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유 우타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유 우타미는 수하르토 퇴진 이후 인도네시아 신세대 예술가로, 소설 《사만》으로 유명하다. 자카르타에서 성장하여 러시아어와 러시아 문학을 전공했으며, 언론인으로 활동하다가 수하르토 정권의 탄압에 맞서 독립 저널리스트 연맹을 결성했다. 소설 《사만》은 인도네시아 사회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쳐 클라우스 공 상을 받았고, 이후 《라룽》, 《빌랑안 푸》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작품을 통해 사회 비판과 여성 해방을 다루며, 가부장적 사회 구조에 대한 저항을 표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 대학교 동문 - 니콜라스 사푸트라
    니콜라스 사푸트라는 2002년 영화 데뷔 후 인도네시아 영화계의 주요 배우로 활동하며 유니세프 친선대사 및 환경 운동가로도 활동하는 인도네시아의 배우이자 영화 제작자이다.
  • 인도네시아 대학교 동문 - 로사 로슬라이나
    로사 로슬라이나는 1988년 아동 가수로 데뷔하여 여러 앨범을 발매하고 콘서트를 개최하며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주변 국가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영화, 드라마, 음악 경연 프로그램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인도네시아의 가수, 배우, 사업가이다.
  • 인도네시아의 여성주의자 - 카르티니
    인도네시아의 여성 운동가이자 민족주의 선구자인 카르티니는 자바 귀족 출신으로 여성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여성 권익 향상에 헌신하여 인도네시아의 국가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 인도네시아의 여성주의자 - 엔하 디니
    엔하 디니는 여성의 시각으로 사회 문제를 조명하고 프랑스 문학을 번역한 인도네시아 소설가이자 번역가로, 《두 개의 세상》, 《내 이름은 히로코》 등의 작품을 썼으며 동남아시아 작가상을 수상했다.
  • 인도네시아의 소설가 - 세노 구미라 아지다르마
    세노 구미라 아지다르마는 사회 비판적 시각과 인도네시아 사회 현실을 반영하는 작품 세계를 구축한 인도네시아의 저명한 작가로, 다양한 문학상 수상 경력이 있으며 그의 작품은 한국에도 소개되어 깊은 인상을 남겼다.
  • 인도네시아의 소설가 - 엔하 디니
    엔하 디니는 여성의 시각으로 사회 문제를 조명하고 프랑스 문학을 번역한 인도네시아 소설가이자 번역가로, 《두 개의 세상》, 《내 이름은 히로코》 등의 작품을 썼으며 동남아시아 작가상을 수상했다.
아유 우타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유 우타미, 국제 페미니즘 컨퍼런스에서, 2016년
Utami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eminism, 2016 (2016년 국제 페미니즘 컨퍼런스에서의 우타미)
이름아유 우타미
출생일1968년 11월 21일
출생지보고르
직업작가, 저널리스트
교육러시아어
모교인도네시아 대학교
활동 기간1990년대–현재
장르소설, 에세이
주제권위주의, 여성 해방, 성
사조Sastra wangi (사스트라 왕이)
배우자알려진 정보 없음
파트너알려진 정보 없음
자녀알려진 정보 없음
친척알려진 정보 없음
수상Sayembara (novel) Dewan Kesenian Jakarta (자카르타 예술 위원회 소설 공모전)
Kusala Sastra Khatulistiwa (쿠살라 사스트라 카투리스티와)
프린스 클라우스 상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대표 작품
대표작Saman (사만)

2. 작가 배경

아유 우타미는 수하르토 퇴진 이후 인도네시아의 신세대 예술가 중 한 명이다. 자와보고르에서 태어나 자카르타에서 성장했으며, 인도네시아 대학교에서 러시아어학러시아 문학을 공부했다. 대학 시절 르포와 에세이를 기고하며 작가 경력을 시작했고, 1990년 미인 대회 '와자 페미나(Wajah Femina)' 최종심까지 진출했으나 화장을 싫어해 모델 활동은 하지 않았다.

여러 신문사에 글을 기고하며 저널리스트로 활동하던 중, 1994년 수하르토 정권의 언론 탄압에 맞서 독립 저널리스트 연맹(Aliansi Jurnalis Independen)을 결성하고 우탄 카유 공동체에서 활동하며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다.

1998년 수하르토 퇴진 직전 발표한 첫 소설 《사만》은 인도네시아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 소설은 자카르타 예술위원회 소설 공모전에서 1등상을 받았고, 인도네시아 예술가와 지식인들 사이에서 논쟁거리가 되었다. 전통적인 문체와 가치관을 타파하고 여성의 성적 자유, 종족 간의 차별, 종교를 둘러싼 인간적 갈등을 정면으로 다루었기 때문이다. 덕분에 이는 많은 평자들에게 호의적인 평가를 받았고, 인도네시아 문학의 새로운 이정표가 되었다.[13]

《사만》은 인도네시아의 사회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작품으로 인정되어 클라우스 공 재단에서 수여하는 클라우스 공 상을 받기도 하였다.[13] 대중적으로도 이 작품은 상당한 인기를 끌어 인도네시아 출판 사상 최고의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며[13], 2001년 우타미는 후속작인 《라룽(Larung)》을 발표하였다.[18]

이후에도 우타미는 활발한 창작 활동을 계속하여 2008년작 장편 소설 《빌랑안 푸(Bilangan Fu)》로 적도 문학상을 수상하였으며, 언론의 자유표현의 자유를 위해 창간한 문예지인 《칼람(Kalam)》의 공동 대표를 맡고 있기도 하다.[13]

2002년의 우타미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아유 우타미는 수하르토 퇴진 이후의 신세대 인도네시아 예술가들 가운데 돋보이는 인물이다. 자와보고르에서 태어나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에서 성장하였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인도네시아 대학교에 진학하여 러시아어학러시아 문학을 공부하였다. 대학교 재학 중에 여러 신문에 르포와 에세이를 투고함으로써 작가 경력을 시작하였다. 잠깐 모델로도 활동하여 1990년 미인 대회 '와자 페미나(Wajah Femina)'의 최종심까지 진출하였으나, 화장하는 것을 싫어하여 모델 경력을 이어나가지는 않았다.[4]

2. 2. 초기 경력

아유 우타미는 수하르토 퇴진 이후의 신세대 인도네시아 예술가들 가운데 돋보이는 인물이다. 우타미는 자와보고르에서 태어나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에서 성장하였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인도네시아 대학교에 진학하여 러시아어학러시아 문학을 공부하였다. 대학교 재학 중에 여러 신문에 르포와 에세이를 투고함으로써 작가 경력을 시작하였다. 잠깐 모델로도 활동하여 1990년 미인 대회 '와자 페미나(Wajah Femina)'의 최종심까지 진출하였으나, 화장하는 것을 싫어하여 모델 경력을 이어나가지는 않았다.

우타미는 ''유머'', ''마트라'', ''포럼 케아딜란'', ''D&R'' 등 다양한 신문사에 글을 싣는 저널리스트로서의 경력을 쌓아 나갔다. 1994년 수하르토 정권이 ''템포'', ''에디터'', ''데틱'' 세 개의 잡지를 판금한 후에는 신세대 언론인들과 함께 독립 저널리스트 연맹(Aliansi Jurnalis Independenid)을 결성하여 이 조치에 대한 저항 의지를 표하였다.[15] 그 후 우타미는 자카르타 동부 외곽의 작은 지하 극장 '우탄 카유(Utan Kayu)'을 비밀 근거지로 삼고, 구나완 모하맛(Goenawan Mohamad)을 비롯한 민주화 운동가들과 연대하여 우탄 카유 공동체를 결성, 지하에서 저널리스트 활동을 계속하였다. 수하르토 정권의 부패상을 고발하는 흑서를 익명으로 출판하는 등 민주화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가담하였다.[16]

2. 3. 언론 활동과 민주화 운동

아유 우타미는 수하르토 퇴진 이후의 신세대 인도네시아 예술가들 가운데 돋보이는 인물이다. 1994년 수하르토 정권이 세 개의 잡지(''Tempo'', ''Editor'', ''Detik'')를 판금하자, 신세대 언론인들과 함께 독립 저널리스트 연맹(Aliansi Jurnalis Independen|독립 언론인 연합id)을 결성하여 이 조치에 대한 저항 의지를 표하였다.[15] 그 후 우타미는 자카르타 동부 외곽의 작은 지하 극장 '우탄 카유(Utan Kayu)'를 비밀 근거지로 삼고, 구나완 모하맛(Goenawan Mohamad)을 비롯한 민주화 운동가들과 연대하여 우탄 카유 공동체를 결성, 지하에서 저널리스트 활동을 계속하였다. 수하르토 정권의 부패상을 고발하는 흑서를 익명으로 출판하는 등 민주화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가담하였다.[16]

3. 문학 활동

자바 섬 서부 보고르에서 태어나 자카르타에서 자란 아유 우타미는 인도네시아 대학교에서 러시아 문학을 전공하여 학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 재학 중 신문에 평론을 기고했으며, 1990년에는 인도네시아 미인 대회 '와자 페미나(Wajah Femina)'에서 결선 진출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1994년 수하르토가 3개의 잡지 발행을 금지하자, 이에 항의하여 독립 저널리스트 동맹에 가입했다. 이후 익명으로 수하르토 정권의 부패를 고발하는 책을 출판하는 등 활동을 펼쳤다.

2005년 10월 26일, 아이오와 대학교 국제 작가 프로그램이 후원하는 아이오와 시티 공립 도서관에서 "내가 왜 쓰는가"라는 주제로 열린 패널 토론에 참여했다.[9] 이 자리에서 그녀는 "내 소설 쓰기의 시작은 아마도 아버지상에 대한 일종의 청소년기적 부정 투쟁이었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그녀의 소설에서 이 아버지상은 다양한 가부장적 사회 구조와 제도, 문학적 관습, 그리고 전 독재자 수하르토와 같은 정권을 포괄한다.[10]

3. 1. 《사만》과 《라룽》

사만》에서 아유 우타미는 수하르토 시대 동안 농부와 마을 사람들을 황폐하게 만든 신식민주의 정책에 대한 저항과 인도네시아 여성의 각성을 엮어낸다. 소설의 구조는 복잡하며, 1990년대에서 1980년대, 1960년대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고 내려가며 다양한 관점에서 이야기를 전개한다.[4]

《사만》은 1998년 학생과 노동자들에 의해 전복된 신질서에 대한 중요한 비판을 제공한다. 수하르토의 검열에서 벗어난 아유 우타미의 소설은 이전에 말할 수 없었던 진실을 과감하게 폭로한다. 성적 자유를 포함한 여성의 새로운 자유에 대한 솔직하고 축하하는 방식은 등장 당시 획기적인 혁신이었다.[4]

우타미는 사회적 금기를 솔직하게 다루며, 이는 지금까지의 인도네시아 문학과 결별하는 것이다. 그녀는 사랑과 성에 대해 자유롭게 쓰고, 무슬림과 기독교인의 어려운 관계를 핵심 주제로 다루는 동시에 중국 소수 민족에 대한 혐오를 다룬다. . . . 우타미의 문체는 생동감 있고 현대적이며, 인도네시아 구전 전통의 풍요로움을 반영한다. 작가는 다양한 서술적 관점, 장소, 시간 척도를 능숙하게 전환하고, 꿈의 시퀀스와 오래된 신화를 1990년대 인도네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관계에 대한 묘사와 연결한다.영어[4]

바바라 해틀리는 "텍스트 [''사만'']의 핵심 '혁신'은 인도네시아의 여성 표현과 여성 문학의 오랜 관습, 그리고 이러한 관습이 기반을 둔 여성적 본질과 젠더 관계에 대한 개념을 전복하는 것이다"라고 주장한다.[8]

아유 우타미의 처녀작 《사만》의 출판은 수하르토 실각 몇 주 전에 이루어졌고, 이는 인도네시아의 정치적, 문화적 변화를 국민에게 강하게 각인시키며 예술가와 지식인들 사이에서 호평과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인도네시아 문학에 있어서 새로운 획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았으며, 2001년에는 속편 《라룽》도 출판되었다.

3. 2. 《빌랑안 푸》 및 기타 작품


  • 《사만(Saman)》 (KPG, 자카르타, 1998)
  • 《사만》 영어 번역판 (Pamela Allen영어 번역, 2005, Equinox Publishing, 자카르타)
  • 《라룽(Larung)》 (2002)
  • 《시 파라시트 라장(Si Parasit Lajang)》(에세이 모음집) (가가스미디어(GagasMedia), 자카르타, 2003)
  • 《세리타 친타 엔리코(Cerita Cinta Enrico)》 (KPG, 자카르타, 2012)
  • 《펭아쿠안 엑스 파라시트 라장(Pengakuan Eks Parasit Lajang)》
  • 《빌랑안 푸(Bilangan Fu)》 (자카르타, 2008)
  • 《만잘리 단 챠크라비라와(Manjali dan Cakrabirawa)》 (KPG, 자카르타, 2010)
  • 《라리타(Lalita)》
  • 《펭아딜란 수실라(Pengadilan Susila)》(수실라의 재판)
  • 《루마 마이다(Ruma Maida)》(마이다의 집; 2009; 각본가)

3. 3. 《수실라의 재판》

2008년 3월, 우타미는 베테랑 극작가 아구스 노르와 공동 집필한 연극 ''시당 수실라''(Sidang Susila, 수실라의 재판)의 각본을 바탕으로 ''Pengadilan Susila'' (수실라의 재판)를 출판했다. 자카르타 포스트에 따르면, "아유는 그녀의 새 책을 여성의 권리를 침해하는 도덕 운동과 규정에 맞서 싸우는 무기로 여긴다."[11] 이 연극과 책은 인도네시아 국회에서 논의 중이던 반 포르노 법안에 반대하는 우타미의 시위 참여에서 비롯되었다. 족자카르타의 유명한 극단인 ''테아터 간드릭''(Teater Gandrik)의 연극 제작을 다룬 기사에서 배우 부텻 카르타레자사는 이 연극이 헌법이 강요하려는 위장된 도덕적 진실을 폭로한다고 말했다. "''시당 수실라''는 도덕이라는 이름으로 행동하는 권위주의 정권의 어두운 그림자를 암시한다."

''시당 수실라''는 공공장소에서 품위 유지법 시행의 영향으로 시작된다. 이 연극에서 품위를 위반한 것으로 여겨지는 사람들은 베테랑 배우 수실로 누그로호가 연기한 수실라를 포함하여 당국에 의해 체포된다. 이 극은 그 후 수실라에게 초점을 맞추며, 그는 국가 당국에 의해 무력하게 감금된다. 수실라는 공공장소에서 큰 "가슴"을 드러내 포르노를 "저질렀다"는 혐의로 기소되었고, 이는 정치 엘리트가 통과시킨 새 법을 위반하는 행위였다. 사실 그는 가난한 아이 장난감 행상인일 뿐 아무런 잘못도 저지르지 않았다. 이 극의 체포 담당관은 수실라가 사실 남자이며 그의 가슴이 종양으로 인해 커졌다는 주장을 무시한다. 수실라는 그 후 수감되어 재판을 받는다. 바로 여기서 통치자들이 임의로 행동한다. 공식 심문 보고서는 강제로 작성되며 법원 절차는 통치자의 소망에 맞춰 진행된다.[12]

4. 작품 세계

아유 우타미는 소설 쓰기를 통해 가부장적 사회 구조, 제도, 문학적 관습, 그리고 수하르토와 같은 권위주의 정권에 저항하는 '아버지상'에 대한 청소년기적 투쟁을 표현했다.[10] 2005년 10월 26일, 아이오와 대학교 국제 작가 프로그램이 후원하는 토론회에서 그녀는 자신의 소설 쓰기가 이러한 투쟁에서 시작되었음을 밝혔다.[9]

4. 1. 사회 비판과 여성 해방

아유 우타미는 소설 ''사만''에서 수하르토 시대 농민과 마을 사람들을 힘들게 했던 신식민주의 정책에 대한 저항, 그리고 인도네시아 여성의 각성을 함께 이야기한다. 소설은 1990년대, 1980년대, 1960년대를 오가며 다양한 관점에서 이야기가 전개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4]

''사만''은 1998년 학생과 노동자들에 의해 무너진 신질서에 대한 중요한 비판을 담고 있다. 수하르토의 검열에서 벗어난 아유 우타미의 소설은 이전에는 말할 수 없었던 진실을 과감하게 드러낸다. 특히 성적 자유를 포함한 여성의 새로운 자유를 솔직하고 긍정적으로 묘사한 것은 당시 획기적인 혁신이었다.[4]

아유 우타미는 사회적 금기를 솔직하게 다루며, 이는 이전의 인도네시아 문학과 차별점을 보인다. 그녀는 사랑과 성에 대해 자유롭게 쓰고, 무슬림과 기독교인의 어려운 관계를 핵심 주제로 다루면서 중국 소수 민족에 대한 혐오를 다룬다. 아유 우타미의 문체는 생동감 있고 현대적이며, 인도네시아 구전 전통의 풍요로움을 반영한다. 작가는 다양한 서술적 관점, 장소, 시간을 능숙하게 전환하고, 꿈의 시퀀스와 오래된 신화를 1990년대 인도네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관계에 대한 묘사와 연결한다.[4]

바바라 해틀리는 "''사만''의 핵심 '혁신'은 인도네시아의 여성 표현과 여성 문학의 오랜 관습, 그리고 이러한 관습이 기반을 둔 여성적 본질과 젠더 관계에 대한 개념을 뒤엎는 것이다"라고 주장한다.[8]

2008년 3월, 아유 우타미는 아구스 노르와 공동 집필한 연극 ''시당 수실라''(Sidang Susila, 수실라의 재판)의 각본을 바탕으로 ''Pengadilan Susila''(수실라의 재판)를 출판했다. 자카르타 포스트에 따르면, "아유는 그녀의 새 책을 여성의 권리를 침해하는 도덕 운동과 규정에 맞서 싸우는 무기로 여긴다."[11] 이 연극과 책은 인도네시아 국회에서 논의 중이던 반 포르노 법안에 반대하는 우타미의 시위 참여에서 비롯되었다. 족자카르타의 극단 ''테아터 간드릭''의 연극 제작에서 배우 부텻 카르타레자사는 이 연극이 헌법이 강요하려는 위장된 도덕적 진실을 폭로한다고 말했다. "''시당 수실라''는 도덕이라는 이름으로 행동하는 권위주의 정권의 어두운 그림자를 암시한다."[12]

''시당 수실라''는 공공장소에서 품위 유지법 시행의 영향으로 시작된다. 이 연극에서 수실라를 포함하여 품위를 위반한 것으로 여겨지는 사람들은 당국에 의해 체포된다. 연극은 국가 당국에 의해 무력하게 감금된 수실라에게 초점을 맞춘다. 수실라는 공공장소에서 큰 "가슴"을 드러내 포르노를 "저질렀다"는 혐의로 기소되었고, 이는 정치 엘리트가 통과시킨 새 법을 위반하는 행위였다. 그는 가난한 아이 장난감 행상인일 뿐 아무런 잘못도 저지르지 않았다. 체포 담당관은 수실라가 사실 남자이며 그의 가슴이 종양으로 인해 커졌다는 주장을 무시한다. 수실라는 그 후 수감되어 재판을 받는다. 공식 심문 보고서는 강제로 작성되며 법원 절차는 통치자의 소망에 맞춰 진행된다.[12]

4. 2. 문학적 특징

아유 우타미는 《사만》에서 수하르토 시대 농민과 마을 사람들을 억압한 신식민주의 정책에 대한 저항, 그리고 인도네시아 여성의 각성을 함께 그려낸다. 소설은 1990년대에서 1980년대, 1960년대로 시간을 오가며 다양한 관점에서 이야기가 전개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4]

《사만》은 1998년 학생과 노동자들에 의해 무너진 신질서에 대한 중요한 비판을 담고 있다. 수하르토의 검열에서 벗어난 아유 우타미의 소설은 이전에는 말할 수 없었던 진실을 과감하게 드러낸다. 성적 자유를 포함한 여성의 새로운 자유를 솔직하고 긍정적으로 묘사한 방식은 당시 획기적인 혁신이었다.[4]

우타미는 사회적 금기를 솔직하게 다루는데, 이는 이전까지의 인도네시아 문학과 결별하는 지점이다. 그녀는 사랑과 성에 대해 자유롭게 쓰고, 무슬림과 기독교인의 어려운 관계를 핵심 주제로 다루는 동시에 중국 소수 민족에 대한 혐오를 다룬다. 우타미의 문체는 생동감 있고 현대적이며, 인도네시아 구전 전통의 풍요로움을 반영한다. 작가는 다양한 서술적 관점, 장소, 시간을 능숙하게 전환하고, 꿈의 시퀀스와 오래된 신화를 1990년대 인도네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관계에 대한 묘사와 연결한다.[4]

바바라 해틀리는 "《사만》의 핵심 '혁신'은 인도네시아의 여성 표현과 여성 문학의 오랜 관습, 그리고 이러한 관습이 기반을 둔 여성적 본질과 젠더 관계에 대한 개념을 전복하는 것이다"라고 주장한다.[8]

2005년 10월 26일, 아유 우타미는 아이오와 대학교 국제 작가 프로그램이 후원하는 아이오와 시티 공립 도서관에서 "내가 왜 쓰는가"라는 주제로 열린 패널 토론에 참여했다.[9] 그녀는 "내 소설 쓰기의 시작은 아마도 아버지상에 대한 일종의 청소년기적 부정 투쟁이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소설에서 보여주듯이 이 아버지상은 다양한 가부장적 사회 구조와 제도, 문학적 관습, 그리고 전 독재자 수하르토와 같은 정권을 포함한다.[10]

5. 수상

연도수상작품
1998년자카르타 예술위원회 소설 공모전 1등상《사만》
2000년클라우스 공 상《사만》
2008년적도 문학상《빌랑안 푸》


6. 작품 목록


  • 사만(Saman)》 (1998)
  • 《라룽(Larung)》 (2001)
  • 《Si Parasit Lajang》 (2003)
  • 《빌랑안 푸(Bilangan Fu)》 (2008)
  • 《Manjali Dan Cakrabirawa》 (2010)
  • 《사만(Saman)》 (KPG, 자카르타, 1998, 영어 번역영어: 파멜라 앨런(Pamela Allen), 2005, Equinox Publishing, 자카르타 출판)
  • 《라룽(Larung)》 (2002)
  • 《시 파라시트 라장(Si Parasit Lajang)》 (에세이 모음집, 가가스미디어(GagasMedia), 자카르타, 2003)
  • 《세리타 친타 엔리코(Cerita Cinta Enrico)》 (KPG, 자카르타, 2012)
  • 《펭아쿠안 엑스 파라시트 라장(Pengakuan Eks Parasit Lajang)》
  • 《빌랑안 푸(Bilangan Fu)》 (자카르타, 2008)
  • 《만잘리 단 챠크라비라와(Manjali dan Cakrabirawa)》 (KPG, 자카르타, 2010)
  • 《라리타(Lalita)》
  • 《펭아딜란 수실라(Pengadilan Susila)》 (수실라의 재판)
  • 루마 마이다(Ruma Maida) (마이다의 집, 2009, 각본가)

참조

[1] 웹사이트 Indonesia's Literary Ladies http://www.thedailyb[...] The Daily Beast 2011-12-18
[2] 뉴스 Sastra Wangi Aroma Selangkangan http://oase.kompas.c[...] 2010-04-01
[3] 뉴스 Change, she wrote http://www.thejakart[...] 2010-03-29
[4] 웹사이트 Culturebase.net The international artist database Utami Ayu https://web.archive.[...] 2016-10-28
[5] 논문 New Directions in Indonesian Women's Writing? The Novel Saman 1999
[6] 웹사이트 Ayu Utami (Indonesia) Time of the Writer Festival 2006 https://web.archive.[...] 2008-04-17
[7] 웹사이트 PEN American Center – Ayu Utami https://web.archive.[...] 2008-05-08
[8] 문서 Hatley, p. 450
[9] 웹사이트 Why I Write http://209.85.215.10[...] 2016-10
[10] 문서 Hatley, p. 452
[11] 웹사이트 Ayu Utami releases new book https://web.archive.[...] 2016-03-04
[12] 웹사이트 Teater Gandrik Returns: Yogyakarta, Central Java https://web.archive.[...] 2016-03-03
[13] 서적 사만 청년사 2009
[14] 웹사이트 인터넷 서점 알라딘 정보 http://www.aladin.co[...]
[15] 웹인용 culturebase.net The international artist database Utami Ayu http://www.cultureba[...] 2011-08-10
[16] 문서 같은 책, 4쪽.
[17] 논문 New Directions in Indonesian Women's Writing? The Novel Saman 1999
[18] 웹인용 PEN American Center - Ayu Utami http://www.pen.org/p[...] 2008-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