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악보는 음악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체계로, 음악의 음높이, 리듬, 멜로디 등을 나타낸다. 다양한 기보 시스템이 존재하며, 서양의 오선보가 널리 사용되지만, 한국을 포함한 다른 문화권에서는 고유한 형태의 악보가 사용되어 왔다. 악보는 시대와 문화를 거치며 발전해 왔으며, 현대에는 컴퓨터 기술을 활용한 악보 제작 및 공유가 이루어진다. 악보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악보는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악보 - 국제 악보 도서관 프로젝트
국제 악보 도서관 프로젝트는 에드워드 W. 구오가 2006년에 시작하여 퍼블릭 도메인 악보를 공유하는 온라인 프로젝트로, 저작권 문제와 위기를 극복하고 베르너 이킹 음악 아카이브와의 합병, 구독 모델 도입 등을 통해 발전해왔으며, MERLOT 클래식 상 수상 및 PC 매거진 선정 최고의 웹사이트 100곳 중 하나로 인정받았다. - 음악사 - 음악사학
음악사학은 음악과 음악의 역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작곡가와 작품 연구를 넘어 음악 이론, 사상, 장르 및 사조의 변천, 다른 예술 장르와의 관계, 사회, 문화, 경제, 정치와의 연관성 등을 포괄적으로 다루며, 서양, 동양, 한국음악사학으로 나뉜다. - 음악사 - 음악 고고학
음악 고고학은 음악학과 고고학의 방법론을 융합하여 과거의 음악적 행위와 음향 현상을 연구하고 고대 음악 재구성, 악기 연구, 음악 장면 묘사, 문헌 증거 조사 등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다. - 음악 이론 - 음이름
음이름은 조나 스케일과 관계없이 음의 높이를 나타내는 명칭으로, 서양 음악에서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각국별 표기법과 옥타브 구별법, 그리고 비서양 음악의 음이름 및 계명도 존재한다. - 음악 이론 - 음높이
음높이는 소리의 높낮이를 구별하는 청각적 특성으로, 음파의 주파수, 음압, 음색, 지속 시간과 청취자의 주관적인 경험에 영향을 받으며, 음악에서 음계 구성, 악기 조율, 화음 인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다양한 음계 시스템에 따라 관계가 달라지며, 확정/불확정 음높이로 구분되는 악기 소리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다.
악보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정의 | 각 성부를 별도의 줄 또는 오선에 표시한 완전한 악보 |
다른 이름 | 총보 |
종류 | |
2단 | 피아노 악보, 합창 악보 등 |
3단 | 관현악 스코어, 성악 반주가 붙은 악보 |
4단 이상 | 관현악 스코어 (오케스트라 악보) |
작성 방법 | |
악기 및 성부 | 각 악기 또는 성부를 세로로 정렬하여 표시 |
음표 | 각 악기 또는 성부의 음표를 시간 순서대로 표기 |
기호 | 다양한 음악 기호 (셈여림표, 빠르기말, 이음줄, 쉼표 등)를 사용하여 음악적 표현을 상세히 지시 |
페이지 레이아웃 | 가독성이 좋도록 페이지 레이아웃 설계 |
활용 | |
연주자 | 연주자가 각자의 파트를 확인하고 연습하는 데 사용 |
작곡가 | 작곡가가 자신의 의도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 사용 |
음악학자 | 음악 작품을 연구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 |
기타 | |
관련 문서 | 위키백과 악보 작성 책 악보 |
2. 역사
악보의 역사는 인류가 음악을 기록하고 전달하려는 노력과 함께 발전해 왔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문자보(文字譜)를 사용하여 음악을 기록했다. 이는 가사 위에 음높이를 문자로 적는 방식이었다. 옥시린코스 파피루스에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서기 280년) 초기 기독교(동방諸教会) 성가로 여겨지는 『삼위일체의 성가(옥시린코스의 찬가)』가 그리스 기보법으로 적혀 있었다. 기원전 3세기 경의 석판에는 아폴론에게 바치는 찬가가 새겨져 있는데, 시행 사이에 문자가 있어 악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9세기경에는 네우마 악보를 사용한 성가집이 나타났다. 이것은 그레고리오 성가를 위한 것이었는데, 처음에는 곡선과 직선만으로 음의 길이와 높이를 나타냈다. 이후 기준 음높이를 수평선으로 표기하는 방식으로 발전했고, 4개, 5개의 선을 사용하는 현대 악보와 유사한 형태가 되었다. 1025년경, 귀도 다레초는 현재 악보 표기법의 원형을 고안했다.[1]
1473년 요하네스 구텐베르크가 활판인쇄 기술을 개발한 지 약 20년 후, 기계로 인쇄된 악보가 처음 등장했다.[1] 1501년 오타비아노 페트루치는 ''Harmonice musices odhecaton''을 발행했다.[2] 1520년경 잉글랜드 런던에서 한 번의 인쇄로 악보를 인쇄하는 기술이 개발되었고,[2] 1528년 프랑스의 피에르 아테냥이 이 기술을 널리 보급했다.[2] 16세기 후반에는 금속판화 기술이 개발되어 악보 인쇄에 활용되었다.
17세기에는 악보의 줄이 5줄로 자리 잡았다.[2] 이전에는 음역에 따라 4줄, 6줄, 때로는 7~8줄을 사용하기도 했지만,[2] 이탈리아 오페라계에서 악보의 차이를 통일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5선보가 이탈리아에서 세계로 퍼져나갔다.[2]
19세기에는 악보 출판 산업이 음악 산업을 주도했으며, 미국의 틴 팬 앨리가 그 중심지였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 축음기, 라디오 방송, 레코드 산업이 발전하면서 악보 출판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13] 20세기 후반부터는 컴퓨터를 이용한 악보 작성 및 공유 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했다.[14]
1998년, 가상 악보가 디지털 악보로 발전하여 출판사가 처음으로 저작권이 있는 악보를 온라인으로 판매할 수 있게 되었다. 현대에는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및 일반 개인용 컴퓨터용 악보 작성 소프트웨어가 많이 출시되었다.
1999년, 해리 코닉 주니어는 오케스트라 연주자들 간에 악보 표시를 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특허 받았다. 무선 네트워크와 아이패드의 확산으로 유사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일반 대중에게 특히 실용적인 관심사는 뮤토피아 프로젝트와 국제 악보 라이브러리 프로젝트(IMSLP)이다.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에 걸쳐 악보를 컴퓨터로 읽고 쓸 수 있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여러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종래에는 출판용 악보 제작을 전문 악보 필사가가 수작업으로 했지만, 컴퓨터가 보급된 현재는 악보 작성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2. 1. 고대
문자보(文字譜)는 고대 그리스 음악에서 사용되었던 기보법이다. 가사 위에 음높이를 문자로 적는 방식이다. 옥시린코스 파피루스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서기 280년) 초기 기독교(동방諸教会)의 성가로 여겨지는 『삼위일체의 성가(옥시린코스의 찬가)』가 그리스 기보법으로 적혀 있었다.기원전 3세기 경의 석판에 아폴론(Apollon)에 대한 찬가가 새겨져 있으며, 찬가의 시행 사이에 문자가 있어 악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서기 3세기경에 알뤼피오스(Alypios)가 이러한 문자들을 목록으로 정리하여 고전 그리스의 기보법을 남겼다.
2. 2. 중세
9세기경, 네우마 악보를 사용한 가장 오래된 성가집이 나타났다. 이것은 기독교 로마전례에서 사용되는 그레고리오 성가를 위한 것이었는데, 처음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곡선과 직선만으로 음의 길이와 높이를 나타냈다. 이후 기준이 되는 음높이의 위치를 수평선 하나로 표기하는 방식이 되었고, 더 나아가 네 개, 다섯 개의 선이 되어 현대의 악보와 같은 형식이 되었다. 참고로 현대 가톨릭교회에서 사용되는 네우마 악보는 음높이를 나타내는 선이 네 개인 것이다.1025년경, 귀도 다레초가 네 개의 선 위에 네모난 음표를 쓰는, 현재 악보 표기법의 원형을 고안했다.[1]
2. 3. 르네상스 및 근대
1473년 요하네스 구텐베르크(Johannes Gutenberg)가 활판인쇄 기술을 개발한 지 약 20년 후에 기계로 인쇄된 악보가 처음 등장했다.[1] 1501년 오타비아노 페트루치(Ottaviano Petrucci)는 조스캥 데 프레(Josquin des Prez)와 하인리히 이자크(Heinrich Isaac)의 곡 96곡을 수록한 ''Harmonice musices odhecaton''을 발행했다.[2] 페트루치의 인쇄 기법은 깨끗하고 읽기 쉬운 악보를 만들었지만, 오선, 글자, 음표를 각각 세 번 인쇄해야 해서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작업이었다.[2] 1520년경 잉글랜드 런던에서 한 번의 인쇄로 악보를 인쇄하는 기술이 개발되었고,[2] 1528년 프랑스의 피에르 아테냥(Pierre Attaingnant)이 이 기술을 널리 보급했다.[2] 1575년 잉글랜드 여왕 엘리자베스 1세(Elizabeth I)는 토마스 탈리스(Thomas Tallis)와 윌리엄 버드(William Byrd)에게 악보 인쇄 독점권을 부여했고,[2] 1596년 독점권이 만료되자 토마스 몰리(Thomas Morley)에게 넘어갔다.[2]16세기 후반에는 금속판화 기술이 개발되어 악보 인쇄에 활용되었다.
17세기에는 악보의 줄이 5줄로 자리 잡았다.[2] 이전에는 교회 성가대는 음역이 1옥타브라 4줄, 건반악기는 음역이 넓어 6줄, 때로는 7~8줄을 사용하기도 했지만,[2] 이탈리아 오페라계에서 악보의 차이를 통일하고 번잡함을 없애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5선보가 이탈리아에서 세계로 퍼져나갔다.[2]
2. 4. 현대
19세기에는 악보 출판 산업이 음악 산업을 주도했으며, 미국의 틴 팬 앨리가 그 중심지였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 축음기, 라디오 방송, 레코드 산업이 발전하면서 악보 출판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13] 20세기 후반부터는 컴퓨터를 이용한 악보 작성 및 공유 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했다.[14]1998년, 가상 악보가 디지털 악보로 발전하여 출판사가 처음으로 저작권이 있는 악보를 온라인으로 판매할 수 있게 되었다. 인쇄본과 달리 이 파일은 악기 변경, 전주 및 MIDI 재생과 같은 조작을 허용했다.
가정용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초기 컴퓨터 악보 프로그램으로는 1984년에 개발된 Music Construction Set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여 음표와 기호를 조작하고, 오선에 "놓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다. 또한, 다양한 초기 사운드 카드를 통해 생성된 음악을 재생하고, 그래픽 프린터로 악보를 인쇄할 수 있었다.
현대에는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및 일반 개인용 컴퓨터용 악보 작성 소프트웨어가 많이 출시되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MIDI 장비가 장착된 키보드나 기타 MIDI 컨트롤러를 이용한 연주, 또는 마우스나 기타 컴퓨터 장치를 사용한 수동 입력을 통해 MIDI 파일에서 악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1999년, 해리 코닉 주니어는 오케스트라 연주자들 간에 악보 표시를 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특허 받았다. 이 시스템은 종이 대신 컴퓨터 화면을 사용하여 악보를 보여준다. 코닉은 자신의 빅 밴드와 함께 투어할 때 이 시스템을 사용한다. 무선 네트워크와 아이패드의 확산으로 유사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클래식 음악계에서는 일부 현악 사중주 그룹이 컴퓨터 화면 기반 파트를 사용한다. 컴퓨터 기반 파트는 대비, 밝기, 음표 크기 등을 조정하여 읽기 쉽게 만들 수 있고, 발 페달을 사용하여 페이지를 넘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 대중에게 특히 실용적인 관심사는 뮤토피아 프로젝트와 국제 악보 라이브러리 프로젝트(IMSLP)이다. 뮤토피아 프로젝트는 퍼블릭 도메인 악보 라이브러리를 만드는 노력이며, 구텐베르크 프로젝트의 퍼블릭 도메인 도서 라이브러리와 비슷하다. IMSLP는 모든 퍼블릭 도메인 악보뿐만 아니라 전 세계 사람들과 무료로 음악을 공유하려는 작곡가의 악보를 포함하는 가상 라이브러리를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다.
일부 악보 작성 소프트웨어는 신디사이저 사운드 또는 가상 악기를 사용하여 표기된 음악을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작곡가와 편곡가는 전문 오케스트라 녹음의 미묘한 차이는 없지만, 작품의 음색과 파트 간 상호 작용을 파악할 수 있다.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에 걸쳐 악보를 컴퓨터로 읽고 쓸 수 있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여러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음악 데이터의 디지털 전송 규격인 MIDI를 이용한 기록 방식인 Standard MIDI File 등도 악보의 계열에 속한다. 주로 클래식 음악을 중심으로 저작권이 만료되어 퍼블릭 도메인이 된 악보의 라이브러리를 인터넷에 구축하는 활동이 있다.
종래에는 출판용 악보 제작을 전문 악보 필사가가 수작업으로 했지만, 컴퓨터가 보급된 현재는 악보 작성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3. 한국의 악보
한국 전통 음악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악보가 사용되어 왔다. 대표적인 악보로는 세종이 창안한 정간보와 악기의 소리를 흉내 내어 표기한 육보, 그리고 서양의 오선보와 유사한 오음약보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악보들이 사용되었다.
- 궁중정간보
- 박사(聲明): 서양의 네우마에 해당한다.
- 문화보(삼현금)
- 현명보(가야금): 삼현금이나 가야금의 악보는 일반적으로 악기의 연주 방법을 적어 놓은 타불라춰로 분류되는 악보로 쓰여진다. 현 이름이나 간소 이름, 주법, 입삼현금 등의 창(しょうが)에 의해 표시된다.
- '''尺八의 악보'''
3. 1. 정간보
정간보(井間譜)는 세종이 창안한 동양 최초의 유량 박자(시간) 표기법으로, 우물 정(井)자 모양의 칸 안에 음의 높이와 길이를 표기한다.[2]3. 2. 육보
육보(肉譜중국어)는 악기의 소리를 흉내 낸 구음을 사용하여 음높이와 리듬을 나타내는 악보이다.3. 3. 오음약보
오음약보는 서양식 오선보와 유사하지만, 5개의 음계만을 사용하여 한국 전통 음악의 특징을 반영한 악보이다.3. 4. 기타 전통 악보
4. 서양 악보 (오선보)
오선보법으로 된 오선보는 서양 음악에서 유래하여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음높이 축과 시간 축을 가진 점 그래프의 일종으로, 음표와 연주기호 등을 사용하여 음악을 표현한다.
악보는 노래 또는 음악 작품을 기록, 안내, 연주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악보를 읽을 수 있는 연주자나 가수는 악보를 통해 노래나 음악 작품을 연주한다.
5선만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높은 음이나 낮은 음을 나타내기 위해 '''덧줄'''을 사용한다. 덧줄은 5선 위와 아래에 추가적인 칸과 줄을 만들어 음을 표기한다.[1]
고전 음악에서는 작곡가의 스케치, 초기 버전, 최종 자필 악보, 교정쇄 및 인쇄된 악보에 대한 개인적인 표시 등을 연구하여 작품에 대한 권위 있는 음악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악보를 이해하려면 음표를 읽는 능력이 필요하며, 통음은 악보를 보고 익숙하지 않은 음악 작품을 처음으로 연주하는 능력이다.
4. 1. 오선보의 구성 요소
오선보는 다섯 개의 가로줄과 그 사이 네 개의 칸으로 구성되어, 음의 높낮이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부터 순서대로 '첫째 줄', '둘째 줄', '셋째 줄', '넷째 줄', '다섯째 줄'이라고 부르며, 칸도 마찬가지로 아래에서부터 '첫째 칸', '둘째 칸', '셋째 칸', '넷째 칸'이라고 부른다.음자리표는 오선보에서 음의 기준 위치를 정해주는 기호로, 오선의 맨 앞에 그려진다. 높은음자리표와 낮은음자리표 등이 있으며, 음자리표가 있어야 음의 높이를 알 수 있게 되어 비로소 보표(악보)가 된다.
4. 2. 오선보의 종류
- '''총보''' (Full Score): 관현악이나 관악합주 등 여러 악기의 모든 파트가 포함된 악보로, 주로 지휘자가 사용한다.

- '''축약보''' (Miniature Score): 총보를 작게 축소한 악보로, 연구용으로 사용된다.
- '''총보''' (피아노 악보): 여러 파트의 음악을 건반악기로 연주할 수 있도록 편곡한 악보이다.

- '''파트보''': 각 악기별로 연주해야 할 부분만 발췌한 악보이다.
- '''보컬 스코어''': 성악곡에서 성악 파트와 피아노 반주 파트만 포함된 악보이다.
- '''리드 시트''' (Lead Sheet): 재즈나 대중음악에서 멜로디와 코드 네임만 간략하게 표기한 악보이다. 즉흥 연주를 할 때 사용한다.

5. 오선보 이외의 악보
오선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악보가 존재한다.
- 타브 악보(Tablature): '주법보'라고도 하며, 주로 기타와 같은 현악기의 연주 방법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현과 프렛의 위치를 숫자로 표시한다.
- 일선보(일본선): 타악기와 같이 명확한 음정을 가지지 않는 악기의 기보에 사용된다. 하지만, 음표 기호가 없는 오선보로 기보되는 경우도 있다.
- 도형 악보: 시간과 음정을 나타낸 공간에 선이나 기하학 도형 등의 도형으로 음을 표현하는 악보이다. 존 케이지나 스티브 라이히와 같은 전위 음악가들이 사용했다. MIDI 등의 전자 음악에서는 세밀한 연주 데이터를 충실하게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오선보보다 정밀한 기보로 도형 악보적인 시각화를 통해 작곡·편곡되는 경우가 있다.
- 문자 악보: 연주 방법을 문장으로 기술한 악보이다. 존 케이지의 4분 33초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 무토 기보법: 무토 음악 메소드를 기반으로 3개의 기선으로 표현하는 악보로, "3선보"라고도 한다. 음역은 숫자로 표기하고, 검은 건반의 음에는 각각 독립된 명칭이 붙어 있다.[17]

5. 1. 타브 악보 (Tablature)
타브 악보(Tablature)는 흔히 "탭 악보"라고 불리며, 주법을 나타내는 악보이다. 기타, 베이스 등 프렛이 있는 현악기에서 주로 사용되며, 손가락으로 눌러야 할 현과 프렛의 위치를 숫자로 표시한다.
5. 2. 도형 악보 (Graphic Score)
Graphic Score영어는 전위 음악에서 주로 사용되며, 음의 높낮이와 길이를 선, 기하학 도형, 그림 등으로 자유롭게 표현하는 악보이다. 존 케이지, 스티브 라이히, 모턴 펠드먼 등의 전위 음악가들이 이 기법을 사용하였다.[1] MIDI 등의 전자 음악에서는 세밀한 연주 데이터를 충실하게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오선보보다 정밀한 기보로 도형 악보적인 시각화를 통해 작곡·편곡되는 경우가 있다. 피아노롤은 악보로 보기보다는 실제로 피아노에 입력하여 연주시키는 연주 매체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는 도형 악보를 사용하는 목적은 오선보로 표현할 수 없는 패시지나 잡음만을 기보하는 경우가 많다.5. 3. 문자 악보 (Text Score)
Text Score영어는 존 케이지의 4분 33초와 같이 연주해야 할 사항을 모두 문장으로 기술한 악보이다.[17] "그림으로 된 악보"처럼 불확실한 요소가 많아 연주자의 감성에 따라 완전히 다른 음악이 연주되는 일종의 즉흥 음악으로 볼 수 있다.6. 악보와 지적 재산권
악보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다. 따라서 악보를 복제, 배포, 공연, 전시, 전송할 때는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 저작권 보호 기간이 만료된 악보는 퍼블릭 도메인으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음원을 듣고 악보로 옮기는 행위의 저작권 침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일본 기업 페어리는 밴드가 작곡한 곡의 음원을 듣고 일본음악저작권협회(JASRAC)의 허가를 얻은 후 악보로 옮겨 유료로 판매했다.[16] 페어리로부터 악보를 구매한 기업이 유사한 악보를 광고가 붙은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공개(2008년 개설, 2018년 6월 폐쇄[18])하자, 페어리는 2018년 6월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소송을 제기했다.[16] 2021년 9월 도쿄지방법원에서 청구가 기각되었지만, 2024년 6월 도쿄고등법원에서는 승소하여, 피고 기업의 상고에 따라 향후 최고재판소의 판단을 기다리게 되었다.[16]
7. 악보 관련 정보
다음은 퍼블릭 도메인 또는 자유 라이선스 악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목록이다. 저작권으로 보호되는 악보의 경우에는 라이선스에 따른 이용 조건을 준수해야 한다.
- IMSLP – 공개 도메인 악보 PDF 파일 라이브러리(국제 악보 도서관 프로젝트)
- [http://memory.loc.gov/ammem/mussmhtml/mussmhome.html Music for the Nation] – 미국 악보 아카이브, 미국 의회 도서관
- [https://repository.duke.edu/dc/hasm Historic American Sheet Music – Duke University Libraries Digital Collections] 1850년부터 1920년 사이에 미국에서 출판된 3,000개가 넘는 악보.
- [https://levysheetmusic.mse.jhu.edu/ Lester S. Levy Sheet Music Collection] – 존스 홉킨스 대학교 세리던 도서관의 악보 프로젝트.
- [https://content.lib.washington.edu/smweb/index.html Pacific Northwest Sheet Music Collection], 워싱턴 대학교 도서관
- [http://webapp1.dlib.indiana.edu/inharmony/welcome.do IN Harmony: Sheet Music from Indiana] 인디애나 대학교 릴리 도서관, 인디애나 주립 도서관, 인디애나 주립 박물관 및 인디애나 역사 협회의 악보.
- [http://www.cpdl.org Choral Public Domain Library (ChoralWiki)] – 합창 음악에 중점을 둔 무료 악보 아카이브. PDF 및 기타 형식의 악보 포함.
- [http://www.mutopiaproject.org Mutopia project] – 모든 악보가 GNU LilyPond를 사용하여 새롭게 작성된 무료 악보 아카이브. PDF 및 포스트스크립트 형식으로 제공.
- [http://www.gutenberg.org/browse/categories/4 Project Gutenberg] – 프로젝트 구텐베르크의 악보 섹션. 피날레 또는 뮤직XML 형식의 악보 포함.
- IMSLP -- 국제 악보 라이브러리 프로젝트 (International Music Score Library Project) 수록곡 6만 곡 이상, 악보 총수 20만 곡 이상.
- 신 모차르트 전집 디지털판 (http://dme.mozarteum.at/) -- 신 모차르트 전집의 총보 전부를 PDF로 제공하며, 한국어를 지원한다.
- Choral Public Domain Library (CPDL) (http://www.cpdl.org/wiki/index.php/Main_Page) 합창곡 도서관
- SheetMusicFox (http://www.sheetmusicfox.com/)
- Free-scores.com (http://www.free-scores.com/index_uk.php3/)
- Piano Sheet Music Online (http://pianosheetmusiconline.com/)
- Musopen Public Domain Sheet Music (http://www.musopen.com/sheetmusic.php)
- Art Song Central (http://artsongcentral.com/)
참조
[1]
Grove
Open score
[2]
서적
A General History of the Science and Practice of Musi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5-03
[3]
서적
Sacred Music: Its Origins, Powers, and Future : Traditional Music in Today's World
Indica Books
2021-06-01
[4]
학술지
Whose World, What Beat: The Transnational Music Industry, Identity, and Cultural Imperialism
1993
[5]
학술지
Old Babylonian Musical Instructions Relating to Hymnody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1986
[6]
학술지
The Strings of Musical Instruments: their Names, Numbers, and Significance
https://oi.u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5-04-21
[7]
학술지
The Babylonian Musical Notation and the Hurrian Melodic Texts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8]
웹사이트
Muziek voor luit[manuscript]
https://lib.ugent.be[...]
[9]
서적
Four Hundred Years of Music Printing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10]
서적
Early American Music Engraving and Printin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1]
웹사이트
Music Engraving
http://www.henle.com[...]
2014-11-03
[12]
웹사이트
America's Music Publishing Industry – The story of Tin Pan Alley
http://parlorsongs.c[...]
[13]
특허
[14]
웹사이트
Harry Connick Jr. Uses Macs at Heart of New Music Patent
http://www.macobserv[...]
The Mac Observer
2011-11-15
[15]
사전
スーパー大辞林
三省堂
[16]
뉴스
楽譜を模倣 賠償命令/サイト公開「労力にただ乗り」東京高裁判決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4-09-07
[17]
특허
[18]
뉴스
演奏情報の楽譜「模倣し公開」賠償1.6億円/バンドスコア判決 問う線引き/採譜に「多大な時間・労力」他の楽譜と一線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4-11-1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도돌이표 [말글살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