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데크 헤다야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데크 헤다야트는 1903년 테헤란에서 태어나 1951년 파리에서 자살한 이란의 작가이다. 그는 프랑스에서 건축, 치의학 등을 공부했고, 1930년대에는 인도에서 팔라비어를 배우며 소설 《눈먼 부엉이》를 완성했다. 헤다야트는 단편 소설, 중편 소설, 희곡, 기행문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페르시아 문학을 국제적인 반열에 올려놓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작품은 사회 부조리, 인간의 고독과 소외를 다루며, 초현실주의적 기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사데크 헤다야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Ṣādeq-e Hedāyat |
인물 정보 | |
출생 | 1903년 2월 17일, 테헤란, 이란 |
사망 | 1951년 4월 4일 (48세), 프랑스 파리 |
묘지 | 페르 라셰즈 묘지 |
국적 | 이란 |
직업 | 작가 |
활동 기간 | 1930년-1951년 |
장르 | 소설, 단편 소설 |
문학 사조 | 이란 근대 문학 |
영향 | 에드가 앨런 포, 안톤 체호프, 프란츠 카프카 |
학력 | 다르 올-포논 세인트 루이스 학교 테헤란 대학교 |
대표 작품 | The Blind Owl (Bufe kur) Buried Alive (Zende be gur) The Stray Dog (Sage velgard) Three Drops of Blood (Seh ghatreh khoon) |
![]() |
2. 생애
사데크 헤다야트는 1903년 2월 17일 테헤란의 이란 북부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1] 그의 증조부 레자-골리 칸 헤다야트 타바레스타니는 저명한 작가였으며, 다른 친척들과 마찬가지로 정부에서 일했다.[1] 헤다야트의 누이는 팔라비 황제 시대의 이란 총리 중 한 명인 하지 알리 라즈마라 장군과 결혼했다.[1] 그의 또 다른 누이는 육군 장군인 압돌라 헤다야트의 아내였다.[2]
그는 ''Collège Saint-Louis''(프랑스 가톨릭 학교)와 다르 올-포눈 (1914–1916)에서 교육을 받았다.[1] 1925년, 그는 학업을 계속하기 위해 유럽으로 간 소수의 학생들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벨기에에서 공학을 공부하기 시작했지만 1년 만에 포기하고 프랑스에서 건축학을 공부했다. 거기서 그는 다시 건축을 포기하고 치의학을 공부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사랑에 빠졌던 파리지앵 테레즈를 알게 되었다. 1927년 헤다야트는 마른 강에 몸을 던져 자살을 시도했지만 낚싯배에 의해 구조되었다. 프랑스에서 4년 동안 머문 후, 그는 마침내 장학금을 포기하고 학위를 받지 못한 채 1930년 여름에 귀국했다. 이란에서 그는 짧은 기간 동안 다양한 직업을 가졌다.
이후 헤다야트는 평생 동안 서양 문학 연구와 이란 역사 및 민속 연구에 헌신했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 에드거 앨런 포, 프란츠 카프카, 안톤 체호프, 기 드 모파상의 작품에 가장 흥미를 느꼈다. 짧은 문학 활동 기간 동안 헤다야트는 상당수의 단편 소설과 중편 소설, 두 편의 역사 드라마, 희곡, 기행문, 풍자적 패러디와 스케치 모음을 출판했다. 그의 저술에는 수많은 문학 비평, 페르시아 민속 연구, 중세 페르시아어와 프랑스어 번역도 포함된다. 그는 페르시아어와 문학을 국제 현대 문학의 주류로 끌어들인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헤다야트는 1936년부터 1937년 말까지 인도를 여행하고 머물렀다. 봄베이에서 인도 파르시 조로아스터교 공동체로부터 팔라비어(중세 페르시아어)를 배웠는데, 바흐람고레 타흐무라스 앙클레사리아가 그를 가르쳤다.
봄베이에서 1930년 파리에서 집필을 시작한 그의 가장 오래 지속된 작품인 『눈먼 부엉이』를 완성하고 출판했다. 이 책은 헨리 밀러, 앙드레 브르통 등으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1951년, 절망감에 휩싸인 사데크 헤다야트는 테헤란을 떠나 파리의 아파트를 임대했다. 사망하기 며칠 전, 그는 미출판 원고를 모두 찢어 버렸다. 1951년 4월 9일, 그는 임대한 아파트의 모든 문과 창문을 솜으로 막은 다음 가스 밸브를 열어 일산화 탄소 중독으로 자살했다. 이틀 뒤, 그의 시신은 경찰에 의해 발견되었고, 친구와 동료들에게 남긴 쪽지에는 "떠나서 너희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 그게 전부다."라고 적혀 있었다. 그는 페르 라셰즈 묘지의 85구역에 묻혔으며, 장례식에는 이란인과 프랑스인 친구 및 지인들이 참석했다. 그는 "이란 민족주의의 주요 상징"으로 널리 기억되고 있다.
영국의 시인 존 히스-스터브스는 1954년 ''A Charm Against the Toothache''에 엘레지 "사데크 헤다야트를 위한 카시디"를 발표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사데크 헤다야트는 1903년 2월 17일 테헤란의 이란 북부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1] 그의 증조부 레자-골리 칸 헤다야트 타바레스타니는 저명한 작가였으며, 다른 친척들과 마찬가지로 정부에서 일했다.[1] 헤다야트의 누이는 팔라비 황제 시대의 이란 총리 중 한 명인 하지 알리 라즈마라 장군과 결혼했다.[1] 그의 또 다른 누이는 육군 장군인 압돌라 헤다야트의 아내였다.[2]그는 ''Collège Saint-Louis''(프랑스 가톨릭 학교)와 다르 올-포눈 (1914–1916)에서 교육을 받았다.[1] 1925년, 그는 학업을 계속하기 위해 유럽으로 간 소수의 학생들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벨기에에서 공학을 공부하기 시작했지만 1년 만에 포기하고 프랑스에서 건축학을 공부했다. 거기서 그는 다시 건축을 포기하고 치의학을 공부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사랑에 빠졌던 파리지앵 테레즈를 알게 되었다. 1927년 헤다야트는 마른 강에 몸을 던져 자살을 시도했지만 낚싯배에 의해 구조되었다. 프랑스에서 4년 동안 머문 후, 그는 마침내 장학금을 포기하고 학위를 받지 못한 채 1930년 여름에 귀국했다. 이란에서 그는 짧은 기간 동안 다양한 직업을 가졌다.
2. 2. 유럽 유학과 문학 활동
헤다야트는 1925년 유럽 유학생으로 선발되어 벨기에에서 공학을 공부하다 프랑스에서 건축학을 공부했으나, 이후 치의학으로 전공을 변경했다. 이 시기에 테레즈라는 파리 여성과 연애를 하기도 했다. 1927년 마른 강에서 자살을 시도했으나 낚싯배에 구조되었다. 1930년 학위를 받지 못하고 귀국하기 전까지 프랑스와 벨기에에서 4년간 거주했다.이후 헤다야트는 평생 동안 서양 문학 연구와 이란 역사 및 민속 연구에 헌신했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 에드거 앨런 포, 프란츠 카프카, 안톤 체호프, 기 드 모파상의 작품에 가장 흥미를 느꼈다. 짧은 문학 활동 기간 동안 헤다야트는 상당수의 단편 소설과 중편 소설, 두 편의 역사 드라마, 희곡, 기행문, 풍자적 패러디와 스케치 모음을 출판했다. 그의 저술에는 수많은 문학 비평, 페르시아 민속 연구, 중세 페르시아어와 프랑스어 번역도 포함된다. 그는 페르시아어와 문학을 국제 현대 문학의 주류로 끌어들인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1936년부터 1937년 말까지 인도를 여행하고 머물렀다.[3][4] 봄베이에서 인도 파르시 조로아스터교 공동체로부터 팔라비어(중세 페르시아어)를 배웠다.[3][4] 그는 저명한 학자이자 언어학자인 바흐람고레 타흐무라스 앙클레사리아에게 가르침을 받았다.[3][4] 봄베이에서 1930년 파리에서 집필을 시작한 그의 가장 오래 지속된 작품인 『눈먼 부엉이』를 완성하고 출판했다.[6] 이 책은 헨리 밀러, 앙드레 브르통 등으로부터 찬사를 받았다.[6]
2. 3. 인도 체류와 《눈먼 부엉이》
헤다야트는 1936년부터 1937년 말까지 인도를 여행하고 머물렀다.[3][4] 봄베이에서 인도 파르시 조로아스터교 공동체로부터 팔라비어(중세 페르시아어)를 배웠는데, 바흐람고레 타흐무라스 앙클레사리아가 그를 가르쳤다.[3][4][5]봄베이에서 1930년 파리에서 집필을 시작한 그의 가장 오래 지속된 작품인 『눈먼 부엉이』를 완성하고 출판했다. 이 책은 헨리 밀러, 앙드레 브르통 등으로부터 찬사를 받았으며, 캄란 샤라레는 이 책을 "페르시아어로 된 가장 중요한 문학 작품 중 하나"라고 칭했다.[6]
2. 4. 죽음과 유산
1951년, 절망감에 휩싸인 사데크 헤다야트는 테헤란을 떠나 파리의 아파트를 임대했다. 사망하기 며칠 전, 그는 미출판 원고를 모두 찢어 버렸다.[8][9] 1951년 4월 9일, 그는 임대한 아파트의 모든 문과 창문을 솜으로 막은 다음 가스 밸브를 열어 일산화 탄소 중독으로 자살했다. 이틀 뒤, 그의 시신은 경찰에 의해 발견되었고, 친구와 동료들에게 남긴 쪽지에는 "떠나서 너희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 그게 전부다."라고 적혀 있었다.[8][9] 그는 페르 라셰즈 묘지의 85구역에 묻혔으며, 장례식에는 이란인과 프랑스인 친구 및 지인들이 참석했다. 그는 "이란 민족주의의 주요 상징"으로 널리 기억되고 있다.[10]영국의 시인 존 히스-스터브스는 1954년 ''A Charm Against the Toothache''에 엘레지 "사데크 헤다야트를 위한 카시디"를 발표했다.
3. 작품 세계
헤다야트는 평생 서양 문학 연구와 이란 역사 및 민속 연구에 헌신했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 에드거 앨런 포, 프란츠 카프카, 안톤 체호프, 기 드 모파상의 작품에 가장 흥미를 느꼈다. 짧은 문학 활동 기간 동안 헤다야트는 상당수의 단편 소설과 중편 소설, 두 편의 역사 드라마, 희곡, 기행문, 풍자적 패러디와 스케치 모음을 출판했다. 그의 저술에는 수많은 문학 비평, 페르시아 민속 연구, 중세 페르시아어와 프랑스어 번역도 포함된다. 그는 페르시아어와 문학을 국제 현대 문학의 주류로 끌어들인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헤다야트는 1936년부터 1937년 말까지 인도를 여행하고 머물렀다. 헤다야트는 봄베이에서 인도 파르시 조로아스터교 공동체로부터 팔라비어(중세 페르시아어)를 배우는 데 시간을 보냈다. 그는 저명한 학자이자 언어학자인 바흐람고레 타흐무라스 앙클레사리아에게 가르침을 받았다.[3][4] 헤다야트는 봄베이에서 1930년 파리에서 집필을 시작한 그의 가장 오래 지속된 작품인 『눈먼 부엉이』를 완성하고 출판했다. 이 책은 헨리 밀러, 앙드레 브르통 등으로부터 찬사를 받았으며, 캄란 샤라레는 이 책을 "페르시아어로 된 가장 중요한 문학 작품 중 하나"라고 칭했다.[6]
- '''소설'''
- *1930 매장 (Zende be gūr) 단편 소설 9편 묶음.
- *1931 몽골의 그림자 (Sāye-ye Moqol)
- *1932 ''피 한 방울'' (Se qatre khūn). 단편 소설 11편 묶음.
- *1933 명암 (Sāye-ye roushan) 단편 소설 7편 묶음.
- *1934 바우와우 씨 (Vagh Vagh Sahāb)
- *1936 삼핑게 (프랑스어)
- *1936 루나티크 (프랑스어)
- *1936 ''눈먼 올빼미'' (Boof-e koor)
- *1942 ''떠돌이 개'' (Sag-e velgard). 단편 소설 8편 묶음.
- *1943 알라비예 부인 (Alaviye Khānum)
- *1944 벨렌가리 (소문)
- *1944 생명의 묘약 (Āb-e Zendegi)
- *1945 순례자 (Hājī āqā)
- *1946 내일 (Fardā)
- *1947 ''진주 대포'' (Tūp-e Morvari)
- '''희곡''' (1930–1946)
- *파르빈, 사산의 딸 (Parvin dokhtar-e Sāsān)
- *마지야르 (Māzīyār)
- *창조의 우화 (Afsāne-ye āfarīnesh)
- '''여행기'''
- *이스파한: 세상의 절반 (Esfahān nesf-e jahān)
- *젖은 길에서 (Rū-ye jādde-ye namnāk), 미발표, 1935년 작성.
- '''연구, 비평 및 잡동사니'''
- *하킴 오마르 하이얌의 루바이야트 (Rubā'iyāt-e Hakim Omar-e Khayyām) 하이얌의 4행시, 1923년
- *인간과 동물 (Ensān va heyvān) 1924년
- *죽음 (Marg) 1927년
- *파바예드-에 기야흐하리 (채식주의의 장점) 1927년
- *교훈이 있는 이야기 (Hekāyat-e bā natije) 1932년
- *하이얌의 노래 (Tarānehā-ye Khayyām) 1934년
- *차이코프스키 (Chāykovski) 1940년
- *아사디 페르시아어 사전 (Dar pirāmun-e Loqat-e Fārs-e Asadi) 아사디의 페르시아어 사전, 1940년
- *문학 연구의 새로운 방법 (Shive-ye novin dar tahqiq-e adabi) 1940년
- *나즈의 이야기 (Dāstan-e Nāz) 1941년
- *페르시아 시의 새로운 경향 (Shivehā-ye novin dar she'r-e Pārsi) 1941년
- *영화 ''물라 나스루딘''에 대한 리뷰, 1944년
- *고골의 ''검찰관''의 페르시아어 번역에 대한 문학 평론, 1944년
- *비스와 라민에 관한 몇 가지 노트 (Chand nokte dar bāre-ye Vis va Rāmin) 1945년
- *카프카의 메시지 (Payām-e Kāfkā) 1948년
- *알-비사 알-이스라미야 일라 알-빌라드 알-아프란지야 (유럽 국가에 대한 이슬람 선교), 연대 미상.
- '''번역'''
- *프랑스어에서 번역:
- **1931 ''구즈베리'' 안톤 체호프
- **1948 ''유배지에서'' 프란츠 카프카
- **1944 ''법 앞에서'' 프란츠 카프카
- **1950 ''변신'' 프란츠 카프카 (하산 카에미안과 공동)
- **1950 ''벽'' 장 폴 사르트르
- **1950 ''두 나라의 이야기'' 알렉산더 키에란
- **1950 ''눈먼 제로니모와 그의 형제'' 아서 슈니츨러
- *팔레비어에서 번역:
- **1943 ''아르다시르 파파칸의 업적 기록'' (Kārname-ye Ardashir-e-Pāpākān)
- **1940 ''고자스테 아바리쉬''
- **1945 ''바흐람 바르자반 왕의 귀환'' (Āmadan-e shāh Bahrām-e Varjavand)
- **1944 ''반디 와흐만 야스''
3. 1. 주요 작품
사데크 헤다야트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소설'''
- 1930년 《매장》(Zende be gūr): 단편 소설 9편을 묶은 작품이다.
- 1931년 《몽골의 그림자》(Sāye-ye Moqol)
- 1932년 《피 한 방울(Se qatre khūn)》: 단편 소설 11편을 묶은 작품이다.
- 1933년 《명암》(Sāye-ye roushan): 단편 소설 7편을 묶은 작품이다.
- 1934년 《바우와우 씨》(Vagh Vagh Sahāb)
- 1936년 《삼핑게》(프랑스어)
- 1936년 《루나티크》(프랑스어)
- 1936년 《눈먼 올빼미(Boof-e koor)》
- 1942년 《떠돌이 개(Sag-e velgard)》: 단편 소설 8편을 묶은 작품이다.
- 1943년 《알라비예 부인》(Alaviye Khānum)
- 1944년 《벨렌가리》(소문)
- 1944년 《생명의 묘약》(Āb-e Zendegi)
- 1945년 《순례자》(Hājī āqā)
- 1946년 《내일》(Fardā)
- 1947년 《진주 대포(Tūp-e Morvari)》
- '''희곡''' (1930–1946)
- 《파르빈, 사산의 딸》(Parvin dokhtar-e Sāsān)
- 《마지야르》(Māzīyār)
- 《창조의 우화》(Afsāne-ye āfarīnesh)
- '''여행기'''
- 《이스파한: 세상의 절반》(Esfahān nesf-e jahān)
- 《젖은 길에서》(Rū-ye jādde-ye namnāk): 1935년에 작성되었으나 미발표되었다.
- '''연구, 비평 및 잡동사니'''
- 《하킴 오마르 하이얌의 루바이야트》(Rubā'iyāt-e Hakim Omar-e Khayyām): 하이얌의 4행시, 1923년
- 《인간과 동물》(Ensān va heyvān), 1924년
- 《죽음》(Marg), 1927년
- 《파바예드-에 기야흐하리(채식주의의 장점)》, 1927년
- 《교훈이 있는 이야기》(Hekāyat-e bā natije), 1932년
- 《하이얌의 노래》(Tarānehā-ye Khayyām), 1934년
- 《차이코프스키》(Chāykovski), 1940년
- 《아사디 페르시아어 사전》(Dar pirāmun-e Loqat-e Fārs-e Asadi): 아사디의 페르시아어 사전, 1940년
- 《문학 연구의 새로운 방법》(Shive-ye novin dar tahqiq-e adabi), 1940년
- 《나즈의 이야기》(Dāstan-e Nāz), 1941년
- 《페르시아 시의 새로운 경향》(Shivehā-ye novin dar she'r-e Pārsi), 1941년
- 《영화 ''물라 나스루딘''에 대한 리뷰》, 1944년
- 《고골의 ''검찰관''의 페르시아어 번역에 대한 문학 평론》, 1944년
- 《비스와 라민에 관한 몇 가지 노트》(Chand nokte dar bāre-ye Vis va Rāmin), 1945년
- 《카프카의 메시지》(Payām-e Kāfkā), 1948년
- 《알-비사 알-이스라미야 일라 알-빌라드 알-아프란지야》(유럽 국가에 대한 이슬람 선교), 연대 미상
- '''번역'''
- '''프랑스어에서 번역''':
- 1931년 《구즈베리》 안톤 체호프
- 1948년 《유배지에서》 프란츠 카프카
- 1944년 《법 앞에서》 프란츠 카프카
- 1950년 《변신》 프란츠 카프카 (하산 카에미안과 공동)
- 1950년 《벽》 장 폴 사르트르
- 1950년 《두 나라의 이야기》 알렉산더 키에란
- 1950년 《눈먼 제로니모와 그의 형제》 아서 슈니츨러
- '''팔레비어에서 번역''':
- 1943년 《아르다시르 파파칸의 업적 기록(Kārname-ye Ardashir-e-Pāpākān)》
- 1940년 《고자스테 아바리쉬》
- 1945년 《바흐람 바르자반 왕의 귀환》(Āmadan-e shāh Bahrām-e Varjavand)》
- 1944년 《반디 와흐만 야스》
3. 2. 주제와 특징
사데크 헤다야트의 작품들은 다양한 주제와 특징을 보인다. 그의 초기 작품들은 주로 낭만주의적 경향을 띠며, 페르시아의 역사와 문화를 소재로 한 작품들이 많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희곡 파르빈, 사산의 딸과 마지야르, 그리고 여행기 이스파한: 세상의 절반 등이 있다.그의 작품 세계는 점차 현실 비판적인 성격을 띠게 되는데, 특히 사회 부조리와 인간의 고독, 소외 문제를 다룬 작품들이 많다. 단편 소설집 피 한 방울과 명암, 그리고 대표작 눈먼 올빼미 등이 이러한 경향을 잘 보여준다. 눈먼 올빼미는 초현실주의적 기법을 사용하여 인간 내면의 어두운 심연을 탐구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헤다야트는 채식주의와 같은 사회 문제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채식주의의 장점과 같은 에세이를 통해 자신의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또한, 그는 오마르 하이얌의 4행시를 연구하고, 아사디 투시의 페르시아어 사전을 연구하는 등 페르시아 문학과 언어에 대한 깊은 조예를 보여주었다.
그는 외국의 문학 작품을 페르시아어로 번역하는 데에도 힘썼다. 안톤 체호프, 프란츠 카프카, 장 폴 사르트르, 아서 슈니츨러 등의 작품을 번역하여 페르시아 독자들에게 소개했다. 특히 카프카의 변신은 하산 카에미안과의 공동 번역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팔레비어 문헌인 아르다시르 파파칸의 업적 기록, 고자스테 아바리쉬, 바흐람 바르자반 왕의 귀환, 반디 와흐만 야스 등을 번역하여 고대 페르시아 문학 연구에도 기여했다.
4. 영향과 평가
사데크 헤다야트의 작품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세계 각국에 소개되었다. 일본에서는 나카무라 키미노리가 『눈먼 부엉이』를 번역하여 하쿠스이샤에서 세계 문학 시리즈로 출간하였고, 1985년에는 『사데크 헤다야트 단편집』을 다이가쿠 쇼린에서 출간하였다. 오카다 에미코와 오쿠니시 슌스케는 『페르시아 민속지』를 번역 및 주해하여 헤이본샤의 동양 문고 시리즈로 출간하였다. 이시이 케이이치로는 『생매장 - 어떤 광인의 일기에서』를 국서간행회의 '문학의 모험' 시리즈로 번역 출간하였고, 2007년에는 『사데그 헤다야트 단편집』을 케이분샤에서 출간하였다.
5. 각주
참조
[1]
논문
Review: Iran's 1953 Coup: Revisiting Mosaddeq
https://doi.org/10.5[...]
2016
[2]
서적
Sadeq Hedayat: His Work and His Wondrous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3]
서적
World Literature and Hedayat's Poetics of Modern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0-02-01
[4]
서적
Hedayat's Blind Owl as a Western Novel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07-14
[5]
웹사이트
HEDAYAT, SADEQ v. Hedayat in India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015-09-03
[6]
서적
From Persia to Tehr Angeles: A Contemporary Guide to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Ancient Persian Culture
[7]
서적
The Facts on File Companion to the World Novel 1900 to the Present
Facts On File
2008
[8]
웹사이트
A Man Out Of Place
https://eng.majalla.[...]
2020-06-24
[9]
웹사이트
Sadeq Hedayat: Iranian author
https://www.britanni[...]
2020-06-27
[10]
논문
Hedayat's rebellious child: multicultural rewriting of The Blind Owl in Porochista Khakpour's Sons and Other Flammable Objects
https://doi.org/10.1[...]
2021-09-22
[11]
웹사이트
Frieze Magazine | Archive | Tehran
http://www.frieze.co[...]
Frieze.com
2013-09-26
[12]
웹사이트
Bestsellers banned in new Iranian censorship purge | World news
https://www.theguard[...]
2006-11-17
[13]
웹사이트
Iran: Book Censorship The Rule, Not The Exception
http://www.rferl.org[...]
Rferl.org
2007-11-26
[14]
웹사이트
Excerpted from Trafic no. 18 (Spring 1996) Translation Rouge 2004
http://www.rouge.com[...]
[15]
서적
Le Tombeau de Sadegh Heday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