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오단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리오단테는 1735년 런던에서 초연된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오페라 세리아이다. 헨델이 코벤트 가든으로 옮겨 작곡한 작품으로, 1734년 8월부터 10월까지 작곡되었으며, 1월에 초연되었다. 스코틀랜드의 중세를 배경으로, 왕의 딸 지네브라와 기사 아리오단테의 사랑과 질투, 음모를 다룬다. 초연 당시 11번의 공연을 가졌으며, 1926년 이후 재조명되어 현대에도 다양한 프로덕션으로 공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35년 오페라 - 알치나
알치나는 헨델이 작곡한 오페라로, 마법사 알치나의 이야기를 다루며, 1735년 런던에서 초연된 후 1928년 부활 공연을 통해 현대 오페라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다. - 1735년 오페라 - 우아한 인도의 나라들
장-필리프 라모가 작곡한 오페라 발레 《우아한 인도의 나라들》은 사랑을 주제로 터키, 페루, 페르시아, 북미를 배경으로 한 옴니버스 형식의 4개의 막으로 구성되어 18세기 궁정 발레의 전통을 계승한 화려한 무대를 선보이는 라모의 대표작이다. - 바로크 오페라 - 알치나
알치나는 헨델이 작곡한 오페라로, 마법사 알치나의 이야기를 다루며, 1735년 런던에서 초연된 후 1928년 부활 공연을 통해 현대 오페라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다. - 바로크 오페라 - 세르세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이 작곡한 3막 오페라 세리아 《세르세》는 크세르크세스 1세 이야기를 바탕으로 복잡한 사랑과 심리 변화를 그리며, 특히 첫 곡인 "Ombra mai fu" 아리아로 유명하다.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오페라 - 알치나
알치나는 헨델이 작곡한 오페라로, 마법사 알치나의 이야기를 다루며, 1735년 런던에서 초연된 후 1928년 부활 공연을 통해 현대 오페라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다.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오페라 - 세르세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이 작곡한 3막 오페라 세리아 《세르세》는 크세르크세스 1세 이야기를 바탕으로 복잡한 사랑과 심리 변화를 그리며, 특히 첫 곡인 "Ombra mai fu" 아리아로 유명하다.
아리오단테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제목 | Ariodante |
작곡가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
대본가 | 안토니오 살비 (초고) 익명 (수정) |
원작 | 루도비코 아리오스토의 《광란의 오를란도》 |
언어 | 이탈리아어 |
초연 | 1735년 1월 8일 |
초연 장소 | 코번트 가든 왕립극장 |
초연 도시 | 런던 |
등장인물 | |
아리오단테 | 메조소프라노 또는 알토 |
지네브라 | 소프라노 |
폴리네소 | 콘트랄토 |
루르카니오 | 테너 |
왕 | 베이스 |
달린다 | 소프라노 |
오도아르도 | 테너 |
음악 | |
악기 구성 | 플루트 2개 오보에 2개 바순 2개 호른 4개 트럼펫 2개 팀파니 바이올린 비올라 비올라 다모레 테오르보 하프 첼로 더블베이스 오르간 하프시코드 |
2. 역사적 배경
독일 출생의 헨델은 1711년 오페라 리날도를 통해 런던 무대에 이탈리아 오페라를 처음 선보였다. 《리날도》는 큰 성공을 거두었고, 런던에서는 스타급 비르투오소 가수를 위한 솔로 아리아에 초점을 맞춘 이탈리아 오페라 세리아 열풍이 불었다. 헨델은 수년 동안 런던에서 새로운 오페라를 발표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그의 오페라에서 주역을 맡았던 스타 카스트라토 세네시노는 헨델과의 불화로 귀족 오페라로 이적했다.[6] 헨델은 코벤트 가든의 다른 극장으로 옮겨 다른 가수를 고용했다.[7]
2. 1. 경쟁 오페라단의 등장
1733년, 헨델의 경쟁자들은 '귀족 오페라'를 설립하여 헨델의 오페라 사업에 큰 타격을 입혔다. 귀족 오페라는 유명 카스트라토 파리넬리를 영입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28][29] 헨델은 존 제임스 하이데거와 1729년부터 5년간 오페라 상연 계약을 맺었으나, 1733년에 라이벌 귀족 오페라단이 결성되었다. 1734년에는 계약이 만료된 하이마켓 극장을 하이데거가 귀족 오페라에 넘겨주었다.[26][27] 같은 해 10월, 귀족 오페라는 요한 아돌프 하세의 오페라 『아르타세르세』를 상연했고, 카스트라토인 파리넬리의 목소리가 큰 인기를 얻었다.[28][29]이에 헨델은 존 리치가 새로 건설한 코벤트 가든으로 옮겨 오페라 『아리오단테』 및 『알치나』를 작곡했다.[30][31]
2. 2. 코벤트 가든 극장으로의 이전
1734년, 헨델은 존 리치가 새로 건설한 코벤트 가든 극장으로 옮겨 새로운 오페라를 작곡하기 시작했다.[30][31] 이 극장은 마리 살레가 이끄는 무용단을 보유하고 있었고, 헨델은 이를 활용하여 '아리오단테'와 '알치나'에 발레 장면을 추가했다.[32][33] 런던에서 헨델 오페라 사상 처음으로 댄스 시퀀스를 포함한 것이었다.[11]
헨델은 "아리오단테"를 위해 당대 최고의 영국 소프라노라고 찰스 버니가 여겼던 어린 소프라노 세실리아 영, 놀라운 기교와 엄청난 음역을 가진 비르투오소 카스트라토 카레스티니를 포함한 가수들을 기용했다. 헨델은 특히 "E vivo ancora? E senza il ferro? oh Dei! ... Scherza infida in grembo al drudo"와 쾌활하고 화려한 "Dopo notte, atra e funesta"에서 카레스티니의 기교를 최대한 활용했다.[9]
『아리오단테』는 1734년 8월 12일부터 10월 24일까지 작곡되었으며, 다음 해인 1735년 1월 8일에 초연되었다.[32]
2. 3. 초연과 반응
Ariodanteit는 1735년 1월 8일에 코벤트 가든에서 초연되었다. 당시 존 리치와 계약을 맺고 있던 마리 살레의 발레 극단을 위해 헨델은 발레를 더했다.[32][33] 초연은 시즌 중에 11회 상연되었지만, 관객 동원은 좋지 않았다. 1736년 5월에도 신작 오페라 Atalantait가 완성될 때까지 연결고리 역할을 하기 위해 2번 재상연되었다.[23]곡은 선율적이며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테너, 베이스의 4명 모두에게 충분한 역할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헨델의 오페라 중 가장 친숙한 작품 중 하나이다. 제2막의 "Scherza infida (조롱하라, 불성실한 여자여)", 제3막의 "Dopo notte (밤 후에)" (모두 아리오단테의 아리아) 등 몇 곡은 단독으로 콘서트에서 불리기도 한다.[23]
3. 등장인물
- '''아리오단테''', 속국의 왕자, 기사, 지네브라를 사랑함 (메조소프라노, 카스트라토)
- '''지네브라''', 스코틀랜드 왕의 딸, 아리오단테의 약혼녀 (소프라노)
- '''루카니오''', 아리오단테의 남동생 (테너)
- '''폴리네소''', 알바니 공작 (남성 알토)
- '''달린다''', 지네브라의 시녀, 폴리네소를 몰래 연모함(소프라노)
- '''오도아르도''', 왕의 가신 (테너)
- '''스코틀랜드의 왕''', 지네브라의 아버지 (베이스)
역할 | 성악 타입 | 초연 출연진, 1735년 1월 8일[10] |
---|---|---|
아리오단테, 봉신 공작 | 메조소프라노 카스트라토 | 조반니 카레스티니 |
지네브라, 스코틀랜드 왕의 딸, 아리오단테의 약혼녀 | 소프라노 | 안나 마리아 스트라다 델 포 |
달린다, 지네브라의 시녀, 폴리네소 몰래 사랑 | 소프라노 | 세실리아 영 |
폴리네소, 올버니 공작 | 알토 | 마리아 카테리나 네그리 |
루카니오, 아리오단테의 형제 | 테너 | 존 비어드 |
스코틀랜드 국왕 | 베이스 | 구스타부스 왈츠 |
오도아르도, 국왕의 총신 | 테너 | 마이클 스토펠러 |
4. 줄거리
스코틀랜드를 배경으로, 국왕의 딸 지네브라는 아리오단테 공작과 약혼한 사이였다. 그러나 폴리네소의 구애를 거절하면서 비극이 시작된다. 폴리네소는 복수심에 불타 아리오단테와 지네브라의 아버지인 국왕을 속여 지네브라가 부정을 저질렀다고 믿게 만든다.[1]
이로 인해 아리오단테는 자살을 시도하고 지네브라는 비난받는다. 하지만 아리오단테의 형제인 루르카니오가 결투를 신청하고, 죽어가던 폴리네소는 자신의 음모를 자백하면서 연인들은 재회한다.[1]
4. 1. 제1막
지네브라 공주는 기사 아리오단테와 사랑에 빠져있다. 그의 아버지인 스코틀랜드의 왕은 딸의 선택을 허락하고, 아리오단테를 사위와 왕국의 상속자로 받아들인다. 알바니의 공작인 폴리네소는 지네브라와 결혼해서 왕위를 이어받고자 하나, 지네브라는 그의 구혼을 거절한다.[1]지네브라의 시녀인 달린다는 폴리네소에 푹 빠져서, 그녀를 간절히 사랑하는 아리오단테의 남동생인 루카니오의 마음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폴리네소는 왕좌를 얻기 위해서, 달린다를 이용하여 그의 라이벌인 아리오단테를 없앨 계략을 세운다. 그는 만약 달린다가 지네브라의 옷을 입고 가장해서, 저녁에 공주의 침실로 들여보내준다면, 그녀에게 구애한다고 약속한다.[1]

'''왕궁의 왕실 응접실'''
지네브라 공주는 거울 앞에서 사랑하는 이를 위해 아름다움을 가꾸고 있다. (아리아:''Vezze, lusinghe''). 앨버니 공작 폴리네소는 방으로 들이닥쳐 왕의 딸을 연인으로 두면 자신의 앞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녀에게 사랑을 고백한다. 지네브라는 분노하며 그를 거절한다 (아리아:''Orrida a gl'occhi miei'') 그리고 떠난다. 폴리네소를 은밀히 사랑하는 달린다에게 그의 라이벌은 아리오단테 공자라고 조언하지만, 또한 그를 사랑하는 다른 사람을 보기 위해 눈을 뜨기만 하면 된다고 조언한다 (아리아:''Apri le luci''). 혼자 남겨진 폴리네소는 달린다가 자신을 사랑한다는 것을 알고, 라이벌을 좌절시키고 지네브라를 차지하기 위해 그녀를 이용할 계획을 세운다 (아리아: ''Coperta la frode'').[1]
'''왕실 정원'''
아리오단테는 모든 자연이 자신에게 사랑을 속삭인다고 노래한다 (아리아:''Quì d'amor''). 지네브라가 그에게 합류하고 그들은 사랑을 맹세한다 (이중창: ''Prendi, prendi da questa mano''). 왕이 연인들에게 합류하여 축복을 내리고, 궁정 신하 오도아르도에게 결혼 준비를 지시한다 (아리아: ''Voli colla sua tromba''). 혼자 남은 아리오단테는 지네브라에게 충실할 것을 맹세한다 (아리아:''Con l'ali di costanza''). 폴리네소는 음모를 꾸민다. 그는 달린다에게 그날 저녁 지네브라처럼 옷을 입고 자신의 아파트에 초대하면 그녀를 갖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아리아:''Spero per voi''). 아리오단테의 형인 루르카니오가 달린다에게 나타나 그녀에게 사랑을 고백하지만 (아리아:''Del mio sol vezzosi rai'') 그녀는 폴리네소에게 완전히 마음을 빼앗긴다 (아리아:''Il primo ardor'').[1]
'''아름다운 계곡'''
아리오단테와 지네브라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서로의 만남을 즐긴다 (이중창: ''Se rinasce nel mio cor''). 그들은 양치기와 양치기 소녀들에게 합류한다 (합창과 함께하는 이중창:''Si godete al vostro amor'') 그들은 그들을 즐겁게 하기 위해 춤을 춘다 (발레).[1]
폴리네소는 스코틀랜드 왕위를 얻기 위해 지네브라에게 구혼하지만, 지네브라는 이미 아리오단테와 서로 사랑하는 사이였기에 냉정하게 거절한다. 하지만 지네브라의 친구인 달린다는 폴리네소를 좋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것을 눈치챈 폴리네소는 달린다를 이용하여 지네브라와 아리오단테의 사이를 갈라놓을 계획을 세운다.[1]
아리오단테가 등장하여 지네브라와 사랑의 이중창을 부른다. 스코틀랜드 왕은 아리오단테를 지네브라의 약혼자로 인정하고 스코틀랜드의 왕위 계승자로 삼는다.[1]
폴리네소는 달린다에게 지네브라의 옷을 입을 것을 요구한다. 한편, 아리오단테의 동생 루르카니오는 달린다에게 구애를 하고, 달린다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고민한다. 아리오단테와 지네브라가 다시 등장하여 기쁨의 이중창은 합창으로 발전한다.[1]
4. 2. 제2막
폴리네소는 아리오단테에게 지네브라가 자신을 사랑한다고 거짓말을 하고, 지네브라로 변장한 달린다를 이용하여 이를 믿게 만든다. 아리오단테는 절망하여 자살을 시도하지만, 루카니오가 그를 막는다.[2] 아리아 ''Tu preparati a morire''에서 아리오단테는 죽음을 원하고, 아리아 ''Tu vivi''에서 루카니오는 아리오단테에게 살아서 복수하라고 조언한다. 아리오단테는 슬픔에 잠겨 그의 연인의 배신을 한탄한다 (아리아:''Scherza infida'').[3]
왕이 막 아리오단테를 그의 후계자로 선언할 무렵, 왕의 수행원인 오도아르도는 아리오단테가 바다에 몸을 던져 자살했다는 소식을 전한다.[2] 왕은 비통해한다 (아리아:''Invida sorte avara'').[3] 루카니오는 지네브라가 부정을 저질러 자신의 형을 죽음으로 몰아넣었다고 비난하며, 왕에게 지네브라의 행동을 밝히는 편지를 건넨다 (아리아:''Il tuo sangue'').[2] 왕은 딸을 외면하고 매춘부로 규정한다.[2] 지네브라는 이 말을 듣고 헛소리를 하며 쓰러진다 (아리아:''Il mio crudel martoro'').[3] 달린다가 그녀를 위로하려 하지만 실패한다. 지네브라는 불안하고 뒤척이는 잠에 빠지고 (선과 악몽의 발레), 괴로워하며 깨어난다 (레치타티보 아콤파냐토:''Che vidi? oh Dei! misera me!'').[3]
4. 3. 제3막
아리오단테는 자살 시도에서 살아남아 폴리네소가 고용한 암살자들에게 붙잡힌 달린다를 구출한다. 달린다는 아리오단테에게 자신이 지네브라로 변장해 폴리네소를 침실로 들여보냈으며, 이 모든 것이 폴리네소의 음모였음을 밝힌다. 아리오단테는 사랑하는 이를 의심하게 만든 배신에 분노한다.[1]왕은 지네브라를 변호할 기사로 나선 폴리네소와 루카니오의 결투를 명한다. 폴리네소는 루카니오에게 치명상을 입고 죽어가면서 자신의 죄를 고백한다.[1]
아리오단테는 왕궁으로 돌아와 모든 것을 설명하고 지네브라의 결백을 선언하며, 달린다가 의도치 않게 음모에 가담하게 된 점에 대해 왕에게 용서를 구한다. 왕은 달린다를 용서한다. 루카니오는 달린다에게 여전히 사랑하며 돌아와 달라고 간청하고, 달린다는 잠시 망설인 후 이에 동의한다. 왕은 지네브라의 무죄를 선포하고, 지네브라는 아리오단테와 재결합한다.[1]
5. 음악적 특징
폴 헨리 랭에 따르면, 주인공 소프라노 지네브라의 음악은 "뛰어나며", 기쁨에서 절망으로, 다시 행복으로 이동한다.[8] 또한, 그녀와 아리오단테의 2중창 "Prendi, prendi da questa mano"와 1막을 마무리하는 아름다운 목가적인 음악 또한 주목할 만하다. 초연에서 카스트라토 카레스티니가 불렀던 타이틀 롤을 위한 주목할 만한 아리아 중에는 바순 오블리가토가 사용된 슬픈 아리아 "Scherza infida" (it의 가장 위대한 아리아 중 하나"[16]와 놀라운 성악 곡예와 엄청난 음역을 가진 기쁨에 찬 "Dopo notte" (it)[16]가 있다. 찰스 버니는 이 오페라에 대해 "아름다움과 위대한 거장의 솜씨가 풍부하다."라고 평가했다.[17]
이 곡은 선율적이며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테너, 베이스의 4명 모두에게 충분한 역할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헨델의 오페라 중 가장 친숙한 작품 중 하나이다. 아리오단테의 아리아인 제2막의 "Scherza infida (조롱하라, 불성실한 여자여)"와 제3막의 "Dopo notte (밤 후에)" 등 몇몇 곡은 단독으로 콘서트에서 불리기도 한다.[23]
6. 현대적 수용
Ariodante영어는 초연 이후 한동안 잊혔다가 1926년 슈투트가르트에서 부활 공연이 있은 후 20세기에 들어서 재조명되기 시작했다.[11]
6. 1. 20세기 이후의 재조명
''아리오단테''는 초연 당시 11번의 공연을 가졌으며, 이는 당시 성공적인 지표였다. 이후 헨델은 1736년 시즌을 위해 이 오페라를 다시 상연했다. 그 후 1926년 슈투트가르트에서 부활 공연이 있기 전까지 상연되지 않았다.[11] 1964년 5월 영국 버밍엄에서 자넷 베이커가 타이틀 롤을 맡고 앤서니 루이스가 지휘한 두 번의 공연으로 이 오페라는 현대 레퍼토리에 진입하게 되었으며, 그 이후 전 세계 많은 무대에서 공연되었다.[11]그 외 공연으로는 엑상프로방스 페스티벌, 캐나다 오페라단, 암스테르담의 네덜란드 국립 오페라 및 시카고 리릭 오페라 간의 4자 공동 제작이 2014년 엑스에서 초연되었다. 이 공연은 배경을 1960년대로 업데이트하고 결말을 변경하여 지네브라가 상심한 채 축하에서 떠나는 것으로 묘사했다.
잉글리시 콘서트는 2017년 미국과 유럽에서 부분적인 무대 공연을 선보였는데, 여기에는 카네기 홀[18]에서 촬영된 공연과 바비칸 센터에서의 공연이 포함되었다.[19] 잘츠부르크 성령강림절 페스티벌은 2017년 6월 2일 크리스토프 로이가 연출한 새로운 프로덕션을 선보였으며, 여기에는 체칠리아 바르톨리가 아리오단테 역, 캐서린 레윅이 지네브라 역, 상드린 피오가 달린다 역, 크리스토프 두모가 폴리네소 역, 롤란도 빌라존이 루르카니오 역, 그리고 네이선 베르크가 왕 역으로 출연했다.[20]
6. 2. 다양한 프로덕션
''아리오단테''는 초연 당시 11번의 공연을 가졌으며, 이는 당시 성공적인 지표였다. 이후 헨델은 1736년 시즌을 위해 이 오페라를 다시 상연했다. 그 후 1926년 슈투트가르트에서 부활 공연이 있기 전까지 상연되지 않았다. 1964년 5월 영국 버밍엄에서 자넷 베이커가 타이틀 롤을 맡고 앤서니 루이스가 지휘한 두 번의 공연으로 이 오페라는 현대 레퍼토리에 진입하게 되었으며, 그 이후 전 세계 많은 무대에서 공연되었다.[11]엑상프로방스 페스티벌, 캐나다 오페라단, 암스테르담의 네덜란드 국립 오페라 및 시카고 리릭 오페라 간의 4자 공동 제작은 2014년 엑스에서 초연되었다. 이 공연은 배경을 1960년대로 업데이트하고 결말을 변경하여 지네브라가 상심한 채 축하에서 떠나는 것으로 묘사했다.
잉글리시 콘서트는 2017년 미국과 유럽에서 부분적인 무대 공연을 선보였는데, 여기에는 카네기 홀[18]에서 촬영된 공연과 바비칸 센터에서의 공연이 포함되었다.[19] 잘츠부르크 성령강림절 페스티벌은 2017년 6월 2일 크리스토프 로이가 연출한 새로운 프로덕션을 선보였다. 이 공연에는 체칠리아 바르톨리가 아리오단테 역, 캐서린 레윅이 지네브라 역, 상드린 피오가 달린다 역, 크리스토프 두모가 폴리네소 역, 롤란도 빌라존이 루르카니오 역, 그리고 네이선 베르크가 왕 역으로 출연했다.[20]
7. 음반 및 영상 자료
연도 | 출연진: | 지휘자, | 음반사 |
---|---|---|---|
1978년 | 자넷 베이커, | 레이먼드 레파드, | 필립스, |
1995년 | 로레인 헌트, | 니콜라스 맥게간, | 하모니아 문디, |
1997년 | 안네 소피 폰 오터, | 마크 민코프스키, | 아르히프, |
2010년 | 조이스 디도나토, | 앨런 커티스, | 버진 클래식스, |
참조
[1]
간행물
"''Ariodante''"
[2]
문서
"Reviews of Music: Collected Editions – ''Ariodante'' (edited by Karl-Josef Fürth) (January 1962). ''[[Music & Letters]]'', '''43''' (1): pp. 83–84."
[3]
웹사이트
Ariodante' Performed As Concert
https://www.nytimes.[...]
1971-03-31
[4]
간행물
"Handel and the French Style"
1959-04
[5]
간행물
"Record Reviews: ''Ariodante''"
1981-01
[6]
서적
The Politics of Opera in Handel's Brit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7]
웹사이트
Atalanta
http://www.handelhou[...]
Handel House Museum
2014-05-30
[8]
서적
George Frideric Handel
https://archive.org/[...]
W. W. Norton
1966
[9]
서적
All Music Guide to Classical Music: The Definitive Guide to Classical Music
Backbeat Books
2005
[10]
웹사이트
Ariodante
https://handelhendri[...]
2019-01-06
[11]
웹사이트
Programme Notes for ''Ariodante''
https://www.barbican[...]
2016-08-01
[12]
웹사이트
"''Ariodante''"
https://www.opera-on[...]
2016-08-01
[13]
웹사이트
Program notes for ''Ariodante''
https://www.sdopera.[...]
2016-08-01
[14]
웹사이트
"''Ariodante''"
http://www.coc.ca/Pe[...]
2016-08-01
[15]
서적
The Rough Guide to Classical Music
Rough Guides
2010
[16]
서적
Handel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7]
서적
A General History of Music: From The Earliest Ages to the Present
Gale ECCO
1789
[18]
웹사이트
Handel's ''Ariodante'': Live from New York's Carnegie Hall
https://englishconce[...]
2017-05-01
[19]
웹인용
Handel's Ariodante
https://englishconce[...]
The English Concert
2016-12-29
[20]
웹사이트
Salzburg Festival
http://www.salzburge[...]
2017-01-02
[21]
웹사이트
Recordings of ''Ariodante''
http://www.operadis-[...]
2016-08-04
[22]
문서
ホグウッド(1991) p.501 訳注41
[23]
citation
Ariodante
https://handelhendri[...]
Handel & Hendrix in London
[24]
문서
渡部(1966) pp.167-168
[25]
문서
ホグウッド(1991) p.218
[26]
문서
ホグウッド(1991) p.213
[27]
문서
渡部(1966) pp.101-102
[28]
문서
ホグウッド(1991) p.216
[29]
문서
渡部(1966) pp.103-104
[30]
문서
ホグウッド(1991) pp.213-214
[31]
문서
渡部(1966) p.103
[32]
문서
ホグウッド(1991) p.217
[33]
문서
渡部(1966) p.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