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예지는 문학 작품을 게재하고 문학적 담론을 형성하는 잡지이다. 1684년 프랑스에서 창간된 《레트르 공화국의 뉴스》는 최초의 문예지로 여겨지며, 19세기 이후 출판, 학술지 증가와 함께 문예지가 일반화되었다. 20세기에는 《포에트리》, 《파리 리뷰》등의 잡지가 등장했으며, 20세기 후반 소규모 출판의 부상과 함께 문예지 수가 급증했다. 문예지는 새로운 작가를 발굴하고 문학적 실험을 장려하며, 사회적 담론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한국, 일본, 미국 등 각국에서 다양한 문예지가 발행되고 있으며, 온라인 문예지도 등장하여 새로운 형태의 문학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예지 - 뉴 스테이츠먼
《뉴 스테이츠먼》은 웹 부부가 창간한 영국의 좌파 성향 주간지로, 페이비언 사회주의 이념을 반영하여 반파시즘과 평화주의를 강조하며 소련 옹호와 스탈린 비판을 동시에 하기도 했으며, 디지털 플랫폼 전환 후에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 문예지 - 신세계 (러시아의 잡지)
노비 미르는 1925년 모스크바에서 창간된 러시아의 문학 잡지이며, 반체제 성향을 거쳐 자유주의적 성향을 유지하며 현대 작가들의 작품을 싣는다. - 문학에 관한 - 단편 소설
단편 소설은 완결성을 지닌 짧은 산문 문학 양식으로, 소설처럼 서사 요소를 갖추고 있으나, 소설보다 짧고 한 번에 읽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19세기 매체 발달과 함께 발전했으며, 다양한 작가들의 실험으로 발전하여 현대에는 여러 매체로 각색되기도 한다. - 문학에 관한 - 소설
소설은 작가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하지만 당대 사회상을 반영하고 비판하는 역할도 수행하며, 유럽에서는 17세기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를 기점으로 근대 소설이 발전하였고, 최근에는 디지털 매체를 통해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문예지 | |
---|---|
문예지 | |
설명 | 문학에 전념하는 정기간행물 |
유형 | 잡지 |
주제 | 문학 |
역사 | |
초기 문예지 | 19세기 후반 |
등장 배경 | 상업적 출판사의 문학적 한계에 대한 반발 |
발전 요인 | 새로운 문학 형식 실험, 독자층 변화 |
20세기 초 | 모더니즘 문학 운동 지원 |
중요 역할 | 새로운 작가 발굴 실험적인 문학 경향 소개 기존 문학에 대한 대안 제시 |
주요 특징 | |
소규모 발행 | 상업적 성공보다 문학적 이상 추구 |
편집 방향 | 특정 문학 경향이나 운동에 집중 |
작가 지원 | 새로운 작가에게 작품 발표 기회 제공 |
문화적 영향력 | 문학적 담론 형성 및 변화에 기여 |
참고 자료 | |
참고 문헌 | https://query.nytimes.com/gst/abstract.html?res=9A00E3D7153AE233A25757C1A96F9C946693D6CF |
2. 문예 잡지의 역사
1815년에 창간된 '''노스 아메리칸 리뷰'''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문예지이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출판이 중단되었고, 1819년에 창간된 '''예일 리뷰'''는 중단되지 않아 지속적으로 발행되는 가장 오래된 문예지이다. 1889년에 시작된 '''포에트 로어'''는 시 전문 잡지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간주된다.[5] 세기말이 되자 문예지는 세계 여러 지역의 지적 생활에서 중요한 특징이 되었다. 아랍권에서는 19세기의 주목할 만한 문예지 중 하나로 '''알-우르와 알-우쓰카'''가 있었다.[6]
일본에서는 오자키 고요, 야마다 비묘 등이 1885년에 시작한 『가락다 문고』, 여성 작가를 배출한 『여학잡지』(1885년)와 『이라도조』(1887년), 평론지이면서도 문예 작품이 많아 문단의 등용문으로 불린 『국민지우』(1887년), 대형 출판사 긴코도가 유명 작가들을 모아 시작한 『도노하나』(1888년), 춘양당서점이 발행한 『신소설』(1889년) 등이 초기 문예지에 해당한다.[14]
20세기 초, 1904년에 창간된 『신초』는 일본 문예잡지로서 상업적으로 안정적인 발행을 시작한 본격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전까지 신문을 주요 발표 매체로 삼았던 일본 문학이 잡지를 중심으로 전개되기 시작했다. 전전에는 『중앙공론』, 『개조』와 같은 종합잡지가 권위 있는 발표 무대로 자리 잡고 있었고, 『신초』, 『문예』 등의 문예잡지는 그 다음의 존재로 여겨졌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종합잡지가 문예 작품을 엔터테인먼트 계열로 전환하면서 문예잡지의 비중이 높아졌다.
일본 문학의 특징으로는 준상업적인 문예잡지의 영향력이 크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와세다 문학』, 『미타 문학』과 같은 대학 관련 잡지, 『센키』, 『신일본문학』, 『민주문학』과 같은 문학 운동 잡지, 『시라카바』, 『신사조』, 『근대문학』과 같은 반동인지가 상업 문예잡지 못지않은 훌륭한 작품을 발표해 왔다.
최근 일본 문예잡지의 매출은 순수문학잡지는 물론 중간·대중소설지도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를 단행본 매출로 보완하고 있는 실정이다.
2. 1. 초기 문예 잡지
피에르 바이유가 1684년 프랑스에서 창간한 《레트르 공화국의 뉴스》는 최초의 문예지로 여겨진다.[2] 19세기 초, 서적, 잡지, 학술 학술지의 출판 증가와 함께 문예지가 일반화되었다. 영국에서는 1802년 프랜시스 제퍼리, 헨리 브룸, 시드니 스미스가 《에든버러 리뷰》를 창간했다. 이 시기 영국 문예지로는 《웨스트민스터 리뷰》(1824년), 《더 스펙테이터》(1828년), 《아테네움 (영국 잡지)》(1828년) 등이 있었다.미국에서는 《필라델피아 문예지》(1803~1808년), 《먼슬리 안솔로지》(1803~1811년, 후에 《노스 아메리칸 리뷰》가 됨), 《예일 리뷰》(1819년 창간), 《더 얀키》(1828~1829년), 《더 니커보커》(1833~1865년), 《다이얼》(1840~1844년), 《디 보우 리뷰》(1846~1880년) 등이 초기 문예지에 포함된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에서는 《더 서던 리뷰》(1828~1832년)와 《러셀 매거진》(1857~1860년) 등 여러 문예지가 출판되었다.[3] 19세기 캐나다의 가장 저명한 문예지는 몬트리올에서 발행된 《리터러리 걸랜드》였다.[4]
2. 2. 19세기 문예 잡지
피에르 바이유가 1684년 프랑스에서 창간한 레트르 공화국의 뉴스(Nouvelles de la république des lettres)는 최초의 문예지로 여겨진다.[2] 19세기 초, 영국에서는 프랜시스 제퍼리, 헨리 브룸, 시드니 스미스가 1802년에 '''에든버러 리뷰'''를 창간했다. 이 시대의 다른 영국 문예지로는 '''웨스트민스터 리뷰'''(1824년), '''더 스펙테이터'''(1828년), '''아테네움 (영국 잡지)'''(1828년)이 있다.미국에서는 '''필라델피아 문예지'''(1803~1808년), '''먼슬리 안솔로지'''(1803~1811년, 후에 '''노스 아메리칸 리뷰'''가 됨), '''예일 리뷰'''(1819년 창간), '''더 얀키'''(1828~1829년), '''더 니커보커'''(1833~1865년), '''다이얼'''(1840~1844년), '''디 보우 리뷰'''(1846~1880년) 등이 초기 문예지에 포함된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에서는 '''더 서던 리뷰'''(1828~1832년)와 '''러셀 매거진'''(1857~1860년)을 포함한 여러 문예지가 출판되었다.[3]
19세기 캐나다에서 가장 저명한 문예지는 몬트리올을 기반으로 한 '''리터러리 걸랜드'''였다.[4] 19세기 아랍권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문예지 중 하나는 '''알-우르와 알-우쓰카'''였다.[6]
2. 3. 20세기 문예 잡지
20세기 초, T. S. 엘리엇의 첫 번째 시인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애가"를 게재한 포에트리 잡지가 1912년에 창간되었다.[7] 더 벨맨 (문예지)은 1906년에 발행을 시작하여 1919년에 폐간되었으며, 윌리엄 크로웰 에드가 편집했고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 기반을 두었다.[7] 이 외에도 더 타임스 리터러리 서플먼트(1902년), 사우스웨스트 리뷰(1915년), 버지니아 쿼터리 리뷰(1925년), 월드 리터러처 투데이(1927년 ''Books Abroad''로 창간되어 1977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됨), 서던 리뷰(1935년), 뉴 레터스(1935년) 등이 있다. 수와니 리뷰는 1892년에 창간되었지만, 1944년 편집자가 된 앨런 테이트 덕분에 크게 주목받게 되었다.[8]20세기 후반에는 케니언 리뷰와 파티즌 리뷰가 큰 영향력을 가졌다. 존 크로우 랜섬이 편집한 케니언 리뷰는 신비평을 지지했으며, 비정치적인 플랫폼을 표방했다. 파티즌 리뷰는 처음에는 미국 공산당과 존 리드 클럽과 연관되었지만, 곧 당과 결별하고 정치적인 성격을 유지하면서도 중요한 문학과 비평을 출판했다.
20세기 중반에는 소규모 출판의 부상과 함께 문예지의 수가 급증했다. 1951년 영국에서 발행을 시작한 님부스 (문예지), 1953년에 창간된 파리 리뷰, 1959년에 창간된 매사추세츠 리뷰와 포에트리 노스웨스트, 1959년부터 1962년까지 발행된 X 잡지, 1965년에 창간된 덴버 쿼터리 등이 이 시기에 창간되었다. 1970년대에는 콜럼비아: 문학과 예술 저널, 플라우쉐어스, 아이오와 리뷰, 그랜타, AGNI (잡지), 미주리 리뷰, 뉴잉글랜드 리뷰 등 여러 저명한 문예지가 창간되었다.
최근에는 더 쓰리 페니 리뷰, 조지아 리뷰, 어센트 (저널), 셰난도어 (잡지), 더 그린스보로 리뷰, 지지바 (잡지), 글리머 트레인, 틴 하우스, ''Half Mystic Journal'', 브릭, 어 리터러리 저널, 히트 (잡지), 조이트로프: 올-스토리 등이 높이 평가받고 있다. 스티브 알몬드, 제이콥 M. 애플, 스티븐 딕슨 (작가)과 같은 일부 단편 소설 작가들은 문예지를 통해 전국적인 명성을 얻었다.
소규모 잡지 편집자 및 출판사 위원회(COSMEP)는 1968년 리처드 모리스 (작가)에 의해 설립되어 소규모 출판의 활력을 조직하려는 시도를 했다. 렌 풀턴은 1970년대 중반에 소규모 잡지와 편집자들의 목록을 작성하여 출판했다. 국립 예술 기금은 문예지 조정위원회(CCLM)를 만들어 이들을 지원했으며, 이 조직은 문예지 및 출판사 협의회(CLMP)로 발전했다.
문예지에 발표된 작품은 푸시카트 상과 O. 헨리 상을 포함한 많은 상을 받았으며, '''미국 최고의 단편 소설'''과 '''미국 최고의 에세이''' 연간 책에도 많은 작품이 제공된다.
2. 4. 온라인 문예 잡지
1984년에 만들어진 ''SwiftCurrent''는 최초의 온라인 문예 잡지였다. 그러나 이것은 문학 출판물이라기보다는 문학 작품의 데이터베이스에 더 가까웠다.[9] 1995년, ''미시시피 리뷰''는 온라인으로 완전한 호를 출판한 최초의 대형 문예 잡지였다.[10] 1998년에는 ''Fence''와 ''Timothy McSweeney's Quarterly Concern''이 출판되어 빠르게 독자층을 확보했다.[11] 1996년경부터 온라인 문예 잡지가 더욱 정기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일부 작가와 독자들이 온라인 문예 잡지를 인쇄 매체에 비해 질이나 명성이 떨어진다고 무시했고, 다른 일부는 이것들이 제대로 된 잡지가 아니라 이지인(ezine)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 이후로 많은 작가와 독자들은 온라인 문예 잡지를 독립 문학 저널의 진화 과정에서 또 다른 단계로 받아들이게 되었다.수천 개의 다른 온라인 문학 출판물이 있으며, 이 비교적 새로운 출판 매체의 질과 전반적인 영향을 판단하기는 어렵다.[12]
3. 문예 잡지의 유형
소규모 문예지는 실험 문학과 비주류 작가들의 작품을 발표하는 문예지이다. 일반적으로 독자 수가 적고, 재정적으로 불안정하거나 비상업적이며, 발행이 불규칙하고 예술적 혁신을 보여주는 특징이 있다.[13]
일본에서 초기 문예잡지로는 오자키 고요(尾崎紅葉), 야마다 비묘(山田美妙) 등이 1885년에 시작한 『가락다 문고』(我楽多文庫), 여성 작가를 배출한 『여학잡지』(女学雑誌)(1885년)와 『이라도조』(以良都女)(1887년), 평론지이면서도 문예 작품이 많아 문단의 등용문이라고도 불린 『국민지우』(国民之友)(1887년), 대형 출판사 긴코도(金港堂)가 유명 작가들을 모아 시작한 『도노하나』(都の花)(1888년), 춘양당서점(春陽堂書店)이 발행한 『신소설』(新小説)(1889년) 등이 있다.[14]
20세기 초 창간된 『신초』(新潮)(1904년)는 상업적으로 안정적인 발행을 보인 본격적인 일본 문예잡지로 평가받는다. 이전까지 신문에 주로 작품을 발표했던 일본 문학은 『신초』 이후 잡지를 중심으로 전개되기 시작했다. 전전에는 『중앙공론』(中央公論)이나 『개조』(改造)와 같은 종합잡지가 권위 있는 발표 무대였고, 『신초』나 『문예』(文藝) 등의 문예잡지는 그 다음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종합잡지가 문예 작품을 엔터테인먼트 계열로 전환하면서 문예잡지의 비중이 커졌다.
일본 문학에서는 준상업적인 문예잡지가 큰 힘을 발휘한다는 특징이 있다. 『와세다 문학』(早稲田文学)이나 『미타 문학』(三田文学)처럼 대학과 관련된 잡지, 『센키』(戦旗), 『신일본문학』(新日本文学), 『민주문학』(民主文学)과 같이 문학 운동과 관련된 잡지, 『시라카바』(白樺), 『신사조』(新思潮), 『근대문학』(近代文学)과 같은 반동인지들이 상업 문예잡지 못지않게 훌륭한 작품을 발표해 왔다.
일반적으로 협의의 〈문예잡지〉에는 『올독물』(オール讀物)과 같은 소설잡지, 『신청년』(新青年)과 같은 추리, SF 잡지는 포함되지 않으며, 시, 단가, 하이쿠 잡지도 포함되지 않는다.
최근 일본 문예잡지는 순수문학잡지는 물론 중간·대중소설지도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단행본 매출로 이를 회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4. 국가별 문예 잡지
일본에서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문예 잡지가 발전했다. 초기에는 『가락다 문고』, 『여학잡지』, 『국민지우』, 『도노하나』, 『신소설』 등이 있었다.[14]
미국에서는 19세기 초부터 '''필라델피아 문예지''', '''먼슬리 안솔로지'''(후에 '''노스 아메리칸 리뷰'''가 됨), '''예일 리뷰''', '''더 얀키''', '''더 니커보커''', '''다이얼''', '''디 보우 리뷰''' 등이 초기 문예지로 꼽힌다.[3]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에서는 '''더 서던 리뷰'''와 '''러셀 매거진''' 등이 출판되었다.[3]
4. 1. 한국의 문예 잡지
2015년 기준으로, 한국에는 244종의 문학 잡지가 있으며, 총 1,175권에 달한다. 이 잡지들에는 9만여 건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4. 2. 일본의 문예 잡지
일본에서 문예 잡지는 오자키 고요, 야마다 비묘 등이 1885년에 시작한 『가락다 문고』, 여성 작가를 배출한 『여학잡지』(1885년)와 『이라도조』(1887년), 문단의 등용문이라고도 불린 『국민지우』(1887년), 대형 출판사 긴코도가 유명 작가들을 모아 시작한 『도노하나』(1888년), 춘양당서점이 발행한 『신소설』(1889년) 등이 초기 문예 잡지들이다.[14]20세기 초에 창간된 『신초』(1904년)는 상업적으로 안정적인 발행을 시작한 본격적인 문예 잡지로 평가받는다. 그 이전에는 신문이 주요 발표 매체였지만, 『신초』의 등장으로 일본 문학은 잡지를 중심으로 전개되기 시작했다. 전전에는 『중앙공론』, 『개조』와 같은 종합잡지가 권위 있는 발표 무대였고, 『신초』, 『문예』 등의 문예 잡지는 그 다음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종합잡지가 문예 작품을 엔터테인먼트 계열로 전환하면서 문예 잡지의 비중이 커졌다.
일본 문학의 특징 중 하나는 준상업적인 문예 잡지의 영향력이 크다는 점이다. 『와세다 문학』, 『미타 문학』과 같은 대학 관련 잡지, 『센키』, 『신일본문학』, 『민주문학』과 같은 문학 운동 잡지, 『시라카바』, 『신사조』, 『근대문학』과 같은 반동인지가 상업 문예 잡지에 못지않은 훌륭한 작품을 발표해 왔다.
일반적으로 『올독물』과 같은 소설 잡지, 『신청년』과 같은 추리, SF 잡지, 그리고 시, 단가, 하이쿠 잡지는 협의의 '문예 잡지'에 포함되지 않는다.
최근 일본의 문예 잡지는 순수 문학 잡지는 물론 중간·대중 소설 지도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단행본 매출로 이를 보충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음은 일본의 주요 문예 잡지 목록이다.
잡지명 | 창간 연도 |
---|---|
신초(新潮) | 1904년 |
문학계(文學界) | 1933년 |
군상(群像) | 1946년 |
스바루 | 1970년 |
문예(文藝) | 1933년 |
와세다 문학(早稲田文学) | 1891년 |
미타 문학(三田文学) | 1910년 |
민주 문학(民主文学) | 1965년 |
규슈 문학(九州文学) | 1938년 |
4. 3. 미국의 문예 잡지
19세기 초, 미국에서는 '''필라델피아 문예지'''(1803~1808년), '''먼슬리 안솔로지'''(1803~1811년, 후에 '''노스 아메리칸 리뷰'''가 됨), '''예일 리뷰'''(1819년 창간), '''더 얀키'''(1828~1829년), '''더 니커보커'''(1833~1865년), '''다이얼'''(1840~1844년), 그리고 뉴올리언스를 기반으로 한 '''디 보우 리뷰'''(1846~1880년) 등이 초기 문예지에 포함된다.[3]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Charleston, South Carolina)에서는 '''더 서던 리뷰'''(1828~1832년)와 '''러셀 매거진'''(1857~1860년)을 포함한 여러 저명한 문예지가 출판되었다.[3]1815년에 창간된 '''노스 아메리칸 리뷰'''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문예지이다.[5]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출판이 중단되었고, '''예일 리뷰'''(1819년 창간)는 중단되지 않았다. 따라서 예일 리뷰는 지속적으로 발행되는 가장 오래된 문예지이다.[5] 1889년에 시작된 '''포에트 로어'''(Poet Lore)는 시에 전념하는 가장 오래된 잡지로 간주된다.[5]
20세기 초 창간된 문예지로는 '''포에트리 (잡지)'''가 있다. 1912년에 창간된 이 잡지는 T. S. 엘리엇(T. S. Eliot)의 첫 번째 시인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애가"를 게재했다.[7] 다른 중요한 문예지로는 '''사우스웨스트 리뷰'''(1915년), '''버지니아 쿼터리 리뷰'''(1925년), '''월드 리터러처 투데이'''(1927년 ''Books Abroad''로 창간되어 1977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됨), '''서던 리뷰'''(1935년), '''뉴 레터스'''(1935년)가 있다.[8] '''수와니 리뷰'''(Sewanee Review)는 1892년에 창간되었지만, 1944년 편집자가 된 앨런 테이트(Allen Tate) 덕분에 크게 주목받게 되었다.[8]
20세기 후반의 가장 영향력 있는 두 문예지는 '''케니언 리뷰'''(The Kenyon Review)와 '''파티즌 리뷰'''(Partisan Review)였다.[8] 존 크로우 랜섬(John Crowe Ransom)이 편집한 '''케니언 리뷰'''는 신비평을 지지했다. 그 플랫폼은 공개적으로 비정치적이었다. 랜섬은 남부 출신이었고 그 지역의 작가들을 출판했지만, 케니언 리뷰는 뉴욕을 기반으로 한 작가와 국제적인 작가들도 많이 출판했다. '''파티즌 리뷰'''는 처음에는 미국 공산당과 존 리드 클럽(John Reed Club)과 연관되었지만, 곧 당과 결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는 그 성격의 중심에 남아 있었고, 중요한 문학과 비평도 출판했다.
20세기 중반에는 소규모 출판의 부상과 함께 문예지의 수가 급증했다. 이 시기에 창간된 중요한 문예지로는 1953년에 창간된 '''파리 리뷰'''(Paris Review), 1959년에 창간된 '''매사추세츠 리뷰'''(The Massachusetts Review)와 '''포에트리 노스웨스트'''(Poetry Northwest), 1965년에 창간된 '''덴버 쿼터리'''(Denver Quarterly) 등이 있다. 1970년대에는 문예지의 수가 다시 급증했으며, 이 기간 동안 '''콜럼비아: 문학과 예술 저널'''(Columbia: A Journal of Literature and Art), '''플라우쉐어스'''(Ploughshares), '''아이오와 리뷰'''(The Iowa Review), '''그랜타'''(Granta), '''AGNI (잡지)'''(Agni), '''미주리 리뷰'''(The Missouri Review), '''뉴잉글랜드 리뷰'''(New England Review) 등 여러 저명한 문예지가 창간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높이 평가받는 인쇄 잡지로는 '''더 쓰리 페니 리뷰'''(The Threepenny Review), '''조지아 리뷰'''(The Georgia Review), '''어센트 (저널)'''(Ascent), '''셰난도어 (잡지)'''(Shenandoah), '''더 그린스보로 리뷰'''(The Greensboro Review), '''지지바 (잡지)'''(ZYZZYVA), '''글리머 트레인'''(Glimmer Train), '''틴 하우스'''(Tin House), ''Half Mystic Journal'' 등이 있다. 스티브 알몬드(Steve Almond), 제이콥 M. 애플(Jacob M. Appel), 스티븐 딕슨 (작가)(Stephen Dixon)과 같은 일부 단편 소설 작가들은 문예지를 통해 주로 미국에서 전국적인 명성을 얻었다.
문예지에 발표된 작품에는 푸시카트 상(Pushcart Prize)과 O. 헨리 상(O. Henry Awards)을 포함한 많은 권위 있는 상이 있다. 문예지는 또한 '''미국 최고의 단편 소설'''(The Best American Short Stories)과 '''미국 최고의 에세이'''(The Best American Essays) 연간 책에 많은 작품을 제공한다.
참조
[1]
뉴스
The Little Magazines Growing Up; The Little Magazines
https://query.nytime[...]
2017-09-12
[2]
논문
Some Notes on the History of the Literary Magazine
2008-09-01 # Fall 2008을 9월 1일로 가정
[3]
웹사이트
Library of Southern Literature: Antebellum Era
http://docsouth.unc.[...]
2017-09-12
[4]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Canadian Literature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5]
뉴스
America's oldest poetry journal celebrates 125 years of great verse
https://www.washingt[...]
2017-09-12
[6]
웹사이트
Urwa al-Wuthqa, al-
https://www.encyclop[...]
2020-03-11
[7]
웹사이트
The Bellman
https://onlinebooks.[...]
John Mark Ockerbloom
2023-04-05
[8]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archive.[...]
2006-09-01
[9]
웹사이트
SwiftCurrent
http://www2.iath.vir[...]
2018-03-12
[10]
웹사이트
Volume 1, Number 1, April 1995
http://sushi.st.usm.[...]
University of Southern Mississippi
2021-01-31
[11]
논문
Some Notes on the History of the Literary Magazine
2008
[12]
논문
Technology, Genres, and Value Change:the Case of Literary Magazines
[13]
웹사이트
Little Magazines
https://oxfordre.com[...]
2019-07-11
[14]
서적
明治時代文学雑誌解題
https://books.google[...]
学而書院
193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