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피아노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피아노 가문은 이탈리아의 피사 지역에서 기원한 가문으로, 13세기부터 17세기까지 피옴비노 공국을 중심으로 여러 지역을 지배했다. 1392년 피사에서 실질적인 군주가 되었으며, 이후 밀라노 공국, 피렌체 공화국 등의 지배를 받으며 피옴비노, 엘바 섬 등을 중심으로 세력을 유지했다. 1509년에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로부터 피옴비노 후작 작위를 받았으나, 1634년 최종적으로 가문의 지배권을 상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피아노가 - 이아코포 4세 아피아노
- 아피아노가 - 이아코포 3세 아피아노
이아코포 3세 아피아노는 1439년 피옴비노에서 태어나 피옴비노 영주가 되었으며 예술을 후원했고, 말라리아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 이탈리아의 귀족 가문 - 메디치가
메디치가는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피렌체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메디치 은행의 부를 기반으로 정치, 경제, 문화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르네상스 황금기를 이끌었으나, 토스카나 대공국 건설 후 잔 가스토네의 죽음으로 가문의 통치가 종식되었다. - 이탈리아의 귀족 가문 - 에스테가
에스테 가문은 11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귀족 가문으로, 이탈리아와 독일 두 분파로 나뉘어 북부 이탈리아 지역을 지배하며 예술을 후원했고, 독일 분파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와 영국 왕실과 연관을 맺었으며, 혼인을 통해 오스트리아-에스테 가문이 형성되어 유럽 정치사에 영향을 미치고 건축물과 예술품 등 문화적 유산을 남겼다.
아피아노가 | |
---|---|
개요 | |
국가 | 피사 공화국 피옴비노 공국 |
창립 | 13세기 |
창립자 | 벤베누토 다 아피아노 |
해산 | 1661년 |
마지막 통치자 | 이사벨라 아피아니 |
작위 | |
![]() |
2. 역사
아피아니 가문은 피사 지방의 아피아노 발 데라 지역에서 기원했다. 초기에는 공증인 가문으로 시작하여 점차 세력을 확장하여, 피사 공화국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으며, 피옴비노 공국을 통치하며 그 세력을 더욱 확장했다. 하지만, 17세기 이후로는 점차 몰락의 길을 걸었다.
인물 | 생몰년 | 주요 활동 | 비고 |
---|---|---|---|
구아르니토 다피아노 | 1200년 ~ 1255년 사이 | 공증인 | 아피아니 가문 최초로 알려진 인물 |
야코포 | 1230년경 ~ 1290년경 | 공증인 | 피사에서 활동 |
벤베누토 | ? ~ ? | 피사 공증인 협회장 | |
반니 | ? ~ 1355년 | 공증인, 피사 안치아노(영사), 루카 장관 | 1355년 피사에서 처형 |
야코포 | 1322년 ~ 1398년 | 피사 공화국 장관, 라스판티당 수장, 피사의 사실상 군주 | 델라 게라르데스카 가문과 연합 |
2. 1. 피사 공화국 시대
아피아니 가문에서 처음으로 알려진 인물은 1200년에서 1255년 사이에 살았던 공증인 구아르니토 다피아노이다. 그의 아들 야코포(1230년경-1290년경 피사에서 활동) 또한 공증인이었고, 구아르니토의 손자 벤베누토는 피사 공증인 조합의 조합장이었다. 벤베누토의 증손자 반니 역시 공증인이었으며, 피사의 안치아노(영사)를 거쳐 1347년 루카의 장관이 되었다. 그러나 반니는 1355년 5월 피사에서 처형당했다.[1]반니의 아들 야코포(1322년 - 1398년)는 피사 공화국의 장관이자 델라 게라르데스카 가문과 함께 라스판티당의 수장이었다. 1392년, 피에트로 감바코르티와 그의 아들들을 암살한 후, 야코포는 10년간 피사의 사실상의 군주가 되었다.[1] 1398년 그는 아들 게라르도에게 자리를 물려주었고, 1년 뒤 게라르도는 피사의 주권을 밀라노의 군주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에게 넘겼다. 잔 갈레아초가 사망한 뒤, 피사는 가브리엘레 마리아 비스콘티에 의해 피렌체에 팔렸다.[2]
2. 2. 피옴비노 공국 통치
1392년, 피사 공화국의 장관이자 델라 게라르데스카 가문과 함께 라스판티당의 수장이었던 야코포는 피에트로 감바코르티와 그의 아들들을 암살한 후 10년간 피사의 사실상의 군주가 되었다.[1] 1398년 아들인 게라르도에게 자리를 물려주었고, 1년 뒤 게라르도는 피사의 주권을 밀라노 공국의 군주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에게 넘겼다.[1] 잔 갈레아초가 사망한 뒤, 피사는 가브리엘레 마리아 비스콘티에 의해 피렌체에 팔렸지만, 아피아니 가문은 피옴비노, 수베레토, 부리아노(Buriano), 스칼리노, 비냘레, 포풀로니아, 엘바, 피아노사, 몬테크리스토에 대한 지배권을 유지했다.[1]게라르도는 1404년에 그의 아들 이아코포 2세에게 물려주었는데, 1441년 그가 사망한 후 이아코포의 어머니이자 섭정인 파올라 콜론나는 피옴비노를 위해 에마누엘레 아피아니와 대립했다.[2] 1445년에 파올라 콜론나가 사망하고 통치권은 이아코포 2세의 자매인 카테리나에게 넘어갔지만, 실질적인 지배권은 그녀의 남편 리날도 오르시니가 쥐고 있었다.[2] 1450년에 리날도가, 1451년에는 카테리나가 역병으로 사망하자, 에마누엘레는 피옴비노인들을 통해 피옴비노의 군주로 선출되었다.[2]
1509년 이아코포 4세가 합스부르크 가문의 막시밀리안 1세를 통해 피옴비노 후작 작위를 획득했다.[3] 그의 아들 이아코포 5세는 메디치 가문의 교황들인 교황 레오 10세와 교황 클레멘스 7세 사후, 로렌초 데 메디치의 후손들인 두 자매와 혼인했다.[3] 하지만 그의 아들 이아코포 6세는 1548년 카를 5세에 의해 피옴비노에서 쫓겨나고 그의 영지를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에게 맡겼다.[3] 1559년에 주권을 회복하였지만, 3년만에 폭동을 일으킨 시민들이 토스카나 대공국의 함대 사령관으로 남아있던 알레산드로와 싸우도록 강요하였다.[3] 알레산드로는 황제로부터 통치의 합법화를 얻어냈지만, 통치 4년만에 대중들에 의해 살해당하고 만다.[3]
이아코포 7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돌프 2세에게서 공작 작위를 얻어, 알레산드로의 자리를 이어받았다.[4] 이아코포가 후계자를 두지 못하고 사망하자, 피옴비노 후국은 친척에게 잠시 통치권이 넘어갔었지만, 실질적으로는 이사벨라 아피아니가 추방당하는 1628년까지 통치하였다. 결국 1634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2세가 피옴비노를 이사벨라의 딸과 결혼한 니콜로 루도비시에게 위임하였다.[4]
2. 3. 아피아니 가문의 몰락
아피아니 가문에서 처음으로 알려진 인물은 1200년에서 1255년 사이에 살았던 공증인 구아르니토 다피아노이며, 그의 아들 야코포(1230년-1290년경 피사에서 활동) 또한 공증인이었다. 벤베누토는 피사 공증인 조합의 조합장이었고, 그의 증손자 반니는 피사의 안치아노(영사)를 거쳐 1347년에 루카의 장관이 되었으나 1355년 5월 피사에서 처형당했다.[1] 반니의 아들 야코포(1322년 - 1398년)는 피사 공화국의 장관이자 델라 게라르데스카 가문과 함께 라스판티당의 수장이었다. 1392년, 피에트로 감바코르티와 그의 아들들을 암살한 후, 그는 10년간 피사의 사실상의 군주가 되었다.[1]1398년 아들인 게라르도(1370년경-1405년)에게 자리를 물려주었고, 1년 뒤 게라르도는 피사의 주권을 밀라노의 군주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에게 넘겼다.[2] 잔 갈레아초가 사망한 뒤, 피사는 가브리엘레 마리아 비스콘티에 의해 피렌체에 팔렸으며, 아피아니 가문은 피옴비노, 수베레토, 부리아노, 스칼리노, 비냘레, 포풀로니아, 엘바, 피아노사, 몬테크리스토에 대한 지배권을 유지했다.[2] 게라르도는 1404년에 그의 아들 이아코포 2세에게 물려주었는데, 1441년 게라르도가 사망하자 이아코포의 어머니이자 섭정인 파올라 콜론나는 피옴비노를 위해 에마누엘레 아피아니와 대립했다. 1445년에 파올라 콜론나가 사망하고, 통치권은 이아코포 2세의 자매인 카테리나에게 넘어갔지만, 실질적인 지배권은 그녀의 남편 리날도 오르시니가 쥐고 있었다. 1450년에 리날도가, 1451년에는 카테리나가 역병으로 사망하자, 에마누엘레는 피옴비노인들을 통해 피옴비노의 군주로 선출되었다.[2]
야코포 5세는 메디치 가문 출신 교황 레오 10세의 조카 3명과 결혼했는데, 에밀리아 리돌피, 그녀의 여동생 클라리체(콘테시나 데 메디치의 딸), 마지막으로 엘레나 살비아티(루크레치아 데 메디치의 딸)였지만, 엘레나에게서만 자녀를 두었다. 그러나 그의 아들 이아코포 6세는 1548년 황제 카를 5세에 의해 피옴비노에서 쫓겨나고 그의 영지를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에게 맡겼다.[3] 이아코포는 1559년에 주권을 회복하였지만, 3년만에 폭동을 일으킨 시민들이 토스카나 대공국의 함대 사령관으로 남아있던 알레산드로와 싸우도록 강요하였다. 알레산드로는 황제로부터 통치의 합법화를 얻어냈지만, 통치 4년만에 대중들에 의해 살해당하고 만다.
이아코포 7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돌프 2세에게서 공작 작위를 얻어, 알레산드로의 자리를 이어받았다. 이아코포가 후계자를 두지 못하고 사망하자, 피옴비노 후국은 친척에게 잠시 통치권이 넘어갔지만, 실질적으로는 이사벨라 아피아니가 추방당하는 1628년까지 통치하였다. 결국 1634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2세가 피옴비노를 이사벨라의 딸과 결혼한 니콜로 루도비시에게 위임한다.[4]
참조
[1]
웹사이트
Appiano, d' nell'Enciclopedia Treccani
https://www.treccani[...]
2022-01-14
[2]
웹사이트
Piombino - The town of Piombino
http://toscana.indet[...]
2022-01-14
[3]
웹사이트
JACOPO V D'APPIANO, LE INCURSIONI OTTOMANE E COSIMO DE' MEDICI
http://www.corrieree[...]
2022-01-14
[4]
웹사이트
LUDOVISI, Niccolò in "Dizionario Biografico"
https://www.treccani[...]
2022-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