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랑후에스 협주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랑후에스 협주곡은 스페인 작곡가 호아킨 로드리고가 기타와 오케스트라를 위해 작곡한 곡으로, 아랑후에스 왕궁 정원에서 영감을 받아 1939년 파리에서 작곡되었다. 3악장 구성으로, 각 악장은 독특한 분위기와 리듬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2악장의 아다지오는 잉글리시 호른의 멜로디로 시작하여 널리 알려졌다. 헌정된 레히노 사인스 데 라 마사의 연주를 통해 초연되었으며, 다양한 편곡과 재해석을 거쳐 재즈, 팝 등 여러 장르에서 사랑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랑후에스 - 더 뷰티풀 데이즈 오브 아란후에스
더 뷰티풀 데이즈 오브 아란후에스는 2016년 개봉 영화로, 평론가들로부터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메타크리틱 점수는 32/100, 로튼 토마토 지수는 30%를 기록했다.
아랑후에스 협주곡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Concierto de Aranjuez |
작곡가 | 호아킨 로드리고 |
작곡 연도 | 1939년 |
초연 | 1940년 11월 9일, 바르셀로나 |
헌정 | 레히노 사인스 데 라 마사 |
악기 편성 | |
독주 악기 | 기타 |
오케스트라 | 플루트 (1) 오보에 (1) 호른 (2) 바순 (1) 트럼펫 (2) 현악기 |
구성 | |
악장 구성 | 제1악장: Allegro con spirito (알레그로 콘 스피리토) 제2악장: Adagio (아다지오) 제3악장: Allegro gentile (알레그로 젠틸레) |
연주 시간 | 약 25분 |
추가 정보 | |
영향 | Miles Davis의 "Sketches of Spain" (스케치 오브 스페인)에 영향 |
관련 장소 | 아랑후에스 |
2. 역사적 배경
로드리고는 스페인 내전으로 아란후에스가 피해를 입자, 스페인과 아란후에스의 평화를 담아 이 곡을 작곡했다고 전해진다. 제2악장은 병으로 중태에 빠진 아내와 잃어버린 첫 아이에 대한 신에게 바치는 기도를 담고 있다고도 한다.
제1악장의 주제는 1978년 기타곡 '트립티코'의 제3곡 '스케르치노'(scherzino)에 전용되었다.
제2악장은 포퓰러 클래식으로 편곡되어 널리 알려졌으며, 길 에반스 편곡, 마일스 데이비스 연주의 '스케치 오브 스페인' 앨범 수록 버전이 유명하다. 모던 재즈 콰르텟, 짐 홀, 맨해튼 재즈 퀸텟 등도 재즈 버전으로 연주했다. 칙 코리아는 '스페인' 인트로에 제2악장 프레이즈를 사용했고, 기 봉탕페리는 프랑스어 가사를 붙여 '사랑의 아랑후에스', '내 마음의 아랑후에스'로 불렀다.
제3악장은 스페인의 평화를 기원하며 만들어졌다.
기타 협주곡은 클래식 기타 음량이 작아 오케스트라와의 음량 조절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오케스트라 음량을 줄이거나 기타에 마이크를 사용하기도 한다.
독주 악기를 하프[28]로 바꾼 버전도 있지만, 연주되는 경우는 기타 버전에 비해 매우 적다.
2. 1. 작곡 배경

''아랑후에스 협주곡''은 16세기 후반 펠리페 2세가 건설하고 18세기 중반 페르난도 6세가 재건한 봄 별궁과 정원인 아랑후에스 왕궁의 정원에서 영감을 받았다.[1] 이 작품은 자연의 소리를 불러일으켜 청취자를 다른 장소와 시간으로 이동시키려 시도한다.
작곡가에 따르면, 첫 번째 악장은 "두 주제가 모두... 멈추지 않고 이어지는 속도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리듬감과 활력으로 생생하게 표현"되며, 두 번째 악장은 "클래식 기타와 솔로 악기(잉글리시 호른, 바순, 오보에, 호른 등) 사이의 대화"를 나타내며, 마지막 악장은 "이중 박자와 삼중 박자의 조합이 마지막 마디까지 팽팽한 템포를 유지하는 궁정 무용을 연상시킨다."라고 한다. 그는 협주곡 자체를 아랑후에스 정원의 "목련 향기, 새들의 노랫소리, 분수의 솟아오름"을 포착한 것으로 묘사했다.[1]
로드리고와 그의 아내 빅토리아는 2악장의 영감에 대해 수년 동안 침묵을 지켰고, 이로 인해 1937년의 게르니카 폭격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대중적인 믿음이 생겨났다. 빅토리아는 자서전에서 그것이 그들의 행복했던 신혼여행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동시에 로드리고가 첫 임신 중 유산으로 받은 절망에 대한 반응이었다고 밝혔다.[1] 이 곡은 1939년 파리에서 작곡되었다.
로드리고는 ''아랑후에스 협주곡''을 레히노 사인스 데 라 마사에게 헌정했다.[2]
세 살 때부터 거의 시력을 잃은 로드리고는 피아니스트였다.[3] 그는 기타를 연주하지 않았지만, 여전히 스페인 음악에서 기타의 역할을 포착하고 투영할 수 있었다.[4] 제2차 세계 대전의 긴장감이 감도는 파리에서 1939년 초 작곡되었으며, 기타와 오케스트라를 위해 로드리고가 처음으로 작곡한 작품이다. 악기 편성은 흔치 않은데, 기타가 정규 오케스트라의 강력한 연주에 맞서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 덕분에 기타는 압도당하는 일이 없다.
기타 연주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었던 로드리고는 이 협주곡 작곡에 즈음하여 레히노 사인스 데 라 마사의 조언을 받았다.[27]
2. 2. 초연
아랑후에스 협주곡은 1940년 11월 9일 바르셀로나의 팔라우 데 라 무지카 카탈라나에서 초연되었다. 레히노 사인스 데 라 마사가 기타를 연주하고, 세사르 멘도사 라살레가 바르셀로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지휘했다.[27]1940년 12월 11일에는 마드리드에서 예수스 아람바리의 지휘와 레히노 사인스 데 라 마사의 기타 연주로 마드리드 스페인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미국 초연은 1959년 11월 19일 호세 레이 데 라 토레가 기타를 연주하고 로버트 쇼가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를 지휘했다.
2. 3. 헌정
기타 연주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었던 로드리고는 이 협주곡 작곡에 즈음하여 레히노 사인스 데 라 마사의 조언을 받았다.[27] 안드레스 세고비아는 독주 악기와 오케스트라의 조화에 문제가 있다며 이 곡을 연주하지 않아 헌정을 받지 못했다. 이후 레히노 사인스 데 라 마사의 제자인 나르시소 예페스가 이 곡을 데뷔 공연에서 연주했고, 예페스의 선명함과 어우러져 곡이 유명해지자 세고비아는 완전히 흥미를 잃고 결국 생애 단 한 번도 연주하지 않았다.3. 악장 구성
이 협주곡은 세 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알레그로 콘 스피리토'''(Allegro con spirito), '''아다지오'''(Adagio), '''알레그로 젠틸레'''(Allegro gentile)이다. 첫 번째 악장과 마지막 악장은 라 장조이며, 유명한 중간 악장은 나단조이다. 독주 기타 외에, 두 대의 플루트 (한 대는 피콜로를 겸함), 두 대의 오보에 (한 대는 잉글리시 호른을 겸함), 두 대의 B 클라리넷, 두 대의 바순, 두 대의 F 호른, 두 대의 C 트럼펫, 그리고 현악기로 구성된 오케스트라를 위해 작곡되었다.
전체적으로 간결한 필법으로 쓰여졌으며, 프랑시스 풀랑크는 이 작품을 "한 음도 낭비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3. 1. 제1악장: Allegro con spirito (알레그로 콘 스피리토)
첫 악장은 독주 기타가 6/8 박자로 세 마디 주제를 연주하며 시작되는 40마디의 도입부로 구성된다. 이 주제는 으뜸음, 상행하는 2음, 딸림음 화음으로 구성되며, 플라멩코와 유사한 헤미올라 리듬을 특징으로 한다. 반복되면서 으뜸음 화음의 가장 높은 음은 점차 높아지며, 3음, 5음, 으뜸음, 다시 5음을 사용한다.\header {
tagline = ""
}
foo = <<
\relative c \new Staff {
\key d \major \time 6/8 \clef "treble_8"
\set Staff.midiInstrument = "acoustic guitar (nylon)"
\tempo "Allegro con spirito" 4. = 84
\override TextSpanner #'dash-fraction = #'()
\override TextSpanner #'font-shape = #'upright
\override TextSpanner #'(bound-details left text) = \markup { "C. 2ª" }
\override TextSpanner #'(bound-details right text) = \markup { \draw-line #'(0 . -2) }
\override TextSpanner #'(bound-details right padding) = #-3
\override TextSpanner #'(bound-details left stencil-align-dir-y) = #0.8
\stemUp
q\arpeggio r
\override DynamicTextSpanner #'dash-period = #-1.0
q r
\break
\repeat unfold 2 {
}
\break
\override TextSpanner #'(bound-details left text) = \markup { "C. 7ª" }
q \stopTextSpan r
}
\new Dynamics {
\override TextSpanner #'(bound-details left-broken text) = ##f
\override TextSpanner #'(bound-details right-broken text) = ##f
\override TextSpanner #'(bound-details left text) = \markup { "Rasgueado" }
s2.\startTextSpan | s4. s \stopTextSpan |
\override TextSpanner #'(bound-details left text) = \markup { "sigue" }
\override TextSpanner #'dash-period = #-1.0
s2. \startTextSpan | s s
s s s
s s s \stopTextSpan
}
>>
\score {
\foo
\layout {
indent = 0\cm
line-width = #140
}
}
\score {
\unfoldRepeats
\foo
\midi { }
}
\relative c'' \new Staff \with { \remove "Time_signature_engraver" } {
\key d \major \time 6/8 \clef "treble"
\set Staff.midiInstrument = "oboe"
\set Score.tempoHideNote = ##t \tempo 4. = 84
\partial 4.
r8 d-.\f fis-.
\set Score.currentBarNumber = #45 \bar "|"
a4-. a8-. a-. a-. a-. | a2. ~ | a4. r8 d,-. fis-. | a4-. a8-. a( b-.) g-. | a2. ~ | a4. r8 a-.\< b-. | cis4.\! b8( a-. g-. | a->( fis4 ~ fis4. ~ | fis
}
\relative c'' \new Staff \with { \remove "Time_signature_engraver" } {
\key d \major \time 6/8 \clef "treble_8"
\set Staff.midiInstrument = "acoustic guitar (nylon)"
\set Score.tempoHideNote = ##t \tempo 4. = 84
\partial 8
<< {
\set stringNumberOrientations = #'(down)
\override StringNumber #'staff-padding = #'()
\override TextSpanner #'dash-fraction = #'()
\override TextSpanner #'font-shape = #'upright
\override TextSpanner #'(bound-details left text) = \markup { "C. 7ª" }
\override TextSpanner #'(bound-details right text) = \markup { \draw-line #'(0 . -2) }
\override TextSpanner #'(bound-details right padding) = #-3
\override TextSpanner #'(bound-details left stencil-align-dir-y) = #0.8
b8^\markup { \dynamic mf \italic "grazioso" } |
\set Score.currentBarNumber = #83 \bar "|"
d \startTextSpan b d \stopTextSpan r e cis |
a\2 fis\3 b\rest b4\rest b8 \startTextSpan |
d b d \stopTextSpan r e
\override TextSpanner #'(bound-details left text) = \markup { "C. 10ª" }
r \startTextSpan |
fis d \stopTextSpan b\rest b\rest b\rest
fis' | \acciaccatura { g16[ a] } g8 es^\2 g r
} \\ {
\override StringNumber #'staff-padding = #'()
r8 |
r8 |
r8 | g4. g
} >>
}
프랑시스 풀랑크는 이 작품에 대해 "한 음도 낭비되지 않았다"고 평가할 정도로 전체적으로 간결하게 작곡되었다.
3. 2. 제2악장: Adagio (아다지오)
B단조로 된 아랑후에스 협주곡의 두 번째 악장은 느린 템포와 조용한 멜로디가 특징이며, 잉글리시 호른으로 시작하여 기타와 현악기의 부드러운 반주가 더해진다. 조용한 후회의 감정이 곡 전체에 흐르며, 처음에는 멜로디에 장식이 점차 추가된다. 기타의 비조화적인 트릴은 긴장감을 유발하지만, 주기적으로 멜로디로 돌아간다. 결국, 현악기와 목관 악기의 반주와 함께 메인 멜로디로 전환되며 절정을 맞이한다. 곡은 기타의 차분한 아르페지오로 끝나지만, 실제로는 배경의 현악기가 곡을 마무리한다.이 악장은 애수 띤 선율로 유명하며, 고전파 음악 협주곡과 달리 제2악장이 가장 길다. 작곡가 로드리고는 스페인 내전으로 피해를 입은 아란후에스를 நினை며 스페인과 아란후에스의 평화를 담아 작곡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병으로 위독했던 아내와 잃어버린 첫 아이를 위한 기도가 담겨 있다고도 한다.
제2악장은 포퓰러 클래식으로 편곡되어 널리 알려졌으며, 길 에반스 편곡, 마일스 데이비스 연주의 '스케치 오브 스페인' 버전이 유명하다. 모던 재즈 콰르텟, 짐 홀, 맨해튼 재즈 퀸텟 등 재즈계에서도 연주되었고, 칙 코리아는 '스페인' 인트로에 제2악장 프레이즈를 사용했다. 기 봉탕페리는 프랑스어 가사를 붙여 '사랑의 아랑후에스', '내 마음의 아랑후에스'로 불렀다.
잉글리시 호른으로 시작되는 제2악장은 변주곡 형식이며, 제시되는 주제가 유명하다.
3. 3. 제3악장: Allegro gentile (알레그로 젠틸레)
3악장은 혼합된 박자로 2/4 박자와 3/4 박자를 교대로 사용한다. 악장 시작 부분에서 총 9박으로 이루어진 4마디 구절은 3/4 박자 1마디와 2/4 박자 3마디로 구성된다. 악장이 진행될수록 박자는 더 불규칙해진다. 기타가 B 장조의 "잘못된" 조에서 주제를 시작하지만, 오케스트라는 고유 조인 D 장조로 이를 다시 연주한다.전체적으로 간결한 필법으로 쓰여졌으며, 프랑시스 풀랑크는 이 작품을 "한 음도 낭비되지 않았다"고 평했다.
4. 악기 편성
독주 클래식 기타, 플루트 2(1는 피콜로 겸함), 오보에 2(1는 잉글리시 호른 겸함), 클라리넷 2, 바순 2, 호른 2, 트럼펫 2, 현악 5부
5. 대중적 인기와 영향
아랑후에스 협주곡은 발표 이후 클래식 기타 음악의 대표적인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르의 음악가들에게 영감을 주며 대중적으로도 큰 인기를 얻었다. 특히 2악장의 아름다운 선율은 수많은 편곡과 연주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레히노 사잉스 데 라 마사의 초연 녹음[5] 이후, 나르시소 예페스, 줄리안 브림 등 유명 기타리스트들이 이 곡을 연주하고 녹음했다. 또한 파코 데 루시아와 같은 플라멩코 기타리스트, 마일스 데이비스와 같은 재즈 음악가들도 이 곡을 자신만의 스타일로 해석하여 대중에게 선보였다.
5. 1. 다양한 편곡과 연주
이 협주곡은 여러 음악가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편곡되어 연주되었다. 1947년 또는 1948년에 기타리스트 레히노 사잉스 데 라 마사가 스페인 국립 관현악단과 함께 아타울포 아르젠타의 지휘로 처음 녹음했으며,[5] 이 녹음은 라틴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6] 이후 나르시소 예페스는 아르젠타와 함께 두 번 녹음했는데, 하나는 1953년에서 1955년 사이에 발매된 모노 녹음이고,[8] 다른 하나는 1957년에 녹음되어 1959년에 발매된 스테레오 녹음이다.[9] 이다 프레스티가 1948년에 프랑스 초연을 했지만,[10] 최초의 여성 클래식 기타 연주자는 레나타 타라고였다(1958년 또는 1959년).[11] 줄리안 브림은 긴 녹음 경력 동안 이 곡을 다섯 번 녹음했다.[12]스페인 플라멩코 기타리스트 파코 데 루시아는 1991년에 이 곡을 연주하면서 악보를 읽는 데 능숙하지 못했지만, 호세 마리아 가야르도 델 레이의 도움을 받아 연주했다.[13] 그는 리듬의 정확성을 강조했으며, 작곡가 호아킨 로드리고는 그의 연주를 극찬했다.
니카노르 사발레타의 요청으로 로드리고는 1974년에 하프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편곡을 만들었다.[14] 재즈 음악가 마일스 데이비스는 길 에반스와 함께 앨범 ''스케치 오브 스페인''(1960)에서 2악장을 재해석했다.[15] 로드리고는 허락 없이 자신의 음악이 사용된 것에 분노했지만,[16] 이후 팝 버전이 더 많은 대중에게 다가가 원곡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사실을 받아들였다.[17][18] 그러나 로드리고의 아내 빅토리아 캄히 데 로드리고는 마일스 데이비스의 녹음을 "해적 행위"라고 비판했다.[19]
이 외에도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이 곡을 자신만의 스타일로 연주했다.
연주자 | 연주 형태 |
---|---|
가와이 이쿠코 | |
장-크리스티앙 미셸 | [21] |
버킷헤드 | |
울리 존 로스 | |
버스터 윌리엄스 | |
칙 코리아 | |
짐 홀 | |
톰 스콧 | |
그리메토르프 콜리어리 밴드 | (브래스드 오프 사운드트랙)[22] |
모던 재즈 쿼텟 | |
더 섀도우스 | |
토미 임마뉴엘 | |
제프 러브 | |
페이루즈 | |
데미스 루소스 | |
리샤르 앙토니 | |
리타 | |
존 폴 존스 | |
스파이널 탭 | [23] |
토미타 이사오 | |
앙드레 류 | |
달리다 | |
나나 무스쿠리 | |
아리사와 타카노리 | (디지몬 어드벤처) |
서머 왓슨 | |
진보 아키라 | |
허브 앨퍼트 | |
레오 브라우어 | |
도로시 애쉬비 | |
페타르 쿨릭 | |
카를로스 산타나 | [24] |
사라 브라이트만 | |
로드 맥큐언 | |
페툴라 클라크 | |
THE ALFEE | |
폴 모리아 |
특히, 제2악장은 그 아름다운 선율로 널리 알려져 다양한 방식으로 편곡되었다.
5. 2. 대한민국에서의 인기
대한민국에서는 1993년에 『음악 판타지 유메』에서 이 곡이 사용되었다.[28] 이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곡의 대부분은 이미 사망한 작곡가들의 작품이었지만, 이 곡만은 방송 당시에도 작곡가가 생존해 있었다.[28] 폴 모리아에 의한 편곡도 존재한다.[28] 1982년에는 허버트 크레츠머와 할 셰이퍼가 이 곡에 가사를 붙여 데미스 루소스의 싱글 곡으로 발표했다.[28] 이 곡은 1989년 이토 키미코의 앨범에도 수록되었으며, 2004년에는 카와이 켄지의 편곡으로 영화 『공각기동대: 이노센스』의 주제가로 사용되었다.[28]6. 기타
고전파 이래 일반적인 협주곡은 제1악장이 가장 긴 것이지만, 이 작품은 완서 악장인 제2악장이 가장 길다. 제2악장은 포퓰러 클래식으로 편곡되는 등 널리 알려져 있다.
기타 협주곡 전반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것이지만, 클래식 기타의 음량이 작은 탓에 오케스트라가 음의 밸런스에 고심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오케스트라의 음량을 낮추거나, 기타에 마이크를 놓기도 한다.[28]
기타 연주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었던 로드리고는 이 협주곡 작곡에 즈음하여 레히노 사인스 데 라 마사의 조언을 받았다.[27] 헌정을 받지 못한 위대한 기타리스트 안드레스 세고비아는 독주 악기와 오케스트라의 조화에 문제가 있다며 이 곡을 연주하지 않았다. 이후 레히노 사인스 데 라 마사의 제자인 나르시소 예페스가 이 곡을 데뷔 공연에서 연주했고, 예페스의 선명함과 어우러져 곡이 유명해지자 세고비아는 완전히 흥미를 잃고 결국 생애 단 한 번도 연주하지 않았다.
참조
[1]
서적
Hand in hand with Joaquín Rodrigo: my life at the maestro's side
https://books.google[...]
Latin American Literary Review Press
1992-03-01
[2]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Guit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Handbook of Guitar and Lute Composers
Mel Bay Publications
[4]
웹사이트
Joaquín Rodrigo: A Life
http://www.classicfm[...]
2017-12-23
[5]
웹사이트
Liner notes for CD,'Concierto de Aranjuez: The Premier Recording.'
http://www.spanishgu[...]
[6]
웹사이트
Latin Grammy Hall of Fame – 2001
https://web.archive.[...]
Latin Academy of Recording Arts & Sciences
2014-10-17
[7]
웹사이트
SoundStage! Ultra | SoundStageUltra.com (UltraAudio.com)
https://www.ultraaud[...]
2021-11-13
[8]
간행물
The World's Encyclopaedia of Recorded Music, Supplement III [Jan. 1953 – Dec. 1955]
[9]
웹사이트
Australian Observer: Narciso Yepes and the Concierto de Aranjuez
http://aussieobserve[...]
2009-08-23
[10]
문서
"Presti, Ida"
[11]
웹사이트
Rodrigo's ''Concierto de Aranjuez'': which recording is best?
https://www.gramopho[...]
2017-12-23
[12]
웹사이트
Concierto de Aranjuez
http://www.julianbre[...]
2021-11-13
[13]
웹사이트
Concierto de Aranjuez
https://web.archive.[...]
2021-11-13
[14]
문서
"Zabaleta, Nicanor"
[15]
서적
Hand Made, Hand Played: The Art & Craft of Contemporary Guitar
Sterling Publishing Company, Inc.
[16]
문서
"The fusions and confusions of the ''Concierto de Aranjuez'' in jazz: A listener's musings."
Instituto Cervantes at the Faculty of Arts and Sciences of Harvard University
[17]
웹사이트
The pop version of the famous melody of the second movement, Adagio.
https://www.joaquin-[...]
2021-04-06
[18]
문서
[19]
서적
Hand in hand with Joaquín Rodrigo: my life at the maestro's side
https://books.google[...]
Latin American Literary Review Press
1992-03-01
[20]
서적
Hand in hand with Joaquín Rodrigo: my life at the maestro's side
https://books.google[...]
Latin American Literary Review Press
1992-03-01
[21]
뉴스
CIDD
France-Soir
2009-05
[22]
서적
Guide to British Cinema
Greenwodd Publishing Group
[23]
웹사이트
Spinal Tap Sits Down with Guitar World, Part 2
http://www.spinaltap[...]
2022-10-25
[24]
문서
Santana Brothers
[25]
웹사이트
Otras disposiciones
http://boe.es/boe/di[...]
1991-12-31
[26]
웹사이트
Concierto de Aranjuez (1939)
https://www.joaquin-[...]
www.joaquin-rodrigo.com
2020-07-24
[27]
서적
クラシック名曲 初演&初録音事典
大和書房
[28]
웹사이트
Concierto de Aranjuez
https://www.eamdc.co[...]
www.eamdc.com
2020-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