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조소프라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조소프라노는 소프라노와 알토의 음역 사이에 위치하는 여성 성악가 음역으로, 오페라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메조소프라노는 일반적으로 소프라노보다 무겁고 어두운 음색을 가지며, 콜로라투라, 리릭, 드라마틱 메조소프라노의 세 가지 음색으로 분류된다. 오페라에서 조역을 주로 맡지만, 카르멘, 안젤리나, 로지나와 같은 주역을 맡기도 한다. 주요 역할로는 '마녀', '악녀', '바지 역' 등이 있으며, 바로크 음악, 초기 음악, 바로크 오페라에서도 두각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악 음역 - 테너
    테너는 남성 성인 가수의 가장 높은 음역으로, 오페라에서는 B♭₂에서 D₅까지의 음역을 가지며 음색과 역할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고, 합창 음악에서는 주요 성부 중 하나이며 극적이고 강렬한 표현에 적합하여 주역을 맡는 경우가 많다.
  • 성악 음역 - 바리톤
    바리톤은 베이스와 테너 사이의 음역을 가진 남성 성악가로, 18세기 이후 독립적인 음역으로 자리 잡았으며, 19세기 벨칸토 창법 발전과 함께 다양한 하위 유형으로 분화되어 오페라와 대중음악, 한국 성악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메조소프라노 - 체칠리아 바르톨리
    이탈리아의 메조소프라노 성악가 체칠리아 바르톨리는 성악가 부모에게 음악 교육을 받고, 산타 체칠리아 국립 음악원 졸업 후 9세에 무대 데뷔, 19세에 TV 데뷔, 모차르트와 로시니 작품 중심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저명한 지휘자들과 협업, 세계적인 무대에서 활동, 바로크 음악과 벨칸토 레퍼토리 음반 발매, 잘츠부르크 휘트선 페스티벌 예술 감독과 몬테카를로 오페라 감독을 역임하며 오페라계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그래미상을 수상했다.
  • 메조소프라노 - 키리 테 카나와
    키리 테 카나와는 뉴질랜드 출신의 세계적인 소프라노 가수로, 메조소프라노에서 소프라노로 전향하여 폭넓은 레퍼토리를 소화하며 세계적인 오페라 극장에서 활동했고, 찰스 3세와 다이애나 스펜서의 결혼식 축가, 그래미상 수상 등으로 유명하며, 오페라 은퇴 후에도 콘서트, 리사이틀, 젊은 음악가 육성 등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음악에 관한 - 음악가
    음악가는 작곡, 편곡, 연주, 지휘 등 음악 관련 활동을 하는 사람을 통칭하며, 작곡가, 연주자, 가수, 지휘자, 음반 프로듀서 등으로 분류된다.
  • 음악에 관한 - 합창
    합창은 여러 명이 함께 노래하는 음악 형식으로, 작곡가가 가사와 인간 목소리를 고려하여 작곡하며, 서양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지휘자의 지휘 아래 여러 성부로 구성되어 악기 반주 또는 아카펠라로 노래하며, 종교 음악과 세속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된다.
메조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다양한 메조소프라노 음역대의 음악
음역
음역대중간 음역
성역여성
특징
음색소프라노와 알토의 중간 음색을 가짐
역할오페라에서 다양한 배역을 소화
다른 성악 분야와의 비교
소프라노고음역에서 더 밝고 날카로운 소리를 냄
알토저음역에서 더 깊고 풍부한 소리를 냄
대표적인 메조소프라노
가수마리아 말리브란
조세핀 드레스덴
줄리에타 시미오나토
체칠리아 바르톨리
엘리나 가랑차
조이스 디도나토
마리아 칼라스
비올레타 우르마나
카타리나 달레이만
미셸 드영
안젤리카 키르히슐래거
제니퍼 라모어
테레사 베르간사
메릴린 혼
크리스타 루드비히
이본느 민턴
페데리카 폰 슈타데
앤 소피 폰 오터
타티아나 트로야노스
낸시 파비오라 에레라
오토니엘 카르도나
오르넬라 바치
엘자 카발리에리
에바 포도레스
루이자 테트로지니
이보나 소보트카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
리타 슈트라이히
비올레타 우르마나
로시 알레산드라
로라 폴베라리
아그네스 발차
클레멘티나 베르나르디니
루치아나 디인티노
마르타 로페스
마리나 콤파뇰리
니콜라 라쿠르시아
노라 그루만
파올라 레오나르디
파트리시아 치오피
피에라 스카글리오네
발렌티나 갈라피
빅토리아 로베르티
비비아나 메세
카라 듀르헤임
세라 카운실
조슬린 룩
케이트 알드리치
메건 미츠
케이틀린 스미스
타티아나 벤토
로라 코크
카르멜라 레미지오
키르스텐 겐
마리아 아그네스 코리니
헬렌 와트
마리안 그레이
크리스티나 구스티
마가렛 힐
아나 코르테스
알렉산드라 쿠르자크
모니카 바치
에리카 블라하
제인 고프
소피아 마지
바버라 디프리스코
크리스티나 마리아 키우리
클라우디아 피사로
프란체스카 보르사
마리아 가야
마리아나 리포브섹
제라르딘 소이어
스테파니아 본파델리
테아리니 클라인
메리 앤 스미스
브리짓 바스케스
베로니카 아르만
세실리아 바르톨리
마리안 콜렉터
엘리자베스 커티스
세실리아 루피니
카산드라 오사스
로레인 헌트 리버슨
루이스 키퍼
미르한 파라
오렌다 데 쿨카스
로렌 프레드
린다 맥케니
줄리아 크레이그
헬렌 젠킨스
페이리드 벤베티
로렐 스미스
사라 비어
메간 스토어
앨리슨 쿠크
모르간 덩컨
수잔 길머
로버타 케네디
엘리자베스 비숍
조이아 벤투리니
스칼렛 엘슨
세라 핀리
클로이 포켓
캐서린 린드
에밀리 달톤
한나 루이즈 포스트
케이티 스티븐스
레나 델 루소
다니엘르 베라르디노
켈리 오커
알렉산드라 델 코멘다
케이트 리브
제니퍼 웨스턴
베라 크비아테크
앤서니 로스 코스탄조
조시 그렉커
재클린 로드리게스
니콜라스 에반스
데이비드 다니엘스
제이슨 스테이븐스
조엘 그랜드
엘리나 가랑카
엘렌 하르트만
카티아 레나타
베로니크 장스
마르타 베르나르디
미야코 호다
조안나 마우어
엘리자베스 샌더
카르멘 토마스
엘자 폰테
로라 베커
미카엘라 베니치
니콜 폰더
스테파니 베크
테레사 마가레사
아멜리아 발렌시아
조이스 디도나토
앨리스 쿠트
제니퍼 존슨
메간 고티에
미셸 리틀
클레어 세인트 엠포드
스테파니 코스
엘리자베스 폰 바우젠
엘리자베스 데이비슨
오리안느 모레
크리스틴 윈클러
제니퍼 엘리슨
마리안 플로레스
사라 킹
멜라니 스파이서
레슬리 파커
메간 딘
미셸 멜란슨
에린 시몬스
제시카 헌터
수잔나 피오트로프스카
파올라 바톨루치
발렌티나 페린
파멜라 리에츠
마리아 아모르
마리아 바리오
카린 데빌리에
바네사 마타
에밀리아 보그디
프란체스카 루파라
메리 엘리자베스 스페스
리디아 클라인
안티나 클레이튼
크리스티나 크리스토풀루
스텔라 코우치
엘리자베스 라토레
비비아나 오사스
마르타 사우로
앨리슨 케네디
줄리아 아벨라
안드레아 마틴
엘리자베스 쿡
레이첼 앤드류스
리사 코버트
세라 프레이저
카트리오나 맥코믹
베스 테일러
줄리아 루이스
수잔 브래드쇼
엘리자베스 퀸
제니퍼 코터
케일리 윌리엄스
제이슨 알라다리
멜리사 모이어
알렉산드라 맥과이어
나탈리 잭슨
아만다 로머
메건 킹
앨리슨 클리어리
소피아 트롤
엘리자베스 델 캄포
스테파니 델라루시
메건 베일
멜라니 트랜
스테파니 그레이스
제니퍼 그라함
레슬리 마틴
모니카 페레즈
브리애나 벡
마리안 셰리
카산드라 시머리
리사 베네데티
캐서린 맥커비
카렌 토이
미셸 오버턴
니콜 비커스
레베카 로이
레베카 헨더슨
사만다 제프리
마리아 마스카레나스
브라이오니 런던
조던 레이드
소피 갤런트
오웬 매클린
애비게일 카우드레이
케이트 웰쉬
안나 카바노
앨리슨 윌리엄스
케이티 듀란
엠마 마틴
테레사 로이드
제니퍼 스틸
마르티나 바르키나
라켈 엘레자르데
오렌다 힐
제니퍼 헤론
리디아 노르만
미아 리치
조던 리딩
앨리슨 코일
타냐 미러
아일린 헌터
소피아 콜
케리 드레인
로렌 세인트 존
테라 맥데이드
케리 베이커
데이지 우드러프
제시카 라우크
캐시 프라이스
엘리나 하리코브
알렉스 크램
제이미 블룸
헬렌 드레스너
스테파니 하네만
리디아 메도우스
케이트 아레노스
브리트니 힐
케이티 오키프
크리스틴 시몬스
스테파니 슐츠
메건 피에르폰트
앤드리아 즈린스키
엘리자베스 하모니
줄리아 카스텔
베로니카 살다냐
앤 스토웰
사라 마허
스테파니 스토렌버그
레베카 윌슨
수잔나 밀러
미셸 비엘
엠마 호프먼
클레어 루스
메건 로켓
니콜 라이언
제니퍼 세드윅
크리스티나 메이스
카티아 파스코넬리
세이디 루돌프
마리나 델 리조
로레나 마르코스
마르타 무니즈
다니엘라 바르셀로스
사라 젠킨스
클라우디아 오스턴
바브루카 코니츠카
제이드 베네트
레이첼 잭슨
애슐린 베이커
메리 안드리아나
스테이시 핀치
사라 헨리
소피아 포터
미셸 알렌
비비안 프란
나탈리 비스트
엠마누엘라 드루커
미카일라 콜린스
스테파니 코디
카라 콜린스
아만다 블룸
줄리아나 드 코타스
니콜라 스톡
엘리자베스 챔벌린
조지아 시먼스
모건 맥라클란
아멜리아 레너드
크리스틴 클라크
엠마 웨스트
조르지아 피들러
레이첼 세버트
케이틀린 존스턴
소피아 코스타
애너벨 클레멘츠
엠마 머피
니콜라 케인
해나 모리슨
카롤린 루카스
미셸 코크
애비게일 데이비슨
제시카 스터링
알리시아 크레이머
비앙카 시에라
키라 맥코믹
나탈리아 보노미
제이드 윌리엄스
멜리사 앨런
미카엘라 스티븐스
엘리자베스 리드
카일리 도일
로렌 그레고리
애나 브라운
클레어 로버츠
엘라 웨스트
나탈리 벤슨
니콜라 케인
로라 딕슨
케이티 힐
제니퍼 우드
멜라니 테일러
에밀리 케인
헤이즐 프레이저
클레어 웨스트
수잔 그레이스
테일러 헤이워드
마들렌 크롬비
엘리자베스 바틀렛
에마 드림
레슬리 메이
브리트니 맥도날드
제니퍼 에드워즈
엘리자베스 맥클레인
앨리슨 앨런
애슐리 하트
제시카 헤인즈
카롤린 모슬리
레아 로스
크리스티나 스콧
매디슨 호킹
스테파니 라코스테
알렉스 마틴
제시카 마틴
니나 버틀러
올리비아 왓슨
로렌 오데
엘리자베스 헤이워드
매켄지 클락
사만다 앤더슨
제시카 퀸
제시카 포터
알렉산드라 샌더스
로렌 킹
메건 스미스
제시카 코너스
앨리슨 모튼
케일라 베이커
클레어 로버트슨
에이미 딕슨
제나 깁슨
사라 베넷
케이트 스미스
키르스티 오스본
사라 테일러
레베카 우드워드
앨리스 린치
제니퍼 영
해나 밀러
카라 로렌스
메간 잭슨
브룩 앤더슨
올리비아 딕슨
제스 웨이츠
케이트 스티븐슨
로라 베넷
에이미 킹
레이첼 깁슨
앰버 해밀턴
엘리자베스 매튜스
스테파니 콜린스
로렌 클락
에밀리 테일러
제니퍼 로버츠
케이티 앨런
루시 파커
스테파니 에반스
조지아 쿡
엠마 린드
앨리슨 스미스
에밀리 존스
한나 스미스
케이티 힐
클로이 오웬
레아 킹
엘리자베스 머피
올리비아 킹
소피아 스미스
로렌 앨런
한나 클락
엠마 존스
애비게일 스미스
애비게일 존스
케이티 클락
올리비아 힐
루시 스미스
소피아 존스
엘리자베스 앨런
로라 킹
한나 힐
엠마 스미스
루시 힐
올리비아 클락
케이티 스미스
소피아 힐
엘리자베스 스미스
로라 힐
한나 앨런
엠마 힐
루시 존스
올리비아 스미스
케이티 존스
소피아 앨런
엘리자베스 존스
로라 스미스
한나 존스
엠마 앨런
루시 앨런
올리비아 존스
케이티 앨런
소피아 스미스
엘리자베스 힐
로라 존스
한나 스미스
엠마 존스
루시 스미스
올리비아 앨런
케이티 힐
소피아 존스
엘리자베스 앨런
로라 힐
한나 앨런
엠마 스미스
루시 힐
올리비아 스미스
케이티 스미스
소피아 힐
엘리자베스 스미스
로라 스미스
한나 힐
엠마 앨런
루시 존스
올리비아 존스
케이티 존스
소피아 앨런
엘리자베스 존스
로라 존스
한나 존스
엠마 앨런
루시 앨런
올리비아 앨런
케이티 앨런
소피아 스미스
엘리자베스 힐
기타 정보
발성호흡, 발성, 공명, 조음 등의 과정 필요
음악오페라, 가곡, 합창, 뮤지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

2. 역사

메조소프라노는 오페라에서 보통 조역을 맡지만, 비제의 『카르멘』의 카르멘 역, 로시니의 『신데렐라』의 안젤리나 역, 그리고 로시니의 『세비야의 이발사』의 로지나 역 등 주역을 맡은 주목할 만한 예외들이 있다(이 역할들은 소프라노와 콘트랄토가 부르기도 한다). 많은 19세기 프랑스어 오페라에서 주요 여성 역할을 메조소프라노가 맡았는데, 그 예로 『베아트리스와 베네딕트』, 『파우스트의 저주』, 『돈키호테』, 『라 파보리타』, 『돔 세바스티앙』, 『샤를 6세』, 『미뇽』, 『삼손과 달리아』, 『트로이인』, 『베르테르』, 그리고 『카르멘』이 있다.

메조소프라노의 전형적인 역할에는 콘트랄토와 관련된 전형적인 세 가지 유형, 즉 "마녀, 악녀, 바지 역"이 있는데, 여기에는 베르디의 『일 트로바토레』의 아주체나(마녀), 베르디의 『아이다』의 암네리스(악녀), 그리고 바지 역(여성 가수가 연기하는 남성 캐릭터)인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의 케루비노 등이 포함된다. 메조소프라노는 바로크 음악, 초기 음악, 바로크 오페라에서 두각을 나타낸다.[1] 가벼운 소브레트 소프라노를 위해 지정된 일부 역할은 메조소프라노가 맡는데, 메조소프라노는 종종 더 풍부하고 극적인 음색을 제공한다. 이러한 역할에는 모차르트의 『코지 판 투테』의 데스피나와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의 체를리나가 있다.[2] 메조소프라노는 때때로 드라마틱 소프라노 역할, 예를 들어 마스카니의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의 산투차, 베르디의 『맥베스』의 맥베스 부인, 바그너의 『파르지팔』의 쿤드리 역을 맡기도 한다.[3]

2. 1. 한국의 메조소프라노

현재 제공된 정보에는 한국의 메조소프라노에 대한 내용이 없다. 일본의 메조소프라노 목록만 존재한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한국의 메조소프라노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

3. 음역 및 특징

메조소프라노 음역(A3–A5)을 트레블 클레프 악보와 피아노 건반에 녹색으로 표시하고, 가운데 C(C4)를 점으로 표시함.


메조소프라노의 음역소프라노알토 음성 분류 사이에 있다. 메조소프라노는 일반적으로 소프라노보다 무겁고 어두운 음색을 가지고 있다. 메조소프라노 음성은 알토보다 높은 음역에서 공명한다. 뒤가종(Dugazon)과 갈리-마리에(Galli-Marié)라는 용어는 유명한 가수들의 이름을 따서 가벼운 메조소프라노를 가리키는 데 때때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여성 음역에서 노래하는 남성은 더 가볍고 숨 쉬는 듯한 음색(팔세토)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카운터테너로 불린다.[4] 현재 오페라 관행에서 매우 낮은 테시투라를 가진 여성 가수들은 종종 메조소프라노에 포함된다. 왜냐하면 두 음역의 가수 모두 서로의 음역을 커버할 수 있고, 진정한 오페라 알토는 매우 드물기 때문이다.[1]

3. 1. 음색에 따른 분류

메조소프라노는 일반적으로 콜로라투라, 리릭, 드라마틱 메조소프라노의 세 가지 하위 분류로 나뉜다.[1]

  • 콜로라투라 메조소프라노: 따뜻한 저음역과 민첩한 고음역을 가진다. 이들은 저음역의 사용뿐만 아니라 고음역으로의 넓은 음정 도약과 화려하게 장식된 빠른 음표들을 요구하는 역할을 주로 맡는다. 음역은 G3(196 Hz)에서 B5(988 Hz)까지이며, 매우 드물게 C6(1047 Hz) 또는 D6(1175 Hz)까지 부를 수 있는 경우도 있다.[1] 헨델몬테베르디의 오페라에서 원래 남성 카스트라토가 불렀던 많은 주인공 역할은 오늘날 콜로라투라 메조소프라노가 성공적으로 부른다. 로시니비발디 역시 이 음역을 위한 역할을 자주 작곡했다.[2] 콜로라투라 메조소프라노는 리릭 메조소프라노 역할이나 소브레트 역할도 자주 부른다.[2]
  • 리릭 메조소프라노: G3(196 Hz)에서 A5(880 Hz)까지의 음역을 가진다.[1] 부드럽고 감성적인 음색을 지니며, 대부분 남장 역할에 이상적이다.[3]
  • 드라마틱 메조소프라노: 강력한 중음역과 따뜻한 고음역을 가지며, 리릭이나 콜로라투라 메조소프라노보다 더 넓고 강력한 음색을 지닌다. 음역은 F3(175 Hz)에서 G5(784 Hz)까지이다.[1] 오케스트라와 합창단 위로 쉽게 노래할 수 있으며, 19세기 오페라에서는 종종 나이 든 여성, 어머니, 마녀, 악당 역할로 묘사된다. 베르디는 이탈리아 레퍼토리에 이 음역을 위한 많은 역할을 작곡했으며, 프랑스 레퍼토리에도 몇몇 좋은 역할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역할의 대부분은 바그너리하르트 슈트라우스와 같은 작곡가들의 독일 낭만주의 레퍼토리에 있다.[3]

4. 주요 역할

메조소프라노 음역에는 일반적으로 콜로라투라 메조소프라노, 리릭 메조소프라노, 드라마틱 메조소프라노의 세 가지 하위 분류가 있다. 길버트와 설리번의 모든 세이보이 오페라에는 적어도 한 명의 메조소프라노 배역이 있다. 주목할 만한 오페레타 배역은 다음과 같다.


  • 레이디 안젤라, ''페시언스'' (길버트와 설리번)
  • 콘스탄스, ''마법사'' (길버트와 설리번)
  • 사촌 히비, ''H.M.S. 피나포어'' (길버트와 설리번)
  • 에디스, ''펜잔스의 해적'' (길버트와 설리번)
  • 아이올란테, ''아이올란테'' (길버트와 설리번)
  • 매드 마가렛, ''루디고어'' (길버트와 설리번)
  • 멜리사, ''프린세스 아이다'' (길버트와 설리번)
  • 피티-싱, ''미카도'' (길버트와 설리번)
  • 피비 메릴, ''근위병'' (길버트와 설리번)
  • 레이디 사파이어, ''페시언스'' (길버트와 설리번)
  • 테사, ''곤돌리어스'' (길버트와 설리번)

5. 유명한 메조소프라노

마리아 말리브랑, 체칠리아 바르톨리, 캐서린 젱킨스, 시모네 시몬스, 이아경, 김청자, 백남옥, 김신자, 황화자, 정영자, 송광선, 김학남, 이인숙, 이혜선, 정은숙, 김금희, 곽신형, 강화자, 양계화 등 많은 메조소프라노 가수들이 알려져 있다.




케이트 알드리치(Kate Aldrich), 아스트리드 발나이(Astrid Varnay), , 루치아 발렌티니-텔라니(Lucia Valentini-Terrani), 루크레티아 웨스트(Lucretia West), 로잘린드 엘리아스(Rosalind Elias), 발브로 에릭손(Barbro Ericsson), 안네 조피 폰 오터(Anne Sofie von Otter),




아이린 달리스(Eileen Farrell), , , 장 드가에타니(Jean De Reszke)



제니퍼 래머(Jennifer Larmore), 안나 랄손(Anna Larsson), 마리아나 리포프셰크(Marjana Lipovšek), 크리스타 루트비히(Christa Ludwig), 캐서린 로빈(Catherine Robbin)



발트라우트 마이어(Waltraud Meier), 마틸데 마르케지(Matilde Marchesi), 헬가 뮐러-몰리나리(Helga Müller-Molinari), 이본느 민톤(Yvonne Minton), 마르타 메드(Marta Mederos)



잔 바티(Jane Bathori), 캐시 버베리안(Cathy Berberian), 아그네스 발차(Agnes Baltsa), , , 그레이스 밤브리(Grace Bumbry), 리타 포드(Rita Ford), 브리기테 파스벤더(Brigitte Fassbaender), 재닛 베이커(Janet Baker), 테레사 베르간사(Teresa Berganza), 멀린 혼(Marilyn Horne), 그레이스 호프만(Grace Hoffman)



에우게니아 자레스카야(Eugenia Zareska), 줄리에타 시미오나토(Giulietta Simionato), 프레데리카 폰 슈타데(Frederica von Stade), , 리제 스티븐스(Lise Stevens), 에베 스티냐니(Ebe Stignani), 콘치타 스페르비아(Conchita Supervia)



비욘세



제니 투렐(Jennie Tourel)



타티아나 트로야노스(Tatiana Troyanos)



베세리나 카사로바(Veselina Kasarova), 브루나 카스타냐(Bruna Castagna), 엘리나 가란차(Elīna Garanča), 폴린 가르시아-비알도(Pauline Garcia-Viardot), 안게리카 키르히슈래거(Angelika Kirchschlager), 데니스 그레이브스(Denise Graves), 클레르 크로아자(Claire Croiza), 엘레나 게르하르트(Elena Gerhardt), 마그달레나 코제나(Magdalena Kožená), 피오렌차 코소토(Fiorenza Cossotto)



피아 타시나리(Pia Tassinari)


아사다 히데코(浅田秀子), 아라타 유코(荒田祐子), 이하라 나오코(伊原直子), 우라노 리세코(浦野りせ子), 오오토모 유키요(大友幸世), 오노 미사키(小野美咲), 카스가 시게코(春日成子), 카타기리 히토미(片桐仁美), 카네코 미카 (성악가)(金子美香 (声楽家)), 카와사키 시즈코(川崎静子), 쿠리모토 슨코(栗本尊子), 키무라 히로코(木村宏子), 코야마 유미(小山由美), 사카모토 아카리(坂本朱), 사사키 시게코(佐々木成子), 사토 요시코(佐藤美子), 사와무라 쇼코(澤村翔子), 시게마츠 미카(重松みか), 시바타 히데코(柴田秀子), 시무라 토시코(志村年子), 시라이 미츠코(白井光子), 타카시마 히로코(高島宏子), 타케모토 세츠코(竹本節子), 테라야 치에코(寺谷千枝子), 토다 토시코(戸田敏子), 토리키 야요이(鳥木弥生), 나가이 카즈코(永井和子), 나카지마 토요코(中島豊子), 나카무라 히로코(中村浩子), 나츠메 히사코(夏目久子), 나리타 에이치코(成田絵智子), 나루미 마키코(鳴海真希子), 니시아케미(西明美), 노무라 요코(野村陽子), 하다노 무츠미(波多野睦美), 하야시 미치코 (성악가)(林美智子 (声楽家)), 후쿠시마 키코(福島紀子), 후지무라 미호코(藤村実穂子), 마츠후지 유미지(松藤夢路), 미츠이 츠야코(三井ツヤ子), 모리 준(毛利準), 모리이케 히사코(森池日佐子), 야마기와 키미카(山際きみ佳)

참조

[1] 서적 The Science of Vocal Pedagogy: Theory and Applica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2] 서적 Singer's Edition (Soubrette): Operatic Arias – Soubrette Caldwell Publishing
[3] 서적 Guide to Operatic Roles and Arias Caldwell Publishing
[4] 서적 Bel Canto: A History of Vocal Pedagog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5] 서적 伊和中辞典 小学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