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돔나누스 히엔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돔나누스 히엔시스는 624년경 북부 Uí Néill 가문에서 태어난 인물로, 아이오나 수도원의 아홉 번째 수도원장이자 초기 중세 시대의 학자이다. 그는 콜룸바의 친족으로, 679년 수도원장이 되었으며, 잉글랜드와 아일랜드를 오가며 부활절 날짜 문제와 같은 종교적, 정치적 문제에 관여했다. 아돔나누스는 '카인 아돔난'으로 알려진 법을 반포하여 전쟁 중 비전투원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기여했으며, 콜룸바의 생애와 같은 저술 활동을 통해 역사에 중요한 기록을 남겼다. 그는 704년에 사망했으며,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에서 성인으로 추앙받으며, 그의 이름은 여러 기관과 건물에 사용되어 기념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의 성인 - 콜룸바 히엔시스
콜룸바 히엔시스는 6세기에 활동한 아일랜드 출신 수도사이자 선교사로서 스코틀랜드 이오나 섬에 수도원을 세우고 픽트족을 개종시켜 켈트 기독교 발전에 기여했으며, 켈트 수도원 제도의 아버지로 불린다. - 아일랜드의 성인 - 에린 십이사도
에린 십이사도는 6세기 클로나드 수도원의 성 피니안과 관련되어 아일랜드와 유럽에 기독교를 전파한 12명의 초기 기독교 성직자들을 지칭하며, 수도원 설립, 선교 활동, 교육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624년 출생 - 측천무후
측천무후는 당나라 황후에서 스스로 황제가 되어 무주를 세운 중국 유일의 여황제로, 수렴청정과 과거제 확대 등으로 평가가 엇갈린다. - 624년 출생 - 야즈데게르드 3세
야즈데게르드 3세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마지막 샤로, 즉위 당시 제국은 불안정했으며 이슬람 세력에 맞서 싸웠으나 패배하여 멸망했고, 이후 그의 죽음은 사산 왕조의 종말을 의미하며 그의 아들은 당나라로 망명하여 부흥을 시도했고 조로아스터교 달력은 그의 재위년을 기점으로 한다.
아돔나누스 히엔시스 | |
---|---|
기본 정보 | |
존칭 | 성인 |
이름 | 아돔나누스 히엔시스 |
로마자 표기 | Adamnanus |
출생 | (대략 624년) |
출생지 | 도니골 주, 얼스터, 아일랜드 |
사망 | 704년 (약 80세) |
사망지 | 아이오나, 스코틀랜드 |
기념일 | 9월 23일 |
숭배 대상 |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스코틀랜드 성공회http://www.scotland.anglican.org/church/st-adamnan-kilmaveonaig/, 스코틀랜드 성공회 |
![]() | |
수호 | 라포 교구 |
생애 | |
주요 활동 | 아이오나 수도원의 수도원장, 전기 작가, 정치가, 성직자 변호사 |
라틴어 명칭 | |
라틴어 표기 | Adamnanus |
게일어 명칭 | |
업적 | |
주요 저서 | (콜룸바의 생애), (무고한 자들의 법), (성지) |
기타 명칭 | (아이오나의 성 아돔나누스), (성 아돔나누스) |
2. 생애
아돔나누스는 624년경 콜룸바와 부계 친족 관계[2]인 북부 Uí Néill의 Cenél Conaill 가문에서 태어났다.[3] 그의 아버지 로난 막 틴네는 Cenél Conaill 가문 출신이며, 어머니 로냇은 북부 Uí Néill 가문의 Cenél nÉnda 출신이다. 아돔나누스의 출생지는 티르 코나일(현재의 도네갈 주)에 있는 래포 또는 그 인근으로 추정된다. 어린 시절 일화에 따르면 그는 데리 시에서 멀지 않은 도네갈 주의 비옥한 동부 지역에서 성장했다.[4]
아돔나누스는 드루임 투아마(Druim Tuamma)라는 콜룸반 수도원에서 수도 생활을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달 리어타에 있는 콜룸반 재단일 가능성도 있으며, 드로우가 가장 유력한 후보지로 꼽힌다. 그는 640년경 아이오나 수도원을 중심으로 하는 수도원 연합인 콜룸반 ''familia''에 합류했을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그가 파일베 막 피파인이 수도원장이 된 669년 이후에 아이오나에 왔을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리처드 샤프는 세게네 (652년 사망)의 수도원장 재임 기간에 아이오나에 왔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아돔나누스는 초기 중세 북유럽에서는 보기 드물게 높은 수준의 학식을 쌓았다.[4] 앨프리드 스미스는 아돔나누스가 드로우에서 가르치고 공부했을 것이라고 제안했지만,[4] 모든 학자들이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아돔나누스는 624년경 콜룸바와 부계 친족 관계[2]인 북부 Uí Néill의 Cenél Conaill 가문에서 태어났다.[3] 그의 아버지 로난 막 틴네는 Cenél Conaill 가문 출신이며, 어머니 로냇은 북부 Uí Néill 가문의 Cenél nÉnda 출신이다. 아돔나누스의 출생지는 티르 코나일(현재의 도네갈 주)에 있는 래포 또는 그 인근으로 추정된다. 어린 시절 일화에 따르면 그는 데리 시에서 멀지 않은 도네갈 주의 비옥한 동부 지역에서 성장했다.[4]아돔나누스는 드루임 투아마(Druim Tuamma)라는 콜룸반 수도원에서 수도 생활을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달 리어타에 있는 콜룸반 재단일 가능성도 있으며, 드로우가 가장 유력한 후보지로 꼽힌다. 그는 640년경 아이오나 수도원을 중심으로 하는 수도원 연합인 콜룸반 ''familia''에 합류했을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그가 파일베 막 피파인이 수도원장이 된 669년 이후에 아이오나에 왔을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리처드 샤프는 세게네 (652년 사망)의 수도원장 재임 기간에 아이오나에 왔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아돔나누스는 초기 중세 북유럽에서는 보기 드물게 높은 수준의 학식을 쌓았다.[4] 앨프레드 스미스는 아돔나누스가 드로우에서 가르치고 공부했을 것이라고 제안했지만,[4] 모든 학자들이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2. 2. 이오나 수도원장
아돔나누스 히엔시스(라틴어: Adomnánus, 아담난/Adhamhnánga, 624년경 ~ 704년)는 북부 Uí Néill 가문의 일원이자 Cenél Conaill 가문 출신으로, 콜룸바의 친족이었다.[2][3] 아이오나 수도원의 아홉 번째 수도원장(679년)이 되었다.[5] 그는 초기 중세 북유럽에서 드문 수준의 학식을 갖춘 인물로 알려져 있다.
아돔난은 수도원장으로서 노섬브리아의 왕 알드프리드와 친분을 유지했다. 684년, 알드프리드는 아이오나에서 아돔난과 함께 머물렀다. 686년, 에그프리드가 죽고 알드프리드가 왕위를 계승한 후, 아돔난은 브레가의 왕 핀스네크타 플레다크의 요청으로 노섬브리아 왕국에 사절로 파견되어 2년 전 노섬브리아의 습격으로 붙잡힌 60명의 게일족 포로를 석방시켰다.[4]
아돔난은 수도원장 재임 기간 동안 여러 차례 잉글랜드를 방문했다. 베다의 기록에 따르면, 아돔난은 세올프리드 수도원장의 영향으로 노섬브리아를 방문하는 동안 위트비 시노드에서 합의된 부활절의 로마식 날짜를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이로 인해 아이오나에 분열이 일어나 아돔난은 아이오나 형제들과 소원해져 아일랜드로 가서 아일랜드인들에게 로마식 날짜를 설득했다고 전해진다.[2][5]
692년경, 아돔난은 레인스터 사람들에게 3년마다 부과되던 '보룸하'라는 공물 문제로 핀스네크타 플레다크 왕을 만나 Uí Néill의 권리를 양보한 것에 대해 꾸짖었다.[6]
2. 3. 부활절 논쟁
아돔난은 노섬브리아 왕국의 왕 알드프리드와 친분을 유지했으며, 686년 알드프리드가 왕위를 계승한 후에는 브레가 왕국의 왕 핀스네크타 플레다크의 요청으로 노섬브리아에 잡혀있던 60명의 게일족의 석방을 위해 노섬브리아 왕국를 방문했다.[4] 베다가 전하는 기록에 따르면, 아돔난은 세올프리드 수도원장의 영향으로 노섬브리아를 방문하는 동안 위트비 시노드에서 합의된 부활절의 로마식 날짜를 채택하기로 결정했다.[5] 이로 인해 아이오나에 분열이 일어나 아돔난이 아이오나 형제들과 소원해져 아일랜드로 가서 아일랜드인들에게 로마식 날짜를 설득했다는 암시가 있다. 제프리 웨더릴은 아돔난이 아이오나를 오랫동안 비운 것이 그의 권위를 약화시켜 수도사들에게 로마식 부활절 날짜를 채택하도록 설득할 수 없었다고 보았다.[2] 아돔난이 로마식 날짜를 채택하고 아일랜드에서 이를 옹호했을 가능성은 높다.[5]2. 4. 레인스터와의 관계
3. 카인 아돔난 (Cáin Adomnáin)
일반적으로 697년에 아돔난이 "아돔난의 법"이라는 뜻의 Cáin Adomnáin을 반포한 것으로 여겨진다. ''Cáin Adomnáin''은 697년 비르 종교회의에서 아일랜드인, 달 리아타인, 픽트인 귀족들이 모인 자리에서 반포되었다.[7] 이 법은 특히 전쟁 중 비전투원의 안전과 면책을 보장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Lex Innocentium'' (무고한 자의 법)으로도 알려져 있다.[7] '카인 아돔난'은 중세 초기 법률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여성과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3. 1. 제정 배경
일반적으로 697년에 아돔난이 "아돔난의 법"이라는 뜻의 Cáin Adomnáin을 반포한 것으로 여겨진다. ''Cáin Adomnáin''은 697년 비르 종교회의에서 아일랜드인, 달 리아타인, 픽트인 귀족들이 모인 자리에서 반포되었다.[7] 이 법은 특히 전쟁 중 비전투원의 안전과 면책을 보장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Lex Innocentium''(무고한 자의 법)으로도 알려져 있다.[7]3. 2. 주요 내용
697년 비르 종교회의에서 아일랜드인, 달 리아타인, 픽트인 귀족들이 모인 자리에서 "아돔난의 법"이라는 뜻의 ''Cáin Adomnáin''이 반포되었다.[7] 이 법은 특히 전쟁 중 비전투원의 안전과 면책을 보장하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Lex Innocentium''(무고한 자의 법)으로도 알려져 있다.[7]3. 3. 역사적 의의
아일랜드인, 달 리아타인, 픽트인 귀족들이 비르 종교회의에 모인 697년에 아돔나누스는 "아돔난의 법"이라는 뜻의 ''Cáin Adomnáin''을 반포하였다.[7] ''Cáin Adomnáin''은 특히 전쟁 중 비전투원의 안전과 면책을 보장하기 위해 제정된 법으로, ''Lex Innocentium'' (무고한 자의 법)으로도 알려져 있다.[7] '카인 아돔난'은 중세 초기 법률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여성과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4. 저술
아돔난의 가장 중요한 작품이자 그가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 아마도 697년에서 700년 사이에 쓰여진 이오나의 설립자 콜룸바의 전기인 ''콜룸바의 생애''(Vita Columbae)이다.[8] 이 형식은 어느 정도 술피키우스 세베루스의 ''투르의 성 마르티노의 생애''에서 차용되었다.[9] 아돔난은 콜룸바에 대한 이야기를 연대순이 아닌 주제별로 묶어 게일 신화의 영웅에 비견되는 콜룸바를 제시하기 위해 기독교 전기의 전통적인 형식을 적용했다.[10] 이 전기는 중세 초 스코틀랜드에서 쓰여진 가장 중요한 현존 작품이며, 픽트족에 대한 지식의 중요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이오나의 삶과 중세 초 게일족 수도승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생애''가 그의 유일한 작품은 아니었다. 아돔난은 또한 위대한 기독교 성지이자 순례 중심지에 대한 기록인 논문 ''De Locis Sanctis(성스러운 장소에 관하여)''을 썼다. 아돔난은 프랑크족 출신 주교 아르쿨프로부터 많은 정보를 얻었는데, 아르쿨프는 직접 이집트,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성지를 방문한 후 이오나를 방문했다. 아돔난은 이 사본을 노섬브리아의 학자 왕 알드프리드(685–704)에게 주었다.[4] 또한 그에게는 픽트족 왕 브리데이가 던 네흐탄 전투(685)에서 노섬브리아인에 승리한 것을 기념하는 게일 시를 포함한 많은 게일 시가 기증되었다.
4. 1. 콜룸바의 생애 (Vita Columbae)
''콜룸바의 생애''(Vita Columbae)는 697년에서 700년 사이에 아돔난이 쓴 이오나의 설립자 콜룸바의 전기이다.[8] 이 책의 형식은 술피키우스 세베루스의 ''투르의 성 마르티노의 생애''에서 어느 정도 차용되었다.[9] 아돔난은 콜룸바에 대한 이야기를 연대순이 아닌 주제별로 묶어 게일 신화의 영웅에 비견되는 콜룸바를 제시하기 위해 기독교 전기의 전통적인 형식을 적용했다.[10]이 전기는 중세 초 스코틀랜드에서 쓰여진 가장 중요한 현존 작품 중 하나이며, 픽트족에 대한 지식의 중요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이오나의 삶과 중세 초 게일족 수도승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2]
4. 2. 성스러운 장소에 관하여 (De Locis Sanctis)
아돔나누스 히엔시스는 ''De Locis Sanctis(성스러운 장소에 관하여)''라는 논문을 썼는데, 이는 위대한 기독교 성지이자 순례 중심지에 대한 기록이다.[4] 아돔나누스는 프랑크족 출신 주교 아르쿨프로부터 많은 정보를 얻었는데, 아르쿨프는 직접 이집트,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성지를 방문한 후 이오나를 방문했다.[4] 아돔나누스는 이 사본을 노섬브리아의 학자 왕 알드프리드(685–704)에게 헌정하였다.[4]4. 3. 기타 저술
아돔난은 《콜룸바의 생애》(Vita Columbae) 외에도 여러 저술을 남겼다. 《De Locis Sanctis》(성스러운 장소에 관하여)는 기독교 성지 순례에 대한 기록으로, 프랑크족 출신 주교 아르쿨프에게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아돔난은 이 사본을 노섬브리아의 학자 왕 알드프리드에게 전달했다.[4]또한, 던 네흐탄 전투에서 픽트족 왕 브리데이가 노섬브리아인에게 승리한 것을 기념하는 게일 시를 포함, 여러 게일 시들이 아돔난에게 기증되었다.
5. 죽음과 유산
아돔난은 704년에 사망했으며,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전통에서 성인이 되었고,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 되었다.[12][13] 그의 사망과 축일은 9월 23일에 기념된다.[12][13] 그는 콜룸바와 함께 아일랜드 북서부에 있는 도니골 주 대부분을 포함하는 라포 교구의 공동 수호성인이다. 해당 교구의 가톨릭 교회 성당인 성 에난과 성 콜룸바 대성당(일반적으로 성 에난 성당으로 알려짐)은 레터케니에 있다. 727년에 아돔난의 유물이 아일랜드로 옮겨져 ''카인 아돔난''을 갱신했고, 730년에 이오나로 반환되었다.[12][13]
그의 고향인 도네갈에서는 아돔난의 이름이 레터케니에 있는 성 에난과 성 콜룸바 대성당, 라포에 있는 성공회 성 에난 대성당, 국립학교인 성 에난 초등학교, 레터케니에 있는 중등학교인 성 에난 칼리지, 도네갈 타운 바로 남쪽에 있는 작은 마을인 라히에 있는 국립학교인 성 에난 초등학교, 레터케니에 있는 GAA 클럽인 성 에난 GAA등 여러 기관과 건물에 사용되었다. 그가 세운 스크린 수도원은 남쪽에 있는 슬리고 주에 있으며, 현재는 아일랜드 교회인 스크린 교구 교회가 있다.
5. 1. 유물
5. 2. 현대의 기념
아돔난의 이름은 그의 고향인 도네갈에서 여러 기관 및 건물에 사용되고 있다.- 레터케니의 성 에난과 성 콜룸바 대성당 (현재 라포 교구 주교좌 성당)
- 라포의 성공회 성 에난 대성당
- 라포에 있는 성 에난 초등학교 (국립학교)
- 레터케니의 성 에난 칼리지 (중등학교)
- 도네갈 타운 남쪽 라히의 성 에난 초등학교 (국립학교)
- 레터케니의 성 에난 GAA (GAA 클럽)
그가 세운 스크린 수도원은 슬리고 주 남쪽에 있으며, 현재는 아일랜드 교회인 스크린 교구 교회이다.
6. 각주
7. 외부 링크
참조
[1]
웹사이트
St. Adamnan, Kilmaveonaig
http://www.scotland.[...]
[2]
논문
Adomnán, Iona, and the Life of St. Columba: Their Place Among Continental Saints
http://www.heroicage[...]
2003-05
[3]
서적
1995
[4]
서적
Warlords and Holy Men: Scotland AD 80–1000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84
[5]
간행물
St. Adamnan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07
[6]
간행물
Irish Ecclesiastical Record
1882
[7]
문서
Annals of Ulster
0697-01-01
[8]
웹사이트
The Lives of the Saints
http://www.bartleby.[...]
1866
[9]
논문
Miracle Stories and the Primary Purpose of Adomnán's Vita Columbae
http://www.heroicage[...]
2007-05
[10]
논문
Columba, Adomnán and the achievement of Iona: Part I
1964
[11]
논문
The purpose of Adomnán's Vita Columbae
1982
[12]
문서
Annals of Ulster
0727-01-01
[13]
문서
Annals of Ulster
0730-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