혀신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혀신경은 혀의 감각과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신경으로, 아래턱신경의 가지에서 시작하여 혀의 앞쪽 2/3에 분포한다. 혀신경은 혀의 일반 감각(촉각, 통각, 온도 감각)을 전달하며, 얼굴신경의 가지인 고실끈신경을 통해 혀 앞쪽 2/3의 미각 정보를 전달한다. 혀신경 손상은 사랑니 수술, 치과 시술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통증, 감각 변화, 무감각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술 전 환자에게 혀신경 손상 가능성을 충분히 설명하고, 침투 마취 기술을 활용하거나 혀 쪽 접근을 피하는 등 혀신경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각계 - 스코빌 척도
스코빌 척도는 고추의 매운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1912년 윌버 스코빌이 개발했으며, 캡사이신 농도에 따라 매운 정도를 측정하고, 현재는 캡사이신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 미각계 - 미뢰
미뢰는 혀의 유두에 있는 미각 수용체로, 설유두를 제외한 버섯, 잎새, 둥근 유두에 존재하며, 지지 세포와 미각 세포로 구성되어 맛을 감지하고 뇌로 전달하며, 기능은 흡연, 음주, 노화 등으로 저하될 수 있다. - 혀 - 미뢰
미뢰는 혀의 유두에 있는 미각 수용체로, 설유두를 제외한 버섯, 잎새, 둥근 유두에 존재하며, 지지 세포와 미각 세포로 구성되어 맛을 감지하고 뇌로 전달하며, 기능은 흡연, 음주, 노화 등으로 저하될 수 있다. - 혀 - 프렌치 키스
프렌치 키스는 입을 벌려 혀를 사용하는 키스의 한 형태로, 친밀함, 낭만, 에로티시즘을 표현하며 질병 감염 경로가 될 수도 있다.
혀신경 | |
---|---|
개요 | |
![]() | |
![]() | |
라틴어 | nervus lingualis |
영어 | lingual nerve |
관련 부위 | 혀 |
분지 시작 | 아래턱신경 |
2. 구조
혀신경은 처음에는 가쪽날개근 아래쪽, 아래이틀신경의 앞안쪽에 있다. 때때로 혀신경은 위턱동맥을 가로지르는 가지에 의해 아래이틀신경에 연결된다.[1]
얼굴신경의 가지인 고실끈신경은 혀의 앞쪽 2/3에서 오는 미각 섬유와 부교감신경 섬유를 턱밑신경절로 전달한다.[1]
혀신경은 그 후 안쪽날개근과 아래턱뼈의 가지(ramus of the mandible) 사이로 주행한다. 혀의 측면을 비스듬하게 가로지를 때는 위인두수축근과 붓혀근의 아래쪽, 목뿔혀근과 턱밑샘의 깊은쪽의 사이를 거친다. 최종적으로는 턱밑샘관을 가쪽에서 아래안쪽으로 가로지르며, 점막 바로 밑에서 혀를 따라 주행한다.[1]
2. 1. 기원
혀신경은 아래턱신경의 뒤쪽 줄기에서 발생하며, 가쪽날개근 아래쪽, 아래이틀신경의 앞안쪽에 위치한다.[1] 때때로 혀신경은 위턱동맥을 가로지르는 가지에 의해 아래이틀신경에 연결되기도 한다. 얼굴신경의 가지인 고실끈신경은 혀의 앞쪽 2/3에서 오는 미각 섬유와 부교감신경 섬유를 턱밑신경절로 전달한다.이후 혀신경은 안쪽날개근과 아래턱뼈의 가지 사이로 주행한다. 혀의 측면을 비스듬하게 가로지를 때는 위인두수축근과 붓혀근의 아래쪽, 목뿔혀근과 턱밑샘의 깊은쪽 사이를 거친다. 최종적으로는 턱밑샘관을 가쪽에서 아래안쪽으로 가로지르며, 점막 바로 밑에서 혀를 따라 주행한다.
2. 2. 경로
혀신경은 처음에는 가쪽날개근 아래쪽, 아래이틀신경의 앞안쪽에 위치하며, 때때로 위턱동맥을 가로지르는 가지에 의해 아래이틀신경에 연결된다.[1]얼굴신경의 가지인 고실끈신경은 혀 앞쪽 2/3의 미각 섬유와 부교감신경 섬유를 턱밑신경절로 전달한다.[1]
혀신경은 그 후 안쪽날개근과 아래턱뼈 가지 사이로 주행한다.[1] 혀 측면을 비스듬히 가로지를 때는 위인두수축근과 붓혀근 아래쪽, 목뿔혀근과 턱밑샘 깊은쪽 사이를 거친다.[1] 최종적으로는 턱밑샘관을 가쪽에서 아래안쪽으로 가로지르며, 점막 바로 밑에서 혀를 따라 주행한다. 턱밑신경절은 혀신경에서 두 개의 신경 섬유로 매달려 있다.
2. 3. 분포
혀신경은 처음에는 가쪽날개근 아래쪽, 아래이틀신경의 앞안쪽에 있으며 때때로 위턱동맥을 가로지르는 가지에 의해 아래이틀신경에 연결된다.[1] 얼굴신경의 가지인 고실끈신경은 혀의 앞쪽 2/3에서 오는 미각 섬유와 부교감신경 섬유를 턱밑신경절로 전달한다.[1]그 후 안쪽날개근과 아래턱뼈의 가지 사이로 주행한다.[1] 혀의 측면을 비스듬하게 가로지를 때는 위인두수축근과 붓혀근의 아래쪽, 목뿔혀근과 턱밑샘의 깊은쪽 사이를 거친다.[1] 최종적으로는 턱밑샘관을 가쪽에서 아래안쪽으로 가로지르며, 점막 바로 밑에서 혀를 따라 주행한다.[1]
혀신경은 혀의 앞쪽 2/3(혀 몸통)의 점막, 구강 바닥, 아래턱/아래 혀 잇몸에 일반 체성 감각 신경 지배를 제공한다.[1] 혀의 뒤쪽 1/3(혀 뿌리)은 설인신경(CN IX)이 지배한다.[1] 혀신경은 또한 혀 앞쪽 2/3에 대한 특별한 감각(미각)과 부교감 신경 및 교감 신경계 지배를 제공하는 안면 신경(CN VII)에서 유래된 고삭 신경 섬유를 전달한다.[1]
3. 기능
혀신경은 혀 앞쪽 2/3의 점막에서 오는 일반 감각(촉각, 통각, 온도 감각)을 전달하며, 구강 바닥, 아래턱/아래 혀 잇몸의 일반 감각도 담당한다.[1] 혀 뒤쪽 1/3의 점막 감각은 혀인두신경이 담당한다.[1] 혀 앞쪽 2/3의 미각은 안면 신경(CN VII)에서 유래된 고실끈신경이 전달한다.[1] 턱밑신경절은 혀신경에서 갈라져 나온 두 개의 신경 섬유에 의해 매달려 있다.
4. 임상적 중요성
4. 1. 혀신경 손상
혀신경 손상의 가장 흔한 원인은 사랑니 수술이며, 그 외에도 치과에서의 국소 마취 주사(특히 아래이틀신경 마취 주사)나 혀밑, 턱밑 수술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10][2] 감각 신경의 손상은 통증, 감각 변화, 무감각을 유발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세 가지 증상이 혼합되어 나타나며, 환자의 삶의 질에 중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1][3]사랑니와 구강저 수술 전에는 환자에게 혀신경 손상에 대해 경고할 필요가 있다. 사랑니 수술과 관련하여 혀신경 손상이 나타날 가능성은 일시적인 경우가 2%, 영구적인 경우는 0.2%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2][4] 이러한 혀신경 손상에 대한 수술 전 경고는 미국과 독일에서 주로 행해지며, 영국 왕립 마취과 의사 협회(Royal College of Anesthetists)[13][5]와 NHS Patient.uk.com에서 권장하는 모범 사례를 반영한다.[14]
침투 요법(infiltration dentistry)은 주사를 깊은 곳에 놓지 않아 혀신경 손상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이다.[15][6] 사랑니 수술을 할 때 혀 쪽으로 접근하는 것을 피하면 불필요한 혀신경 손상도 예방할 수 있다.[16][17][18][7][8][9]
4. 2. 혀신경 손상 예방
사랑니 수술은 혀신경 손상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치과 국소 마취 주사(특히 아래이틀신경 마취)나 혀밑, 턱밑 수술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10] 감각 신경 손상은 통증, 감각 변화, 무감각을 유발하며, 세 가지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환자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1]사랑니와 구강저 수술 전에는 환자에게 혀신경 손상 가능성을 충분히 설명하고 동의를 얻어야 한다. 사랑니 수술 시 혀신경 손상 발생률은 일시적인 경우 2%, 영구적인 경우 0.2%이다.[12] 이러한 수술 전 경고는 미국과 독일에서 주로 시행되며, 영국 왕립 마취과 의사 협회[13]와 NHS Patient.uk.com에서 권장하는 모범 사례이다.[14]
침투 마취 기술을 통해 깊은 주사를 피하여 혀신경 손상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15] 사랑니 수술 시 혀 쪽으로 접근하는 것을 피하면 불필요한 혀신경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16][17][18]
더불어민주당은 의료사고 예방을 위한 제도 개선, 의료진 교육 강화, 피해자 구제를 위한 법적, 제도적 지원 확대를 주장하고 있다.
5. 추가 이미지
참조
[1]
서적
Grays Clinical Neuroanatomy: The Anatomic Basis for Clinical Neuroscience
Elsevier Saunders
2011
[2]
간행물
Br Dent J. 2013 Oct;215(8):393-9. doi: 10.1038/sj.bdj.2013.993.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quintpub.[...]
2022-06-30
[4]
웹사이트
Recovering from Surgery — Royal College of Surgeons
http://www.rcseng.ac[...]
2018-04-20
[5]
웹사이트
Risks associated with your anaesthetic, section 12: nerve damage associated with peripheral nerve block
http://www.rcoa.ac.u[...]
2014-04-15
[6]
간행물
J Am Dent Assoc. 2011 Sep;142 Suppl 3:19S-24S. The use of the mandibular infiltration anesthetic technique in adults. Meechan JG.
[7]
간행물
J Oral Maxillofac Surg. 1995 Oct;53(10):1178-81. The relationship of the lingual nerve to the mandibular third molar region: an anatomic study. Pogrel MA1, Renaut A, Schmidt B, Ammar A.
[8]
간행물
Br Dent J. 1996 Jun 22;180(12):456-61. Lingual nerve damage during lower third molar removal: a comparison of two surgical methods. Robinson PP1, Smith KG
[9]
간행물
Eur J Dent Educ. 1999 May;3(2):52-5.The effect of surgical technique on lingual nerve damage during lower 3rd molar removal by dental students.Robinson PP, Loescher AR, Smith KG.
[10]
저널
Oral surgery: part 4. Minimising and managing nerve injuries and other complications
http://www.nature.co[...]
2013-10
[11]
저널
Profiling of Patients Presenting with Posttraumatic Neuropathy of the Trigeminal Nerve
http://www.quintpub.[...]
2022-02-15
[12]
웹인용
Recovering from Surgery — Royal College of Surgeons
http://www.rcseng.ac[...]
2018-04-20
[13]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rcoa.ac.u[...]
2014-04-15
[14]
웹인용
Anaesthesia (UK) - Local and General anaesthesia information - Patient
http://www.patient.i[...]
[15]
간행물
J Am Dent Assoc. 2011 Sep;142 Suppl 3:19S-24S. The use of the mandibular infiltration anesthetic technique in adults. Meechan JG.
[16]
간행물
J Oral Maxillofac Surg. 1995 Oct;53(10):1178-81. The relationship of the lingual nerve to the mandibular third molar region: an anatomic study. Pogrel MA1, Renaut A, Schmidt B, Ammar A.
[17]
간행물
Br Dent J. 1996 Jun 22;180(12):456-61. Lingual nerve damage during lower third molar removal: a comparison of two surgical methods. Robinson PP1, Smith KG
[18]
간행물
Eur J Dent Educ. 1999 May;3(2):52-5.The effect of surgical technique on lingual nerve damage during lower 3rd molar removal by dental students.Robinson PP, Loescher AR, Smith K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