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폴로니안 개스킷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폴로니안 개스킷은 서로 접하는 세 원에서 시작하여, 각 곡선 삼각형 영역에 접하는 원을 무한히 추가하여 생성되는 프랙탈이다. 데카르트의 정리를 통해 각 원의 크기를 결정하며, 약 1.3057의 하우스도르프 차원을 갖는다. 개스킷 내 원의 곡률은 음수, 0, 양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정수 곡률을 갖는 경우 방정식 a² + b² + c² + d² = 2(ab + ac + ad + bc+bd+cd)를 만족한다. 아폴로니안 개스킷은 뫼비우스 변환에 의해 구조가 보존되며, 유클리드 대칭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구조는 아폴로니우스의 문제 해결에 기반하며, 라이프니츠에 의해 처음 언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쌍곡기하학 - 무한원점
    무한원점은 사영평면에서 z=0인 동차좌표로 표현되는 점들의 집합으로 무한원직선을 구성하며, 유클리드 기하학에는 없지만 사영기하학 등에서 평행선의 교점으로 정의되고 투영기하학에서 소실점과 관련되어 응용되지만 교육적 어려움을 야기한다는 비판도 있다.
  • 쌍곡기하학 - 쌍곡선 함수
    쌍곡선 함수는 삼각함수에서 파생된 함수로, 지수 함수를 사용하여 정의되며 삼각함수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며 미분, 적분, 복소수까지 확장되어 사용된다.
  • 원 (기하학) - 대원
    구면기하학에서 대원은 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과 구의 교선으로, 유클리드 공간의 직선에 대응하며, 서로 대극점이 아닌 두 점을 잇는 최단 거리인 대원 거리를 정의하고, 자오선이나 적도처럼 항해,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원 (기하학) - 반지름
    반지름은 원의 중심에서 원 위의 점까지의 거리로, 원의 지름과 둘레, 넓이 계산에 사용될 뿐 아니라 정다각형 외접원, 그래프 이론, 극좌표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여러 도형의 반지름을 구하는 공식이 존재하고 한국의 교육, 건축, 디자인 분야에서도 널리 쓰인다.
  • 프랙탈 - 브라운 운동
    브라운 운동은 액체나 기체 속 미세 입자가 매질 분자와 충돌하여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현상으로, 아인슈타인과 스몰루호프스키의 이론적 설명과 페랭의 실험적 검증을 통해 원자 존재 입증에 기여했으며, 확산/랑주뱅 방정식으로 모델링되어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프랙탈 - 프랙탈 우주론
    프랙탈 우주론은 우주의 구조가 프랙탈 기하학적 특성을 갖는다는 이론이며, 관측 결과는 우주가 균질하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이론적 연구에서는 큰 규모나 미시적 규모에서 프랙탈 구조를 제안하기도 한다.
아폴로니안 개스킷
개요
아폴로니안 개스킷
아폴로니안 개스킷
유형프랙탈
발견자페르가의 아폴로니우스
특징
차원약 1.3057
하우스도르프 차원1.30568...
대칭성없음
생성 방법원 채우기
관련 항목
관련 항목데카르트 정리
포드 원
원 문제 포장

2. 구성

상호 접하는 원들. 세 개의 상호 접하는 원(검정)이 주어지면, 일반적으로 이들과 상호 접하는 다른 두 개의 원(빨강)이 존재한다.


아폴로니안 개스킷은 서로 접하는 세 개의 원 C_1, C_2, C_3(그림에서 검정색)에서 시작하여 구성된다. 이 세 원은 삼중 접점의 단일 지점을 갖지 않으며, 서로 크기가 다를 수 있다. 또한, 두 원이 세 번째 원 안에 있거나 세 원 모두 서로 바깥에 위치할 수 있다. 아폴로니우스가 발견했듯이, 원래 세 원 모두에 접하는 두 개의 다른 원 C_4C_5(빨강)가 존재한다. 이 두 원을 ''아폴로니안 원''이라고 부른다.[2]

이 다섯 개의 원(원래 세 원 + 아폴로니안 원)은 여섯 개의 곡선 삼각형 영역으로 분리되며, 각 영역은 쌍별 접선 원의 호로 경계가 정해진다. 이 구성은 이 여섯 개의 곡선 삼각형 각각에 세 변에 접하는 원을 하나씩 추가하여 계속된다. 이 원들은 다시 18개의 곡선 삼각형을 생성하고, 구성은 이들을 접하는 원으로 다시 채워 무한히 계속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계별로 계속 진행하면, n 단계에서 2\cdot 3^n개의 새로운 원이 추가되어, n 단계 후에는 총 3^{n+1}+2개의 원이 생성된다. 극한에서 이 원의 집합은 아폴로니안 개스킷이 된다. 여기에서 각 쌍의 접선 원은 쌍의 두 원 모두에 접하는 무한한 파푸스 사슬을 갖는다.

thumb 집합을 생성한다.]]

각 새로운 원의 크기는 데카르트의 정리에 의해 결정된다. 데카르트의 정리에 따르면, 서로 접하는 네 개의 원의 반지름 r_i는 다음 방정식을 따른다.

\left(\frac1{r_1}+\frac1{r_2}+\frac1{r_3}+\frac1{r_4}\right)^2=2\left(\frac1{r_1^2}+\frac1{r_2^2}+\frac1{r_3^2}+\frac1{r_4^2}\right).

이 방정식은 음수 반지름의 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음수 반지름의 원 중 하나가 다른 세 원을 둘러싼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구성의 초기 원 중 하나 또는 두 개, 또는 이 구성의 결과로 생성된 원은 직선으로 퇴화될 수 있다. 이는 무한 반지름을 가진 원으로 생각할 수 있다. 두 개의 선이 있을 때, 그들은 평행해야 하며, 무한대점에서 접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개스킷이 x축에 있는 두 개의 선과 그 위에 단위 높이의 선, 그리고 y축을 중심으로 하는 두 선에 접하는 단위 지름의 원을 포함하는 경우, x축에 접하는 원은 포드 원이며, 수론에서 중요하다.

3. 곡률

원의 곡률은 반지름의 역수로 정의된다. 곡률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음의 곡률: 다른 모든 원을 포함하는 원을 나타낸다.
  • 0의 곡률: 직선 (무한대 반지름을 가진 원)을 나타낸다.
  • 양의 곡률: 다른 원과 외접하는 원을 나타낸다.


데카르트의 정리에 따르면, 서로 접하는 네 원의 반지름 r_i는 다음 방정식을 만족한다.

:\left(\frac1{r_1}+\frac1{r_2}+\frac1{r_3}+\frac1{r_4}\right)^2=2\left(\frac1{r_1^2}+\frac1{r_2^2}+\frac1{r_3^2}+\frac1{r_4^2}\right).

이 방정식은 음수 반지름의 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음수 반지름의 원 중 하나가 다른 세 원을 둘러싼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폴로니안 개스킷을 구성할 때, 초기 원 중 하나 또는 두 개가 직선으로 퇴화될 수 있다. 이는 무한 반지름을 가진 원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두 개의 선이 있을 때 그들은 평행해야 하며 무한대점에서 접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개스킷이 x축에 있는 두 개의 선과 그 위에 단위 높이의 선, 그리고 y축을 중심으로 하는 두 선에 접하는 단위 지름의 원을 포함하는 경우, x축에 접하는 원은 포드 원이며, 수론에서 중요하다.[2][3]

3. 1. 정수 곡률

아폴로니안 개스킷에서 서로 접하는 네 원의 곡률(반지름의 역수)이 모두 정수이면, 개스킷 내 모든 원의 곡률도 정수이다.[5]

아폴로니안 개스킷에서 곡률을 연결하는 방정식은 정수 여부와 관계없이 다음과 같다.

:a^2 + b^2 + c^2 + d^2 = 2ab + 2 a c + 2 a d + 2 bc+2bd+2cd,\,

이 방정식을 이용해 비에타 점프를 사용하면, 마르코프 수를 찾을 때처럼 곡률의 한 사중항에서 다른 사중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 표는 정수 아폴로니안 개스킷의 처음 몇 가지를 나열한 것이다. 표에는 개스킷에서 가장 큰 원의 곡률이 표시되어 있다. 처음 세 개의 곡률(표에 표시된 다섯 개의 곡률 중)만으로 각 개스킷을 완전히 설명할 수 있으며, 나머지 곡률은 이 세 개로부터 파생 가능하다.

'''정수 아폴로니안 개스킷'''
시작 곡률대칭
−1, 2, 2, 3, 3D2
−2, 3, 6, 7, 7D1
−3, 4, 12, 13, 13D1
−3, 5, 8, 8, 12D1
−4, 5, 20, 21, 21D1
−4, 8, 9, 9, 17D1
−5, 6, 30, 31, 31D1
−5, 7, 18, 18, 22D1
−6, 7, 42, 43, 43D1
−6, 10, 15, 19, 19D1
−6, 11, 14, 15, 23C1
−7, 8, 56, 57, 57D1
−7, 9, 32, 32, 36D1
−7, 12, 17, 20, 24C1
−8, 9, 72, 73, 73D1
−8, 12, 25, 25, 33D1
−8, 13, 21, 24, 28C1
−9, 10, 90, 91, 91D1
−9, 11, 50, 50, 54D1
−9, 14, 26, 27, 35C1
−9, 18, 19, 22, 34C1
−10, 11, 110, 111, 111D1
−10, 14, 35, 39, 39D1
−10, 18, 23, 27, 35C1
−11, 12, 132, 133, 133D1
−11, 13, 72, 72, 76D1
−11, 16, 36, 37, 45C1
−11, 21, 24, 28, 40C1
−12, 13, 156, 157, 157D1
−12, 16, 49, 49, 57D1
−12, 17, 41, 44, 48C1
−12, 21, 28, 37, 37D1
−12, 21, 29, 32, 44C1
−12, 25, 25, 28, 48D1
−13, 14, 182, 183, 183D1
−13, 15, 98, 98, 102D1
−13, 18, 47, 50, 54C1
−13, 23, 30, 38, 42C1
−14, 15, 210, 211, 211D1
−14, 18, 63, 67, 67D1
−14, 19, 54, 55, 63C1
−14, 22, 39, 43, 51C1
−14, 27, 31, 34, 54C1
−15, 16, 240, 241, 241D1
−15, 17, 128, 128, 132D1
−15, 24, 40, 49, 49D1
−15, 24, 41, 44, 56C1
−15, 28, 33, 40, 52C1
−15, 32, 32, 33, 65D1



(a, b, c, d)가 데카르트 방정식을 만족하는 시스템은 x^2+m^2=d_1 d_2일 때 성립한다. 또한, \gcd(x, d_1, d_2)=1이면 (a, b, c, d)는 원시적이고, x<0\leq 2m\leq d_1\leq d_2이면 (a, b, c, d)는 근 사중항이다.[5]

이 관계를 이용하면 주어진 음의 굽힘 x를 갖는 모든 원시 근 사중항을 찾을 수 있다.[6]

4. 대칭성

뫼비우스 변환은 원의 모양과 접점을 보존하므로, 아폴로니안 개스킷의 구조를 보존한다. 아폴로니안 개스킷 내의 임의의 세 개의 상호 접하는 원들은 뫼비우스 변환에 의해 서로 매핑될 수 있으며, 임의의 두 아폴로니안 개스킷은 뫼비우스 변환에 의해 서로 매핑될 수 있다.

특히, 임의의 아폴로니안 개스킷에서 두 개의 접하는 원에 대해, 접점 중심의 원에서의 반전(뫼비우스 변환의 특수한 경우)은 이 두 원을 두 개의 평행선으로 변환하고, 개스킷의 나머지를 두 평행선 사이의 개스킷이라는 특수한 형태로 변환한다. 이러한 반전의 합성은 임의의 두 접점을 서로 변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뫼비우스 변환은 쌍곡 평면의 등거리 변환이므로, 쌍곡 기하학에서 모든 아폴로니안 개스킷은 합동이다. 따라서, (쌍곡) 등거리 변환에 따라 아폴로니안 개스킷은 단 하나만 존재한다. 아폴로니안 개스킷은 클라인 군으로 알려진 뫼비우스 변환 그룹의 극한 집합이다.[4]

4. 1. 유클리드 대칭

일반적으로 아폴로니안 개스킷은 세 개의 원으로 구성된 생성 집합의 대칭을 상속받는다. 그러나 일부 세 개의 원들은 초기 세 원보다 더 높은 대칭성을 가진 아폴로니안 개스킷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동일한 개스킷이 더 대칭적인 다른 생성 원 집합을 가질 때 발생한다. 특히 대칭적인 경우로는 다음이 있다.

  • 두 개의 평행선 사이의 아폴로니안 개스킷 (무한 이각 대칭을 가짐)
  • 정삼각형 내의 세 개의 합동 원에 의해 생성된 아폴로니안 개스킷 (삼각형의 대칭성을 가짐)
  • 반지름 1인 두 개의 원이 반지름 2인 원에 의해 둘러싸인 아폴로니안 개스킷 (두 개의 반사 대칭선을 가짐)

5. 계산 방법

서로 접하는 세 원의 곡률을 ''k''1, ''k''2, ''k''3, 아폴로니우스 원의 곡률을 ''k''4라 하면, 데카르트의 정리에 의해 다음 식이 성립한다.[11]

:(k_1 + k_2 + k_3 + k_4)^2 = 2\,(k_1^2 + k_2^2 + k_3^2 + k_4^2)\,

''k''4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k_4 = k_1 + k_2 + k_3 \pm2 \sqrt{k_1 k_2 + k_2 k_3 + k_3 k_1}\,

여기서 복호(複號)는 아폴로니우스 원이 두 개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원의 중심을 살펴보자. '''복소 평면상에서''' 세 원의 중심을 각각 복소수 ''z''1, ''z''2, ''z''3로 표현하고, 아폴로니우스 원의 중심을 ''z''4라고 하면, 데카르트의 정리에 의해 다음 식이 성립한다.

:(k_1 z_1 + k_2 z_2 + k_3 z_3 + k_4 z_4)^2 = 2\,(k_1^2 z_1^2 + k_2^2 z_2^2 + k_3^2 z_3^2 + k_4^2 z_4^2)\,

''z''4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z_4 = \frac{z_1 k_1 + z_2 k_2 + z_3 k_3 \pm 2 \sqrt{k_1 k_2 z_1 z_2 + k_2 k_3 z_2 z_3 + k_1 k_3 z_1 z_3}}{k_4}

위 식에서 복호는 복소수의 제곱근을 취하는 과정(일반적으로 두 개의 값을 가짐)에 대응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k''4를 구하는 식에서의 복호와는 무관하다(같은 순서나 역순이 아니다). 따라서 하나의 ''k''4 값에 대해 두 개의 ''z''4가 존재하지만, 그중 하나만이 올바른 값이다.[12]

6. 하우스도르프 차원

아폴로니안 개스킷은 하우스도르프 차원이 약 1.3057이다.[2][3] 잘 정의된 분수 차원을 가지므로, 정확히 자기 유사성은 아니지만, 프랙탈로 생각할 수 있다.

7. 역사

아폴로니안 개스킷은 아폴로니우스의 문제의 해에 의존하기 때문에 페르가의 아폴로니우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0] 하지만 개스킷에 대한 가장 초기의 설명은 1706년 라이프니츠가 데스 보세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찾을 수 있다.[10] 아폴로니안 개스킷에 대한 최초의 현대적 정의는 캐스너와 수프닉이 제시하였다.

참조

[1] 서적 The Butterfly in the Iglesias Waseas World: The story of the most fascinating quantum fractal https://books.google[...] IOP Publishing 2016
[2] 논문 The residual set dimension of the Apollonian packing
[3] 논문 Hausdorff dimension and conformal dynamics, III: Computation of dimension https://abel.math.ha[...]
[4] 문서 Counting circles and Ergodic theory of Kleinian groups http://www.math.brow[...] University 2009-12
[5] 논문 Apollonian Circle Packings: Number Theory https://www.scienced[...] 2003
[6] 웹사이트 Revisiting Apollonian Gaskets https://aldenbradfor[...] 2022-08-07
[7] 학술지 Some Experiments with Integral Apollonian Circle Packings 2011-11-28
[8] arXiv The Local-Global Conjecture for Apollonian circle packings is false
[9] 뉴스 Two Students Unravel a Widely Believed Math Conjecture https://www.quantama[...] Quanta Magazine 2023-08-14
[10] 문서 Leibniz to Des Bosses, Hannover 11-17 March 1706, translated by Dr. Osvaldo Ottaviani https://humanities.t[...] 1706-03-11
[11] 논문 The residual set dimension of the Apollonian packing
[12] 논문 Hausdorff dimension and conformal dynamics, III: Computation of dimension https://abel.math.ha[...]
[13] 논문 Apollonian Circle Packings: Number Theory http://citeseer.ist.[...]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