뮌헨 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뮌헨 대학교는 1472년 잉골슈타트에 설립된 독일의 명문 대학교이다. 철학, 의학, 법학, 신학부를 갖추고 시작하여, 1800년 란츠후트로, 1826년 뮌헨으로 이전했다. 20세기 초 유럽 과학계를 선도하며 명성을 얻었고, 나치 시대에는 학문의 자유가 제한받았으나, 백장미단의 저항 운동이 일어난 곳이기도 하다. 현재 18개 학부와 다양한 연구소를 운영하며,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제공한다. 독일 내 최고 수준의 교육 및 연구 역량을 자랑하며, 세계 대학 랭킹에서도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42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으며, 다양한 분야의 저명한 동문과 교수진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뮌헨 대학교 - 백장미단
백장미단은 1942년에서 1943년 사이 한스 숄, 조피 숄 남매를 비롯한 뮌헨 대학교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나치 정권에 저항한 독일의 학생 저항 운동 단체로, 전단 배포, 낙서 등의 활동을 통해 전쟁의 참상과 나치의 반인륜적 행태를 알리고 양심과 정의에 기반한 새로운 유럽을 건설하고자 했으나 발각되어 주요 구성원들이 체포 및 처형되었다. - 뮌헨의 대학교 - 뮌헨 미술원
뮌헨 미술원은 1770년 드로잉 학교로 시작하여 1808년 왕립 미술원으로 승격되었고, 19세기 중반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뮌헨의 미술 교육 기관이다. - 뮌헨의 대학교 - 뮌헨 영화학교
뮌헨 영화학교는 독일의 대표적인 영화 교육 기관으로, 다양한 학사 과정을 통해 영화 및 텔레비전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며, 세계적인 영화감독과 한국 영화감독들을 배출하여 세계 15대 영화학교에 선정되었다. - 1826년 개교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은 1826년 제레미 벤담의 공리주의에 따라 종교와 계급에 상관없이 개방적인 교육을 제공하고자 설립된 영국의 공립 연구 중심 대학으로, 런던대학교의 회원 기관이자 독립적인 학위 수여 권한을 가지며 세계적인 연구 성과와 높은 교육 수준으로 명성이 높다. - 1826년 개교 -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는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 위치한 사립 연구 중심 대학으로,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와 케이스 공과대학의 통합으로 1967년 출범하여 과학, 공학, 의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내고 17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명문 대학이다.
뮌헨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루트비히-막시밀리안 뮌헨 대학교 |
라틴어 명칭 | Universitas Ludovico-Maximilianea Monacensis |
설립일 | 1472년 |
유형 | 공립 |
총 예산 | 7억 9740만 유로 (2022년) |
총장 | 베른트 후버 |
교직원 수 | 5,565명 (2018년) |
행정 직원 수 | 8,208명 (2018년) |
학생 수 | 52,972명 (2023/24 겨울 학기) |
위치 | 뮌헨 |
주 | 바이에른주 |
국가 | 독일 |
캠퍼스 | 해당 정보 없음 |
노벨상 수상자 | 43명 (2020년 10월) |
교색 | 녹색 및 흰색 |
웹사이트 | lmu.de |
소속 | 독일 우수 대학 유로파이움 LERU |
관련 정보 | |
로마자 표기 | Luteubihikeu-maksimillian Myunhen Daehakgyo |
2. 역사
1472년 하(下) 바이에른-란츠후트 공작루트비히 9세가 교황의 승인을 받아 잉골슈타트에 잉골슈타트 대학교를 설립하면서 뮌헨 대학교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독일 인문주의 시대에는 콘라트 켈테스 등 저명한 학자들이 이 곳에서 활동했다. 1549년부터 1773년까지는 예수회의 영향을 받아 반종교 개혁의 중심지 역할을 하기도 했다. 18세기 말에는 계몽주의의 영향으로 자연 과학 분야가 강조되었다.
1800년, 나폴레옹 전쟁으로 잉골슈타트가 위협받자 대학교는 란츠후트로 이전했다.[5] 1802년에는 바이에른 공작 루이 9세와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1세를 기려 루드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5] 1826년, 대학교는 바이에른 왕국의 수도인 뮌헨으로 다시 이전했다.[5] 19세기 후반, 뮌헨 대학교는 유럽 과학계에서 큰 명성을 얻으며 세계적인 과학자들을 유치했다.[5] 1903년부터는 여성의 입학이 허용되었고,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도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교로 명성을 유지했다.[5]
나치 독일 시대에는 학문의 자유가 심각하게 제한되었다. 1943년에는 반나치 학생 조직인 백장미단이 이 대학에서 나치즘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뮌헨 대학교는 서독의 주요 대학 중 하나로 명성을 회복했다. 2005년에는 독일 대학 우수 이니셔티브에 선정되었고, 2019년에도 엘리트 대학으로 재선정되었다. 현재 뮌헨 대학교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베를린 대학교와 함께 독일 최고 수준의 교육 및 연구 역량을 자랑하며, 유럽 연구 대학 연맹(LERU)의 회원 대학이다.
2. 1. 1472-1800: 잉골슈타트 대학교 시기

1472년 하(下) 바이에른-란츠후트 공작루트비히 9세가 교황의 승인을 받아 잉골슈타트에 잉골슈타트 대학교를 설립했다. 철학, 의학, 법학, 신학부를 갖추었으며, 초대 총장은 크리스토퍼 멘델 폰 슈타인펠스(킴제의 주교)였다.
독일 인문주의 시대에는 콘라트 켈테스, 페트루스 아피아누스, 신학자 요한 에크 등이 이 대학에서 활동했다. 1549년부터 1773년까지 예수회의 영향을 받아 반종교 개혁의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으며, 예수회 소속 페트루스 카니시우스가 총장을 역임했다.
18세기 말에는 계몽주의의 영향으로 자연 과학 분야가 강조되었다.
2. 2. 1800-1933: 란츠후트 이전과 뮌헨 정착
1800년, 나폴레옹 전쟁 동안 프랑스의 침략으로 잉골슈타트가 위협받자, 선제후 막시밀리안 4세 요제프 (훗날의 바이에른 왕 막시밀리안 1세)는 대학교를 란츠후트로 옮겼다.[5] 1802년, 대학교는 두 창립자인 바이에른 공작 루이 9세와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1세를 기려 루드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5] 교육부 장관 막시밀리안 폰 몽젤라스는 다소 보수적이고 예수회적인 영향을 받은 대학교를 현대화하려는 일련의 개혁을 시작했다.[5] 1826년, 대학교는 바이에른 왕국의 수도인 뮌헨으로 이전했다.[5] 대학교는 루드비히 거리에 새로운 건물이 완공될 때까지 구 아카데미에 위치해 있었다.[5] 지역 주민들은 막시밀리안과 이후 루드비히 1세가 뮌헨으로 초청한 프로테스탄트 교수들의 수에 대해 다소 비판적이었다.[5] 그들은 "노르트리히터"(북극광)라고 불렸으며, 특히 의사 요한 네포무크 폰 링제이스는 그들에 대해 매우 분노했다.[5]19세기 후반, 대학교는 유럽 과학계에서 큰 명성을 얻었으며, 세계 최고의 과학자들을 많이 유치했다.[5] 또한 이 시기는 팽창의 시대이기도 했다.[5] 1903년부터 여성은 바이에른 대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게 되었고, 1918년까지 뮌헨 대학교 학생의 여성 비율은 18%에 달했다.[5] 1918년, 아델레 하르트만은 뮌헨 대학교에서 하빌리타치온 (고등 박사 학위)을 취득한 독일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5]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 동안, 대학교는 빌헬름 뢴트겐, 빌헬름 빈, 리하르트 빌슈테터, 아르놀트 조머펠트 및 페르디난트 자우어브루흐와 같은 교수진과 함께 세계 최고의 대학교 중 하나로 남아 있었다.[5]
2. 3. 1933-1945: 나치 독일 시기
나치 독일 시대 뮌헨 대학교는 학문의 자유가 심각하게 제한되었다. 1943년, 반나치 학생 조직인 백장미단은 이 대학에서 나치즘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였다. 대학은 나치 반대 투사인 쿠르트 후버 교수를 해임하고 체포 후 박사 학위를 취소했다.[1]1933년부터 1936년까지 카를 에셔리히, 1936년부터 1938년까지는 레오폴트 쾰블, 1938년부터 1941년까지는 필리프 뵘서, 1941년부터 1945년까지는 발터 뷔스트가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의 총장을 역임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내의 반나치 운동 중 하나인 백장미단의 활동이 뮌헨 대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백장미단은 뮌헨 대학교의 학생들로 구성되었으며, 한스 숄, 그의 여동생 조피 숄을 필두로, 크리스토프 프롭스트, 빌리 그라프, 알렉산더 슈모렐 3명의 학생, 그리고 쿠르트 후버 교수가 활동에 참여했다. 이들은 대학 내에서 팸플릿을 배포하던 중 체포되어 사형에 처해졌다.[1]
한편, 뮌헨 폭동이 발생한 지역 특성상,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교수형을 선고받은 헤르만 괴링, 한스 프랑크, 빌헬름 프리크와 같은 나치 독일 간부들을 많이 배출했다. 또한, 툴레 협회의 일원이자 나치당에도 깊이 관여했던 지정학자 카를 하우스호퍼가 교편을 잡기도 했다.[1]
2. 4. 1945-현재: 전후 재건과 발전
냉전 시기 및 통일 이후에도 뮌헨 대학교는 서독의 주요 대학 중 하나로 명성을 유지했다. 1960년대 후반에는 급진적인 학생들의 시위가 발생하기도 했다.[6]오늘날 뮌헨 대학교는 독일 연구 재단(DFG)의 지원을 받는 협력 연구 센터 24개 중 하나이며, 이 중 13개의 센터를 주최하고 있다. 또한, 바이에른 엘리트 네트워크의 일환으로 DFG 연구 훈련 그룹 12개와 국제 박사 과정 3개를 주최하며, 이는 바이에른의 고등 교육 분야 우수 학생 육성을 위한 교육 정책 개념이다. 뮌헨 대학교는 연간 1.2억유로의 외부 자금을 추가로 유치하고 있으며, 국내 및 국제 자금 지원 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2005년, 독일의 주 및 연방 정부는 대학 간 경쟁 프로그램인 독일 대학 우수 이니셔티브를 시작했다. 총 19억유로 (75%는 연방 정부에서 지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최상위 수준의 연구 및 학문적 발전을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자금은 독일의 30개 이상의 연구 중심 대학에 배분된다.
2006년 10월 13일, 독일 연구 재단과 독일 과학 위원회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은 뮌헨 대학교가 이 이니셔티브에서 다루는 세 가지 영역(하나의 대학원, 세 개의 "우수 클러스터", 대학의 "미래 컨셉")에 대한 지원을 받을 것이라고 결정했다. 2019년에도 엘리트 대학으로 재선정되었다.
뮌헨 대학교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베를린 대학교와 함께 독일 최고 수준의 교육 및 연구 역량을 자랑하며, 전 세계에서 많은 유학생과 연구자가 모여드는 권위 있는 학술 기관 중 하나이다. 유럽 연구 대학 연맹(LERU)에 가맹되어 있다.
3. 캠퍼스
뮌헨 대학교는 캠퍼스를 갖지 않는 도시형 대학으로, 학과 및 대학 시설이 뮌헨 시내 곳곳에 분산되어 있다. 대학 시설이 모여 있는 지역은 담으로 구획되어 있지는 않지만, 편의상 캠퍼스라고 부른다.
'''시가지 캠퍼스(Innenstadtcampus)'''--
뮌헨 중심부(슈바빙 지구)에 있으며, 뮌헨 대학교의 역사적인 본관이 있다. 주로 사회 과학과 인문 과학 시설이 있으며, 본관 남쪽에는 대학 도서관이 있다. 바이에른 주립 도서관을 비롯한 여러 주요 박물관과 아카이브에 인접하여 연구와 교육에 최적의 인프라를 제공한다.[43] 캠퍼스 주변은 주차 공간이 매우 제한적이므로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트램) 이용이 권장된다.
'''하이테크 캠퍼스(HighTechCampus Großhadern/Martinsried)'''
자연 과학과 생명 과학 시설 대부분은 그로스하데른-마틴 거리에 있는 하이테크 캠퍼스에 집중되어 있다. 막스 플랑크 연구소 및 뮌헨 헬름홀츠 센터와 인접하여 혁신적인 기초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IZB 인큐베이터와 BioMAG를 통해 우수한 연구 결과를 응용 기술로 이전하는 작업도 이루어진다.
게슈비스터-숄-플라츠에 위치한 본관은 뮌헨 지하철 Universität 역과 연결되어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
3. 1. 주요 시설
- '''대학교 본관'''
뮌헨 대학교 본관(Hauptgebäude)은 뮌헨 중심지 북쪽에 있으며, 게오르기아눔(신학교), 루트비히 교회, 개선문, 바이에른 주립 도서관이 바로 옆에 있다. 건물 안에는 여러 강당, 세미나실, 오디맥스 대강의실, 대강당, 백장미 기념관, 대학교 행정 부서 일부가 있다. 건물 앞은 백장미 운동을 기념하여 "숄 형제 광장"으로 이름 붙여졌으며, 땅에는 삐라 복제본이 보이도록 묻혀 있다. 지하철 3호선, 6호선 대학(Universität)역과 바로 연결된다. --
- '''빛의 방(Lichthof)'''
본관 정면에 있는 넓은 공간이다. 백장미단의 숄 남매가 삐라를 뿌린 장소이다.
- '''그로세 아울라(Große Aula)'''
뮌헨 대학교 본관 1층에 있는 강당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파괴되지 않아 전쟁 이전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10] 전쟁 후 최초의 콘서트 공연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현재 바이에른주 헌법이 제정된 바이에른 주 헌법 제정 의회가 열린 곳이기도 하다.[10] 오늘날에는 주로 콘서트, 강연, 강의를 개최한다.

- '''교육·연구동'''
본관과 그 주변에는 가톨릭 신학부, 복음주의 신학부, 법학부, 경영학부, 경제학부, 사학·예술학부, 철학·과학철학·종교학부, 언어학·문학부, 문화학부, 수학·정보학·통계학부의 연구소를 비롯한 수많은 시설이 있다. 잉글리쉬 가든 동쪽에 위치한 연구동에는 정보학 연구소 대부분과 정치학 연구소가 있다. 일본 센터와 기타 작은 시설도 이곳에서 볼 수 있다.
- '''대학 사료관'''
- '''대학 도서관'''
본관 남쪽 건물에는 대학 도서관이 있으며, 다른 13곳과 합쳐 470만 권 이상의 장서를 소장하고 있다. 각 학부 부속 도서관에는 전문 서적이 있으며, 레오폴트 거리에는 교과서를 모아 놓은 도서관이 있어 대출이 가능하다. 도서관 이용 시 가방은 사물함에 보관해야 하며, 음식물 반입은 금지된다.
- '''대학 병원'''
뮌헨 대학교의 대학 병원은 시가지 캠퍼스와 시내 남부 그로스하데른 두 곳에 있다.
- '''학생 식당'''
학생 식당(Mensa)은 Studierendenwerk München에서 운영한다. 레오폴트 거리 멘자는 지하철 Giselastraße역 바로 앞에 있다.
- '''Uni-Shop'''
대학교 공식 상품을 판매한다. 교표가 새겨진 머그컵, 후드티, 문구류 등을 구입할 수 있다. Giselastraße역과 연결된 건물 안에 있으며, 학생 식당(Leoportstraße) 건물 옆에 있다.
4. 학문
뮌헨 대학교는 18개의 학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학과와 연구소를 관할한다.[14] 학부 번호에 06번과 14번이 없는 이유는 과거 학부의 분할 및 합병 때문이다. 06번 임업 운영 학부는 1999년 뮌헨 공과대학교에 통합되었고, 14번 학부는 13번 학부와 합병되었다.[15][16][17]
번호 | 학부 | 하위 기관 |
---|---|---|
01 | 가톨릭 신학 학부 | |
02 | 개신교 신학 학부 | |
03 | 법학부 | |
04 | 경영학 학부 | |
05 | 경제학부 | |
07 | 의학부 | |
08 | 수의학 학부 | |
09 | 역사학·예술학부 | |
10 | 철학, 과학 철학 및 종교 연구 학부 | |
11 | 심리학 및 교육 과학 학부 | |
12 | 문화 연구 학부 | |
13 | 언어학·문학부 | |
15 | 사회 과학 학부 | |
16 | 수학, 컴퓨터 과학 및 통계 학부 | |
17 | 물리학 학부 | |
18 | 화학 및 약학 학부 | |
19 | 생물학 학부 | |
20 | 지구 과학 및 환경 과학 학부 |
뮌헨 대학교는 100개 이상의 전공 분야를 제공하며, 수많은 전공 및 부전공 조합이 가능하다.[11] 볼로냐 프로세스에 따라 Diplom 및 마기스터 아르티움과 같은 대부분의 전통적인 학위 과정은 학사 학위 및 석사 학위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11] 국제화를 위해 독일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유학생들을 위한 영어 제공 과정도 늘고 있으며, 심리학, 물리학, 경영학 등이 이에 해당한다.[12][13]
다양한 학문 분야 및 학제 간 프로젝트를 위해 수많은 연구 센터를 운영하며, 주요 연구 센터는 다음과 같다.[18]
- 뮌헨 통합 단백질 과학 센터(Center for Integrated Protein Science Munich) (CIPSM)
- 시스템 신경과학 대학원(Graduate School of Systemic Neurosciences) (GSN)
- 헬름홀츠 뮌헨 센터(Helmholtz Zentrum München) – 독일 환경 보건 연구 센터
- 뮌헨 나노 시스템 이니셔티브(Nanosystems Initiative Munich) (NIM)
- 파르메니데스 사고 연구 센터
- 레이첼 카슨 환경 및 사회 센터(Rachel Carson Center for Environment and Society)
뮌헨 대학교는 독일인과 외국인에 관계없이 학비(Studiumgebühr)가 무료이며,[1] 바이에른 주의 대학교들은 등록금을 받지 않고 학생회에 전액 귀속되는 필수 학기 비용을 받는다.[1]
4. 1. 학부
뮌헨 대학교는 다양한 학과와 연구소를 관할하는 18개의 학부로 구성되어 있다.[14] 학부의 공식 번호에 06, 14번이 없는 것은 과거 학부의 분할 및 합병 때문이다. 06번 임업 운영 학부는 1999년 뮌헨 공과대학교에 통합되었고, 14번 학부는 13번 학부와 합병되었다.[15][16][17]번호 | 학부 | 하위 기관 |
---|---|---|
01 | 가톨릭 신학 학부 | |
02 | 개신교 신학 학부 | |
03 | 법학부 | |
04 | 경영학 학부 | |
05 | 경제학부 | |
07 | 의학부 | |
08 | 수의학 학부 | |
09 | 역사학·예술학부 | |
10 | 철학, 과학 철학 및 종교 연구 학부 | |
11 | 심리학 및 교육 과학 학부 | |
12 | 문화 연구 학부 | |
13 | 언어학·문학부 | |
15 | 사회 과학 학부 | |
16 | 수학, 컴퓨터 과학 및 통계 학부 | |
17 | 물리학 학부 | |
18 | 화학 및 약학 학부 | |
19 | 생물학 학부 | |
20 | 지구 과학 및 환경 과학 학부 |
볼로냐 프로세스로 인해 Diplom 및 마기스터 아르티움과 같은 대부분의 전통적인 학위 과정이 국제적으로 더 널리 알려진 학사 학위 및 석사 학위 시스템으로 대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뮌헨 대학교는 100개 이상의 전공 분야를 제공하며, 수많은 전공 및 부전공 조합이 가능하다.[11]
뮌헨 대학교는 국제화됨에 따라, 독일어를 거의 또는 전혀 구사하지 못하는 유학생들을 위해 대학원 및 박사 과정 수준에서 영어로 제공되는 과정도 증가하고 있다.[12] 현재 영어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주요 학문 분야로는 심리학, 물리학뿐만 아니라 경영학 분야가 있다.[13]
뮌헨 대학교는 다양한 학문 분야 및 학제 간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수많은 연구 센터를 운영하여 다양한 학술 프로그램을 보완한다.[18]
설립된 연구 센터는 다음과 같다.
- 뮌헨 통합 단백질 과학 센터(Center for Integrated Protein Science Munich) (CIPSM)
- 시스템 신경과학 대학원(Graduate School of Systemic Neurosciences) (GSN)
- 헬름홀츠 뮌헨 센터(Helmholtz Zentrum München) – 독일 환경 보건 연구 센터
- 뮌헨 나노 시스템 이니셔티브(Nanosystems Initiative Munich) (NIM)
- 파르메니데스 사고 연구 센터
- 레이첼 카슨 환경 및 사회 센터(Rachel Carson Center for Environment and Society)
4. 2. 학위 과정
볼로냐 프로세스에 따라 뮌헨 대학교의 대부분의 전통적인 학위 과정(Diplom, Magister Artium)은 학사 학위 및 석사 학위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11] 100개 이상의 전공 분야에서 다양한 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주 전공 및 부 전공을 조합할 수 있다.[11]유학생들을 위해 대학원 및 박사 과정에서 영어로 제공되는 과정도 증가하고 있는데, 심리학, 물리학, 경영학 등이 이에 해당한다.[12][13]
4. 3. 뮌헨 국제 여름 대학교 (MISU)
뮌헨 국제 여름 대학교(Munich International Summer University, MISU)는 뮌헨 대학교가 주최하는 여름 학교로, 매년 뮌헨에서 열리며, 강좌에 따라 다른 유럽 도시에서의 체류도 포함된다.[31] MISU는 국제 학생들이 뮌헨 대학교에서 단기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자국 대학의 겨울 또는 여름 방학에도 학업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MISU는 두 가지 과정 형식을 제공하는데, 독일어 강좌가 연중 다양한 시간에 열리고, 광범위한 학문 분야를 다루는 16개의 전공별 여름 학교 및 겨울 학교를 제공한다.[31] 2019년에는 약 90개국에서 온 1,000명의 학생들이 MISU 단기 프로그램에 참여했다.[31]독일은 국제 학생들을 위한 여름 프로그램을 주최하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32] 뮌헨 대학교는 1927년에 처음으로 여름 대학교를 조직했다.[33] '외국인을 위한 여름 강좌'(Sommerkurse für Ausländer)로 명명된 이 여름 대학교는 1934년까지 매년 운영되었으며, 주로 국제 학생들을 위한 독일어 강좌로 구성되었다.[33] 더 긴 중단 기간을 거쳐 뮌헨 대학교의 여름 대학교는 '뮌헨 국제 여름'(Internationaler Münchner Sommer)로 재개되었다. 그 이후로 강좌 수가 증가했으며, 전공별 여름 학교의 범위는 더 많은 학문 분야로 확대되었다. 2008년부터 뮌헨 대학교의 여름 대학교는 뮌헨 국제 여름 대학교(MISU)라는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다.[34]
MISU의 주요 목표는 연구 및 교육 측면에서 뮌헨 대학교의 국제성을 높이는 것이다.[35] 학기 기반의 학생 교환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여름 학교와 같은 단기 프로그램은 국제 학생들이 뮌헨 대학교의 연구 분야 및 캠퍼스에 대한 매우 집중적이고 간결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36] MISU는 이를 통해 우수한 학문 교육과 과외 활동을 결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참가자들은 선택된 주제에 대해 기성 연구자들의 집중적인 지도를 받을 뿐만 아니라, 뮌헨, 바이에른 및 독일의 역사, 문화 및 정치에도 소개된다. 또한, 여름 대학교는 뮌헨 대학교가 국제 파트너 대학과의 협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MISU의 단기 프로그램은 유럽에서 가장 순위가 높은 대학 중 하나인 뮌헨 대학교의 국제적 가시성을 강화한다.[37]
4. 4. 학비
뮌헨 대학교는 독일인과 외국인에 관계없이 학비(Studiumgebühr)가 무료이다.[1] 이 덕분에 세계 각국의 우수한 학생들을 유치하는 데 성공하고 있다.[1]바이에른 주의 대학교들은 등록금을 받지 않는다.[1] 대신 학생회에 전액 귀속되는 필수 학기 비용을 지불해야 하며, 이는 학생들을 위한 주거 및 점심 식사 옵션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1]
5. 대학 순위
뮌헨 대학교는 세계 유수의 대학 평가 기관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인문학, 자연과학, 생명과학 및 의학 분야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23]
2025년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뮌헨 대학교는 세계 59위, 독일 2위를 기록했다.[20] THE 랭킹 2024년에서 뮌헨 대학교는 독일 2위, 세계 38위를 기록했다.[21] ARWU는 2023년 기준으로 뮌헨 대학교를 독일 공동 2위, 세계 59위로 평가했다.[22]
평가 기관 | 세계 순위 | 독일 내 순위 |
---|---|---|
QS 세계 대학 랭킹 (2025년) | 59위 | 2위 [20] |
THE 랭킹 (2024년) | 38위 | 2위 [21] |
ARWU (2023년) | 59위 | 공동 2위 [22] |
2018년과 2019년에는 뮌헨 대학교가 DAX 경영진 구성원 수 기준으로 1위를 차지했다.[26][27] 2021년 독일 연구 재단(DFG)의 자금 지원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19년까지의 보조금을 분석한 결과 뮌헨 대학교가 독일 대학 중 1위를 차지했다. 분야별로는 생명 과학 분야에서 1위, 인문학 및 사회 과학 분야에서 2위, 자연 과학 분야에서 6위를 기록했다.[28]
뮌헨 대학교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나 베를린 대학교와 함께 국내 최고 수준의 교육과 연구 역량을 자랑하며, 전 세계에서 많은 유학생과 연구자가 모여드는 가장 권위 있는 학술 기관 중 하나이다. 각 세계 대학 랭킹에서 뮌헨 공과대학교나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등과 국내 1위 자리를 항상 다투고 있다. 또한, 유럽 연구 대학 연맹(LERU)에 가맹되어 있다.
분야 | 세계 | 국내 |
---|---|---|
인문학 | 38 | 2 |
언어학 | 65 | 2–3 |
신학, 신성학 및 종교 연구 | 24 | 4 |
고고학 | 36 | 5 |
고전 및 고대사 | 8 | 3 |
영어 및 문학 | 59 | 3 |
역사 | 27 | 2 |
현대 언어 | 45 | 3 |
철학 | 6 | 1 |
공학 및 기술 | 216 | 8 |
컴퓨터 과학 및 정보 시스템 | 90 | 3 |
생명 과학 및 의학 | 46 | 2 |
해부학 및 생리학 | 37 | 1 |
생물학 | 26 | 1 |
치의학 | 51–100 | 1–4 |
의학 | 38 | 2 |
약학 및 약리학 | 55 | 2 |
심리학 | 47 | 1 |
수의학 | 39 | 1 |
자연 과학 | 42 | 2 |
화학 | 48 | 3 |
지구 및 해양 과학 | 51–100 | 1–7 |
환경 과학 | 151–200 | 7–11 |
지리학 | 101–150 | 3–6 |
지질학 | 51–100 | 1–6 |
지구물리학 | 51–100 | 1–7 |
재료 과학 | 101–150 | 7–8 |
수학 | 114 | 5 |
물리학 및 천문학 | 32 | 3 |
사회 과학 및 경영 | 93 | 2 |
회계 및 재무 | 92 | 2 |
인류학 | 51–100 | 2–5 |
경영학 | 151–200 | 4 |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 연구 | 23 | 1 |
경제학 및 계량경제학 | 41 | 1 |
교육 및 훈련 | 101–150 | 2–4 |
법학 | 43 | 1 |
정치학 | 51–100 | 2–4 |
사회 정책 및 행정 | 101–130 | 4 |
사회학 | 77 | 3 |
통계 및 운영 연구 | 51–100 | 3–5 |
분야 | 세계 | 국내 |
---|---|---|
인문학 | 15 | 1 |
경영 및 경제학 | 36 | 2 |
임상 및 보건 | 50 | 3 |
컴퓨터 과학 | 62 | 4 |
교육 | 61 | 3 |
법학 | 25 | 1 |
생명 과학 | 41 | 3 |
자연 과학 | 27 | 2 |
심리학 | 23 | 1 |
사회 과학 | 61 | 4 |
6. 저명한 동문 및 교수진
뮌헨 대학교는 양자역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동문들을 배출했다. 양자역학의 창시자이자 1918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막스 플랑크가 이 대학 출신이다.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볼프강 파울리 등 양자역학의 창시자들도 뮌헨 대학교와 관련이 있다.[38][39][40][41]
"동방의 시인"이자 "파키스탄의 사상가"로 여겨지는 파키스탄의 철학자이자 시인인 무하마드 이크발 경은 1908년 뮌헨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프리츠 호멜의 지도를 받아 이크발은 1908년 ''페르시아 형이상학의 발전''이라는 제목의 박사 학위를 발표했다.[38][39][40][41]
반파시즘 저항 단체인 백장미는 이 대학을 기반으로 했다.[42] 한스 숄, 그의 여동생 조피 숄, 크리스토프 프롭스트, 빌리 그라프, 알렉산더 슈모렐 3명의 학생, 그리고 쿠르트 후버 교수가 활동에 참여했다.
뮌헨 대학교는 현재까지 42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연도 | 수상자 | 분야 |
---|---|---|
1929 | 토마스 만 | 노벨 문학상 |
2020 | 라인하르트 겐첼 | 노벨 물리학상 |
2005 | 테오도어 헨슈 | 노벨 물리학상 |
1986 | 게르트 비니히 | 노벨 물리학상 |
1967 | 한스 베테 | 노벨 물리학상 |
1945 | 볼프강 파울리 | 노벨 물리학상 |
1932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 노벨 물리학상 |
1926 | 구스타프 헤르츠 | 노벨 물리학상 |
1919 | 요하네스 슈타르크 | 노벨 물리학상 |
1918 | 막스 플랑크 | 노벨 물리학상 |
1914 | 막스 폰 라우에 | 노벨 물리학상 |
1911 | 빌헬름 빈 | 노벨 물리학상 |
1901 |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 노벨 물리학상 |
1999 | 귄터 블로벨 | 노벨 생리학·의학상 |
1991 | 베르트 자크만 | 노벨 생리학·의학상 |
1973 | 카를 폰 프리쉬 | 노벨 생리학·의학상 |
1964 | 페오도르 리넨 | 노벨 생리학·의학상 |
1953 | 한스 아돌프 크레브스 | 노벨 생리학·의학상 |
1936 | 오토 뢰비 | 노벨 생리학·의학상 |
1935 | 한스 슈페만 | 노벨 생리학·의학상 |
2007 | 게르하르트 에르틀 | 노벨 화학상 |
1988 | 하르트무트 미헬 | 노벨 화학상 |
1973 | 에른스트 오토 피셔 | 노벨 화학상 |
1944 | 오토 한 | 노벨 화학상 |
1939 | 아돌프 부테난트 | 노벨 화학상 |
1938 | 리하르트 쿠운 | 노벨 화학상 |
1936 | 페테르 데바이 | 노벨 화학상 |
1930 | 한스 피셔 | 노벨 화학상 |
1927 | 하인리히 빌란트 | 노벨 화학상 |
1925 | 리하르트 지그몬디 | 노벨 화학상 |
1915 | 리하르트 빌슈테터 | 노벨 화학상 |
1907 | 에두아르트 부흐너 | 노벨 화학상 |
1905 | 아돌프 폰 바이어 | 노벨 화학상 |
1902 | 에밀 피셔 | 노벨 화학상 |
그 외에도 콘라트 아데나워(서독 초대 연방 수상(1949년-1963년)), 테오도어 호이스(서독 초대 연방 대통령(1949년-1959년)), 막스 베버(사회학자) 등이 뮌헨 대학교에서 수학하거나 교수로 재직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 국내의 반나치 운동 중 하나인 백장미단의 활동이 뮌헨 대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뮌헨 폭동이 발생한 지역 특성상,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교수형을 선고받은 헤르만 괴링, 한스 프랑크, 빌헬름 프리크와 같은 나치 독일의 간부들을 많이 배출했다. 툴레 협회의 일원이자 나치당에도 깊이 관여했던 지정학자 카를 하우스호퍼가 교편을 잡기도 했다.
7. 대한민국 대학과의 교류
참조
[1]
웹사이트
Search
https://archive.org/[...]
[2]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https://www.lmu.de/e[...]
2024-07-29
[3]
웹사이트
Landshut (1800–1826) – LMU München
http://www.uni-muenc[...]
Uni-muenchen.de
2011-10-28
[4]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 LMU Munich
https://www.lmu.de/d[...]
2024-07-29
[5]
간행물
Wortgewaltiger Gegner der Nordlichter: Der Mediziner Johann Nepomuk von Ringseis
Ulrike Leutheusser, Heinrich Nöth (Hg.), "Dem Geist alle Tore öffnen". König Maximilian II. von Bayern und die Wissenschaft, München 2009, pp. 142–153; 2. Aufl. München 2011, pp. 142–153
[6]
서적
Guinness Book of World Records
https://archive.org/[...]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7]
웹사이트
Untreue-Verdacht gegen einen der LMU-Vizepräsidenten
https://www.sueddeut[...]
2023-02-11
[8]
웹사이트
Eingepfercht für die Forschung
https://www.sueddeut[...]
2023-02-11
[9]
웹사이트
In der Großen Aula eingesperrt
https://www.sueddeut[...]
2023-02-11
[10]
웹사이트
Geschichte der Ludwig-Maximilians-Universität München
http://www.innovatio[...]
innovations-report.de
2010-10-05
[11]
웹사이트
Herzlich willkommen! – LMU München
http://www.uni-muenc[...]
Uni-muenchen.de
2011-10-28
[12]
웹사이트
Degree Students – LMU Munich
http://www.en.uni-mu[...]
En.uni-muenchen.de
2011-10-28
[13]
웹사이트
Studienfächer und Studiengänge von A bis Z – LMU München
http://www.uni-muenc[...]
Uni-muenchen.de
2011-10-28
[14]
웹사이트
Faculties – LMU Munich
http://www.en.uni-mu[...]
En.uni-muenchen.de
2011-10-28
[15]
웹사이트
Geschichte der forstwissenschaftlichen Ausbildung in Bayern
http://www.forst.wzw[...]
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
2010-01-06
[16]
웹사이트
Fakultäten
http://www.uni-muenc[...]
2010-01-06
[17]
간행물
Warum die LMU München (keine) 20 Fakultäten hat. Zur Ausdifferenzierung des Wissens an der Ludovico-Maximilianea im Spiegel der Geschichte ihrer Fakultäten
https://www.aventinu[...]
2023-02-11
[18]
웹사이트
Research Centers – LMU Munich
http://www.en.uni-mu[...]
En.uni-muenchen.de
2011-10-28
[19]
웹사이트
About us " MCA " EUNICE " Education " Parmenides Foundation
http://www.parmenide[...]
Parmenides-foundation.org
2011-10-28
[20]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5
https://www.topunive[...]
2024-06-06
[21]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https://www.timeshig[...]
2024-09-27
[22]
웹사이트
2024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https://www.shanghai[...]
2024-08-15
[23]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https://www.topunive[...]
2024-04-10
[24]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https://www.timeshig[...]
2023-10-27
[25]
웹사이트
ShanghaiRanking's Global Ranking of Academic Subjects 2023
https://www.shanghai[...]
[26]
문서
7. DAX-Vorstands-Report
2018
[27]
문서
8. DAX-Vorstands-Report
2019
[28]
서적
Förderatlas 2021
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 e.V.
2021
[29]
웹사이트
Expertscape: Pancreatic Neoplasms, November 2018
http://www.expertsca[...]
expertscape.com
2018-11-26
[30]
웹사이트
ONE MUNICH Strategy Forum: TUM and LMU to jointly explore new research fields
https://www.lmu.de/e[...]
2021-11-10
[31]
문서
MISU at LMU Annual Report 2019
2019
[32]
간행물
Zur Geschichte der Universitätsferienkurse
1985
[33]
서적
Sommerschulen für Interkulturelle Deutschstudien. Geschichte-Konzeptualisierung-Modellbildung. Ein Beitrag zur Angewandten Lehrforschung Interkultureller Germanistik
IUDICIUM Verlag
2002
[34]
문서
MISU at LMU Annual Report 2019
2019
[35]
웹사이트
Internationality of LMU Munich
http://www.en.uni-mu[...]
[36]
간행물
Short-term study abroad programs: objectives and accomplishments
Journal of International Mobility
2016
[37]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https://www.timeshig[...]
2023-02-11
[38]
뉴스
Allama Iqbal's 73rd death anniversary observed with reverence
http://www.pakistant[...]
Pakistan Today
2012-08-06
[39]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metaphysics in persia
http://www.h-net.msu[...]
2012-05-01
[40]
서적
Tulip in the desert: A selection of the poetry of Muhammad Iqbal
https://books.google[...]
c.Hurts and Company, Publishers Ltd
[41]
서적
Fifty key figures in Islam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42]
웹사이트
DenkStätte Weiße Rose
https://web.archive.[...]
Weisse rose Stiftung e.V.
2016-09-22
[43]
웹사이트
Innenstadt- und HighTechCampus - LMU München
https://www.uni-muen[...]
2019-08-20
[44]
웹사이트
MoveON - Austauschmöglichkeiten weltweit
https://lmu.moveon4.[...]
2019-08-20
[45]
웹인용
Facts and Figures
http://www.en.uni-mu[...]
2020-12-15
[46]
문서
서울대학교 통계연보 2015년판.
http://www.snu.ac.kr[...]
2014-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