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아 태권도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태권도 연맹(ATU)이 주관하는 태권도 대회로, 1974년 대한민국 서울에서 처음 개최되었다. 역대 대회 목록, 경기장 정보, 국가별 메달 집계, 국가별 순위 등의 정보가 제공되며, 대한민국이 압도적인 메달 획득으로 태권도 종주국으로서의 위상을 보여주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태권도 - 아시안 게임 태권도
    아시안 게임 태권도는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남녀 겨루기 종목으로 진행되며, 대한민국이 금메달 53개로 종합 1위를 기록하고 있다.
  • 아시아의 태권도 - 아시아 태권도 연맹
    아시아 태권도 연맹은 아시아 지역 태권도를 관할하는 국제 스포츠 연맹으로,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등의 협회가 가입되어 활동하며, 태권도 종주국인 대한민국이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 국제 태권도 대회 - 월드컵 태권도 단체전
    월드컵 태권도 단체전은 남자, 여자, 혼성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이란은 남자 단체전, 대한민국은 여자 및 혼성 단체전에서 강세를 보인다.
  • 국제 태권도 대회 - 세계 주니어 태권도 선수권 대회
    세계 주니어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세계 태권도 연맹 주관으로 18세 이하 주니어 선수들이 참가하는 국제 태권도 대회로서, 1996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2년마다 개최되며 대한민국이 최다 메달 획득 국가이고 2024년에는 춘천시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 1974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PGA 투어의 플래그십 대회인 플레이어스 챔피언십은 1974년 시작되어, TPC 소그래스 스타디움 코스에서 144명의 선수가 우승을 놓고 경쟁하며, 우승자에게는 상금, PGA 투어 출전권, 메이저 대회 출전 자격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 1974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베를린 마라톤
    베를린 마라톤은 1974년 호르스트 밀데에 의해 시작되어 브란덴부르크 문을 통과하는 상징적인 코스를 특징으로 하며, 평탄한 코스와 유리한 기온 덕분에 세계 기록이 자주 경신되는 독일 베를린의 마라톤 대회로서, 인라인 스케이팅, 핸드사이클, 휠체어 경주 부문도 함께 진행된다.
아시아 태권도 선수권 대회
대회 정보
종목태권도
종류겨루기, 격년
주최아시아 태권도 연맹 (ATU)
첫 대회1973년, 서울, 대한민국
대회 통계
가장 최근 대회2024년 아시아 태권도 선수권 대회
관련 정보
영어 명칭Asian Taekwondo Championships
한국어 명칭아시아 태권도 선수권 대회

2. 역대 대회

## 역대 대회

### 대회 목록

횟수연도개최국개최 도시날짜남자 우승여자 우승
11974서울10월 18일~20일
21976멜버른10월 16일~17일
31978홍콩9월 8일~10일
41980타이베이11월 14일~16일
51982싱가포르12월 9일~11일
61984마닐라11월 9일~11일
71986다윈4월 18일~20일
81988카트만두3월 23일~25일
91990타이베이6월 2일~4일
101992쿠알라룸푸르1월 31일~2월 2일
111994마닐라1월 28일~30일
121996멜버른6월 14일~16일
131998호찌민5월 15일~17일
142000홍콩5월 13일~16일
152002암만4월 26일~28일
162004성남5월 20일~23일
172006방콕4월 21일~23일
182008뤄양4월 26일~28일
192010아스타나5월 21일~23일
202012호찌민5월 9일~11일
212014타슈켄트5월 26일~28일
222016파사이4월 18일~20일
232018호찌민5월 16일~28일
242021베이루트6월 16일~18일
252022춘천6월 21일~27일
262024다낭5월 16일~18일



### 경기장

횟수연도개최국개최 도시경기장
11974서울국기원
21976멜버른달라스 브룩스 홀
31978홍콩맥퍼슨 스타디움
41980타이베이시립 체육관
51982싱가포르게이 월드 스타디움
61984마닐라리잘 기념 스포츠 콤플렉스
71986다윈마라라 실내 경기장
81988카트만두다샤라트 랑가살라
91990타이베이시립 주니어 칼리지
101992쿠알라룸푸르스타디움 네가라
111994마닐라니노이 아키노 스타디움
121996멜버른
131998호찌민
142000홍콩퀸 엘리자베스 스타디움
152002암만
162004성남성남실내체육관
172006방콕후아막 실내 경기장
182008뤄양스포츠 센터 체육관
192010아스타나다울레트 스포츠 콤플렉스
202012호찌민푸토 실내 경기장
212014타슈켄트유니버설 팰리스 우즈베키스탄
222016파사이메리어트 컨벤션 센터
232018호찌민푸토 실내 경기장
242021베이루트노하드 나우팔 스타디움
252022춘천호반체육관
262024다낭티엔 쏜 스포츠 팰리스



### 역대 메달 집계

순위국가합계
12194549313
2417661178
3324459135
428233889
51483153
69242659
77235787
86152950
93235177
103226489
11383546
12251118
13183140
14182938
15131216
1611810
1711911
181135
19062430
20062329
21041216
22031518
230369
240336
250268
260145
270145
280134
290123
300123
310123
320123
330112
340099
350099
360044
370022
380011
390011
400011



2024년 아시아 태권도 선수권 대회까지의 역대 메달 집계이다.[1] 태권도 종주국인 대한민국은 금메달 219개, 은메달 45개, 동메달 49개로 총 313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하고 있다.

### 국가별 순위

아시아 태권도 선수권 대회의 국가별 순위는 다음과 같다.

연도남자rowspan=28 bgcolor=lightblue|여자
1위2위3위1위2위3위
1974대한민국중화민국/中華民國중국어크메르 공화국/Khmer Republickmcolspan=3 rowspan=6
1976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필리핀/Philippines영어
1978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이란/ایرانfa
1980대한민국중화민국/中華民國중국어요르단/Jordan영어
1982대한민국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1984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필리핀/Philippines영어
1986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1988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요르단/Jordan영어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1990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요르단/Jordan영어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대한민국말레이시아/Malaysia영어
1992대한민국이란/ایرانfa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말레이시아/Malaysia영어
1994대한민국필리핀/Philippines영어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필리핀/Philippines영어
1996대한민국이란/ایرانfa일본/日本일본어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1998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요르단/Jordan영어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중국
2000대한민국필리핀/Philippines영어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대한민국중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2002대한민국이란/ایرانfa요르단/Jordan영어대한민국중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2004대한민국이란/ایرانfa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중국
2006대한민국이란/ایرانfa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대한민국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2008이란/ایرانfa중국대한민국중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대한민국
2010이란/ایرانfa대한민국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대한민국중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2012대한민국이란/ایرانfa요르단/Jordan영어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중국대한민국
2014이란/ایرانfa대한민국우즈베키스탄/Uzbekistan영어대한민국중국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2016이란/ایرانfa대한민국우즈베키스탄/Uzbekistan영어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2018대한민국이란/ایرانfa우즈베키스탄/Uzbekistan영어중국대한민국베트남/Việt Namvi
2021대한민국우즈베키스탄/Uzbekistan영어이란/ایرانfa대한민국이란/ایرانfa베트남/Việt Namvi
2022우즈베키스탄/Uzbekistan영어대한민국요르단/Jordan영어이란/ایرانfa중국대한민국
2024이란/ایرانfa대한민국우즈베키스탄/Uzbekistan영어대한민국중국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대한민국은 아시아 태권도 선수권 대회에서 남자부 19회, 여자부 17회 우승을 차지하며 태권도 종주국으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했다.

2. 1. 대회 목록

횟수연도개최국개최 도시날짜남자 우승여자 우승
11974서울10월 18일~20일
21976멜버른10월 16일~17일
31978홍콩9월 8일~10일
41980타이베이11월 14일~16일
51982싱가포르12월 9일~11일
61984마닐라11월 9일~11일
71986다윈4월 18일~20일
81988카트만두3월 23일~25일
91990타이베이6월 2일~4일
101992쿠알라룸푸르1월 31일~2월 2일
111994마닐라1월 28일~30일
121996멜버른6월 14일~16일
131998호찌민5월 15일~17일
142000홍콩5월 13일~16일
152002암만4월 26일~28일
162004성남5월 20일~23일
172006방콕4월 21일~23일
182008뤄양4월 26일~28일
192010아스타나5월 21일~23일
202012호찌민5월 9일~11일
212014타슈켄트5월 26일~28일
222016파사이4월 18일~20일
232018호찌민5월 16일~28일
242021베이루트6월 16일~18일
252022춘천6월 21일~27일
262024다낭5월 16일~18일



2. 2. 경기장

횟수연도개최국개최 도시경기장
11974서울국기원
21976멜버른팔라스 디 스포츠
31978홍콩리 스타디움
41980타이베이중화체육관
51982싱가포르게일랑 실내 경기장
61984마닐라리살 기념 콜리세움
71986다윈다윈 엔터테인먼트 센터
81988카트만두다사라트 랑가살라 경기장
91990타이베이린커우 체육관
101992쿠알라룸푸르스타디움 느가라
111994마닐라리살 기념 콜리세움
121996멜버른주립 넷볼 및 하키 센터
131998호찌민판딘풍 경기장
142000홍콩퀸 엘리자베스 스타디움
152002암만프린스 함자 경기장
162004성남성남 경기장
172006방콕후아막 실내 경기장
182008뤄양뤄양 스포츠 센터
192010아스타나알라타우 스포츠 단지
202012호찌민푸토 실내 경기장
212014타슈켄트유니버설 스포츠 팰리스
222016파사이마리엇 호텔 그랜드 볼룸
232018호찌민푸토 실내 경기장
242021베이루트누하드 노팔 실내 경기장
252022춘천호반체육관


2. 3. 역대 메달 집계

순위국가합계
12194549313
2417661178
3324459135
428233889
51483153
69242659
77235787
86152950
93235177
103226489
11383546
12251118
13183140
14182938
15131216
1611810
1711911
181135
19062430
20062329
21041216
22031518
230369
240336
250268
260145
270145
280134
290123
300123
310123
320123
330112
340099
350099
360044
370022
380011
390011
400011



2024년 아시아 태권도 선수권 대회까지의 역대 메달 집계이다.[1] 태권도 종주국인 대한민국은 금메달 219개, 은메달 45개, 동메달 49개로 총 313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 4. 국가별 순위

아시아 태권도 선수권 대회의 국가별 순위는 다음과 같다.

연도남자rowspan=28 bgcolor=lightblue|여자
1위2위3위1위2위3위
1974대한민국중화민국/中華民國중국어크메르 공화국/Khmer Republickmcolspan=3 rowspan=6
1976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필리핀/Philippines영어
1978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이란/ایرانfa
1980대한민국중화민국/中華民國중국어요르단/Jordan영어
1982대한민국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1984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필리핀/Philippines영어
1986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1988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요르단/Jordan영어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1990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요르단/Jordan영어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대한민국말레이시아/Malaysia영어
1992대한민국이란/ایرانfa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말레이시아/Malaysia영어
1994대한민국필리핀/Philippines영어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필리핀/Philippines영어
1996대한민국이란/ایرانfa일본/日本일본어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1998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요르단/Jordan영어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중국
2000대한민국필리핀/Philippines영어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대한민국중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2002대한민국이란/ایرانfa요르단/Jordan영어대한민국중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2004대한민국이란/ایرانfa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중국
2006대한민국이란/ایرانfa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대한민국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2008이란/ایرانfa중국대한민국중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대한민국
2010이란/ایرانfa대한민국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대한민국중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2012대한민국이란/ایرانfa요르단/Jordan영어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중국대한민국
2014이란/ایرانfa대한민국우즈베키스탄/Uzbekistan영어대한민국중국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2016이란/ایرانfa대한민국우즈베키스탄/Uzbekistan영어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2018대한민국이란/ایرانfa우즈베키스탄/Uzbekistan영어중국대한민국베트남/Việt Namvi
2021대한민국우즈베키스탄/Uzbekistan영어이란/ایرانfa대한민국이란/ایرانfa베트남/Việt Namvi
2022우즈베키스탄/Uzbekistan영어대한민국요르단/Jordan영어이란/ایرانfa중국대한민국
2024이란/ایرانfa대한민국우즈베키스탄/Uzbekistan영어대한민국중국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대한민국은 아시아 태권도 선수권 대회에서 남자부 19회, 여자부 17회 우승을 차지하며 태권도 종주국으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했다.

3. 같이 보기

3. 1. 관련 단체

3. 2. 관련 대회

4. 각주

5. 외부 링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