으로 보내진 트랜스래피드(Transrapid)도 브레머하펜을 통해 선적되었다.
항만 운영은 여러 주체가 담당한다. 컨테이너 터미널, 자동차 항구, 콜롬부스 부두 등이 속한 브레멘 시 해외 항만 구역(Stadtbremisches Überseehafengebiet)은 브레멘포르츠(Bremenports)가 운영하며, 창고, 부두, 도로, 철도 등 항만 시설 전반을 관리한다. 수로 안내는 하펜로첸게젤샤프트 브레머하펜(Hafenlotzen-Gesellschaft Bremerhaven)이 맡는다. 자동차 운송은 1877년 설립된 브레머 라거하우스-게젤샤프트 AG(Bremer Lagerhaus-Gesellschaft AG)에서 출발한 BLG 로지스틱스 그룹(BLG Logistics Group)이 주도하며, 이 회사는 유럽 최고의 자동차 운송 기업 중 하나이다. BLG의 자동차 터미널은 총면적 300만m2에 12만 대의 자동차를 수용할 수 있다.[89]
해외 항만 구역(Überseehafengebiet)은 제1종 통제구역(자유항)으로, EU 과세 지역 내 관세상 특별 지역이다.[101] 이 구역은 경계 울타리와 세관 게이트로 보호되며, 출입하는 사람과 물품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현재 게스테 강 남안 제방을 따라 브레머하펜과 노르덴함(Nordenham)의 브렉센(Blexen) 지역을 잇는 베저 페리(Weserfähre)가 운항 중이다.[110] 과거에는 콜럼버스 호안 제방의 페리 터미널에서 영국 하리치(1966년~1982년)와 아이슬란드로 가는 페리가 출항했다. 카이저하펜(Kaiserhafen)과 피셔라이하펜(Fischereihafen)에도 페리가 운항된 바 있다.
콜럼버스 호안 제방은 과거 800만 명 이상의 이민자가 신대륙으로 떠난 역사적인 장소이며, 2003년 5월 2일부터는 크루즈 여객선 터미널인 콜럼버스 크루즈 센터 브레머하펜(Columbus Cruise Center Bremerhaven, CCCB)으로 이용되고 있다. 2008년에는 100척 이상의 크루즈선이 입항하는 기록을 세웠다.
8. 문화
브레머하펜에는 다양한 극장과 음악 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극장
- 브레머하펜 시립극장: 오스카르 카우프만(Oskar Kaufmann)의 설계를 바탕으로 1910년부터 1911년에 건설되었다.
- 클라이네스 하우스 (Kleines Haus): 1955년부터 그로세스 하우스(Großes Haus) 앞 극장 부속 건물 안에 자리 잡고 있다.
- 임 피셰라이하펜 극장 (Im Fischereihafen Theater): 암 아하우펜슈트라세(Am Auhafenstraße) 6번지에 있으며, 1996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
- 인형극 공방 팍할레 V (Packhalle V): 1998년부터 피셰라이하펜 시가지에 위치한다.
- 프페르데슈탈 (Pferdestall): 갈텐슈트라세(Gartenstraße) 5/7번지 (미테 시가지)에 있으며, 과거 운송업자의 마굿간 자리를 활용하여 예술 및 실용 서클의 연극, 음악, 문학 이벤트 장소로 사용된다.
- 피콜로 테아트로 - 하펜테아터 (Piccolo Teatro - Hafentheater): 2011년부터 뷔르거마이스터 슈미트슈트라세(Bürgermeister-Schmidt-Straße)에 있다. 로베르토 비드머(Roberto Widmer)가 설립한 브레머하펜 유일의 소극장이다.
음악 단체
- 브레머하펜 시립 관현악단
- 록 지클루스 브레머하펜[84]
- 빅 밴드 브레머하펜
- 브라스 오케스트라 브레머하펜
- 브라스 오케스트라 레에 (구 레싱슐레 브라스 오케스트라)
- 브라스 오케스트라 훌스돌프
- Glad(E)makers (구 플레이어스 & 프리처스)
- 록 센터 브레머하펜
- 시립극장 어린이 합창단
- 어린이 음악학교 브레머하펜
- 오리지널 마린 코러스 「브라우에 유ング스 아우스 브레머하펜」
8. 1. 박물관 및 명소
브레머하펜에는 역사적인 건물이 비교적 적으며, 번화가와 시내 중심부는 대부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건설되었다. 주요 관광 명소는 하펜벨텐(Havenwelten)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이곳에는 기후 변화를 주제로 한 클리마하우스 브레머하펜(Klimahaus Bremerhaven 8° Ost), 2005년 8월 8일에 개장한 독일 이민 센터(German Emigration Center), 그리고 1975년 한스 샤라운이 설계한 독일 해양 박물관(Deutsches Schiffahrtsmuseum)이 자리 잡고 있다. 독일 해양 박물관은 1380년대 브레멘에서 발굴된 고대 코그선인 한제코게(Hansekogge)를 소장하고 있으며, 여러 박물관 선박이 정박해 있는 역사적인 항구(Museumshafen)를 포함한다. 대표적인 박물관 선박으로는 Type XXI U-boat인 ''빌헬름 바우어''(Wilhelm Bauer) 잠수함과 1924년에 건조된 구난 예인선 ''제팔케''(Seefalke)가 있다.브레머하펜 동물원(Bremerhaven Zoo)은 대대적인 개조 공사를 거쳐 2004년 3월 27일에 재개장했으며, 육상 및 해양 북극 야생 동물을 주로 전시한다. 2009년에는 경도 8도선을 따라가는 가상 여행을 통해 기후 문제를 다루는 ''클리마하우스''(Klimahaus)가 문을 열었다. 아틀란틱 호텔 세일 시티(Atlantic Hotel Sail City)와 라다르 타워(Radar Tower) 꼭대기에는 전망대가 마련되어 있다. 게스테뮌데(Geestemünde) 지역의 피셔라이하펜(Fischereihafen, 어항) 역시 주요 명소 중 하나였으나, 이곳에 있던 아틀란티쿰(Atlanticum) 수족관은 2013년에 폐관했다. 로이드 베르프트(Lloyd Werft) 조선소는 노르웨이호(Norway)와 같은 대형 크루즈 선박을 건조하고 개조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5년마다 열리는 브레머하펜 세일링 축제(Sail Bremerhaven)는 전 세계에서 수많은 범선이 모이는 대규모 항해 행사이다. 2015년 행사에는 270척 이상의 선박과 3,500명 이상의 승무원이 참가했다.[18] 2011년에는 327척의 선박이 참여한 보트 퍼레이드로 세계 기록을 세웠으나, 이 기록은 2012년 템스강 다이아몬드 주빌리 퍼레이드(Thames Diamond Jubilee Pageant)에서 1,000척의 보트가 참여하며 경신되었다.[19]
1927년 베저 강변에 건설된 여객 터미널 ''콜럼버스카제''(Columbuskaje)는 갑문 통과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현재는 크루즈 터미널(Columbus Cruise Center Bremerhaven/CCCB)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브레머하펜에는 3개의 마리나가 있으며, 가장 최근에 개장한 마리나는 ''노이어 하펜''(Neuer Hafen, 신항)의 새로운 갑문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주요 건축물 및 명소




- 브레머하펜 등대 (1854년 건설, 로셴 탑)
- 부르거마이스터 슈미트 기념 교회 ("대교회", 1855년 건설)
- 콜럼버스 센터 브레머하펜 (1977년 완공)
- 부르거마이스터 슈미트 거리 ("디 부르거") 및 거리 내 명소 (알테 부르거, 브루베레 폰 브레머하펜, 베르프트브루넨)
- 아틀란틱 호텔 세일 시티 (전망대 보유, 도시의 랜드마크)
- 브레머하펜 기후하우스 (2009년 설립)
- 콜럼버스 센터와 알터 하펜을 잇는 유리 다리
- 브레머하펜 리히트푼크 탑 (송신탑)
- 브레머하펜 응용과학대학교 (1975년 설립)
- 알프레트 베게너 극지 및 해양 연구소 (AWI, 1980년 건설)
- 콜럼버스 호안 제방 (1927년 개설)
- 로이드 베르프트 견학 센터
- 조이테 데른 (박물관 선박 겸 레스토랑)
- 카이저 수문 (1897년 가동 시작)
- 독일 이민 센터 (2005년 설립)
- 항만 지역 (알터 하펜, 노이어 하펜, 피셰라이하펜 등)
- 컨테이너 전망대 (북쪽 수문 인근)
- 브레머하펜-레에 급수탑
- 파울루스 교회 (1905년 건립)
- 예수 성심 교회 (레에 및 게스테뮌데)
- 레에 구청사
- 슈페켄뷔텔 공원 문
- 브레머하펜 시립홀
- 브레머하펜 아이스 아레나
- 브레머하펜 중앙 모스크 (1975년)
- 훌스돌프 주택·급수탑
- 샤우펜슈타르·피셔라이하펜 (어업박물관 포함)
- 게스테뮌데 중앙운하 드레 다리
- 크리스투스 교회 (1875/80년 건립)
- 노이마르크트 (콘라트-아데나우어 광장, 주간 시장)
박물관

- 독일 이민자 하우스[65] (2005년 개관, 2007년 유럽 올해의 박물관 수상[97], 2012년 확장)
- 독일 이민자 데이터뱅크 (DAD, 브레머하펜 역사 박물관 내)[66]
- 독일 해양 박물관[67] (1975년 개관)
- 브레머하펜 역사 박물관 (모르겐슈테른 박물관)[68] (1991년 신관 건설)
- 브레머하펜 기상관[69]
- 범죄 박물관 (경찰 박물관)[70]
- 브레머하펜 예술 홀 및 새로운 미술관[71]
- 50년대 박물관[72]
- 게라 (선박, 1961년 건조)[73]
- 리네 힌슈 (박물관·레스토랑 선박)
- 북해 과학 센터 (페노멘타[74], 슈테른프로인데[75] 천문 애호회 포함)
- 학교 역사 컬렉션 「피히테슐레」[76]
- 빌헬름 바우어 (잠수함, 1945년 건조)[77]
- 보급·교통 박물관[78]
- 슈페켄뷔텔 민속 야외 박물관[79]
- 암 메어 동물원[79]
- (폐관) 아틀란티쿰 (2013년 폐관)
- (폐관) 북해 박물관 (2000년 폐관, 재개관 계획 중)
20세기 말부터 브레머하펜은 "항구의 분위기"와 해양 관련 박물관을 기반으로 관광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다. 과거 "회색 쥐"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매력적인 박물관과 발달한 음식 문화 덕분에 활기찬 도시로 변모했다. 특히 독일 이민자 박물관과 브레머하펜 기후 박물관, 그리고 항구 투어는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북해와 발트해 크루즈의 출발지 및 종착지로서 브레머하펜은 현대적인 터미널 시설을 갖춘 중요한 항구 도시이다. 현재의 콜럼버스 크루즈 센터 브레머하펜(CCCB)은 역사적으로 콜럼버스 호안으로 알려졌으며, 유럽 대륙의 주요 이민 항구이자 1970년대까지 북미 및 영국행 여객선의 중요한 기착지였다.[98][99]
또한 브레머하펜은 2010년부터 독일 동화길의 종착점으로 지정되었다. 이는 배의 손상이나 침몰을 예언하는 요정인 "클라바우터만" 전설과 관련이 있다.
8. 2. 축제


브레머하펜에서는 5년마다 유럽 최대의 윈드재머 축제인 브레머하펜 세일링 축제(Sail Bremerhaven, 또는 디 자일(Die Segel))가 열린다.[83] 이 축제는 전 세계에서 온 많은 범선을 유치하는 대규모 항해 컨벤션이다. 마지막 행사는 2015년에 열렸으며, 270척 이상의 선박과 3,500명 이상의 승무원이 참가했다.[18] 2011년에는 327척의 선박이 참여하여 사상 최대 규모의 보트 퍼레이드 기록을 세웠으나, 이 기록은 2012년 1,000척의 보트가 참여한 템스 강 다이아몬드 주빌리 퍼레이드(Thames Diamond Jubilee Pageant)에 의해 깨졌다.[19]
그 외에도 연중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월 | 주요 축제 및 행사 |
---|---|
5월 | 봄 시장, 긴 문화의 밤, 장네트 쇼켄 문학회의(Jeanette Schocken Literaturtage)에서 장네트 쇼켄 상(Jeanette Schocken-Preis) 수여식, 브레머하펜 제마일레(Bremerhavener Seeregatte) - "도시와 바다의 경주"(시민 경주) |
6월 | 브레머하펜 마라톤(Bremerhavener Marathon), 피셔라이하펜 경주(Fischereihafenrennen), 드래곤 보트 경주, "게스테 주말(Geeste-Wochenende)" |
7월 | 브레머하펜 페스트보히(Bremerhavener Festwoche), 시티 마라톤 브레머하펜(City-Marathon Bremerhaven) |
8월 | 브레머하펜 벼룩시장, 항구 영화제, 디 자일(Die Segel, 5년마다) |
9월 | 베저 인라인 투어(Weser-Inline-Tour), 유나이티드 위 스탠드 페스티벌(United We Stand Festival)(구 분트 슈타트 브라운(bunt statt braun)) |
12월 | 크리스마스 마켓 |
9. 교육
브레머하펜에는 다양한 교육 및 연구 기관이 자리 잡고 있다.
고등 교육 및 연구
- 브레머하펜 응용과학대학교 (Hochschule Bremerhaven): 1975년 브레머하펜 해운학교로 설립되었으며[112], 2009년 기준으로 3,000명 이상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전 세계에서 온 많은 학생들이 수학하고 있으며, 공정 공학, 정보 기술, 그리고 핀란드 팀 아카데미 형식을 모델로 한 독일어권 최초의 BA 기업가 정신, 혁신, 리더십 프로그램 등을 제공한다.[21]
- 알프레트 베그너 국립 연구소 (Alfred-Wegener-Institut für Polar- und Meeresforschung, AWI): 해양 과학과 기후를 연구하는 국립 연구 기관으로, 헬름홀츠 연합 독일 연구센터 소속이다.[113] 여러 연구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중형 연구용 쇄빙선인 폴라슈테른호(RV Polarstern)가 있다. 또한 남극의 노이마이어 기지 III를 운영하고 있다.
- 프라운호퍼 학회 산하 프라운호퍼 풍력 에너지 및 에너지 시스템 기술 연구소 (Fraunhofer IWES): 풍력 에너지 및 해양 공학을 위한 프라운호퍼 연구소(CEMT)를 모체로 2009년에 설립되었으며,[114] 브레머하펜에서 풍력 발전 설비 개발 및 시험을 위한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20]
- 독일 해양 박물관 (German Maritime Museum): 독일 라이프니츠 협회 소속의 연구 박물관이다.
- 브레머하펜 기술이전센터 (ttz Bremerhaven): 1987년에 설립되어[119] 6개 연구소에서 연구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연구소 명칭 |
---|
식품 공학 및 바이오엔지니어링을 위한 브레머하펜 연구소 (BILB) |
보건 공학을 위한 브레머하펜 연구소 (BIGT) |
생물 정보 시스템을 위한 브레머하펜 연구소 (BIBIS) |
조직 및 소프트웨어를 위한 브레머하펜 연구소 (BIOS) |
물, 에너지, 경관 관리를 위한 브레머하펜 연구소 |
브레머하펜 센서 연구소 |
- 기타 연구 및 혁신 기관:
기관명 | 비고 |
---|---|
IMARE - 해양자원연구소 | |
수산업 생태학 및 해양 수산업을 위한 튀넨 연구소 | 2018년 함부르크에서 이전[118] |
브레머하펜 혁신 기업 센터 (BRIG) | [115] |
t.i.m.e 포트 | [116] |
바이오테크놀로지를 위한 비오노르트 센터 | [117] |
브레머하펜은 브레멘과 함께 2004년 3월 12일, 독일 학술 기반 연합에 의해 "학술도시 2005"로 선정되었다.[111] 또한 브레머하펜 시는 막스 플랑크 연구소의 협력 지원 회원이다.[120]
일반 교육
브레머하펜에는 기초학교, 본과학교, 실과학교, 고등학교(Oberstufe), 김나지움, 직업학교, 특수학교, 시민대학 등 다양한 형태의 학교가 운영되고 있다.[121]
특이하게도 김나지움 ヴェーザー뮌데(Gymnasium Wesermünde)는 쿠크스하펜군이 운영하는 니더작센주 소속 학교이지만, 브레머하펜의 게스테뮌데 지역에 위치해 있다.
10. 자매 도시
브레머하펜은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22][57]
도시 | 국가 | 자매결연 체결일 |
---|---|---|
셰르부르-옥트빌 | 프랑스 (망슈주) | 1960년 6월 29일[58] |
그림즈비 | 영국 (링컨셔) | 1963년 2월 22일[59] |
포리 | 핀란드 (사타쿤타주) | 1969년 5월 16일[60] |
프레데릭스하운 | 덴마크 (북위틀란 지역) | 1979년 6월 16일[61] |
슈체친 | 폴란드 (서포메라니아주) | 1990년 10월 16일[62] |
칼리닌그라드 |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 | 1992년 4월 24일[63] |
브레머하펜 시내에는 자매 도시의 이름을 딴 도로들이 있다. 아우토반 27과 연결되는 세 개의 주요 도로는 초기 자매 도시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셰르부르 거리(Cherbourger Straße): 외부항구 시가지와 연결된다.
- 그림즈비 거리(Grimsbystraße): 중심 시가지와 연결되며, 연방국도 212(Bundesstraße 212)라고도 불린다.
- 포리 거리(Poristraße): 게스테뮌데 시가지와 연결된다.
또한, 과거 독일 영토였던 도시들의 옛 이름을 딴 거리도 있다.
- 슈테틴로 (Stettiner Straße): 현재 폴란드의 슈체친의 옛 독일 이름인 '슈테틴'에서 유래했다.
- 쾨니히스베르크로 (Königsberger Straße): 현재 러시아의 칼리닌그라드의 옛 독일 이름인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유래했다.
이 외에도 브레머하펜시는 1954년 5월 16일부터 서프로이센의 엘빙 시(현재 폴란드의 엘블롱크) 및 구 엘빙 군과 지원·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64] 게스테뮌데 지역의 엘빙거 광장(Elbinger Platz)은 이 관계를 기념하여 이름 붙여졌다.
11. 주요 인물
- 고트프리트 젬퍼 (1803–1879): 건축가. 견습 시절 브레머하펜 항만 공사에 참여했다.[23]
- 요하나 골트슈미트 (1807–1884): 사회 운동가, 작가, 자선가.
- 오다 올베르크 (1872-1955): 언론인, 사회주의자, 페미니스트.
- 에리히 코흐-베저 (1875–1944): 변호사, 정치인. 바이마르 공화국 장관을 지냈다.
- 볼프강 가에데 (1878–1945): 물리학자, 진공 기술의 선구자.
- 헬무트 위스트룀 (1881–1963): 정치인. 브레멘 상원의원(1945–1948) 및 지역 경찰서장을 역임했다.
- 헤르미네 슈틴트 (1888–1974): 여자 수영 선수. 1912년 하계 올림픽 수영 4x100m 자유형 계영 은메달리스트.
- 한스 샤라운 (1893–1972): 건축가. 브레머하펜에서 성장했으며, 유기적 건축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 요하네스 마트펠트 (1895–1951): 식물학자.
- 베티 샤데 (1895–1982): 독일계 미국인 무성영화 배우.
- 칼 H. 헤르만 (1898–1961): 결정학 교수.
- 아돌프 부테난트 (1903–1995): 생화학자. 1939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
- 루 제이콥스 (1903–1992): 미국 광대, 연예인.
- 카를-게오르크 자비스 (1903–1984): 독일어권 연극, 영화, 텔레비전 배우 및 감독. 브레머하펜 시립극장 명예 회원.
- 랄레 안데르센 (1905–1972): 가수, 배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명했던 노래 "릴리 마를렌"을 불렀다.
- 요하네스 피어지크 (1907–1998): 칸토르, 오르간 연주 강사.
- 카롤라 횔른 (1910–2005): 무대 및 영화 배우.
- 베르너 그뤼브마이어 (1926–2018): 지역 정치인.
- 에버하르트 예켈 (1929–2017): 역사학자. 독일 역사에서 아돌프 히틀러의 역할을 연구했다.
- 로저 아스무센 (1936–2015): 정치인 (CDU). 1987년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경제교통부 장관을 지냈다.
- 발터 슈미트 (1937년생): 축구 선수. 프로 통산 299경기에 출전했다.
- 노르만 파이크 (1938년생): 대학교수, 진보 정치인 (좌파당).
- 지그리트 로렌젠 룹 (1943–2004): 독일계 미국인 건축가.
- 한스 요아힘 알퍼스 (1943–2011): 공상 과학 및 판타지 작가, 편집자, 출판인.
- 에곤 코르데스 (1944년생): 축구 선수, 지도자.
- 한스 요아힘 슐리프 (1945년생): 루터파 신학자, 목사, 작가.
- 잔느 코르도바 (1948–2016): 미국 성소수자 권리운동의 선구적인 활동가.
- 우베 베크마이어 (1949년생): 정치인 (SPD). 독일 연방 경제·에너지부 정무차관을 역임했다.
- 빌리 라임만 (1949년생): 전 축구 선수 및 감독. 선수 시절 304경기에 출전했으며, TuS 브레머하펜 93 등에서 활동하고 지도자 생활을 했다.
- 펠릭스 마가트 (1953년생): 축구 선수 및 감독. 선수 시절 382경기에 출전하고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43경기를 뛰었으며, FC 브레머하펜 등에서 지도자를 역임했다.
- 헤르타 뮐러 (1953년생): 작가. 2009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이며, 1989년 브레머하펜 장려상을 받았다.
- 베른트 브렉센도르프 (1954년생): 축구 선수 및 의사.
- 안톤 첸주스 (1958년생): 전파 천문학자, 막스 플랑크 전파 천문학 연구소 소장.
- 루츠 바데른 (1961년생): 농구 선수.
- 하이노 페르히 (1963년생): 배우, 성우.
- 폴커 엔겔 (1965년생): 시각 효과 감독(VFX 슈퍼바이저), 프로듀서, 영상 작가.
- 크리스토프 마리아 헤르스트 (1966년생): 배우, 코미디언, 성우. 1992년부터 1996년까지 브레머하펜 시립극장에 소속되어 활동했다.
- 코린나 하니 (1972년생): 독일계 미국인 모델, 배우.
- 안데르스 레버만 (1973년생): 환경 과학자, 기후학자.
- 토마스 자일러 (1974년생): 다트 선수.
- 제니 돌펜 (1975년생): 일러스트레이터, 교사.
- 라르스 토보르크 (1975년생): 축구 선수. 프로 통산 280경기 이상 출전했다.
- 아니나 우카티스 (1978년생): 모델, 전 포르노 배우.
- 헨드리크 펠트베어 (1986년생): 수영 선수.
- 클레멘스 쇼펜하우어 (1992년생): 축구 선수. 프로 통산 216경기에 출전했다.
- 에스라 시벨 테츠칸 (1993년생): 터키계 독일인 여자 축구 선수.
참조
[1]
서적
Bremerhaven: Busy – Breezy – Booming – Town
The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2]
논문
Work in progress: Indirect passage from Europe Transmigration via the UK, 1836–1914
[3]
웹사이트
The National Archives – World War II – Western Europe 1939–1945: Hamburg – Why did the RAF bomb cities?
http://www.nationala[...]
The National Archives
2018-03-20
[4]
웹사이트
Verfassung für die Stadt Bremerhaven
http://www.bremerhav[...]
[5]
뉴스
Europe Terminals stretched to limit
2008-01-31
[6]
웹사이트
weser.de – Seehäfen & Seeschifffahrt: Bremische Häfen
http://www.weser.de/[...]
2016-08-08
[7]
웹사이트
Wetter und Klima – Deutscher Wetterdienst – Startseite
http://www.dwd.de/bv[...]
[8]
웹사이트
Bremenhaven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9-16
[9]
웹사이트
Mittlere Sonnenscheindauer 1961–1990
https://web.archive.[...]
[10]
웹사이트
Indices data
http://www.ecad.eu/d[...]
2018-03-20
[11]
웹사이트
Extreme Temperatures
http://www.wettergef[...]
2018-05-31
[12]
웹사이트
Nach 20 Jahren fährt wieder ein IC ab Bremerhaven - buten un binnen
https://www.butenunb[...]
2023-03-16
[13]
웹사이트
Bremerhavener Streckennetze - Tram and bus route networks since 1881
https://bremerhavenb[...]
[14]
웹사이트
VGB-Linienbusse - Buses for the town bus network
https://busse-weser.[...]
[15]
웹사이트
Bremerhavener Streckennetze - Tram and bus route networks since 1881
https://bremerhavenb[...]
[16]
웹사이트
VGB Fahrplan 1949 - Original Timetable from the year 1949 // Book Archive from Paul Homann, Bremerhaven
https://busse-weser.[...]
[17]
웹사이트
Bremerhavens Nahverkehr, Chronik - recent history since 1980 - German text
https://busse-weser.[...]
[18]
웹사이트
SAIL – Bremerhaven
http://www.sail-brem[...]
2016-07-28
[19]
뉴스
Diamond Jubilee Thames Pageant cheered by crowds
https://www.bbc.co.u[...]
2012-06-04
[20]
웹사이트
Fraunhofer IWES Laboratories
http://www.iwes.frau[...]
[21]
웹사이트
Studiengangs broschüre
https://startblog.eu[...]
[22]
웹사이트
Städtepartnerschaften
https://www.bremerha[...]
Bremerhaven
2021-02-10
[23]
백과사전
[24]
서적
Duden, Aussprachewörterbuch
Dudenverl
[25]
일반텍스트
[26]
서적
Exklaven, Enklaven und andere territoriale Anomalien
GRIN-Verlag
[27]
웹사이트
Bundeswasserstraßengesetz (WaStrG)
https://www.gesetze-[...]
2019-07-15
[28]
웹사이트
Statistisches Jahrbuch 2018
https://www.statisti[...]
2019-07-15
[29]
일반텍스트
[30]
웹사이트
Landschaftsprogramm Bremen
http://umwelt.bremen[...]
2019-07-15
[31]
웹사이트
Statistischer Kurzbericht Oktober und November 2017
https://www.bremerha[...]
2019-07-16
[32]
웹사이트
Transparenzportal Bremen - Verfassung für die Stadt Bremerhaven (VerfBrhv) vom 3. Dezember 2015
https://www.transpar[...]
2019-07-16
[33]
웹사이트
Transparenzportal Bremen - Vertrag zwischen der Freien Hansestadt Bremen (Stadtgemeinde) und der Stadt Bremerhaven über die Müllabfuhr im stadtbremischen Überseehafengebiet Bremerhaven
https://www.transpar[...]
2019-07-17
[34]
웹사이트
Transparenzportal Bremen - Vertrag zwischen der Freien Hansestadt Bremen (Stadtgemeinde) und der Stadt Bremerhaven über den Brandschutz, die Hilfeleistung und den Rettungsdienst im stadtbremischen Überseehafengebiet Bremerhaven in der Neufassung des Nachtrags II vom 21. Dezember 2012/23. Januar 2013
https://www.transpar[...]
2019-07-17
[35]
웹사이트
Extremtemperaturen deutscher Städte: Höchst- und Tiefsttemperaturen
http://www.wettergef[...]
2019-07-17
[36]
웹사이트
Klima Bremerhaven: Wetter, Klimatabelle & Klimadiagramm für Bremerhaven
https://de.climate-d[...]
climate-data.org
2019-07-17
[37]
뉴스
Sensation in Lehe: Haus aus der Eisenzeit entdeckt
https://nord24.de/br[...]
2019-05-16
[38]
웹사이트
Stadtgeschichte Bremerhavens
https://www.bremerha[...]
2019-08-17
[39]
웹사이트
Statistisches Jahrbuch 2018
https://www.statisti[...]
2019-07-15
[40]
웹사이트
BREMERHAVENER STRUKTURDATENATLAS - Ausgabe Nr. 6
https://www.bremerha[...]
2019-07-31
[41]
웹사이트
Pogromnacht 1938 in Bremerhaven
http://juwiswelt.blo[...]
2019-07-20
[42]
웹사이트
Die Jüdische Gemeinde im Lande Bremen
http://www.gemeinden[...]
2019-07-20
[43]
웹사이트
Bremische Amtmänner in Bremerhaven
https://www.bremerha[...]
2019-07-20
[44]
서적
Bremerhaven bis zur Einführung der Stadtverfassung
Europäischer Hochschulverlag
[45]
서적
Bremerhaven bis zur Einführung der Stadtverfassung
Europäischer Hochschulverlag
[46]
서적
Die freie Hansestadt Bremen und ihr Gebiet
Outlook Verlag
[47]
서적
Hafenstädte: Bremerhaven und Rostock im Wandel
Outlook Verlag
[48]
서적
Bremerhaven bis zur Einführung der Stadtverfassung
Europäischer Hochschulverlag
[49]
웹사이트
Vor 100 Jahren: Gemeinde Geestemünde wird endlich zur kreisfreien Stadt
http://www.bremerhav[...]
2019-07-20
[50]
서적
Bremerhaven als Stadt
Europäischer Hochschulverlag
[51]
서적
Gewollt und durchgesetzt: Die SPD-Bürgerschaftsfraktion des Landes Bremen von der Jahrhundertwende bis zur Gegenwart
Leske Verlag + Budrich
[52]
서적
Die westdeutschen Länder und die Entstehung der Bundesrepublik: zur Auseinandersetzung um die Frankfurter Dokumente vom Juli 1948
R. Oldenbourg Verlag
[53]
웹사이트
Verfassung für die Stadt Bremerhaven (VerfBrhv)
https://www.transpar[...]
2019-07-20
[54]
웹사이트
Stadtverordnetenversammlung - Europawahl / Bürgerschaftswahl / Stadtverordnetenversammlung 2019 in der Stadt Bremerhaven - Gesamtergebnis
http://www.wahlen-br[...]
2019-07-20
[55]
웹사이트
Stadtwappen – Bremerhaven.de
https://www.bremerha[...]
2019-07-20
[56]
웹사이트
Bremer Landessymbole: Speckflagge, Schlüssel und Farben
https://landesportal[...]
2019-07-20
[57]
웹사이트
Städtepartnerschaften – Bremerhaven.de
https://www.bremerha[...]
2019-07-20
[58]
웹사이트
Partnerstadt Cherbourg-en-Cotentin – Bremerhaven.de
https://www.bremerha[...]
2019-07-20
[59]
웹사이트
Partnerstadt North East Lincolnshire/Grimsby – Bremerhaven.de
https://www.bremerha[...]
2019-07-20
[60]
웹사이트
Partnerstadt Pori – Bremerhaven.de
https://www.bremerha[...]
2019-07-20
[61]
웹사이트
Partnerstadt Frederikshavn – Bremerhaven.de
https://www.bremerha[...]
2019-07-20
[62]
웹사이트
Partnerstadt Szczecin – Bremerhaven.de
https://www.bremerha[...]
2019-07-20
[63]
웹사이트
Partnerstadt Kaliningrad – Bremerhaven.de
https://www.bremerha[...]
2019-07-20
[64]
웹사이트
Elbing und Bremerhaven – Zeitreisen an der Küste
https://www.historis[...]
2019-07-20
[65]
웹사이트
Deutsches Auswandererhaus Bremerhaven
https://dah-bremerha[...]
2019-07-21
[66]
웹사이트
Deutsche Auswanderer-Datenbank (DAD) – Deutsche Auswanderer-Datenbank
https://www.deutsche[...]
2019-07-21
[67]
웹사이트
Deutsches Schifffahrtsmuseum | DSM Bremerhaven
https://www.dsm.muse[...]
2019-07-21
[68]
웹사이트
Zeitreisen an der Küste – Historisches Museum Bremerhaven
https://www.historis[...]
2019-07-21
[69]
웹사이트
Klimahaus Bremerhaven
https://www.klimahau[...]
2019-07-21
[70]
웹사이트
Polizeimuseum Bremerhaven – Bremerhaven.de
https://www.bremerha[...]
2019-07-21
[71]
웹사이트
Kunstmuseum – Bremerhaven.de
https://www.bremerha[...]
2019-07-21
[72]
웹사이트
Museum der 50er Jahre in Bremerhaven
http://www.museum-de[...]
2019-07-21
[73]
웹사이트
Museumsschiff FMS „GERA“ – Schwimmendes Hochseefischerei-Museum
https://www.museumss[...]
2019-07-21
[74]
웹사이트
PHÄNOMENTA Science Center – Bremerhaven.de
https://www.bremerha[...]
2019-07-21
[75]
웹사이트
Bremerhavener Sternfreunde e.V.
http://bremerhavener[...]
2019-07-21
[76]
웹사이트
Schulhistorische Sammlung Bremerhaven – Bremerhaven.de
https://www.bremerha[...]
2019-07-22
[77]
웹사이트
U-Boot Wilhelm-Bauer
https://www.u-boot-w[...]
2019-07-22
[78]
웹사이트
Bauernhausverein Lehe e.V.
http://bauernhausmus[...]
2019-07-22
[79]
웹사이트
Zoo am Meer Bremerhaven
https://zoo-am-meer-[...]
2019-07-22
[80]
웹사이트
Bürgerpark – Bremerhaven.de
https://www.bremerha[...]
2019-07-22
[81]
웹사이트
Weidenschloss Bremerhaven e.V.
http://weidenschloss[...]
2019-07-22
[82]
웹사이트
Förderverein "Thieles Garten" e.V. in Bremerhaven
https://www.thieles-[...]
2019-07-22
[83]
웹사이트
Sail 2020 – Bremerhaven.de
https://www.bremerha[...]
2019-07-23
[84]
웹사이트
Rockcyclus | Wenn Musik, dann richtig!
https://rockcyclus.d[...]
2019-07-23
[85]
웹사이트
Bremerhaven Stadt - statistik.arbeitsagentur.de
https://statistik.ar[...]
2019-07-25
[86]
웹사이트
Bremen Stadt - statistik.arbeitsagentur.de
https://statistik.ar[...]
2019-07-25
[87]
웹사이트
Top 10 Seehäfen in Deutschland in den Jahren von 2015 bis 2018 nach gesamten Güterumschlag
https://de.statista.[...]
2019-07-25
[88]
웹사이트
Politik national » Nachrichten zu Bund und Ländern | Handelsblatt
https://www.handelsb[...]
2019-07-25
[89]
웹사이트
Seehafen-Rekorde aus aller Welt
https://www.aktiv-on[...]
2018-02-14
[90]
뉴스
Hersteller signalisieren steigende Exporte – Der BLG-Autoterminal in Bremerhaven erzielte mit 2,3 Millionen Fahrzeugen 2014 eine neue Rekordmarke
Täglicher Hafenbericht
2015-02-20
[91]
뉴스
Petram verkauft Werftgeschäft an Rönner-Gruppe
https://www.welt.de/[...]
2019-07-31
[92]
웹사이트
Offshore Terminal Bremerhaven auf der Luneplate
https://www.bund-bre[...]
2019-07-27
[93]
뉴스
OTB: „Totgeborenes Kind“
2015-08-07
[94]
간행물
Wieso braucht Bremerhaven einen Offshore-Terminal?
2015-09
[95]
웹사이트
Offshore -Terminal ABC-Halbinsel Bremerhaven
https://www.blg-logi[...]
2019-07-27
[96]
간행물
Ambivalente Stimmung in der Branche
2015
[97]
웹사이트
The European Museum of the Year Award
https://europeanforu[...]
2019-07-27
[98]
웹사이트
Terminal Bremerhaven | Columbus Cruise Center Bremerhaven & Wismar
https://www.columbus[...]
2019-07-27
[99]
웹사이트
Cruise Terminal Bremerhaven – Bremerhaven.de
https://www.bremerha[...]
2019-07-27
[100]
웹사이트
Bremen - Bremerhaven - statistik.arbeitsagentur.de
https://statistik.ar[...]
2019-07-27
[101]
웹사이트
Zoll online - Allgemeines - Allgemeines
http://www.zoll.de/D[...]
2019-07-28
[102]
웹사이트
Bremerhavens Streckennetze (ÖPNV) ab 1881
https://bremerhavenb[...]
2019-07-28
[103]
웹사이트
O-Busse in Bremerhaven
http://www.verkehr-w[...]
2019-07-28
[104]
웹사이트
VGB-Nachrichten
https://busse-weser.[...]
2019-07-28
[105]
웹사이트
VGB-Nachrichten
https://busse-weser.[...]
2019-07-28
[106]
웹사이트
Bremerhaven Bus | Über uns | Bremerhavenbus
https://bremerhavenb[...]
2019-07-28
[107]
웹사이트
VGB Fahrplan für Straßenbahn Obus und Omnibus
https://drive.google[...]
1949-03-01
[108]
웹사이트
Bremerhaven: VCD Bremerhaven: Strassenbahn fuer Bremerhaven
http://www.heiko-jac[...]
2019-07-28
[109]
뉴스
Der Traum von der Bahn
https://archive.fo/2[...]
2013-08-29
[110]
웹사이트
Weserfähre - Bremerhaven - Nordenham
https://www.weserfae[...]
2019-07-28
[111]
뉴스
Bremen und Bremerhaven „Stadt der Wissenschaft“
https://www.faz.net/[...]
2004-03-12
[112]
웹사이트
Hochschule Bremerhaven
https://www.hs-breme[...]
2019-07-28
[113]
웹사이트
Alfred-Wegener-Institut
https://www.awi.de/
2019-07-28
[114]
웹사이트
Fraunhofer-Institut für Windenergiesysteme
https://www.iwes.fra[...]
2019-07-28
[115]
웹사이트
BRIG Bremerhavener Innovations- und Gründerzentrum
http://www.brig.de/
2019-07-28
[116]
웹사이트
t.i.m.e.Port – Bremerhaven.de
https://www.bremerha[...]
2019-07-28
[117]
웹사이트
Bio Nord Biotechnologiezentrum – Bremerhaven.de
https://www.bremerha[...]
2019-07-28
[118]
뉴스
Thünen-Institut in Bremerhaven offiziell eröffnet
https://nord24.de/br[...]
2018-08-15
[119]
웹사이트
ttz Bremerhaven - Forschung für mehr Lebensqualität
https://www.ttz-brem[...]
2019-07-28
[120]
웹사이트
Liste der Korporativ Fördernden Mitglieder der Max-Planck-Gesellschaft
http://www.mpg.de/78[...]
2019-07-28
[121]
웹사이트
Schulen in Bremerhaven – Bremerhaven.de
https://www.bremerha[...]
2019-07-28
[122]
웹사이트
Klinikum Bremerhaven
https://www.klinikum[...]
2019-07-28
[123]
웹사이트
Eisbären Bremerhaven
https://dieeisbaeren[...]
2019-07-28
[124]
웹인용
www.statistik-bremen.de/aktuelle_statistiken/01b.htm
http://www.statistik[...]
2013-04-28
[125]
웹사이트
Mittlere Sonnenscheindauer 1961–1990
https://web.archive.[...]
Bundesministerium für Verkehr, Bau und Stadtentwicklung
[126]
웹인용
Bremenhaven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3-09-16
[127]
웹사이트
Mittlere Sonnenscheindauer 1961–1990
https://web.archive.[...]
[128]
웹인용
Indices data
http://www.ecad.eu/d[...]
2018-03-20
[129]
웹인용
Extreme Temperatures
http://www.wettergef[...]
2018-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