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미르아바스 호베이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미르아바스 호베이다는 1919년 테헤란에서 태어난 이란의 정치인으로, 외교관과 공직을 거쳐 1965년부터 1977년까지 이란의 총리를 역임했다. 그는 서구식 교육을 받고 여러 언어에 능통했으며, 국립 이란 석유 회사에서 혁신적인 경영 방식을 도입하는 등 개혁적인 면모를 보였다. 총리 재임 기간 동안 백색 혁명을 이어갔으나, 1978년 이란 혁명 발발 후 체포되어 1979년 이슬람 혁명 재판소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되었다. 그의 삶과 죽음은 이란 현대사의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으며, 2000년에는 그의 전기가 출판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에 거주한 이란인 - 사만 고도스
    사만 고도스는 이란의 축구 선수로, 이티하드 칼바에서 공격형 미드필더나 스트라이커로 뛰며 스웨덴과 이란 국가대표팀에서 모두 활약한 이력을 가진 이중국적자이다.
  • 프랑스에 거주한 이란인 - 메디 바자르간
    메디 바자르간은 이란의 공학자이자 정치인으로, 모하마드 모사데크 행정부에서 석유 회사 대표를 지냈으며 1979년 이란 총리로 임명되었으나 이슬람 공화국 수립 과정에서 사임하고 자유 민주주의적 이슬람 사상을 옹호하다가 1995년 사망했다.
  • 벨기에에 거주한 이란인 - 알리 골리자데
    알리 골리자데는 2013년 사이파 FC에서 프로 데뷔하여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고, 2017-18 시즌 영플레이어상을 수상한 이란의 축구 선수이다.
  • 벨기에에 거주한 이란인 - 라민 레자에이안
    라민 레자에이안은 이란의 축구 선수로, 현재 에스테그랄 FC에서 라이트 백으로 뛰고 있으며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서 FIFA 월드컵에 참가, A매치 65경기에서 6골을 기록했다.
  • 사형된 이란 사람 - 압돌말렉 리기
    압돌말렉 리기는 발루치족 출신으로 이란 반정부 무장단체 준달라의 지도자였으나, 이란 정부에 체포되어 국가 반역 혐의로 사형당했다.
  • 사형된 이란 사람 - 라시드웃딘
    라시드웃딘은 페르시아 유대인 가문 출신으로 일 칸국의 재상으로 활동하며 《자미 알타와리흐》를 저술했고, 몽골 제국사와 세계사, 의학서 등 다양한 저작 활동을 펼쳤으며, 특히 《집사》는 세계 주요 종족들의 역사를 담은 최초의 세계사로 평가받는다.
아미르아바스 호베이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순서37대
직책이란 총리
임기 시작1965년 1월 26일
임기 종료1977년 8월 7일
군주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이전하산-알리 만수르
다음잠시드 아무제가르
순서3재무부 장관
총리3하산-알리 만수르
임기 시작31964년 3월 7일
임기 종료31965년 2월 1일
이전3카말 하사니
다음3잠시드 아무제가르
순서4왕실 법원 장관
총리4잠시드 아무제가르
자파르 샤리프-에마미
임기 시작41977년 8월 7일
임기 종료41978년 11월 6일
이전4아사돌라 알람
다음4알리 골리 아르달란
출생일1919년 2월 18일
출생지테헤란, 페르시아
사망일1979년 4월 7일
사망지테헤란, 이란
사망 원인총살형
안장지베헤슈트-에 자흐라 묘지
모교브뤼셀 자유 대학교
정당신 이란당(1964년–1975년)
라스타키즈(1975년–1978년)
배우자레일라 에마미(1967년–1973년, 이혼)
자녀하산 Farahani
자녀하산 Farahani, Leila Emami, Afsar-ol-Molouk Fatmeh, Habibollah Hoveyda, Roxana Hoveyda, Mandanda Hoveyda, Amir-Ali Hoveyda, Leila Hoveyda, Amir-Pasha Hoveyda
이름
로마자 표기Amir 'Abbas Hoveyda

2. 초기 생애 및 교육

아미르아바스 호베이다는 1919년 테헤란에서 외교관인 아버지 하비볼라 호베이다(Ayn ol-Molk)와 어머니 아프사르 올-몰룩 사이에서 태어났다.[2] 호베이다의 아버지는 바하이 신앙을 믿었으나 후에 포기했고, 호베이다 본인은 종교를 갖지 않았다.[3] 그는 "이란의 쉰들러"로 불린 압돌 호세인 사르다리의 조카였다. 외교관이었던 아버지의 직업 특성상 호베이다 가족은 한 곳에 오래 머무르지 못했고, 여러 나라에서 공부하며 국제적인 감각을 길렀다.[4]

어린 호베이다(왼쪽)와 1929년 베이루트에서 그의 가족


호베이다는 레바논의 베이루트에 있는 리세 프랑세에서 공부하며 프랑스 문학과 문화에 대한 애정을 키웠다. 앙드레 지드, 앙드레 말로, 몰리에르, 보들레르 등의 작품은 그의 지적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4]

1941년 독일 점령 기간 동안 브뤼셀에 있는 호베이다


1938년, 호베이다는 프랑스 대학 진학을 희망했지만, 나치 독일의 군사 행동 가능성 때문에 영국 런던에서 고등학교 학점을 이수했다. 그는 페르시아어, 프랑스어, 영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아랍어 등 여러 언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 1939년 프랑스로 돌아왔으나 프랑스 정부와 레자 샤 팔라비 사이의 외교 갈등으로 인해 곧 브뤼셀의 브뤼셀 자유 대학교(1834–1969)로 옮겨 1941년 정치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2][3][4]

3. 군 복무 및 공직 생활

1942년 이란으로 귀국한 호베이다는 이란 육군에 입대하여 장교로 복무했다. 징집 기간 만료 후 외무부에 들어가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외무부에서 근무하는 동안 사데크 헤다야트, 사데크 초박 등 상류층 인사들과 친분을 쌓았다.

1944년, 호베이다는 자인 올-아베딘 라흐네마 이란 전권대사를 따라 프랑스로 갔다. 프랑스 문화 애호가였던 그는 대사관 직원으로 즐거운 시간을 보냈으나, 1945년 "파리 이야기"라고 불리는 국제적인 스캔들에 연루되었다. 이 사건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안전을 위해 스위스 은행에 보관되어 있던 금융 자산이 불법적으로 프랑스 사업가들에게 수입된 사건이었다. 호베이다는 이 불법 행위와 관련이 없었지만, 연루되었다는 사실만으로 희생양이 되었다.

이후 호베이다는 압둘라 엔테잠과 같은 독립적인 외교관들의 후원을 받으며 공직에서 성장했다. 1947년 서독 슈투트가르트에서 이란과 독일 간의 거래 협상을 담당하기도 했다.

1950년 이란으로 돌아온 호베이다는 모하마드 모사데크 총리 집권 시기에 외무부 공보실 부국장 및 엔테잠 외무부 장관의 비서실장으로 근무했다. 1952년 이란을 떠난 호베이다는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에서 근무하며 여러 대륙을 방문, 난민 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 1957년까지 터키 주재 이란 대사관에서 근무했다.

호베이다(오른쪽)가 1943년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를 처음 만났을 때 장교로 복무했다


4. 권력 장악 과정

링크


1958년 아미르아바스 호베이다는 압둘라 엔테잠의 요청으로 이란 국립 석유 회사(NIOC) 이사회에 합류하면서 새로운 경력을 시작했다.[5] NIOC에서 그는 노동자들과 소통하고 서구식 경영 방식을 도입하는 등 혁신적인 면모를 보였다.[5] 그는 노동자들이 불만족스러운 작업 환경에 대해 고충을 제기하도록 하고, 카페테리아에서 노동자들과 함께 식사하며 관리자와 노동자의 역할을 집단적 실체로 묶는 데 기여했다.[5] 또한, NIOC의 정기 간행물인 ''Kavosh''(페르시아어: ''탐험'')를 처음 발행하여 샤를 둘러싼 인격 숭배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5]

NIOC의 전무 이사로 재직하면서, 하산 알리 만수르와 함께 진보 서클을 결성하여 서방에서 교육을 받은 젊은 기술 관료들을 양성했다.[6] 이 조직은 국가의 악화된 경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고안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6] 진보 서클은 계획 기구라는 유사한 정부 위원회와 연계하여 활동했으며, 호베이다는 서클에서 주요 지도자 역할을 했다.[6]

한편, 당시 많은 정치인들은 프리메이슨을 고위 정부 직책을 얻는 데 도움이 되는 수단으로 여겼다.[6] 호베이다는 1960년에 프리메이슨이 되었지만,[6] 이란에서 프리메이슨은 영국의 제국주의의 연장선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그의 정치적 적들은 그가 바하이교도라는 소문을 퍼뜨리며 그를 공격했다.[6][7][8] 그러나 그와 샤는 그가 바하이교도라는 것을 부인했다.[8]

5. 총리 재임

호베이다는 종종 직접 페이칸을 운전해서 출퇴근했고, 시내를 돌아다녔다. 그의 경호원들은 종종 뒷좌석에 앉았다. 그는 여기에서 참모장 압돌 알리 가파리와 함께 찍혔다.


호베이다와 그의 내각, 1975년 백색 혁명 기념 행사


1965년 1월 21일, 파다얀-에 이슬람 신봉자가 하산 알리 만수르 총리를 암살하려 했고, 5일 후 병원에서 만수르가 사망하면서 호베이다는 총리직을 맡게 되었다.[9] 그는 사망한 만수르를 대신하여 이란 현대사에서 가장 오래 재임한 총리가 되었다. 호베이다는 이란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정치 풍자 잡지인 ''토피그 매거진''에 의해 끊임없이 인신 공격을 받으면서 이란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9] ''토피그 매거진''은 그를 "지팡이를 짚은 자"라고 불렀고, 심지어 "아사-네메"라는 제목의 총리로서의 결점을 폭로하는 책 한 권을 할애하기도 했다.[9] 결국 1971년 샤의 명령에 따라, 샤의 부패와 정책에 대한 토피그 매거진의 심한 비판 때문에 ''토피그 매거진''을 영원히 폐쇄했다.[9] 이는 호베이다가 정부에 대한 비판을 장려해야 하며, 언론의 자유 제한은 정부의 일방적인 명령이 아닌 사법부의 법원 명령에 의해서만 이루어져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주장한 것과는 상반된 조치였다.[9]

호베이다는 하산 알리 만수르 내각이 추진했던 백색 혁명을 비롯한 여러 개혁 정책들을 이어갔다.[9] 세속주의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성직자 단체에 정부 수입을 배분하기도 했다.[9] 정치 부패를 척결하려는 호베이다의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는데, 정부의 많은 중요한 구성원들이 부패했고, 샤는 그들에게 끊임없이 아첨을 받았고 그들의 아첨에 눈을 감았으며 문제에 대해 외면했기 때문이다.[9]

thumb 국왕]]

5. 1. 이란 혁명과 관련된 논란

6. 궁정 대신 및 말년

1975년 3월 2일, 팔레비 국왕은 이란 노빈당과 그 반대 세력을 해산하고 라스타키즈당을 중심으로 단일 정당 체제를 만들었다. 호베이다는 총리직에서 물러나도록 강요당했지만, 새로운 총리가 임명되기 전까지 라스타키즈당 사무총장이라는 임시 중개 역할을 받아들였다. 그럼에도 팔레비 국왕은 호베이다를 궁정 장관으로 임명했다.[10] 1977년 잠시드 아무제가르 정부에서 궁정 대신으로 재직하며, 아사돌라 알람과 그 주변 인물들의 부패를 알게 되었으나, 이를 용인하며 국왕의 고문으로 남았다.

호베이다와 팔레비 국왕, 1978년


호베이다는 1978년 1월 국왕의 지시에 따라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를 비난하는 기사를 익명으로 ''케이한'' 신문에 게재했다. 이 기사는 호메이니 지지자들 사이에서 큰 반발을 일으켜 이란 혁명으로 번졌다. 혁명이 발발하자 팔레비 국왕은 호베이다를 체포하여 희생양으로 삼으려 했고, 1978년 11월 7일 호베이다는 다른 60명의 전직 관리들과 함께 체포되었다.[10] 팔레비 국왕이 국외로 도피한 후, 호베이다는 혁명 세력에게 체포될 수 있도록 내버려졌으며, 친구와 친척들의 이란 탈출 권유를 거부하고 자수했다.

7. 재판 및 처형

thumb

호베이다는 혁명 선봉대의 임시 본부였던 레파 학교로 이송되어 구 정부의 가장 귀중한 포로가 되었다.[11][12] 1979년 3월 15일, 이슬람 혁명 재판소에 처음 출두하여 법정에 제출할 법적 주장을 만들려고 시도했다. 그는 벨기에 기자 크리스틴 오크렌트와 인터뷰를 가졌는데, 이 인터뷰에서 호베이다는 인터뷰어의 비난조 질문을 받았다.[11][12]

사데그 할할리는 아야톨라 호메이니가 임명한 성직자 판사로, '사형 집행 판사'로 알려질 정도로 혁명적 정의에 대한 폭력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 그는 전 총리를 재판하기 위해 소집된 재판소의 수장이었다. 할할리는 이미 수십 명의 정치범 처형을 명령했고, 결국 수천 명의 처형에 책임이 있었다.[13] 사법부의 전통적인 관례는 호베이다와 다른 사람들의 재판 동안 거의 버려졌다. 법원은 적법 절차, 판사의 공정성, 피고인의 법적 선택 사항 상담을 무시했다. 많은 전문가들은 판결이 재판 시작 전에 이미 아야톨라 호메이니에 의해 내려졌다고 결론을 내렸다.[13]

할할리는 호베이다에게 다음과 같은 혐의를 제기했다.[13]


  • 세상에 부패를 퍼뜨림.
  • 하나님, 하나님의 피조물 및 무함마드 알-마흐디의 총독과 싸움.
  • 미국과 영국의 꼭두각시 내각을 구성하고 식민주의자의 이익을 옹호함으로써 국가 안보와 독립에 해로운 선동 행위.
  • 외국 대사관의 지시에 따라 마즐리스 선거에 간섭하고 장관을 임명 및 해임하여 국가 주권에 대한 음모.
  • 지하 자원(석유, 구리, 우라늄)을 외국인에게 넘겨줌.
  • 미국 제국주의와 유럽 동맹국의 영향력을 이란에서 확대하여 국내 자원을 파괴하고 이란을 외국 상품 시장으로 변모시킴.
  • 석유에서 얻은 국가 수입을 샤와 파라 팔라비에게 지불하고, 서방에 의존하는 국가에 지불한 후, 미국과 서방 국가로부터 고금리 대출을 받고 노예화 조건을 맺음.
  • 농업을 파괴하고 산림을 파괴함.
  • 서방과 시온주의를 위한 간첩 행위에 직접 참여.
  • 팔레스타인, 베트남 및 이란 국민의 억압을 위한 CENTO 및 NATO의 공모자와의 공모.
  • 기존 문서와 피고인의 자백에 따르면 포루기 로지에서 프리메이슨의 적극적인 회원.
  • 사망 및 부상을 포함하여 정의를 추구하는 사람들을 테러하고 위협하고 신문 폐쇄 및 인쇄 매체 및 서적에 대한 검열을 행사하여 자유를 제한하는 데 참여.
  • 독재적인 "이란 국민의 라스타키즈" 당의 창립자이자 초대 비서.
  • 문화적, 윤리적 부패를 퍼뜨리고 식민주의의 기둥을 강화하고 미국인에게 치외 법권을 부여하는 데 직접 참여.
  • 헤로인하산 알리 만수르와 함께 프랑스로 밀수하는 데 직접 참여.
  • 꼭두각시 신문을 발행하고 미디어를 관리할 꼭두각시 편집자를 임명하여 허위 보고를 함.


이러한 혐의들은 대부분 입증되지 않았고, 당시 조사되지 않은 소문을 반영했다. 압바스 밀라니는 법원의 분위기를 "증거 규칙, 유죄가 입증될 때까지 무죄라는 개념, 그리고 반박할 수 없는 증거를 바탕으로 공정한 판결을 내리는 냉철한 판사는 이 법원과는 전혀 다른 존재라는 것이 분명해졌다… 기소장 15조에서 알 수 있듯이 소문은 사실의 권위를 가졌고, 입증되지 않은 소문은 유죄의 증거로 간주되었다."라고 묘사했다.

처형된 호베이다의 시신


1979년 4월 7일, 호베이다는 카자르 왕조의 군주들이 휴가를 보냈던 카스르 감옥으로 이송되었다. 그는 자신에게 자비가 없을 것이며 이 모든 쑈는 그의 죽음으로 끝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할할리의 재판소 앞에서 다시 한번 서둘러, 그는 오후 3시에 법원의 기소를 들었다. 아볼하산 바니사드르를 비롯한 임시 혁명 정부의 많은 지도자들은 공개 재판을 옹호했는데, 그는 그러한 명령을 내릴 권한은 호메이니 자신에게만 있다고 말했다.

할할리는 재판 중 호베이다에게 반복적으로 소리를 지르고 모욕했으며, "세상의 부패자"와 "서방의 범죄 꼭두각시"라고 부르며 변호 증언을 허용하지 않았다. 호베이다는 할할리를 비난하며 가짜 법정 앞에서 더 이상 자신을 변호할 의사가 없다고 알렸다. 즉시, 할할리는 사형과 모든 재산 몰수를 선고했다.

몇 분 후, 전 총리는 감옥 마당으로 끌려갔다. 사격형 처형 구역에 도착하기 전에 호자톨에슬람 하디 가파리가 권총을 꺼내 호베이다의 목에 두 번 쐈다. 그는 고통 속에서 땅에 쓰러져 처형자들에게 "그를 끝내라"고 간청했다. 마지막 일격이 가해지기 직전, 호베이다는 그에게 서 있는 경비병에게 "이렇게 끝날 줄은 몰랐어"라고 숨을 헐떡였다고 한다.[14] 부검 보고서에 따르면, 그는 처형 직전에 구타를 당한 것으로 보인다.

호베이다의 시신은 처형 후 몇 달 동안 테헤란의 영안실에 보관되었고, 그 후 비밀리에 직계 가족에게 넘겨져 테헤란의 베헤슈트-에-자흐라 묘지에 신원 미상의 사망자로 묻혔다. 그의 처형 이후, A.S.P. 타워에 있는 그의 거주지는 혁명가들에 의해 약탈당했다. 일부 증언에 따르면 그는 호화로운 물건을 거의 소유하지 않았다. 그의 가장 소중한 소지품은 흔들의자와 수백 권의 책이 있는 서재였다.

8. 유산

아미르아바스 호베이다는 이란의 근대화와 발전을 위해 노력한 정치인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그의 개혁은 팔레비 국왕의 독재 체제 아래에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그의 비극적인 죽음은 권위주의 정권의 폐해와 혁명의 폭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남아있다.

2000년, 호베이다의 전기인 ''페르시아의 스핑크스''가 아바스 밀라니에 의해 영어로 출판되었으며, 2001년과 2002년에 페르시아어판이 출판되었다.[16] 호베이다는 사후 프랑스 훈장인 레지옹 도뇌르 사령관 칭호를 받았다.[17]

참조

[1] 서적 Current Biography Yearbook https://books.google[...] H. W. Wilson Company
[2] 웹사이트 Centers of Power in Iran http://2001-2009.sta[...]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72-05
[3] 간행물 The Baháʼís of Iran: Socio-historical studies Routledge
[4] 웹사이트 History of Iran: Amir Abbas Hoveida https://www.irancham[...] Iran Chamber Society
[5] 서적 Huvaydā: Siyāsatmadār-i pīp, ʻaṣā, gul-i urkīdah
[6] 웹사이트 Hoveyda's Tragic Fate http://www.hoveyda.o[...] hoveyda.org 1999-12-23
[7] 서적 From Palace to Prison; Inside the Iranian Revolution I.B. Taurus & Co Ltd
[8] 웹사이트 Was Hoveida Baháʼí? http://www.bahaindex[...]
[9] Youtube ویژه برنامه تونل زمان – گفت و گو با امیر عباس هویدا https://www.youtube.[...]
[10] 논문 A Chronological Survey of the Iranian Revolution
[11] 웹사이트 ENDURING GUILT: French Journalist who interviewed Hoveyda http://iranian.com/m[...]
[12] 뉴스 EX‐PREMIER HOVEIDA IS EXECUTED IN IRAN AFTER CLOSED TRIAL https://www.nytimes.[...] 1979-04-08
[13] 웹사이트 Law And Human Rights in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http://www.ihrv.org/[...] Amnesty International 1980-03-13
[14] 문서 C. Kadivar, Farewell Shiraz: An Iranian Memoirs of Revolution and Exile, 362.
[15] 뉴스 درگذشت لیلا امامی، همسر امیرعباس هویدا http://www.bbc.com/p[...] BBC News فارسی 2018-07-11
[16] 서적 The Persian Sphinx (in Persian)
[17] 논문 Reviewed Work: The Persian Sphinx: Amir Abbas Hoveyda and the Riddle of the Iranian Revolution by Abbas Milani 2001-09
[18] 간행물 The Baha'is of Iran: Socio-historical studies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