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슈르-단 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슈르-단 3세는 기원전 811년부터 783년까지 아시리아를 통치한 왕으로, 아다드-니라리 3세의 아들이자 살마네세르 4세의 형제이다. 그의 치세는 신아시리아 제국의 쇠퇴기로, 왕권이 약화되고 강력한 관료와 장군들의 세력이 커지면서 권력이 제한되었다. 아슈르-단 3세의 통치 기간 동안 아시리아는 잦은 반란과 역병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특히 기원전 763년의 일식은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다. 그는 시리아 북부의 하타리카, 바빌로니아의 마라드 등을 상대로 원정을 벌였으나, 국내 불안으로 인해 4년간 아시리아에 머물기도 했다. 아슈르-단 3세는 기원전 755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동생 아슈르-니라리 5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8세기 통치자 - 센나케립
센나케립은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으로, 즉위 후 바빌로니아와 레반트 지역에서 전쟁을 치렀고, 수도를 니네베로 옮겨 개조했으며, 아들들에게 살해당했다. - 기원전 8세기 통치자 - 나보나사르
나보나사르는 기원전 747년부터 기원전 734년까지 바빌로니아를 통치한 왕으로, 바빌론 달력 개혁을 단행하고 아시리아의 침공에도 경제 활동을 회복시켰다. - 아시리아 - 아슈르나시르팔 2세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기원전 9세기에 아시리아를 통치하며 정복 사업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잔혹한 통치로 악명을 떨쳤으며, 칼후를 새로운 수도로 건설하고 예술 발전을 이끌었다. - 아시리아 - 샬마네세르 3세
샬마네세르 3세는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으로서 영토 확장과 지배력 안정에 기여했으며, 잦은 원정과 카르카르 전투, 예후로부터의 조공, 중앙집권적 통치, 도시 재건 및 예술 장려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아시리아의 왕 - 아슈르나시르팔 2세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기원전 9세기에 아시리아를 통치하며 정복 사업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잔혹한 통치로 악명을 떨쳤으며, 칼후를 새로운 수도로 건설하고 예술 발전을 이끌었다. - 아시리아의 왕 - 샬마네세르 3세
샬마네세르 3세는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으로서 영토 확장과 지배력 안정에 기여했으며, 잦은 원정과 카르카르 전투, 예후로부터의 조공, 중앙집권적 통치, 도시 재건 및 예술 장려 등의 업적을 남겼다.
아슈르-단 3세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슈르-단 3세 |
원어 이름 | Aššur-dān |
칭호 | 아시리아 왕 |
통치 | |
즉위 | 기원전 773년 |
퇴위 | 기원전 755년 |
이전 통치자 | 살만에세르 4세 |
후임 통치자 | 아슈르-니라리 5세 |
가문 | |
왕조 | 아다시 왕조 |
아버지 | 아다드-니라리 3세 |
사망 | |
사망일 | 기원전 755년 |
2. 즉위와 통치
아다드-니라리 3세의 아들로 태어난 아슈르-단 3세는 살마네세르 4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2] 그의 치세는 신아시리아 제국이 쇠퇴기에 접어든 시기로, 왕권이 약화되고 지방 관료들의 자립 경향이 두드러졌다.[3] 강력한 관료들은 왕의 권위를 인정하면서도 실제로는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며 왕과 유사한 비문을 새기기도 했는데, 이들의 비문이 왕의 비문보다 더 흔하게 나타날 정도였다.[4]
아슈르-단 3세의 유일한 왕실 비문은 점토 원뿔에 새겨진 단편적인 형태로 남아있으며, 아슈르시에 있는 아슈르 신전 중앙 안뜰의 복원 공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의 이름을 언급하는 청동상 헌정 비문은 이전에는 아슈르-단 3세 시대의 것으로 여겨졌으나, 아슈르-단 1세 시대의 것으로 보는 것이 확실하다.[4]
그의 재위 기간은 ''아시리아 왕 목록''과 에포님 연대기를 통해 알 수 있다.[4] 에포님 목록에 따르면, 아슈르-단 3세는 기원전 772년 시리아 북부의 하타리카를 상대로 첫 원정을 벌였다. 이 도시는 이전에 아시리아의 지배를 받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아슈르-단 3세가 이 도시를 상대로 전쟁을 벌여야 했다는 사실은 아시리아의 서부 영토에 대한 지배력이 약화되었음을 보여준다.[5]
에포님에 기록된 아슈르-단의 다른 초기 원정으로는 기원전 771년과 767년의 가나나티 원정과 기원전 769년의 이투아 원정이 있다.[1] 가나나티와 이투아는 모두 바빌로니아의 도시였을 가능성이 높다. 기원전 766년, 아슈르-단은 메디아를 상대로 원정을 벌였으며, 기원전 765년에는 다시 하타리카와 전쟁을 벌였다.[1]
이 시기에 아시리아의 적들은 더욱 강해졌는데, 북부 우라르투 왕국의 전성기와 이 시기가 일치한다.[5] 아시리아 왕은 매년 원정을 나가는 것이 관례였지만, 아슈르-단 3세는 재위 기간 중 4년간 아시리아에 머물렀는데, 이는 국내 불안의 징후일 수 있다.[6]
그의 사후, 동생인 아슈르 니라리 5세가 왕위를 이었다.
2. 1. 왕권 약화와 내부 혼란
아다드-니라리 3세의 아들인 아슈르-단 3세의 치세는 신아시리아 제국이 쇠퇴기에 접어든 시기였다.[2] 왕권은 약화되었고, 강력한 관료들이 등장하여 왕의 권위를 인정하면서도 실제로는 최고의 권한으로 행동하며 왕들과 유사한 비문을 새기기 시작했다.[3] 이들의 비문은 왕들의 비문보다 이 시대에 더 흔하게 나타난다.[4]아시리아의 적들은 더욱 강해졌는데, 예를 들어 북부 우라르투 왕국의 전성기와 이 시기가 일치한다.[5] 아시리아 왕은 매년 원정을 나가는 것이 관례였지만, 아슈르-단 3세는 재위 기간 중 4년간 아시리아에 머물렀는데, 이는 국내 불안의 징후일 수 있다.[6]
기원전 765년 이후, 동시대 인물들은 매우 불안정한 시기를 암시한다. 역병이 기원전 765년과 759년에 보고되었으며, 아시리아 심장부에서 기원전 763년부터 762년까지 반란이 기록되었고, 아라프하에서 기원전 761~760년에, 그리고 구자나에서 기원전 759~758년에 반란이 일어나 마침내 기원전 758년에 평화가 회복되었다.[7]
아마도 많은 반란은 흑사병 유행과 기원전 763년 6월 15일에 발생한 부르-사갈레 일식에 대한 반응이었을 것이다. 일식, 특히 제국 내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는 개기 일식(이 일식의 경우처럼)은 항상 불길한 징조로 해석되었으며, 따라서 역병과 일식은 신들이 아슈르-단 3세의 통치에 대한 신성한 지원을 철회한 것으로 해석되었을 수 있다.[1]
왕권이 약하고 지방 장관의 자립 경향이 두드러졌던 시대였기 때문에 큰 업적은 없지만, 시리아로의 원정 및 반란 진압의 기록이 남아 있다.
림무의 연대기에 따르면, 기원전 765년, 아시리아에 역병이 덮쳤다. 이 때문에 이듬해 기록에서는 "왕은 나라에 머문다"라고 기술되어 군사 원정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통상 아시리아 왕은 매년 원정을 하고 있으며, 이 말은 기록이 남아 있는 기원전 858년부터 기원전 699년까지 15번밖에 사용되지 않았다.[8] 기원전 763년에 리비 알리에서 반란이 일어나, 아라프하와 구자나에서도 반란이 일어나 기원전 759년까지 혼란이 계속되었다. 기원전 759년에는 다시 한번 역병이 일어났다.[7] 기원전 758년에 구자나로의 원정이 이루어지고 겨우 평화가 회복되었으며, 그 후 2년 연속으로 "왕은 나라에 머문다"라고 기술되어 있다.[8]
2. 2. 잦은 반란과 역병
기원전 765년부터 아시리아는 매우 불안정한 시기를 겪었다. 기원전 765년과 759년에 역병이 발생했고, 기원전 763년부터 762년까지 아시리아 중심부에서 반란이 일어났다.[5][6] 아라프하(기원전 761~760년)와 구자나(기원전 759~758년)에서도 반란이 발생하여, 기원전 758년에야 평화가 회복되었다.[5][6] 잦은 반란은 역병 유행과 기원전 763년 6월 15일에 발생한 부르-사갈레 일식 때문으로 추정된다. 특히 개기 일식은 불길한 징조로 해석되었고, 역병과 일식은 신들이 아슈르-단의 통치에 대한 지지를 철회한 것으로 여겨졌을 수 있다.[5]림무 연대기에 따르면, 기원전 765년에 아시리아에 역병이 발생하여 이듬해에는 왕이 군사 원정을 나가지 못하고 "나라에 머물렀다"고 기록되었다. 이는 기원전 858년부터 699년 사이에 15번밖에 사용되지 않은 표현이다.[7] 기원전 763년에는 리비 알리에서 반란이 일어났고, 아라프하와 구자나에서도 반란이 일어나 기원전 759년까지 혼란이 지속되었다. 기원전 759년에는 다시 역병이 발생했다.[5][6] 기원전 758년에 구자나 원정을 통해 평화가 회복된 후, 2년 연속으로 "왕은 나라에 머물렀다"는 기록이 있어[7] 국력 또는 왕 개인의 피폐함을 짐작할 수 있다.
3. 아시리아 일식
기원전 763년 6월 15일에 발생한 부르-사갈레 일식은 아시리아 제국 전역에서 관측된 개기 일식이었다. 이 일식은 림무 연대기의 기준점으로 작용한다. 아시리아에서는 매년 림무라는 관직에 한 명을 선출했고, 매년의 기록은 그 해 림무 직에 있던 사람의 이름으로 기록되었다.[7] 아슈르-단 3세의 치세 중 림무, 부르-사길레(구자나 총독)의 해 3월(시마누)에 일식이 일어났다는 기록이 있으며, 천문학적으로 기원전 763년 6월 15일에 발생한 것으로 밝혀져 아시리아 연대기의 기점이 되고 있다.[8]
3. 1. 일식의 의미와 영향
기원전 765년 이후, 아시리아는 매우 불안정한 시기를 겪었다. 역병이 기원전 765년과 759년에 발생했고, 아시리아 중심부에서 기원전 763년부터 762년까지 반란이 일어났다. 아라프하에서는 기원전 761~760년에, 구자나에서는 기원전 759~758년에 반란이 일어났으며, 기원전 758년에 마침내 평화가 찾아왔다.[7]잦은 반란은 흑사병 유행과 기원전 763년 6월 15일에 발생한 부르-사갈레 일식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제국 내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는 개기 일식(이 일식의 경우처럼)은 항상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다. 따라서 역병과 일식은 신들이 아슈르-단 3세의 통치에 대한 신성한 지지를 거두어 간 것으로 해석되었을 수 있다.[8]
부르-사갈레 일식은 아시리아 제국 전역에서 관측된 개기 일식이었다. 이 일식은 림무 연대기의 기준점 역할을 한다. 아시리아에서는 매년 림무라는 관직에 한 명을 선출했고, 매년의 기록은 그 해 림무 직에 있던 사람의 이름으로 기록되었다. 아슈르-단 3세의 통치 기간 중 림무였던 부르-사길레(구자나 총독)의 해 3월(시마누)에 일식이 일어났다는 기록이 있다.[7] 이 일식이 천문학적으로 기원전 763년 6월 15일에 발생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이 해는 아시리아 연대기의 기점이 되고 있다.[8] 따라서 아슈르-단 3세의 통치 시기와 연결 가능한 기록이 남아있다면, 매우 정확한 연대를 알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아시리아 시대 각 왕의 통치 연도는 이 해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4. 칭호
신 엔릴의 지명자이자 아슈르의 부왕이며, 아다드-니라리의 아들이자 삼시-아다드의 아들이다.[1]
5. 사망과 계승
아슈르 단 3세의 사후, 동생인 아슈르 니라리 5세가 왕위를 이었다.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 III Part I: The Prehistory of the Balkans, the Middle East and the Aegean World, Tenth to Eighth Centuries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10-19
[2]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Ashur-Dan III
http://www.ancientme[...]
2019-02-13
[4]
문서
タルタン
[5]
서적
Annals Of The Kings Of Assyria
Routledge
[6]
서적
Annals Of The Kings Of Assyria: The Cuneiform Texts With Translations, Transliterations From The Original Documents
Routledge
2007-04-30
[7]
웹사이트
Limmu List (858-699 BCE)
https://www.livius.o[...]
2020-10-18
[8]
간행물
The Assyrian Canon Verified by the Record of a Solar Eclipse, B.C. 763
https://books.google[...]
1867-05-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