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남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남시는 1973년 경기도 광주군에서 분리되어 설치된 도시로, 분당신도시와 판교신도시 개발을 통해 인구가 급증했다. 현재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 3개의 행정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8년 기준 경기도 내 재정자립도 2위를 기록했다. 주요 IT 기업들이 위치한 판교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했으며, 서울과의 접근성이 좋아 교통이 편리하다. 성남 FC를 비롯한 다양한 스포츠 구단이 있으며, 남한산성, 성남아트센터 등 문화 관광 시설도 갖추고 있다. 과거 호화 청사 건설 및 모라토리엄 선언과 같은 논란이 있었으나, 현재는 교육, 문화, 경제 등 다방면에서 발전된 도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남시 - 대장동 개발 사업 논란
    대장동 개발 사업 논란은 화천대유가 참여한 성남시 대장동 택지개발 사업에서 막대한 배당금 지급과 특혜, 로비 의혹 등이 제기되며 정치적, 법적 논란을 낳았다.
  • 경기도의 도시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 경기도의 도시 - 파주시
    파주시는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고조선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고, 임진강과 한강이 흐르는 대륙성 기후를 띠며, 장단콩 등 특산물과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2024년 1월 특례시로 지정되었다.
성남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위치
성남시의 지도
성남시의 위치
분당구 탄천 (신기교에서)
분당구 탄천 (신기교에서)
시의 상징
성남시 휘장
성남시 휘장
성남시 시기
성남시 시기
시목은행나무
시화철쭉
시조까치
행정 구역
국가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경기도
하위 행정 구역3구, 44동
행정동50
법정동44
인구
총 인구 (2024년 9월)914,832명
총 인구 (2023년)919,747명
남자 인구 (2023년)455,137명
여자 인구 (2023년)464,610명
인구 밀도7032.10명/km²
세대 (2023년)408,915
면적
총 면적141.70km²
총 면적 (일본어)141.63km²
정치
시장신상진 (국민의힘)
국회의원 (수정구)김태년(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중원구)이수진(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분당구 갑)안철수(국민의힘)
국회의원 (분당구 을)김은혜(국민의힘)
기타 정보
방언서울
행정구역분류코드31020
공식 웹사이트성남시 공식 웹사이트
시청 소재지(13569)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대로 997 (여수동 200)

2. 역사

1973년 이전의 역사는 광주군, 성남출장소 문서를 참고 하기 바란다.

1973년 7월 1일 광주군 대왕면·낙생면·돌마면 일원과 중부면 성남출장소 중 단대리·상대원리·탄리·수진리·복정리·창곡리 일대를 관할로 '''성남시'''가 설치되었다.[12]

급격한 인구 증가에 따라 1980년대 들어 성남시는 인구 기준 전국 10위 도시로 부상하였다. 비약적으로 증대하는 행정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1988년 7월 1일 기존의 돌마출장소, 대왕출장소, 낙생출장소를 폐지하고, 성남시 수정출장소중원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989년 5월 1일에는 수정 출장소, 중원 출장소 2개 출장소를 각각 수정구, 중원구로 승격하였다.

1989년 4월 27일, 성남시 남쪽 지역('남단녹지')을 중심으로 540여만 평 규모의 분당 지역에 10만 6천 호의 주택을 건설하여 42만 인구를 수용하는 분당신도시 건설 계획이 공식 발표·착수되었다. 1991년 9월 17일 중원구에서 분당구가 분구되어 현재의 3구에 이르고 있다.

2009년 11월 2일 중원구 여수동으로 시청사를 이전하였다. 2015년 12월 7일, 위례신도시 건설에 따라 서울특별시 송파구 및 경기도 하남시와 행정 구역 경계를 조정하였다.[13]

경기도 광주군(현재의 광주시)의 일부였으나, 한국 최초로 인공적으로 개발되어 1973년에 성남시가 설치되었다. 시의 남부는 1990년대 전반에 조성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밀집한 분당신도시로 계획 도시이다.

2. 1. 성남의 명칭 유래

성남(城南)이라는 이름은 남한산성의 남쪽에 있다는 뜻이다.[14]

2. 2. 광주대단지 사건

광주대단지 사건은 1971년 8월 10일부터 8월 12일까지 서울특별시의 일방적인 행정행위에 항거하여 경기도 광주군 성남출장소(광주 대단지) 개발 지역 주민 수만 명이 공권력을 해체시킨 채 도시를 점령하고 무력시위를 벌인 사건이다. 이 사건은 서울시의 판자촌 주민들을 지금의 성남시 수정구중원구로 강제 이주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광주대단지는 서울시의 빈민가 정비 및 철거민 이주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된 위성도시로, 지금의 경기도 성남시이다.[1]

사건 초기에는 3만 명의 시위대가 몰렸으나, 당일 5만 명의 시위대가 성남출장소를 점거한 뒤 시위 참여 시민이 10만 명 이상으로 폭증했다. 이에 박정희 정부는 내무부 장관, 서울특별시장, 경기도지사를 파견하여 이주민들에게 사과하고 요구 조건을 수용함으로써 3일 만에 진정되었고, 이후 정식으로 성남시가 설치되었다.[1]

2. 3. 성남시 성립

1973년 7월 1일 광주군 대왕면, 낙생면, 돌마면 일원과 중부면 성남출장소 중 단대리, 상대원리, 탄리, 수진리, 복정리, 창곡리 일대를 관할로 '''성남시'''가 설치되었다.[12]

2. 4. 분당신도시와 판교신도시 개발

1989년 4월 27일 성남시 남쪽 지역('남단녹지')을 중심으로 540여만 평 규모의 분당 지역에 10만 6천 호의 주택을 건설하여 42만 인구를 수용하는 분당신도시 건설 계획이 공식 발표·착수되었다.[12] 이에 따라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인구가 급증해 1991년 9월 17일 중원구에서 분당구가 분구되었다.

분당신도시


제6공화국 노태우 정권 당시 ‘주택 200만호 건설 공약’에 의해 계획된 5대 신도시 중 하나로 조성되었던 분당신도시 개발 시 신도시의 자족기능을 높이기 위하여 야탑동 148번지 일원에 ‘분당테크노밸리’를 조성하였다.

분당신도시의 초기 도시계획을 살펴보면, 당시 ‘백궁지구’였던 정자동 탄천 서쪽 일대 정자역세권 상업 지구를 대규모 ‘벤처밸리’로 지정하여 분당신도시CBD 기능을 살리고 도시의 자족기능을 높이기 위한 계획이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네이버 본사와 SK그룹의 일부 계열사가 분당신도시로 이전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 초반 강남발(江南發) 부동산시장의 고급 주상복합 아파트 및 거주용 오피스텔 열풍의 영향으로 정자역세권 일대의 상업 지구에는 고급 주상복합 아파트 및 거주용 오피스텔이 대거 건설되었다.

분당신도시의 입주가 15년차에 접어들고 안정되자, 정부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와 인접하고 분당신도시와 붙어있어 개발압력이 심했던 경부고속도로 판교 나들목 인근에 2기 신도시인 판교신도시를 개발하면서 신도시의 자족기능과 우수한 입지조건을 살리기 위해 판교 나들목 근처에 도시지원 시설용지를 지정하여 판교테크노밸리를 계획하였다.

3. 지리

성남시의 위치


동쪽으로는 남한산(522m), 청량산(479m), 검단산(535m), 불곡산(312m)의 긴 산줄기를 경계로 하남시, 광주시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청계산(618m)을 경계로 과천시, 의왕시와 접한다. 북쪽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강남구, 서초구와 접하고, 남쪽은 용인시와 접한다. 광주산맥에 둘러싸여 탄천을 따라 남북으로 긴 협곡 분지 지형이며, 1989년 성남시 남부에 건설된 분당신도시2000년대에 건설된 판교신도시는 성남 구시가지와 그린벨트로 생활권이 단절되어 있어 시가지와 생활권이 양분되어 있다. 서울시 중심부(시청)에서 21km 떨어져 있다.

4. 행정 구역

성남시는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의 3개 일반구로 구성되어 있다. 2023년 1월 말 기준 성남시의 면적은 141.72km2, 주민등록 인구는 408,915세대, 924,087명이다.[15]

성남시의 국회의원 선거구성남시 수정구, 성남시 중원구, 성남시 분당구 갑, 성남시 분당구 을로 총 4개이다.

박정희 정권 시절,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일대에 광주대단지라는 이름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성남시는 수도 개발권에 속한 주거 도시라는 특성 덕분에 방대한 공업단지가 조성되고 노동집약적 경공업이 육성되었다. 당시 청계천 일대 판자촌 철거 사업으로 인해 거주하던 주민들이 성남시로 강제 이주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성남시에 정착하게 되었다.

1919년 발간 조선총독부 5만분의1 성남시 부근 지도


현재 성남시는 IT산업 및 첨단산업 유치를 위해 경기도와 협력하여 공업단지 입주 업체에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테헤란 밸리 기업, 분당신도시에 입주한 공기업, 그리고 IT 및 첨단산업 관련 대기업과 협력 기업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함이다. 그 결과, 공업단지에는 아파트형 공장과 같은 인텔리전트 빌딩 형태의 현대식 공장들이 많이 들어섰고, 3개의 공업단지에는 2차 및 3차 산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기업들이 입주하여 인텔리전트 빌딩 신축 수와 분야별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주요 산업 분야는 금융, 서비스, 전자, 통신, 화학 등이다.

중원구 상대원동의 제2·3공업단지는 최근 ‘성남하이테크밸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수정구 신흥동의 제1공업단지는 모란역세권에 이어 성남시 수정구·중원구 생활권의 제2 도심지였으나, 토지 용도 문제로 오랫동안 개발되지 못하고 공터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최근 '비행안전구역 고도제한 완화'에 힘입어 '성남신흥(1공업단지) 도시개발구역지정 및 개발계획승인'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인근 희망대공원과 연계된 첨단 고층아파트 주거지역과 백화점, 쇼핑몰 등 상업시설이 있는 활기찬 도심지로 재개발이 진행 중이다.

4. 1. 구 목록

성남시는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의 3개 일반구로 구성된다.[15]

일반구면적 (km2)세대인구 (명)행정동
수정구45.46km2113,175229,56817
중원구26.41km2101,123213,07011
분당구69.77km2194,617481,44922
성남시141.64km2408,915924,08750



성남시 행정구역.

4. 2. 인구

2023년 1월말 기준 성남시의 주민등록 인구는 408,915세대, 924,087명이다.[15] 성남시는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의 3개 일반구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구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행정동
수정구壽井區45.46km2113,175229,56817
중원구中院區26.41km2101,123213,07011
분당구盆唐區69.77km2194,617481,44922
성남시城南市141.64km2408,915924,08750



2015년 기준으로 성남시의 인구는 969,675명이며 인구밀도는 6.915명/km2이다. 0~14세 인구는 16.7%, 65세 이상 인구는 11.3%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5%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높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2.3%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낮고, 노년인구부양비는 11%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좁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99.5로 여자가 다소 많다.[16]


  • 성남시의 인구추이[17]

연도총인구
1975년272,470명
1980년376,822명
1985년447,647명
1990년540,690명
1995년868,268명
2000년912,222명
2005년931,019명
2010년936,267명
2015년969,675명
2022년931,072명


5. 경제

서울특별시의 인구 분산 및 수도권 지역의 혼잡 완화 계획에 따라, 많은 대기업들이 서울 도심에서 성남시로 본사를 이전했다. KT, 네이버, HD현대중공업과 같은 유명 기업들의 본사가 성남시에 위치하고 있다.[4] 판교테크노밸리는 성남시의 대표적인 산업 단지이며,[5] 나우콤의 본사도 판교에 있다.[6] 판교는 그 중요성 때문에 성남시의 중심 지역으로 자리매김하여 기존 중원구와 수정구 북동부의 구도심을 대체하고 있다.

5. 1. 재정자립도

2018년 기준 성남시의 재정자립도는 63.53%로 경기도에서 2번째로 높다.[18] 판교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주요 IT기업들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5. 2. 산업

박정희 정권 시절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일원에 광주대단지라는 이름으로 새로 개발되기 시작한 성남시는, 수도 개발권에 있는 주거 도시라는 특수여건에 힘입어 방대한 공업단지를 조성하고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이 육성되기 시작하였다. 당시 청계천 일대 판자촌 철거 사업으로 거주하던 주민들을 성남시로 강제 이주시켜 많은 사람들이 성남시에 터전을 잡게 되었다.

현재 성남시는 각종 IT산업 및 첨단산업을 유치하기 위해 경기도와 함께 공업단지에 입주한 업체에 세제혜택을 주어, 테헤란 밸리 기업, 분당신도시에 입주한 각종 공기업, IT산업 및 첨단산업에 관련된 대기업과 관련 기업의 수요를 충족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공업단지에 아파트형 공장 등 인텔리전트 빌딩 형태의 현대식 공장들이 많이 입주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3개의 공업단지에 2차 및 3차 산업에 종사하는 각종 기업이 많이 입주해 새로 신축되는 인텔리전트 빌딩의 수와 분야별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산업으로는 금융·서비스·전자·통신·화학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중원구 상대원동의 제2·3공업단지는 최근 ‘성남하이테크밸리’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수정구 신흥동의 제1공업단지는 성남시 수정구·중원구 생활권에서 모란역세권에 이은 제2의 도심지가 되었으나 토지용도의 문제로 인해 오랫동안 개발되지 못하여 현재까지도 공터로 남아있던 상태였다. 그러나 최근 시 발전을 저해해 왔던 '비행안전구역 고도제한 완화'에 힘입어 '성남신흥(1공업단지) 도시개발구역지정 및 개발계획승인'이 이루어졌고, 이를 통해 인근의 희망대공원과 연계된 첨단 고층아파트 주거지역과 백화점, 쇼핑몰과 같은 상업시설이 위치해 있는 활기찬 도심지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대규모 재개발을 진행 중이다.

제6공화국 노태우 정권 당시 ‘주택 200만호 건설 공약’에 의해 계획된 5대 신도시 중 하나로 조성되었던 분당신도시 개발 시 신도시의 자족기능을 높이기 위하여 야탑동 148번지 일원에 ‘분당테크노밸리’를 조성하여 현재 기업들이 입주하여있으나 교통이 불편하고 외곽에 위치하기 때문에 비교적 주변 도시들과의 접근성이 편리한 분당선 역세권에 형성된 상업 지구에 비해 많이 활성화되지는 못하였지만 각종 중견기업들이 입주하여 운영되고 있다.

분당신도시의 초기 도시계획을 살펴보면 당시 ‘백궁지구’였던 정자동 탄천 서쪽 일대 정자역세권 상업 지구를 대규모 ‘벤처밸리’로 지정하여 분당신도시CBD 기능을 살리고 도시의 자족기능을 높이기 위한 계획이 존재하였으나(이에 따라 네이버 본사와 SK그룹의 일부 계열사가 분당신도시로 이전하였다.) 대신 2000년대 초반 강남발(江南發) 부동산시장의 고급 주상복합 아파트 및 거주용 오피스텔 열풍의 영향으로 정자역세권 일대의 상업 지구에는 고급 주상복합 아파트 및 거주용 오피스텔이 대거 건설되었다.

분당신도시의 입주가 15년차에 접어들고 안정세에 들자 정부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와 인접하고 분당신도시와 붙어있어 개발압력이 심했던 경부고속도로 판교 나들목 인근에 2기 신도시인 판교신도시를 개발하면서 신도시의 자족기능과 우수한 입지조건을 살리기 위해 판교 나들목 근처에 도시지원 시설용지를 지정하여 판교테크노밸리를 계획하였다. 그곳에 각종 IT·BT·CT·NT 및 첨단 융합 기술 연구시설 및 첨단 인프라 시설, 연구지원시설 등의 개발을 계획, 착수하여 현재 유수 관련 기업들이 입주해있고 많은 사무용 인텔리전트 빌딩을 건축 중에 있으며 개발은 2013년에 완공됐다.

성남시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46조으로 경기도 지역내 총생산의 6.4%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90억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9조으로 19.7%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37조으로 80.3%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분에서는 서울시와 가까운 지역으로써 교통이 편리하고 주거기능이 발달하여 사업서비스업(12.1%)과 건설업(10.0%), 부동산업 및 임대업(9.2%)과 도소매업(7.9%)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9]

성남시의 2010년 기준 상주인구는 928,009명이고 주간인구는 836,338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90으로 낮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101,649명, 유출인구는 181,598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14,991명, 유출인구는 26,713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출인구가 91,671명 더 많은데, 이는 수도권에서 서울특별시와 가깝거나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20]

수많은 대기업들이 서울 도심에서 성남으로 본사를 이전하여 정부의 서울 인구 분산 및 서울 수도권 지역의 혼잡 완화 계획을 지원하고 있다. 성남은 현재 KT(Korea Telecom), 네이버(NAVER), HD현대중공업(HD Hyundai Heavy Industries)과 같은 유명 기업들의 본사가 위치한 곳이다.[4]

판교테크노밸리(Pangyo Techno Valley)는 성남의 대표적인 산업 단지이다.[5] 나우콤(Nowcom)의 본사도 판교에 있다.[6] 판교(Pangyo)는 그 중요성 때문에 성남의 중심 지역으로 자리매김하여 기존 중원구와 수정구 북동부의 구도심을 대체하고 있다.

몇몇 회사의 본사가 성남시로 이전했다. 한국의 인터넷 검색 서비스 대기업 네이버(NAVER)이 본사 기능을 두고 있다.

6. 교통

서울 중심부로부터 20km 반경, 수원시 21km 반경에 있다. 경부고속도로용인서울고속도로가 시의 서남부를 통과하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주축으로 잠실 방면 도로와 광주-안양 간 도로가 있다.

;지하철/전철



;버스

종류노선주요 경유지
빨간 버스90OO, 93OO, 94OO (OO는 01을 제외한 다른 숫자)강남구 또는 서울특별시 중구행
녹색 버스경기도 버스서울, 광주, 용인시, 경기도 서부, 국도행
국도 제3호선광주 - 야탑 - 상대원 - 성남 나들목 - 가천대역 - 서울



;고속도로

6. 1. 철도

분당선의 각 역을 통하여 관내 교통과 연계되고 있다. 서울 지하철 8호선분당선 전철이 통과해 타 지역과의 소통이 편리하다. 기존 한국철도공사 분당선의 혼잡도 완화와 표정속도 증가를 목적으로 정자역에서 판교신도시를 거쳐 강남역을 잇는 신분당선2011년 10월 28일 개통하였다.

전 노선이 수도권 전철에 포함되지만, 신분당선은 운임 계산 방식이 다른 수도권 전철 노선과 다르다. 전 노선에서 T-money 사용이 가능하다.

6. 2. 버스

성남시는 서울 중심부로부터 20km 반경, 수원시 21km 반경에 있다. 경부고속도로용인서울고속도로가 시의 서남부를 통과하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주축으로 잠실 방면 도로와 광주-안양 간 도로, 서울 지하철 8호선분당선 전철이 통과해 타 지역과의 소통이 편리하다. 2011년 10월 28일에는 정자역에서 판교신도시를 거쳐 강남역을 잇는 신분당선이 개통되어 분당선의 혼잡도 완화와 표정속도 증가에 기여했다.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은 야탑역에 인접해 있다. 고속버스는 부산종합버스터미널로 50~6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소요 시간은 4시간 10분이다. 그 외 대구(대구한진), 광주, 전주 등으로 가는 노선이 있다. 시외버스는 대전의 유성온천터미널·대전시청으로 가는 노선 외에 부천시, 송탄터미널(평택시), 안성, 오산, 춘천, 원주, 제천, 청주, 온양온천(아산시), 군산, 익산, 순천, 구미, 포항 등으로 가는 노선이 있다. 공항버스는 야탑역이나 정자역 등에서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으로 가는 노선이 있다. 일반버스는 시내만 운행하는 노선 외에 서울특별시를 비롯하여 수원시, 광주, 용인시의 버스도 운행한다.

빨간 버스는 9000번, 9300번, 9400번 (강남구 또는 서울특별시 중구행) 등이 있다. 녹색 버스는 서울, 광주, 용인시, 경기도 서부, 국도행 노선과 국도 제3호선을 경유하는 광주 - 야탑 - 상대원 - 성남 나들목 - 가천대역 - 서울 노선 등이 있다.

6. 3. 도로

성남시는 서울 중앙부로부터 20km 반경, 수원시 21km 반경에 있다. 경부고속도로용인서울고속도로가 시의 서남부를 통과하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주축으로 잠실 방면 도로와 광주-안양 간 도로, 서울 지하철 8호선분당선 전철이 통과해 타 지역과의 소통이 편리하다. 2011년 10월 28일에는 정자역에서 판교신도시를 거쳐 강남역을 잇는 신분당선이 개통하여 기존 한국철도공사 분당선의 혼잡도 완화와 표정속도 증가에 기여했다.[1]

;지하철/전철

;버스

종류노선주요 경유지
빨간 버스90OO, 93OO, 94OO (OO는 01을 제외한 다른 숫자)강남구 또는 서울특별시 중구행
녹색 버스경기도 버스서울, 광주, 용인시, 경기도 서부, 국도행
국도 제3호선광주 - 야탑 - 상대원 - 성남 나들목 - 가천대역 - 서울



;고속도로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100번 국도)
  • 경부고속도로 (1번 국도)
  • 용인서울고속도로 (171번 국도)
  • 분당수서 도시고속화도로 (81번 국도)
  • 분당내곡 도시고속화도로 (81번 국도)
  • 경부고속도로(1호선): 서울요금소 - 판교 나들목 - 판교 분기점 - 판교 임시 나들목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100호선): 판교 분기점 - 성남 나들목 - 성남 요금소
  • 용인서울고속도로(171호선): 서판교 나들목 - 금토 요금소 - 고등 나들목
  • 제2경인고속도로(110호선): 북판교 요금소 - 동판교 나들목 - 여수대로 나들목
  • 국도 제3호선

7. 교육

성남시는 높은 교육 수준으로 잘 알려져 있다. 경기도교육청 관할이며, 시 교육청은 경기도교육감에게 보고하고 분당구 서현동에 있다. 시내 유일의 국제학교는 코리아 인터내셔널 스쿨 - 판교이다. 성남외국어고등학교가 있다.[7]

7. 1. 대학교

동서울대학교가천대학교가 성남시의 주요 대학교이며, 많은 고등학교가 지역 학생들에게 경쟁력 있고 엄격한 교육을 제공한다.[7]

7. 2. 도서관



성남시에는 도서관 1곳과 시립도서관 17곳이 있다.

8. 문화·관광


: 오페라하우스, 콘서트홀, 앙상블시어터 등 3개의 극장과 미술관 본관, 큐브미술관으로 나뉘어있는 전시장과 아카데미, 음악분수와 야외광장, 편의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21]
: 사적 제57호이며, 2014년 6월 22일에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남한산성은 통일신라시대에 축성된 주장성으로 추정되며, 군수 물자를 저장하는 특수 창고를 설치한 중요한 거점성이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외성과 옹성을 갖춘 전형적인 산성이면서, 산성의 변화 과정과 기능을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병자호란 시기 최후의 항전지이기도 하다.

  • 판교환경생태학습원

: 어린이들이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과 생명의 소중함을 알고 환경과 자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기관이다.[22]
: 1600년 전 한성백제시대 석실분 밀집 지역으로 삼국시대의 동북아 교류를 보여주는 증거인 한성백제 유적 9기와 고구려의 남하 증거인 2기의 석실분을 보유한 박물관으로서 성남의 역사를 보여 주는 박물관이다.[23]
: 잔디광장, 상록수광장, 역말광장, 황새울광장, 야외공연장과 복원된 지방문화재인 고인돌 정원, 수내동 가옥 등으로 구성된다.

  • 분당중앙공원

9. 스포츠

성남 FC1989년 일화 천마 축구단으로 창단되어 초기엔 서울을 연고로 하는 축구단이었지만,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에 의하여 1996년 천안으로 옮겨갔으며, 다시 2000년 성남으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정착하였다. K리그 7회 우승, AFC 챔피언스리그 2회 우승, 아프로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 등 각종 대회에서 총 18회 이상의 우승을 한 아시아 최고의 축구단 중 하나이다.[24] 홈경기장은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탄천종합운동장이다. 현재는 K리그2에서 활동하고 있다.

성남 블루팬더스2017년 11월 경기도 성남시 야탑동 소재 야구학교가 경기도 성남시를 연고로 하는 독립리그 야구단을 창단한다고 발표하였다.[24]

성남시청 필드하키단이 있다.

성남 ROX는 2019년 창단된 카트라이더 리그 게임단이다. 2020년 성남산업진흥원에서 E스포츠 게임단 운영지원에 따라 성남시를 연고로 가지게 되었다.


10. 출신 인물

이름직업비고
이요원배우, 모델[1][19]
이연희배우, 모델[2]
라윤찬아역 배우[3]
조종환가수100% 및 그 하위 유닛 100% V의 멤버[4]
다현가수트와이스 멤버[5][24]
솔빈가수LABOUM 멤버[6]
키노가수펜타곤 멤버[7][31]
연준가수TXT 멤버[8][27]
전희진가수이달의 소녀 멤버[9]
허찬가수빅톤 멤버[10]
장승연가수CLC 멤버[11]
홍성준가수BDC 멤버[12]
선우가수더보이즈 멤버[13][26]
지민가수전 AOA 멤버[14]
이가현가수드림캐쳐 멤버[15]
조승연솔로 가수[16]
민영가수브레이브걸스 멤버[17]
이병헌배우[18]
심은하배우, 모델[20]
신민아배우[21]
서민정배우[22]
하리수모델, 가수, 배우[23]
천지가수틴탑 멤버[25]
박지수농구 선수[28]
황의조축구 선수[29]
솔지가수EXID 멤버[30]
고니(건희)가수원어스 멤버[32]
카리나가수에스파 멤버[33]


11. 논란

성남시는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대표적으로 호화 청사 건설 논란과 모라토리엄 선언이 있다.

11. 1. 호화 청사 건설 논란

2009년 성남시는 새로운 성남시청사를 건설하였다. 그러나 그 비용이 무려 3.222조에 달하고 에너지 효율도 매우 낮은 것으로 드러나 각 언론, 정치권, 시민단체들의 비판을 받았다. 이명박 대통령도 "호화청사를 뜯어고쳐서라도 에너지 효율을 높여야 한다"며 비판하였다.[25][26] 새로 건설된 성남시청사는 전라남도나 전라북도 청사보다 크며, 서울시 청사와 맞먹는 수준이다.[27] 이후 성남시는 복지예산도 대폭 삭감한 것으로 드러나 야당 시의원의 비판을 받았다.[28] 이러한 지자체들의 호화 청사 논란 가운데 감사원은 지자체들에 대해 감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29]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이러한 논란에 대해 사과하였으며,[30] 한나라당은 지자체들의 호화 청사를 막기 위한 대책을 세운다고 밝혔다.[31] 이러한 호화 청사를 짓던 당시 시장직을 맡았던 이대엽2010년 지방선거에서 낙선하였다. 이후 성남시 호화청사와 관련된 수사 과정에서 공무원들의 충성맹세 등 갖은 비리가 드러났다.[32]

11. 2. 모라토리엄 선언

2009년 성남시는 새로운 성남시청사를 건설하였다. 그러나 그 비용이 무려 3.222조에 달했고, 에너지 효율도 매우 낮은 것으로 드러나 각 언론들과 정치권, 시민단체들의 비판을 받았다. 이명박 대통령도 "호화청사를 뜯어고쳐서라도 에너지 효율을 높여야 한다"며 비판하였다.[25][26] 새로 건설된 성남시청사는 전라남도나 전라북도의 청사보다 크며, 서울시의 청사와도 맞먹는 수준이다.[27] 이후 성남시는 복지예산도 대폭 삭감한 것으로 드러나 야당 시의원의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28] 이러한 지자체들의 호화 청사 논란 가운데 감사원은 지자체들에 대해 감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29]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이러한 논란에 대해 사과를 하였으며,[30] 한나라당은 지자체들의 호화 청사를 막기 위한 대책을 세운다고 밝혔다.[31] 이러한 호화 청사를 짓던 당시 시장직을 맡았던 이대엽2010년 지방선거에서 낙선하였다. 이후 성남시의 호화청사와 관련된 수사 과정에서 공무원들의 충성맹세 등 갖은 비리들이 드러났다.[32]

한편 성남시는 2010년 7월 12일에 판교특별회계에서 빌려쓴 돈 5.2조을 단기간에 갚을 수 없다며 대한민국 지방자치단체로는 최초로 모라토리엄을 선언하였다.[33] 그로 인해 2010년 12월 30일 성남시는 성남시 소속 스포츠 팀 15곳 중 12곳을 해산시켰다. 이 조치로 80여 명의 선수들과 감독들이 해고당했다.[34]

12. 자매 도시



성남시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10]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Suwon City http://www.suwon.go.[...] 2018-06-14
[3] 뉴스 성남시민프로축구단 http://www.seongnamf[...] 2018-06-14
[4] 웹사이트 개인 {{!}} 글로벌 No.1 KT https://web.archive.[...] 2018-06-14
[5] 웹사이트 찾아오시는길 http://www.pangyotec[...] 경기도 판교 테크노 벨리
[6] 웹사이트 오시는길 http://www.nowcom.co[...] Nowcom 2011-09-17
[7] 웹사이트 Gachon University's Admission Contacts http://www.gachon.ac[...] 2019-03-06
[8] 웹사이트 고객감동 문화공간 성남아트센터 http://www.snart.or.[...] 2018-12-20
[9]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10] 웹사이트 국외 https://www.seongnam[...] Seongnam 2020-04-17
[1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2] 간행물 시설치와 군의 폐치분합에 관한 법률 1973-03-12
[13] 법률 서울특별시 송파구와 경기도 성남시, 하남시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http://www.law.go.kr[...] 2015-11-26
[14] 뉴스 성남시, 새이름 찾는다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6-08-01
[15] 웹사이트 성남시 일반현황 인구 http://www.seongnam.[...] 2023-02-07
[16] 웹사이트 2011 경기도 통계연보 PDF 자료 http://www.cans21.ne[...]
[17]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18] 웹인용 경기지역 24개 시·군 재정자립도 ↓···안산·과천 하락폭 커 https://news.joins.c[...] 2018-04-15
[19] 웹사이트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0] 웹사이트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1] 웹사이트 홈페이지 www.snart.or.kr/
[22] 웹사이트 http://ppark.seongna[...]
[23] 웹사이트 https://www.pangyomu[...]
[24] 웹인용 성남시 독립야구단 '블루팬더스'(가칭) 11월 창단 https://sports.news.[...] 2020-07-12
[25] 뉴스인용 성남시청사, 악이 더 큰 악을 부르나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10-03-20
[26] 뉴스인용 "에너지 낭비 청사" 대통령 지적에 지자체 '비상'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3-20
[27] 뉴스인용 경기도 성남시, 호텔 뺨치는 '호화 신청사' 논란 https://news.naver.c[...] SBS 2010-03-20
[28] 뉴스인용 '호화청사' 성남시 내년 예산 6천억 원 축소 https://news.naver.c[...] mbn 2010-03-20
[29] 뉴스인용 감사원, `호화청사' 지자체 특별감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3-20
[30] 뉴스인용 김문수 지사 "전 국장 구속·성남 호화청사 죄송" https://news.naver.c[...] SBS 2010-03-20
[31] 뉴스인용 한나라당, "지자체 호화 청사 건립 제재" https://news.naver.c[...] YTN 2010-03-20
[32] 뉴스 사실로 드러난 성남시 공무원들의 '충성맹세' http://www.vop.co.kr[...] 민중의소리 2010-10-25
[33] 뉴스인용 성남시, 판교특별회계 돈 `지급유예` 선언 https://web.archive.[...] 연합뉴스 2010-07-12
[34] 뉴스인용 [집중기획] '쇼트트랙 황제'가 청년백수로..."안현수를 원하는 곳이 없었다"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1-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