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타락시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타락시아는 정신적 평온, 즉 마음의 동요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에피쿠로스 학파는 아타락시아를 쾌락의 핵심 요소이자 최고의 선으로 여겼으며, 고통과 근심을 제거하여 얻는 소극적 쾌락주의를 지향했다. 피론주의에서는 모든 판단을 보류함으로써 얻는 마음의 평정을 아타락시아로 보았으며, 이는 행복으로 이어진다고 여겼다. 스토아 학파 역시 아타락시아를 추구했지만, 삶의 궁극적인 목표는 자연에 따른 덕 있는 삶이었으며, 이는 무감정 상태인 아파테이아를 통해 달성된다고 보았다.

2. 에피쿠로스 학파

Ataraxia|아타락시아grc에피쿠로스 학파의 쾌락 개념(hedone|헤도네grc)에서 핵심적인 요소이며, 에피쿠로스 학파는 쾌락을 최고의 선으로 여긴다.[5] 에피쿠로스 학파는 쾌락을 신체적 쾌락과 정신적 쾌락으로 나누었다. 그들은 신체적 쾌락이 현재에만 존재하는 반면, 정신적 쾌락은 과거, 현재, 미래에 걸쳐 존재하기 때문에 정신적 쾌락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 또한 쾌락을 활동이나 변화를 통해 발생하는 kinetic|키네틱grc 쾌락과 고통이 없는 상태에서 비롯되는 katastematic|카타스테마틱grc 쾌락으로 구분했다. 신체적 고통에서 벗어난 상태를 aponia|아포니아grc라고 하며, 정신적 고통에서 벗어난 평온한 상태를 ataraxia|아타락시아grc라고 한다. 정신적이면서 katastematic|카타스테마틱grc한 쾌락인 아타락시아는 개인의 행복에 있어 핵심적인 상태로 간주된다.[5]

2. 1. 쾌락주의의 역설

에피쿠로스가 추구한 쾌락은 정신적이고 지속적인 것이었다. 감각적이고 순간적인 쾌락은 쾌락주의의 역설에 빠질 위험이 있어 추구하지 않았다. 쾌락주의의 역설이란 육체적 쾌락을 추구할수록 점점 더 강한 자극을 원하게 되어, 결국에는 고통과 근심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에피쿠로스 학파는 특정 쾌락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기보다는 고통과 근심을 제거하여 평온한 상태에 도달하려는 소극적 쾌락주의를 지향했다.[17]

에피쿠로스는 인간의 진정한 즐거움(쾌락·안락)은 결혼을 피하고 아이를 낳지 않으며, "숨어서 살아라"(λάθε βιώσας|라테 비오사스grc)는 가르침을 따를 때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9] 이러한 관점에서, 외부 세계에 흔들리지 않는 평정한 마음 상태, 즉 아타락시아의 경지를 실현하는 것이 철학의 궁극적인 목표이자 이상이라고 여겼다.[9]

후대에 쾌락주의와 동일시되기도 하는 에피쿠로스 학파의 창시자 에피쿠로스 자신도, 결국 술이나 이성에 빠져 고통을 겪는 삶보다는 "빵과 물"로 상징되는 소박하고 평온한 아타락시아의 삶을 추구했다.[12]

3. 피론주의

피론주의에서, ἀταραξία|아타락시아grc는 모든 독단 (즉, 명백하지 않은 믿음)에 관한 에포케ἐποχή|에포케grc (즉, 판단 보류)의 의도된 결과이며, 이는 피론주의 실천의 중심 목표를 나타낸다.[3] 또한 ἀταραξία|아타락시아grc에우다이모니아εὐδαιμονία|에우다이모니아grc를 가져오는 데 필요하다.[4]

피론과 그의 철학을 잇는 회의론자(피론주의)에게 아타락시아는 마음의 혼란을 일으키는 판단을 중지함으로써('''에포케''') 얻는 마음의 평정을 의미했다.[9]

피론주의자들은 지각에 기초한 인상 중 어떤 것이 옳고 어떤 것이 그른지 명확히 알 수 없다고 보았다. 따라서 근거 없이 독단적인 답을 내리는 판단을 보류하는 것에서 아타락시아가 생긴다고 여겼다.[13]

4. 스토아 학파

스토아 학파피론주의에피쿠로스 학파와는 달리, ἀταραξία|아타락시아grc, 즉 마음의 평정을 삶의 궁극적인 목표로 삼지 않았다.[7] 대신 스토아 학파의 목표는 자연에 따른 덕 있는 삶이며, 이는 건강하지 못한 열정(파토스)의 부재인 ἀπάθεια|아파테이아grc를 가져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ἀπάθεια|아파테이아grc 상태의 스토아 철학자는 자신 밖의 문제에 신경 쓰지 않고 감정에 휩쓸리지 않기 때문에 어떤 것에도 동요될 수 없으며,[8] 이는 그들이 정신적 평정 상태, 즉 ἀταραξία|아타락시아grc의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스토아 학파 역시 마음의 평온을 추구했으며, "아타락시아"를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하여 이 용어를 사용했다. 스토아 학파에게 "아타락시아"는 스토아 학파의 현자가 도달하는 '''아파테이아'''와 거의 동의어였거나[12] 동의어에 지나지 않았다고 여겨진다.[14]

아파테이아는 이성이나 로고스에 따라 삶으로써 얻어지는 상태, 즉 "파토스(정념)가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에우다이모니아(행복)는 이러한 아타락시아와 아파테이아가 있고 나서야 비로소 성립하는 것으로 여겨졌다.[9]

5. 불교와의 비교

에피쿠로스가 추구한 아타락시아는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모두 제거하여 마음의 동요나 혼란이 없는 평정심의 상태를 의미한다. 에피쿠로스는 정신적이고 지속적인 쾌락을 추구했으며, 감각적이고 순간적인 쾌락은 오히려 더 큰 고통과 근심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아 경계했다(쾌락주의의 역설). 이는 육체적 쾌락을 추구할수록 더 강한 자극을 원하게 되어 결국 고통과 근심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에피쿠로스학파는 고통과 근심을 제거하여 평온한 상태를 얻으려는 소극적 쾌락주의를 지향했다.[17]

불교는 기원전 6세기 석가의 가르침에 기반한 종교로, 고통의 주요 원인을 욕망으로 본다는 점에서 아타락시아의 관점과 유사한 면이 있다(사성제, 초전법륜). 불교 경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비구들이여, 고집성제란 이와 같으니, 후유를 가져오고, 희빈(喜貧)과 함께 행하여 곳곳에서 환희하는 갈애이니, 말하자면 욕애, 유애, 무유애이니라.[15]

6. 현대 사회와 아타락시아

에피쿠로스는 육체적, 정신적 고통이 모두 제거되어 마음의 동요나 혼란이 없는 평정심의 상태를 추구했다. 그가 추구한 쾌락은 정신적이고 지속적인 종류의 것이었다. 감각적이고 순간적인 쾌락만을 쫓을 경우, '쾌락주의의 역설'에 빠질 위험이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쾌락주의의 역설이란 육체적 쾌락을 추구하면 할수록 점점 더 강한 자극을 원하게 되어, 결국에는 이것이 고통과 근심의 원인이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에피쿠로스 학파는 어떤 쾌락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기보다는 고통과 근심을 제거하여 마음의 평온한 상태를 얻으려는 소극적 쾌락주의를 지향하였다.[17] 이러한 평온한 상태가 바로 에피쿠로스가 추구한 아타락시아에 해당한다.

참조

[1] 웹사이트 Epictetus https://www.iep.utm.[...]
[2] 서적 Pyrrhonism: How the Ancient Greeks Reinvented Buddhism Lexington Books
[3] 서적 Epicurus and Democritean Ethics: An Archaeology of Atarax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The Pyrrhonist's Ἀταραξία and Φιλανθρωπία. https://philpapers.o[...] 2006
[5] 서적 Epicureanis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 서적 Stoics, Epicureans, and Sceptics: An Introduction to Hellenistic Philosophy Routledge
[7] 간행물 Ataraxia 1990
[8] 서적 Stoicism: Traditions and Transform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哲学事典 平凡社
[10] 서적 広辞苑 第六版
[11] 문서 ブリタニカ【アタラクシア】
[12] 문서 岩波 哲学・思想事典【アタラクシア】
[13] 서적 Outlines of Pyrrhonism Harva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The Stoics on the Voluntariness of Pass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문서 大犍度
[16] 문서 고등학교윤리와사상
[17] 문서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교과서 (주) 미래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