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자타샤트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자타샤트루는 '쿠니카'로도 알려진 고대 마가다 왕국의 왕으로, 빔비사라의 아들이자 불교와 자이나교 모두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그는 아버지 빔비사라를 유폐하고 굶겨 죽인 죄책감으로 불교에 귀의하여 붓다의 가르침을 따랐으며, 불교 발전에 기여했다. 아자타샤트루는 정복 활동을 통해 코살라, 카시, 바이샬리 등을 정복하며 마가다 왕국의 세력을 확장했고, 투석기, 라타 무살라와 같은 신무기를 개발하여 군사력을 강화했다. 그는 자이나교 경전에서는 마하비라를 존경하는 인물로 묘사되기도 하며, 아들에 의해 살해되었다고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자이나교도 - 카라벨라
    카라벨라는 기원전 1세기 전후 칼링가 왕국의 통치자로, 하티굼파 비문 등을 통해 생애와 업적이 알려졌으며, 자이나교 신자였지만 다른 종교에도 관대했고 영토 확장, 건축, 자선 활동을 펼쳤다.
  • 인도의 자이나교도 - 일랑고 아디갈
    일랑고 아디갈은 《실라파티카람》을 쓴 고대 타밀의 인물로, 자이나교 은둔자 왕자로 추정되나 생애 정보가 부족하고 실존 논쟁도 있다.
  • 기원전 5세기 인도의 군주 - 나가다사카
    죄송합니다. 제공된 개요에 본문 내용이 없어 나가다사카에 대한 한 문장 요약을 할 수 없습니다.
  • 기원전 5세기 인도의 군주 - 시슈나가
    시슈나가는 마가다 왕국의 하리얀카 왕조를 무너뜨리고 샤이슈나가 왕조를 개창한 재상 출신의 왕으로, 수도를 바이샬리로 옮기고 밧사와 아반티를 정복하는 등 영토를 확장했다.
  • 하리얀카 왕조 - 나가다사카
    죄송합니다. 제공된 개요에 본문 내용이 없어 나가다사카에 대한 한 문장 요약을 할 수 없습니다.
  • 하리얀카 왕조 - 우다야바드라
    우다야바드라는 기원전 5세기경 마가다 왕국의 하리얀카 왕조를 다스린 왕으로, 아자타샤트루의 아들로 여겨지지만 문헌 기록이 엇갈리며, 파탈리푸트라를 수도로 옮기고 마가다국을 인도 최대 세력으로 성장시켰으나 아반티국과의 싸움은 계속되었고 죽음과 후계에 대한 이견이 있다.
아자타샤트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자타샤트루가 부처를 숭배하는 모습, 콜카타 인도 박물관의 바르후트 스투파 부조
아자타샤트루가 부처를 숭배하는 모습, 콜카타 인도 박물관의 바르후트 스투파 부조
왕조하리얀카 왕조
종교자이나교, 불교
아버지빔비사라
어머니첼라나 (산스크리트어: Cellaṇā), 체타카 대통령의 딸 (자이나교)
코살라 데비 (불교)
배우자바지라
파드마바티
다리니
수바드라
자녀우다야바드라
통치
왕위 계승마가다의 왕
통치 기간기원전 492년 ~ 기원전 460년경 또는 기원전 405년경 ~ 기원전 373년경
이전 통치자빔비사라
다음 통치자우다야바드라
앙가의 부왕? ~ 기원전 492년 또는 기원전 405년경
군주빔비사라
이름
팔리어아자타사투
산스크리트어쿠니카, 쿠니야
생애
출생기원전 509년경
사망기원전 460년 또는 기원전 373년경
군사 활동
참전코살라 정복 (기원전 492년 ~ 기원전 476년)
마가다-밧지 전쟁 (기원전 484년 ~ 기원전 468년)

2. 생애

아자타샤트루는 '쿠니카'라고도 불렸으며, 빔비사라의 아들이었다. 마투라 정부 박물관의 고대 비문에는 "바이데히 푸트라 아자타샤트루 쿠니카", 즉 "바이데히의 아들 아자타샤트루 쿠니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의 이야기는 불교의 트리피타카와 자이나교 경전에 등장한다.

아자타샤트루의 탄생에 대한 이야기는 두 종교에서 거의 비슷하다. 자이나교에 따르면, 그는 빔비사라 왕과 첼라나 왕비 사이에서 태어났다.[3][8][4] 반면 불교 전통에서는 빔비사라와 코살라 데비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두 왕비 모두 "바이데히"라고 불렸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한역에서는 '''위제희'''로 음차된다.

자이나교의 ''니라야발리카 수트라''에 따르면, 첼라나 왕비는 임신 중 남편의 심장 튀김과 술을 원하는 강한 욕망을 느꼈다. 빔비사라 왕의 아들 아바야쿠마라 왕자가 심장과 비슷한 과일을 튀겨 주었고, 왕비는 이를 먹고 죄책감을 느껴 아이를 버렸다. 빔비사라 왕은 아이를 거두어 손가락을 치료해주었고, 이로 인해 '쿠니카'(아픈 손가락)라는 별명을 얻었다. 불교의 ''앗타카타''에서는 코살라데비가 빔비사라의 피를 마시고 싶어했고, 왕이 이를 허락했다는 점이 다르다. 아이가 버려진 후, 왕이 손가락의 종기를 빨아 고름을 삼켰다는 이야기도 있다.

''디가 니까야''(Dīgha nikāya)에 따르면 아자타샤트루는 빔비사라 왕과 코살라 데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코살라 데비는 코살라 왕 마하 코살라의 딸이자 파세나디 왕의 여동생이었다. 아자타샤트루는 500명의 아내를 두었지만, 정실 부인은 바지라 공주였다. 빔비사라가 살해된 후, 프라세나짓 왕은 카시 시를 되찾기 위해 아자타샤트루와 전쟁을 벌였으나, 평화 조약으로 딸 바지라를 아자타샤트루에게 시집보냈다.

아자타샤트루는 석가가 살아있던 시대의 마가다 왕으로서 초기 불교에 깊이 관여했다. 그는 아버지 빔비사라와 함께 초기 불교의 주요 후원자였다. 석존이 입멸한 후, 왕사성에 사리탑을 건립하고 사리를 공양했으며, 불멸 후 제1불전 결집을 후원했다. 아자타샤트루가 등장하는 경전으로는 『관무량수경』, 『아자세왕경』, 『아자세왕문오역경』, 『아자세왕수결경』 등이 있다. 『문수사리보초삼매경(보초경, 아자경이라고도 함)』에는 그가 미래에 정계여래가 될 것이라는 예언이 기록되어 있다.


2. 1. 왕위 계승과 부왕 살해

아자타샤트루는 왕자 시절 참파의 부왕(副王)으로 있었으나, 데바닷타(제바달다)의 꾐에 빠져 아버지 빔비사라 왕을 유폐하고 굶겨 죽였다고 전해진다.[12] 불교 경전에서는 이 사건을 석가모니(고타마 싯다르타) 열반 7년 전의 일로 기록하고 있다.

어떤 불전에 따르면, 빔비사라 왕은 늙어 자식이 없음을 걱정하여 신에게 기도했고, 한 조사가 비부라산(비프라)에 사는 선인이 곧 환생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빔비사라 왕은 이를 기다리지 못하고 선인을 죽였고, 얼마 후 부인이 임신했다. 이 아이는 태어나기 전부터 원한을 품었다는 의미로 '미생원'이라고 불렸다. 점술가들은 아이가 아버지 왕을 해칠 것이라고 예언했고, 빔비사라 왕은 아이를 누각에서 던졌으나 손가락 하나만 부러지고 살아남았다. 이 때문에 아자타샤트루는 바라루시(바랄시=절지)라고도 불렸다.

선도의 『관무량수경소(관경소)』에는 빔비사라 왕의 선인 살해에 대한 기록이 있지만, 열반경에는 선인이 3년 후에 죽기 전에 살해되었다는 내용은 없다. 다만, 빔비사라 왕이 비프라산에서 사냥을 하다 선인을 쫓아냈고, 선인은 죽기 직전 빔비사라 왕에게 내세에 복수하겠다고 저주했다는 내용이 있다. 석가모니는 아자타샤트루에게 "아버지 왕은 스스로 죄의 대가를 받았을 뿐, 그대에게 죄는 없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아자타샤트루는 석가모니에게 반역한 데바닷타에게 꾀임에 빠져 빔비사라 왕을 유폐했고, 어머니마저 유폐한 후 결국 빔비사라 왕은 굶어 죽었다. 그러나 아자타샤트루는 죄를 뉘우치고 불교에 귀의하여 교단을 지원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2. 2. 정복 활동

아자타샤트루는 왕위에 오른 직후 활발한 정복 활동을 펼쳤다. 먼저 코살라 왕국 국왕 프라세나지트를 굴복시키고, 카시국도 완전히 병합했다. 그 후 바이샬리국도 공격하여 지배하에 두었다.[12] 마가다 왕국의 군사력을 증강시키기 위하여 고대 인도 최초로 투석기를 군대에 도입하였으며, 기존의 전차에 낫을 달은 라타 무살라라는 신무기를 개발하기도 하였다.[12]

아자타사트루 시대에 사용된 마가다 왕국의 투석기.


자이나교 전설에 따르면, 빔비사라 왕이 아자타샤트루의 형제(할라와 베할라)에게 준 상(象)과 보석 목걸이를 돌려받지 못하자, 아자타샤트루가 그들의 외할아버지인 바이샬리국 왕 체타카에게 이를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 이 때문에 아자타샤트루는 바이샬리국을 공격했다고 한다.

이 외에도 수많은 정복 활동을 벌여 마가다국을 인도 제일의 대국으로 만들었다. 바르지국도 공격하려 했으나, 바르지국 사람들이 쇠퇴하지 않는 일곱 가지 행위를 실행하고 있다는 말을 듣고 단념했다고 한다.

2. 3. 바르지국 정복 시도와 포기

아자타샤트루는 갠지스 강 근처 마을의 다이아몬드 광산을 바지 연맹의 리차비족과 똑같이 나누기로 합의했으나, 게을러 자기 몫을 챙기지 않아 대부분을 빼앗겼다. 이에 분노한 아자타샤트루는 바지족을 멸망시키기로 결심하고, 수석 재상 바사카라를 부처에게 보내 바이샬리가 강한 이유를 물었다. 부처는 바지족이 회의에 시간을 잘 지키고, 규율 있게 행동하며, 어른을 존경하고, 여성을 존중하며, 딸을 강제로 결혼시키지 않고, 아라한에게 정신적 보호를 제공하며, 마을 안의 차이티아스(제단)를 중요하게 여기는 등 일곱 가지 덕목을 실천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후 아자타샤트루는 바사카라의 도움으로 바지족을 분열시키고 차이티아스를 파괴했다. 그는 양쪽에 곤봉과 칼날이 달린 낫이 달린 전차를 사용해 마을을 정복했다.

아자타샤트루가 바르지국을 공격하려 할 때, 영취산의 석존에게 우행(바사카라) 대신을 보내 의중을 물었으나, 바르지국 사람들이 쇠퇴하지 않는 일곱 가지 행위를 실천하고 있다는 말을 듣고 단념했다고 한다.[3]

3. 종교

아자타샤트루는 불교자이나교 경전에 모두 등장하는 인물로, 두 종교 모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자이나교불교 전통 모두 아자타샤트루를 각 종교의 신봉자로 묘사하고 있다. 아자타샤트루는 '쿠니카'로도 알려졌으며, 빔비사라의 아들이었다.[9] 마투라 정부 박물관의 고대 비문에는 그를 "바이데히 푸트라 아자타샤트루 쿠니카", 즉 "바이데히의 아들 아자타샤트루 쿠니카"로 칭하고 있다.

3. 1. 불교와의 관계

아자타샤트루는 석가모니(고타마 싯다르타)가 살았던 시대 마가다 왕국의 왕으로, 아버지 빔비사라와 함께 초기 불교에 깊이 관여했다. 불교 경전에 따르면, 왕자 시절 데바닷타의 꾐에 빠져 아버지 빔비사라를 유폐하고 굶겨 죽였다고 전해진다.[12] 그러나 이후 죄를 뉘우치고 심한 두통을 겪다 의사 지바카의 권유로 석가모니를 만나 상담 후 두통이 멈추자 불교에 귀의, 교단을 지원했다.

아자타샤트루 왕이 후원한 첫 번째 불교 회의가 열린 삿타파니 동굴


불교 전통의 ''사만냐팔라 수트라''에는 붓다와 처음 만났을 때, 데바닷타와 연루되어 아버지를 죽이려 한 잘못을 깨달았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 만남에서 아자타샤트루는 붓다, 담마, 승가에 귀의했다. 그는 붓다, 담마, 승가에 대한 강한 신봉자로 여러 수트라에서 언급되었다.

석가모니 열반 후, 아자타샤트루는 왕사성에 사리탑을 건립하여 공양하고, 불멸 후 첫 번째 불전 결집을 외호(外護)하는 등 불교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대승 불교에서 아자타샤트루는 중요한 구원론적 역할을 한다. 마하야나 마하파리니르바나 수트라에서 악과 고통에 사로잡힌 존재로, 붓다의 자비로만 구원받을 수 있는 사람의 전형으로 묘사된다. 붓다는 이 수트라에서 "아자타샤트루를 위해 세상에 머물 것"이라고 선언한다.[10]

아자타샤트루가 등장하는 경전에는 『관무량수경』, 『아자세왕경』, 『아자세왕문오역경』, 『아자세왕수결경』 등이 있다. 또한, 『문수사리보초삼매경(보초경, 아자경)』 "심본정품"에는 미래에 정계여래(겁은 희견, 국은 무조음)라는 부처가 된다는 미래성불의 기별을 받았다는 기술도 있다.

3. 2. 자이나교와의 관계

자이나교 경전에서도 아자타샤트루는 중요한 인물로 등장한다. 자이나교의 첫 번째 Upānga(자이나교 아가마 참조)인 ''Uvavai/Aupapātika sutta''는 마하비라와 아자타샤트루의 관계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이 경전에 따르면, 아자타샤트루는 마하비라를 극도로 존경했으며, 마하비라의 일상생활을 보고하는 관리를 둘 정도로 깊은 신앙심을 가졌다고 전해진다.[10] 이 관리는 방대한 정보망과 현장 지원 인력을 통해 마하비라에 대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여 왕에게 보고했다. ''Uvavai Sutta''는 마하비라가 참파 시에 도착했을 때 아자타샤트루가 그에게 보인 존경, 마하비라가 아르다마가디어로 설법한 내용 등에 대해 상세하고 흥미로운 논의를 담고 있다.

4. 죽음

역사가들은 아자타샤트루가 사망한 해를 기원전 461년경 또는 기원전 460년경으로 추정한다.[2] 그의 죽음에 대한 기록은 자이나교불교 전통에 따라 크게 다르다.

5. 평가

아자타샤트루는 아버지 빔비사라와 마찬가지로 불교자이나교 등 신흥 종교를 보호하는 정책을 추진하였다.[12] 마가다 왕국의 군사력을 강화하기 위해 고대 인도 최초로 투석기를 군대에 도입하고, 기존 전차에 낫을 단 라타 무살라라는 신무기를 개발했다.[12] 이러한 신무기를 바탕으로 리차비와 밧지 등 36개 소국을 합병하여 국력을 강화했으며, 코살라 왕국을 공격하여 기원전 476년에 정복함으로써 마가다 왕국을 십육대국 시대 최강국으로 만들었다.

6. 대중 문화

고어 비달의 소설 ''창조''에서 아자타샤트루는 잔혹 행위와 대량 학살을 즐기는 혐오스러운 폭군으로 묘사된다. 1966년 인도 영화 ''암라팔리''에서 아자타샤트루는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수닐 더트가 아자타샤트루 역을, 비자얀티말라가 암라팔리 역을 맡았다.[11] 수바 라오가 쓴 아자타샤트루의 생애에 관한 책이 있다.[11]

참조

[1] 서적 India's Ancient Past https://books.google[...]
[2] 서적 India: A History. Revised and Updated https://books.google[...]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ndia CUP Archive
[4] 웹사이트 "[Solved] Who was the mother of Ajatashatru, the king of Magadha?" https://testbook.com[...] 2022-08-09
[5] 서적 Lord Mahāvīra and His Times https://archive.org/[...] "[[Motilal Banarsidass]]" 1974
[6] 간행물 The Ācariyaparamparā and Date of the Buddha. https://journals.sag[...]
[7] 웹사이트 John Marshall, A Guide to Sanchi, 1918 p.58ff https://archive.org/[...] 2017-08-20
[8] 웹사이트 Bimbisara https://www.worldhis[...] 2022-08-09
[9] 문서 Jain Aagam Uvavai Sutra chapter: Kunika
[10] 서적 Mahayana Mahaparinirvana-Sutra http://www.shabkar.o[...] 1973
[11] 웹사이트 Buy Books Online | Online Bookstore India | Online Book Shopping | Free Shipping Across India http://books.rediff.[...]
[12] 서적 Military manpower, armies and warfare in South Asia 19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